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1.
        202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기후변화와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함으로써 도심지 불투수 면적 증가로 인하여 자연적인 물순환이 원활히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국지성 폭우로 인한 지표수의 증가로 도심지 홍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주차장 매립 빗물저류조를 통하여 지표 유출량을 감소시켜 원활한 물순환에 기여하고 그에 따른 해 당 구조물의 상부 하중과 배열 방식에 따른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해당 구조물의 분석은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 하였으며, 분석 결과 매립 깊이 3m 이상 시 상부 하중이 저류조에 적용되는 하중이 급격하게 저감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ischarge status of smoke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stalling a mobile blower in the event of a fire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using an evacuation simulation. An evacuation simulation was conducted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discharge of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was discharged using a mobile blower to extinguish the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by focusing on the part without smoke facilities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results derived through experiments on the amount of smoke discharged using the natural exhaust method and the mobile blower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re as follows. (1) In the event of a fire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e PPV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method, which has been mainly used in the field, should be used in a limited way. It can be an effective method if the exhaust port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the blower and the smoke exhaust is located nearby, or if the capacity of the apartment ventilation fan is designed to meet the 18CMH/㎡ of 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88A or the 27CMH/㎡ standard standard for performance-oriented design evaluation and operation such as fire fighting facilities of 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88A. (2) In the case of the additional mixing method (PPV+NPV) performed in the FDS experiment, smoke emissions increased by 5.1% compared to the NPV single method, and increased by 24.4% compared to the PPV single method.
        4,0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the smoke generated during a fire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itial response is difficult, resulting in an increase in life and property damage. In this study, fire case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were analyzed and the necessity of legal and institutional amendments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installation of smoke removal facilities, sprinkler facilities, emergency outlet facilities, and connected water pipe facilitie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moke removal facilities of apartment underground parking lot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wet sprinkler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only when it has a structure 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freezing. It is stipulated in a manner other than wet in the fire safety technology (NFTC 103) of sprinkler facilities. However, wet sprinklers may be installed only in places where there is no fear of freezing, or when a structure 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freezing has been used. Third,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Firef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and Management Act" so that the standards for installing emergency outlet facilities are not reg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nderground floors, but according to the sum of the floor areas of the underground floors.
        4,000원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급속한 도시화, 마이카 시대의 도래 등으로 증가하는 주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에서도 지하주차장이 도입되었으며, 초고층 공동주택의 보급 확대, 보행자 안전 확보 및 쾌적한 단지 환경 조 성을 위하여 단지내 차량 동선이 지하화 되는 등 지하주차장의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공동 주택의 지하주차장은 지하 2층 이상으로 심도가 점차 깊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상적으로 지하 수 위 이하에 위치하게 되어 상시 수압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누수 방지를 위한 방수공법은 중요한 설계 요소가 되었다. 지하주차장에 적용되고 있는 방수 공법을 살펴보면 초기 지하 1층 정도의 저심도의 지 하주차장에서는 액체방수와 유도배수 등이 적용되어 왔고 이러한 내방수 공법들은 지하주차장 골조 내부에 시공하여 시공이 쉽고 보수 등의 유지관리가 쉬운 장점이 있지만 유입되는 물을 내부에서 배 수처리시킴으로 구조체 내부로 물의 유입을 허용한다는 측면에서 지하수위가 높아 수압이 많이 작용 하는 지반에 적합하지 않다. 반면 외방수 공법은 지하구조물 외부에 연속적인 막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골조 외부에 시공하기 때문에 물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방수성능이나 내구성 등의 측 면에서 유리하지만 시공을 위한 작업공간의 확보가 필요해 도심지와 같이 협소한 현장에서는 적용이 어렵고 또한 되메우기 이후에 방수재가 파손되는 등 문제가 발견된 경우 보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외방수 공법은 주로 시트형태의 방수재료를 구체면에 부착하고 후속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외 방수 공법과 관련된 표준시방서(KCS) 및 한국산업규격(KS) 등을 보면, 각종 방수재의 시험항목은 유 사하나 제시하고 있는 품질기준 값이 서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지하주차장에서 요구되는 방수성능이 명확하게 제시되었다고는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주차장의 방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누수 원인이 될 수 있는 시공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및 지하주차장의 구조적 거동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하주차장에서 요구되는 방수재료의 성능기준 및 시공측면에서의 개 선 사항 등을 도출하고자 한다.
        5.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analyze preference of shared personal mobility(shared e-scooter or shared bike) parking lot. The detailed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levels of shared personal mobility are developed. Based on combined attributes and attribute levels several profiles were composed. Preference data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is collected through survey. Preference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was analyzed using conjoint analysis. METHODS :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levels that might affect behavior or intention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were developed. Several profiles that contain combined attributes and attribute levels were created in a fractional factorial design. In order to collect preference data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online survey were proceeded.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rk preference point between point 1 and point 10. Lastly, preference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was analyzed using conjoint analysis. RESULTS : Based on literature review, 5 attributes for conjoint analysis were set.(Distance between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and destination, Space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Location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Type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Interval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With the combination of 5 attributes and their levels, 16 random profiles were made. Online survey was proceeded with 300 participants who have used shared personal mobility. Using conjoint analysis utility and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has been calculated. As a result, the preference got higher when distance between parking lot and destination and intervals of parking lots are short. In addition racks are tended to be preferred and it seems to be more profer to install parking lot on buffer zone of pedestrian road instead of adjacent to private building. CONCLUSIONS : It could be important to install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considering preference of parking lot attributes in order to encourage users to use the proper parking lot instead of parking anywhere.
        4,000원
        7.
        202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주차공간 부족은 최근 자동차수 증가 추이에 따라 점점 심화되고 있으며, 주차장 부족현상은 노후주택 밀집지 및 전통시장 주변, 관광지 등이 가장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나, 의외로 개발단계부터 체계적인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되는 택지개발지구에서 더욱 심각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양주 별내택지지구를 중심으로 주차장용지 계획내용, 주차전용건축물 이용실태 및 주차장에 대한 수급불균형이 발생되는 사례를 통하여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을 공급계획단계, 건축운영 단계, 관리감독단계로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6,100원
        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작물 주차장은 제한된 높이를 갖는 시설물로써, 제한된 층고 내에 합리적 구조가 되도록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작물 주차장은 제한된 층고 내에 주차 통로부(6m)와 주차공간부(5m)를 고려한 11m 전후의 장스팬이 대부분이다. 기존의 합성보는 제한된 층고내에서 충분한 보춤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처짐과 같은 사용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박스형 강재보의 상부플랜지를 콘크리트 슬래브의 마감면까지 노출시킨 형상의 합성보를 개발하였다. H형 합성보, U형 합성보, Box형 합성보를 대상으로 2점가력 휨실험을 수행하여, 구조특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주차장 모듈에 대해 대안설계를 수행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비교평가하였다.
        4,000원
        1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finition of an apartment is a building more than 5 stories high and which is the standard law. Currently, the number of apartments is increasing much faster than detached houses. Owning an apartment is a normal trend these days. However, the increasing number of apartments has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apartment fires which also has been making social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fire extinguisher among other fire facilities because it is important for initial fire suppression. The research subject is on the fire extinguisher that is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40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more than 10 stories.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or 80 fire extinguishers. There are two fire extinguishers for each apart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all installed fire extinguishers are ABC dry chemical type, 92% of them is 3.3kg and that meet the legal height(less than 1.5m). However, the condition such as appearance, inspection, manufactured year, appearance of signs, material of signs, size of signs, etc. was insufficiency. So improvement of law and system that are fire facility construction, maintenance implementation and additional designation of type approval about sign will be needed in my opinion.
        4,000원
        1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re sprinkler system is very important to extinguish fire in the building. The sprinkler system initiates sprinkler discharge if the detection system identifies a developing fire and opens the pre-action valve. However, pre-action fire sprinkler systems mainly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t the apartment complex do not properly operate at fire if the connection type of fire sprinkler systems does not properly installed and operated.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dispersion & damage and the connection type of water supply in the sprinkler system from many fire cases at the apartment complex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water supply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South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also to improve the water connection types in the sprinkler system that can reduce the potential failures of pre-action valve operation through electrical signal system. The study also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 for water connection types in pre-action fire sprinkler system that can minimize potential failure of pre-action fire sprinkler system. The suggestions for revising the fire safe standard in South Korea includes letting the water supply pipe of sprinkler system water inlet connect to the second side of pre-action valve and the water flow device that can minimize potential failure of sprinkler system.
        4,000원
        1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매년 6월~8월이면 아파트 주차장 및 공장마당 아스팔트포장 표면의 골재 탈리현상으로 많은 민원이 제 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주차장 및 공장마당의 경우 일반 도로와 달리 차량 및 지게차 등이 제자리에 서 바퀴를 돌리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여름철 포장 온도가 상승한 시점에서 골재의 탈리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반 도로포장의 경우 시공 완료 후 차량들의 통행에 의해 추가 다짐이 진행되지만 주차장의 경우 차량 통행에 의한 다짐이 일반 도로포장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도로 보다 포장의 공극률이 큰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여름철 주차장 및 공장마당의 골재 탈리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밀 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한 골재탈리 저항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방법은 없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 비산 저항성을 평가할 수 있는 칸타브로 시험 방법을 밀입도 아 스팔트 혼합물에 적용하여 평가를 해 보았다. 배수성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한 칸타브로 시험은 20℃에서 진행하지만 본 연구의 경우 여름철 발생되는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탈리현상을 모사하기 위하여 6 0℃의 온도에서 진행하였다. 그 이외의 시험방법은 KS F 2492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칸타브로 시험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골재탈리 현상에 밀접하게 관련있는 AP함량, 공극률에 대하여 조건을 변화 시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AP함량의 경우 OAC 및 OAC±0.5% 대해, 공극률의 경우 목표공극률 4%, 7%, 10%에 맞춰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결과 공극률 보다 AP함량이 골재 탈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 으며, 공극률의 경우 OAC-0.5% 경우에 대해서는 공극률이 탈리에 미치는 영향이 뚜렸했지만 OAC 및 OAC+0.5%의 경우 공극률 변화에 따른 탈리의 연관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1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umulation of more than 20,000,000 vehicl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economic development needs several parking lots and cause crack problem in Korea. Related structures in large cities due to the lack of parking garage attached to secure underground parking structures are actively being built, and the basement parking lot will continue to increase more stories and the trend is expected to be larger. But so far,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parking structure is related to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cracks in the stru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repair, reinforcement and a few non-economic losses in the current design criteria are presented. The review of the structure used to current design criteria is to minimize crack and maximize usability.
        4,000원
        15.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Rebar of SD500, SD600 is applied to the designed or constructed in domestic underground parking. Analyzed the variation of the rebar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rebar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change. Most of underground parking appear reduction of Rebar ratio. In this case, the load acting on the underground parking garage is large. So, Rebar placing is dominated by element's stress. Therefore, Large amounts material of slabs, beams and foundations are reduced. In case of columns and wall, Ratio of Material reduction is less than former. Because Splice and Anchorage of rebar amounts are increased and Hoop and horizontal rebar amounts are fixed. Percentage of rebar of the column and wall are 15%. So, Showed a less impact on the reduction of total material.
        4,000원
        1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법적으로도 조경 ․ 녹지 공간의 확보비율이 늘어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공해와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서비스 공간의 확보 차원에서 지상의 주차장들이 지하주차장으로 배치되기 시작했으며 점점 지하주차장의 의무비율이대되고 있다. 지하주차장의 면적이 증가하고 주차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늘어나면서 지하주차장 환경 정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실정이다.본 연구는 환경색채를 중심으로 실제 아파트단지의 현장조사를 통해 현재 지하주차장에 나타난 색채 분석을 통하여최근 지하주차장 색채 경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지하주차장 색채의 향방을 예측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지로는수도권에 위치하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건축된 지하 주차장 10개소를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의개념과 특성 그리고 색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아파트 지하주차장 사진을 픽셀화 시켜 RGB값을 추출하고 IRI이미지스케일을 사용하여 지하주차장의 색채를 분석하였다. 지하주차장의 색채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명도와 저채도의색채를 바닥면에 사용하여 차분하고 은은한 느낌을 주었고 바닥면보다는 높은 채도의 색채를 벽면에 사용하여 명시성을높였으며 고채도의 순색으로 벽에 포인트를 주어 명확한 구역표기와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도록 계획되었다. 전체적으로주차장의 색채를 보면, 과거의 어둡고 퇴폐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G계열, Y계열, RP계열의 색채로 계획되어져 밝고쾌적한 분위기로 연출해 안전한 아파트의 또 하나의 서비스 공간으로 정비되고 있다.
        4,000원
        1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주차장법상의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은 위락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단독주택, 공장 등 설치 대상 시설물을 9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 내 시설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설치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지자체는 필요에 따라서 지자체 조례로 시설물의 종류를 세분하거나 설치기준의 2분의 1의 범위(±50%) 안에서 이를 강화 또는 완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근 건축물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기능이 혼재되어 같은 그룹에 속하더라도 시설물에 따라 주차장설치기준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으나, 대부분 지자체의 경우 체계적이고 일관된 기준 없이 주차장법에서 제시된 시설분류기준에 강화된 획일적인 설치기준을 조례에 적용하고 있다. 특히, 산업단지 내 위치한 대규모 첨단제조시설의 경우 공정이 자동화되어 건물규모대비 근무인력이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별도의 세부적인 구분없이 기타시설 또는 공장시설로 분류되어 일반 제조공장과 동일한 일괄적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산업단지 내 공장시설에 대한 기존 주차원단위 산정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안으로 용도 및 규모특성을 고려한 부설주차장 설치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19.
        2008.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VOCs originating from vehicles were measured at 8 underground parking lots(two apartments, four department stores, and two large-scale marts) in Daejeon. The indoor air quality at underground parking lots of the department stores and marts was affected by the availability of the ventilation facility and their operation frequency. At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with a ventilation facility, the maximum VOCs concentration was 727㎍/㎥, and the minimum was 73.5㎍/㎥. The average concentration ratio of BTEX to TVOCs at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was almost constant, which was approximately 44.8%. TVOCs and BTEX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 of 0.88. The relative ratio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was 1 : 9.51 : 0.71 : 2.53, directl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vehicles sources.
        4,2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