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

        2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운전용 기능성 안경렌즈의 종류와 조도변화 따른 대비시력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안질환이나 전신질환 및 과거와 현재 병력이 없는 성인 남녀 30명 (25±2세)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렌즈는 굴절률이 1.60인 제작방식이 다른 기능성 운전용 렌즈인 황색 계열(A)렌즈, 코팅방식(B, C)렌즈 3종과 일반렌즈(N)렌즈 1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렌즈를 착용 상태에서 대비시력검사, 색각(배열)검사, 시력회복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에 사용된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비시력은 명소시 50%, 30%, 15% 그리고 암소시 100%, 30%, 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명소시 100%, 암소시 50%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비시력은 명소시 상태의 50%에서 코팅방식(C)렌즈(logMAR 0.003), 30%에서 코팅방식(B)렌즈 (logMAR 0.014), 15%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5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소시 상태의 대비 시력 100%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03), 50%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07), 30%에서 코팅방식(C)렌즈(logMAR 0.017), 15%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5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각 (배열)검사결과는 황색계열(A)렌즈에서 가로지르는 선의 개수 평균은 6.05±1.75개이었고, 일반렌즈(N)렌즈, 코팅방식(B)렌즈, 코팅방식(C)렌즈에서는 가로지르는 선은 0개 나타났다. 시력회복시간은 명소시에서 일반렌즈(N)렌즈 > 코팅방식(C)렌즈 > 코팅방식(B)렌즈 > 황색계열(A)렌즈, 암소시에서 일반렌즈(N)렌즈 > 코팅방식(C)렌즈 > 황색계열(A)렌즈 > 코팅방식(B)렌즈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운전용 안경렌즈와 일반 안경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비시력의 차이가 있었고 시력회복시간의 감소로 인해 시인성 향상이 나타났다. 색각검사에서 황색계열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색의 시인성이 매우 감 소함을 알 수 있었고, 시력회복시간도 렌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운전자의 환경과 렌즈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상황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렌즈를 선택한다면 운전시 시기능 저하로 인한 문제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강풍으로 인한 시설물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구조물 설계 시 설계풍속을 반영하고 있으며, 설계풍속 산정 시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연최대풍속 년도별 풍속 자료를 활용한다. 하지만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연최대풍속은 지형이나 지표면조도에 의해 할증되거나 감소된 관측풍속 중 최댓값을 제공하고 있어 실제 기본풍속 조건에서의 연최대풍속과는 상이하기 때문에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연최대풍속을 활용하여 통계적 빈도분석을 수행할 경우 풍속이 과소 또는 과대평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0 년치 이상의 관측자료가 있는 전국 60개 지점의 기상관측소의 일최대풍속을 지형 및 지표면 조도에 따라 기본풍속 조건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일최대풍속 중 연최대풍속을 선별하여 빈도분석을 통해 재현기간 풍속을 산정하였으며, 보정하기 전의 일최대풍속을 이용하여 연최대풍속을 선별한뒤 선별된 연최대풍속을 보정하여 산정된 재현기간풍속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00년 재현기간 풍속 기준으로 최대 4.2m/s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약 0.33m/s의 차이를 보였다.
        4,000원
        2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current practice in car headlight vis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is based on the luminous intensity and illuminance of headlight. Such practice can be inappropriate from a visibility point of view where visibility indicates abilities to perceive an object ahead on the road.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current headlight evaluation methodMETHODS: This study measured the luminance of object and road surface at unlit roadways. The variables were measured by vehicle type and by headlight lamp type. Based on the measurements, the distance where drivers can perceive an object ahead was calculated and then compared against such distance obtained by conventional vis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RESULTS: The evaluation method based on illuminance of headlight is not appropriate when viewed from the visibility concept that is based on object-perceivable distance. Further, the results indicated a shorter object-perceiving distance even when road surface luminance is higher, thereby suggesting that illuminance of headlight and luminance of road surface are not the representative indices of nighttime visibility.CONCLUSIONS : Considering that this study utilized limited vehicle types and that road surface (background) luminance can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ven road surface, it would likely go too far to argue that this study’s vis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can get generalized to other conditions. Regardless,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on which is based on illuminance, is unreasonable. There should be future endeavors on the current subject which will need to explore study conditions further, under which more experiments should be conducted and effective methodologies developed for evaluating automotive headlight visibility performance. Needs are recognized particularly in the development of headlight vis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which will take into account road surface (background) luminance and luminance contrast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the former indicates the driver’s perception of the front road alignment and the latter being indicative of object perception performance.
        4,000원
        2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시력교정술 후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조도 환경에 따른 동공크기 및 시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28안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26안에 두 종류의 무도수의 써클 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동공크기 및 시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Control group)은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전 밝은 상태에서의 Log MAR시 력은 렌즈 A를 착용 하였을 때 보다 감소하였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은 군에서의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전 Log MAR시력은 착용 후 밝은 상태에서 렌즈 A, B를 착용하였을 때 보다 높게 나타났다. 렌즈 B를 착용 하 였을 때의 Log MAR시력이 렌즈 A를 착용 하였을 때 보다 낮게 나타났다. 밝은 상태에서 대비감도 3, 6 cpd의 공간주파수에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써클 콘택트렌즈 A를 착용하였을 경우 시력교정 술을 받은 군의 대비감도가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의 대비감도 보다 낮게 측정되 었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이 시력교정술을 받은 군 보다 밝은, 어두운 상태에 서의 대비감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시력교정술을 받은 사람이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대비감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니 이에 대한 이해 및 착용자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6.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주변 조도 변화에 따른 일반 안경렌즈와 운전용 기능성 안경렌즈의 대비시력을 측정하여 운전자의 시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전신질환 및 안질환 등의 과거와 현재 병력이 없고, 안과 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양안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평균연령 25±2세 3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주변 조도 변화에 따른 대비시력검사는 완전교정 상태에서 주변 조도를 200, 350, 500, 700 lux로 하여, 각각의 조도에 따라 대비 시력표의 100, 50, 30, 15%에서 기능성 운전용 렌즈(A렌즈, B렌즈, C렌즈) 3종과 일반렌즈(N렌즈) 1종을 가입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환경에서 각각의 기능성렌즈 착용 전후 만족도를 대면설문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는 SPSS(Ver 22.0 for Windows, SPSS Inc, USA)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석 (One-way ANOV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신뢰도 95%를 기준으로 p<0.05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기능성 운전용 렌즈(A렌즈, B렌즈, C렌즈) 3종과 일반렌즈(N렌즈) 1종의 대비시력은 200lux 100%, 50%, 30% contrast 에서 A렌즈가 가장 높았고, 350lux 50%, 30% contrast에 서는 B렌즈, 15% contrast에서는 C렌즈가 가장 높았다. 500lux 100%, 30% contrast에서는 C 렌즈, 50%, 15% contrast 에서는 B렌즈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700lux 100% contrast에서 C 렌즈, 50%, 30%, 15% contrast에서 B렌즈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명도에 대한 대면설문 만족도 결과는 B렌즈 > C렌즈 > A렌즈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운전용 안경렌즈의 주변 조도 변화에 따른 대비시력은 일반 렌즈에 비해 향상 되었으나, A렌즈의 경우 주변 조도가 높아질수록 일반 렌즈 보다 시력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운전용 안경렌즈 처방 시 렌즈의 특성을 잘 이해하여 맞춤 처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7.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근시안에서 조도 변화에 따른 동공크기와 동공 중심점 변화를 관찰하고, 동공크기 변화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각막굴절교정술을 경험한 적이 없고 안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20명(평균 연령 23.90 ± 2.28 세, 평균 등가구면굴절력 –3.09 ± 2.84 D, 4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실 조도는 100 lux 상태에서 동공 크기와 동공중심 이동은 Wavefront Analyzer(KR-1W, Topcon, Japan)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기기에서 조정되는 암소시(scotopic condition), 명소시(photopic condition) 상태에서 각각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SPSS(versio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도와 굴절이상도(근시도)에 따른 동공크기와 동공중심 이동량을 비교하고,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조도에 따라 동공크기는 명소시 상태에서 4.64±0.73 mm, 암소시 상태에서 6.55±0.67 mm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근시도에 따른 동공크기는 암소시 상태에서는 근시도에 따라 상관성이 없었지만(p=0.063), 명소시 상태에서는 근시도가 증가할수록 동공크기는 유의 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3). 동공중심 이탈 정도는 명소시 상태에서 0.34±0.18 mm, 암소시 상태에서 0.28±0.15 mm로 조도가 높으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7). 근시도에 따른 동공중심 이탈 정도는 암소시 상태에서는 근시도에 따라 상관성이 없었지만(p=0.108), 명소시 상태에서는 근시도가 증가할수록 동공중심 이탈 정도는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1 r=-0.367).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된(명소시 상태에서 0.20 mm 이상, 암소시 상태에서 0.07 mm 이상) 동공 중심이 이탈된 대상자는 각각 75%, 90%로 나타났으며, 이탈 방향은 귀 쪽이 대상자의 60%, 코 쪽이 40%, 위쪽이 68.75% 아래쪽이 31.25%로 귀쪽 과 위쪽으로 이탈된 경우가 많았다. 결론: 조도가 높아질수록, 동공크기는 유의하게 감소하며, 동공 중심 이탈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동공크기 변화에 따라 동공중심 이탈 정도가 변할 수 있으므로, 동공의존성 구조를 갖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 동공중심 이동에 따른 시력의 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8.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조도 변화에 의한 조절력과 양성융합버전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는 남녀 24.51(±2.82)세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도 환경은 조 도계((LX-101, Lutron, USA)와 조광기를 이용하여 10 lux에서 1000 lux까지 조도를 변경시켜가면서 조절 력과 원·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를 측정하였다. 결 과: 조절력은 10 lux 조도에서 8.51 D로 가장 낮았으며, 800 lux에서 9.12 D로 가장 높았고, 조도가 증가될수록 조절력도 증가하다가 유지되는 지수함수식(y=9.09-0.62e- )이 나타났다. 원거리 양성융합 버전스의 분리점은 10 lux에서 20.81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도가 증가되면서 점차 감소하다가 변 화가 적어지는 지수함수식(y=17.08+4.66e- )이 나타났다.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의 분리점도 낮은 조 도인 10 lux에서 21.42 △으로 가장 높았으나 조도가 증가하면서 감소하다가 변화가 적어지는 지수함수식 (y=20.93+0.63e- )이 나타났다. 결 론: 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력은 증가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는 낮은 조도에서는 증가하며, 점차 조도가 증가되면서 감소하다가 변화가 적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4,000원
        29.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스플레이 주변의 조도 환경 변화에 따라 인지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달라지게 된다. 특히, 높은 조도 환경 에서는 영상의 인지 contrast가 저하되고, 어두운 영역의 detail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조 도에서 인지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두운 영역의 detail 보상을 고려한 contrast 개선 알고리즘을 제 안한다. 영상의 contrast 개선을 위해 TMF(Tone Mapping Function)를 사용하며, TMF는 영상 특성 및 주변 조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도출된다. 제안하는 contrast 개선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원본, 제안하는 방법과 기존 방법의 결과들을 대상으로 성능 비교를 위한 시각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한 영상의 시인성이 원 본 및 기존 방법에 비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4,300원
        3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서울 도심 내 야간 인공 조명의 조도에 따라 수목 개화율과 잎 생장률이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기 위한 사례 연구로 수행되었다. 조도는 총 26개소에서 78개 지점에서 측정하였고, 조도와 토지이용현황을 고려하여 3개 그룹으로 구분하였으며, 그룹 A(조사구 1~7)의 조도 범위는 4.90~112.50 lx, 그룹 B(조사구 8~18)의 조도 범위는 0.45~42.40 lx, 그룹 C(조사구 19~26)의 조도 범위는 0.28~22.10 lx이었다. 조도 차이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그룹 A, B, C로 분류되었다. 수목 개화율은 왕벚나무와 철쭉류 각 30개체, 수목 잎 생장률은 느티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각 30개체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수종별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연구대상 수목 중에서 개화율은 철쭉류, 잎 생장률은 단풍나무가 세 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어 상대적으로 조도 차이에 따른 수목 영향 지표종으로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룹별 평균 조도와 수목의 개화율 및 잎 생장률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유의성이 인정되어 조도가 높을수록 수목의 개화 및 잎 생장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에는 야간 조명의 빛공해 수준별로 수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500원
        3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three-dimensional underwater irradiance using an optical simulation software and to clarify the propriety and operation method under considering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uring lamp and penetrability in the seawater, when we use the light diffuser type 300W high powered LED and the metal halide lamp (MHL) on a coastal squid jigging vessel in the 10-ton class, simultaneously. For their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wavelength in relation to the sea, LED lamp was to be effective in the 1.9-fold at 50 m depth and 2.1-fold at 80 m for underwater irradiance more than MHL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the underwater irradiance distribution using the LED and MHL combination was rather increased even when reducing total power usage up to 20% depending on the simulation with changing the configuration and lighting angle of the lamp.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an evaluation method of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LED lamp according to adjusting its arrangement and lighting angle.
        4,000원
        32.
        201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erformed the quantitative analysis using MATLAB for slice thickness, spatial resolution, and low contrast resolution with the 50 received images which have suitable judgement by scanning AAPM phantom using GE, PHILIPS, SIEMENS, and TOSHIBA. Slice thickness and spatial resolution were measured by using full width at half maximum(below FWHM). Spatial resolution was confirmed that FWHM interval more than 1.0 mm size. Low contrast resolution was measured that how close by using Roundness Index(below RI) until 6.4 mm size. The spatial resolution 9 images and low contrast resolution 10 images which have disapproved judgement were also had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statistic analysis was judg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p-value is less than 0.05 through SPSS statistics 19.0 and T-test (paired t-test). For slice thickness 5 mm, the average qualitative evaluation group shows 4.98 mm and quantitative evaluation group shows 5.02. For slice thickness 10 mm, the average qualitative evaluation group shows 9.98 mm and quantitative evaluation group shows 9.86.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7, p=0.06) with 5 mm and 10 mm. It confirmed the interval for all FWHM until 1.75, 1.50, 1.25, 1.00 mm as approved images on spatial resolution ,and the average distance was 0.102 mm and the minimum distance 0.054 mm. For disapproved images, all interval was not showed under 1.00 mm. For low contrast resolution, spproved image’s RI value shows average 0.81 and minimum 0.77. The disapproved image’s RI average shows 0.70.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ed (all p<0.05) following hole size.
        4,500원
        3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조명의 조도와 색온도에 따른 눈의 입체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성인 남녀 29명을 대상으로 100, 500, 1,000l ux의 조도에서 색온도에 따른 입체시의 변화를 측 정하였다. 각각의 조도에서 사용된 색온도는 3,000, 5,600, 7,500, 11,000 K이었으며, Randot 입체시 검사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실험에 사용된 모든 색온도에서 500 lux까지 조도의 증가 시 입체시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p=0.001), 실험에 사용된 모든 조도에서 색온도 3,000 K의 입체시가 가장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41). 결 론: 조명의 조도와 색온도에 따라 입체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익한 조명환경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4,000원
        3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내 온열환경 및 조도에서 재실자가 느끼는 조명에 대한 감성의 변화와 작업의 종류에 따라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업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 온열환경은 PMV(predicted mean vote) 지표 값을 기반으로 환경을 구성하였고, 조명환경은 LED광원을 이용한 스탠드를 통해 조명의 밝기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실내 환경을 구성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어진 환경에서 설문지를 통해 조명에 대한 감성을 평가하고 종류가 다른 오류검색수정 작업을 진행하면서 뇌파와 심전도를 측정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작업의 종류에 대한 모든 생체신호는 온열환경의 변화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MV 지표 값이 0.8(온도: 25 ℃, 습도: 50 %)일 경우 집중력 및 주의력이 가장 활성화 되었다. 하지만, 조도의 변화에 는 대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재실자의 업무 능력에 미치는 집중력은 온열환경과 밀접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명에 대한 주관적인 감성은 조도가 낮을수록 편안함을 느꼈으며, 조도가 높을수록 불편함을 느꼈다. 하지만 온열환경의 변화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300원
        3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 아이폰의 국내 출시 이후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여 기존에 다양한 장비로 수행되어 오던 작 업이 스마트폰으로 대체되었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을 통하여 글자를 읽는 과제를 수행하는 비중 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인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요인(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과 환경 요인(조명 조도)이 글자를 읽을 때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화소 밀집도로, 화소 밀집도가 300 PPI 미만인 경우 글자를 읽는데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명 조도는 제한적인 영향을 보였다. 참가자들은 조명 조도가 변화 할 때 변화하지 않을 때 보다 더 큰 가독성 관련 불편감을 보고하였다. 화소 하부구조와 밝기는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가독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에서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해상도의 하한선을 제안하였다.
        4,300원
        3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PMV 온열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LED광원의 조도가 시작업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오류검색수정작업 평가지를 개발하였고, 오류검색수정작업의 정확도 및 소요시간을 분석하였다. 또한 작업을 진행하면서 느끼는 시각피로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주관적인 평가도 병행하였다. 본 실험의 PMV 온열환경 은 온도 17±1∼29±1 ℃, 습도 50±5∼60±5 % 의 범위에서 PMV 값에 따라 4가지 형태를 구성하였으며, LED광원 의 조도는 400lx, 700lx, 1000lx의 3가지 형태로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오류검색수정작업의 정확도(LED p 값=0.058, PMV*LED p값=0.083) 및 소요시간(LED p값=0.004, PMV p값=0.000)은 PMV 온열환경과 LED광원의 조 도 변화에 모두 유의하였으나, 피로도는 PMV 온열환경(p값=0.003)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000원
        37.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조명의 조도와 색온도에 따른 저대비시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 ~ 42세의 성인 남녀 21명을 대상으로 100, 500, 1000 lux의 조도에서 색온도에 따 른 저대비 양안시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조도에서 사용된 색온도는 3,000, 5,600, 7,500, 11,000 [K] 이었으며, Richmond Products社의 ETDRS Format Letters 2.5% 근거리 대비감 도 시표를 이용하였다. 조도와 색온도의 조절은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실험실에서 제작한 LED스탠드를 사용하였다. 결과: 실험에 사용된 모든 색온도에서 저대비시력은 조도의 세기가 클수록 높게 측정되었으며 (p<0.05), 색온도에 따른 저대비시력은 모든 조도에서 7,500 [K]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3,000 [K] 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p<0.05). 결론: 조명의 조도와 색온도에 따라 저대비시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대비시력의 향상은 조명의 조도와 색온도에 따라 분광시감효율이 변하기 때문이며, 대비감도 가 부족한 저시력 환자의 조명을 선택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38.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검사실 조도를 달리할 때 발생하는 난시 교정굴절력과 축의 변화를 각막 지형도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방법 : 특별한 안질환 및 시기능이상이 없고,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평균연령 21.67±1.36 세의 5명(남자2명, 여자3명) 1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눈의 최대교정 시력은 1.0~1.2 사이 였다. 검사 전 실내조도를 각각 0lux 로 하여 10분 760lux 로 하여 5분간 암순응 및 명순응 후 자각 적 굴절검사에 의한 완전교정을 시행하였고 동공크기 측정은 대광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해 플 래쉬에 적색필터를 부착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0lux와 760lux에서 아래 눈꺼풀에 1mm 눈금자 를 댄 후 각각의 동공을 촬영을 마친 뒤 각막지형을 촬영 하였다. 결과 : 일부 피검사자를 제외한 나머지 피검사자에서 조도 변화 에 따른 동공크기 변화로 인 한 난시 교정축 변화를 보였다. 10° 이상 이탈은 1명, 10° 이탈은 4명, 5° 이탈은 4명,이탈이 없는 경우는 1명 이 나타냈다. 결론 : 검사실 조도 변화에 따른 동공크기 변화로 인하여 난시 교정축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39.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조도의 변화에 따른 조절력과 폭주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자로서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 상자 중 굴절이상 수술 또는 사시수술 경력이 있는 자는 제외하였으며 원거리와 근거리 교정 시력이 1.0 이상인 성인 49명(24.51±2.82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실의 환경은 외부로 부터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조도를 측정하기 위해 조도계(LX-101, Lutron, USA) 를 사용하였다. 시표는 자체 조명이 내장되어 있어 밝기가 조정 가능한 시표로서 란돌트환으로 구성되어 있고 로그마 시력을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검사는 10 Lux, 50 Lux, 200 Lux, 500 Lux, 800 Lux, 1000 Lux 상태에서 각각 마이너스렌즈 부가법에 의한 조절력과 로터리프리즘 을 이용한 원거리와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를 측정하였다. 결과: 조도에 따른 조절력은 10 Lux, 50 Lux, 200 Lux, 500 Lux, 800 Lux, 1000 Lux 조도 하에서 각각 8.51D, 8.72D, 8.96D, 9.10D, 9.12D, 9.05D이었다. 각각 조도 하의 조절력과 10 Lux 하에서의 조절력 간 대응비교검정을 실시한 결과 조도가 낮은 10 Lux 상태에서 조절력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조도와 조절력에 대한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Y=8.71+0.12X의 회귀식이 성립되 었다(r=0.80, p=0.049). 지수감소 회귀(exponential decay fit)분석 결과 최초 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력도 급격히 증가하다가 조도가 높아질수록 조절력의 변화가 적어지면서 안정되는 양상을 보였고, y=9.09-0.62e-   의 지수함수식이 성립되었다. 실험값의 분포도는 99% 일치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신뢰할 수 있었다(x2=0.002, r2=0.985).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의 분리점은 10 Lux, 50 Lux, 200 Lux, 500 Lux, 800 Lux, 1000 Lux 조도 하에서 각각 20.81△과 18.54△, 17.40△, 16.98△, 17.02△, 17.01△이었다(Table 12). 각각 조도 하의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의 분리점과 10 Lux 하에서의 분리점 간 대응비교검정 을 실시한 결과 조도가 낮은 10 Lux 상태에서 원거리 양성융합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조도와 원거리 융합력에 대한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분석은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다(r=-0.72, p=0.11). 그러나 지수감소 회귀(exponential decay fit)분석 결 과, 최초 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다가 조도가 높아질수록 융합력의 변화가 적어지 면서 안정되는 양상을 보였고, y=17.08+4.66e-   의 지수함수식이 성립되었다. 실험값의 분 포도는 99% 일치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신뢰 할 수 있었다(x2=0.03, r2=0.99).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의 분리점은 10 Lux와 50 Lux, 200 Lux, 500 Lux, 800 Lux, 1000 Lux 조도 하에서 각각 21.42△과 21.11△, 20.93△, 20.95△, 20.89△, 20.97△이었다(Table 12). 각각 조도 하의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의 분리점과 10Lux 하에서의 분리점 간 대응비교 검정을 실시한 결과 조도가 낮은 10Lux 상태에서 근거리 양성융합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p<0.05). 조도와 근거리 융합력에 대한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분석은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r=-0.65, p=0.17). 그러나 지수감소 회귀(exponential decay fit)분 석 결과, 최초 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다가 조도가 높아질수록 융합력의 변화가 적어지면서 안정되는 양상을 보였고, y=20.93+0.63e-   의 지수함수식이 성립되었다. 실험값 의 분포도는 98% 일치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신뢰할 수 있었다(x2=0.00, r2=0.98). 결론: 10 Lux로부터 조도가 증가할수록 조절력은 급격히 증가하다가 안정화되며, 10 Lux를 제 외한 조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0 Lux 상태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양성융 합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0.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have taken LED lamps which are widely used recently, applied it to training ship's cabin and lounge, cafeteria, engine control room and analyzed the power consumption and illumination with existing fluorescent. Replacing 40W, 20W of fluorescents with 22W, 11W of same number of LED lamps, It showed 45% of power consumption savings and resulted to more than 20% of illumination improvement. If applied to all areas of the ship, It would surely contribute to great amount of energy savings and illumination improvement.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