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

        12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d seed storage protei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related to the eating quality of japonica and tongil-type rice varieties.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by a trained panel to assess the appearance (color and glossiness), flavor, taste, stickiness, texture, and overall score of nine japonica and three tongil-type rice cultivars. Moreover, the pattern of variation in rice storage proteins was examined by electrophoresis of protein extracts. The electrophoretic pattern of rice proteins showed 16.4 kDa albumin, 26.4 kDa globulin, 34-39 kDa and 21-22 kDa glutelin, and 14.3 kDa prolamin. In terms of storage protein, the varietal differences between japonica and tongil-type rice were found in albumin, globulin, and the α-1, and α-2 sub-units of acidic glutelin. Furthermore, the overall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observ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bumin (0.495 ** ) and globulin (0.567 ** ),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α-1 glutelin (-0.612 ** ).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bumin, globulin, and α-1 glutelin can affect the eating quality of japonica and tongil-type rice varieties, with the latter having lower eating quality than the former.
        122.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불교수용에 따른 토속신앙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에 의 해 연구되어 왔지만, 山寺의 확산으로 인한 보살주처신앙의 성립 및 그 연관성 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국시대 산지 사찰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토속적 산신신앙과의 갈등 및 극복, 그 리고 통일 이후 화엄 신앙의 정착과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보살주처신앙이 우리 나라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불교 전래 이후 불교신앙이 대중화됨에 따라 왕경 근처의 평지에 사 찰이 세워졌을 뿐만 아니라 山地에도 사찰이 건립되었고, 이 현상은 지방으로 까지 번져갔다. 그 과정에서 山寺의 승려와 토속의 산신 숭배자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다. 갈등의 양상은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대체로 불교신앙이 산신신앙을 압도하였고, 산은 불교신앙 공간으로 탈바꿈해갔다. 통일 이후에도 왕실에 의한 山神祭는 계속되었고, 전국의 名山을 三山‧五岳‧二十四山으로 나누어 大祀‧中祀‧小祀를 지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제사가 불 교신앙을 약화시키지는 못했다. 오히려 그 名山에 사찰을 세움으로써 불교의 기도처를 전국에 확대하였다. 이는 왕경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던 신라불국토 의 염원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것이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중국으로부터 전래 된 화엄신앙의 한 형태인 보살주처신앙을 수용하여 우리나라의 오대산, 천관산, 낙산 등에 보살이 상주한다는 믿음이 생겨났다. 이는 불국토를 실현하고자 했던 신라인의 염원이 발현된 것이기도 했다. 그리 고 그러한 염원이 더욱 확대되면서 산에는 磨崖佛이 새겨지고 새로운 불교설화 가 만들어졌으며, 더 많은 산에 사찰들이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세월 이 흐르면서 산 이름이 사찰명으로 변화되기도 하고 사찰명이 산 이름으로 바 뀌기도 하면서 산에 불교적 신비성이 가미되어왔다.
        123.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창작 실제와 분석 영역에서 음악 작품의 통일성과 응집력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여겨지는 모티브에 대한 이해와 특히 분석에서 작품의 응집력을 판단하는 잣대로 사용되는 모티브의 실체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모티브에 대한 쉔커의 입장 변화를 역사적 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해 그의 초기 견해와 후기 견해를 쇤베르크와 비판적으로 고찰하 였다. 이 과정에서 쉔커의 모티브에 대한 독특한 개념을 버크하르트, 콘, 캐드왤래더와 패스 틸, 그리고 모레노의 구조적 유사성과 자유 유사성의 개념에 기대어 설명하였다. 또한 쇤베 르크의 모티브를 모레노가 말하는 지시적 모티브와 비교함으로써 모티브 분석의 가능성을 넓히고자 하였다. 쉔커식 이론의 모티브와 쇤베르크의 모티브분석 실제에서 종합되어 다양 한 분석 결과물들을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면서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 K. 488, 제2악장과 베토벤 피아노소나타 Op. 2/1의 제1악장에 나타나는 모티브적 포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124.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T. S. 엘리엇이 유기적 공동체와 유럽 문화의 통일성에 대 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었는지에 대하여 문학적이며 문화적인 의미와 의의를 검토한다. 그의 유기적 공동체에 대한 모델은 17세기 이전의 농 업 또는 기독교 사회에만 기초한다기보다는, 동시대의 산업 사회, 특히 현대 유럽 사회에 기초한다. 1922년부터 1939년까지 발간된 크라이티 어리언을 통해, 엘리엇은 유럽이란 아이디어와 유럽 문화의 통일성을 동시대의 유기적 공동체가 실현될 수 있는 모델이라고 지속적이며 다양 하게 주장하였다. 그는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이었던 민족, 국민, 종교 라는 개념을 넘어서서 공통된 유럽의 전통에 근거한 유럽 문화의 통일 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을 폴 발레리, 후고 폰 호프만스탈, 오르테가 이 가셋과 같은 당대의 유럽의 지식인들과 공유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 공통된 문화유산으로 통일된 문화를 가진 유럽 공동체를 재건하는데 많 은 노력을 기울였다.
        12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통일 후 북한의 사회기반시설의 건설이 필수적임에 따라 수자원개발사업의 기초자 료를 구축하기 위해 북한의 수자원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북한의 수자원 개발계획은 국토계획에 포함되어 ‘자연개조사업’으로 규정하여 수립하고 있다. 개발 계획 시 물의 종합적 이용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저수지를 건설해 물을 저장하고 그 저수지를 양어사업에 사용하고 또한 전력까지 생산하는 종합적 이용을 하고 자 한다. 남한의 기상청과 같은 기상수문국을 설치하여 기상관측 및 유량 관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기상관측의 경우 분석기술 및 기기장비들이 현대화, 과학화가 되지못한 실정이다. 또한 북한에서는 유량관측에 대한 자료는 공개되어 있지 않고 하천법에 기상수문국이 하천의 흐름량과 장마철 홍수관리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의 연평균 강수량은 919.7mm이며, 남한의 연평균 강수량 1307.7mm의 70.3% 수준이며, 북한의 강우관측소 27개 지점을 티센법을 적용해 압록강, 두만강, 대동강 등 총 8개의 유역에 대해 유역별 월평균 및 연평균 강수량을 산정하였다. 북한의 수자원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통일 후 북한의 수자원 개발사업을 위해서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역의 수자원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비 및 이.치수 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12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모1036’은 떡, 면류 등 쌀을 이용한 가공용에 적합한 통일형 다수성 품종이다. 2002년 하계에 수량이 높고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밀양181호를 모본으로, 천립중이 크고 단간 다수성인 다산벼와 YR22838(다산벼/YR22838(IR66738/ 가야벼//IR66738/가야벼)의 F1을 부본으로 이용하여 인공교배를 실시하였다. 2003년 하계에 F1을 양성하였고, 2005년도 F3세대부터 2008년도 F6세대까지 계통육종법으로 고정된 계통을 육성하여 수량성이 우수한 YR24230- 27-2-1-1 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후 2009년 하계에 예비선발시험,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간 생산력 검정시험 을 수행한 후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마치고 2013년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다수성 및 가 공이용성 등의 우수성이 인정되어 ‘중모1036’으로 명명되었다.
        127.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모1028’은 쌀가루를 이용하는 가공식품의 원료곡 사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통일형 다수성 품종이다. 2002년 하계에 재배안정성이 우수하고 수량성이 높은 한아름벼를 모본으로, 천립중이 크고 단간 다수성인 다산벼와 YR22841(YR18241-B-B-47-1/YR18241-B-B-210-1)의 F1을 부본으로 이용하여 인공교배를 실시하였다. 2003년 하계에 F1을 양성하였고, 2005년도 F3세대부터 2007년도 F5세대까지 계통육종법으로 고정된 계통을 육성하여 우량한 YR24232-16-1-1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후 2008년 하계에 예비선발시험,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한 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마치고 2012년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우수성이 인정되어 ‘중모1028’로 명명되었다.
        128.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다수성이며 복합내병성인 고품질 통일형 벼를 육성하고자 복합내병성이며 수량성이 높은 ‘밀양160호’(‘아름벼’)와 준조생이며 내만식성이 높고 복합내병성 다수성 품종인 ‘용주벼’(‘수원333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하여 ‘세계진미’를 육성하였다. ‘세계진미’의 출수기는 평야지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8월 17일로 중만생종이며, 간장은 82 cm로 ‘다산벼’보다 약간 크고 수당립수는 ‘다산벼’보다 적은 편이며 현미 천립중은 22.2 g으로 ‘다산벼’와 비슷하였다. ‘세계진미’는 불시출수, 수발아 및 포장도복은 없었으며, ‘다산벼’에 비해 내냉성은 약한 편이다. ‘세계진미’는 잎도열병, 목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 및 흰잎마름병(K1, K2, K3, K3a)에 강하고, 검은줄오갈병에는 중정도의 저항성을 보였으나 벼멸구에는 감수성이다. ‘세계진미’의 단백질함량은 7.9%로 ‘다산벼’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나, 아밀로스함량은 17.2%로 ‘다산벼’와 비슷하였다. 특히 ‘세계진미’의 물리성과 밥맛 관능검정결과 일반벼인 ‘추청벼’ 수준 이상의 양호한 취반특성을 보였다. ‘세계진미’의 쌀수량성은 2006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다비재배(6개소)에서 7.01 MT/ha로 ‘다산벼’ 대비 8% 증수 되었다. ‘세계진미’의 적응지역은 중부 및 영호남 평야지이다.
        129.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RRI에서 모든 품종의 간장은 한국보다 10.5~23.9cm 작았다. 삼강벼와 세계진미는 한국보다 약 24cm정도 작아 간장의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밀양23호는 간장의 감소폭이 약 10.5cm로 가장 작았다. 이삭길이는 IRRI가 19.6~23.8cm, 한국이 22.4~26.7cm로 IRRI에서 1.4~5.0cm 가량 짧았다. 다산벼는 한국보다 5cm가량 짧아져 감소폭이 가장 컸고, 한아름벼와 밀양240호의 감소폭은 1.5cm로 작았다. 주당수수는 한아름벼, 밀양23호, IR64가 IRRI에서 각각 3개, 2개, 6개 정도 증가하였다. IR64는 IRRI와 한국에서 지역별 간장, 수장, 주당수수의 차이는 있었으나, 각 지역에서 간장과 수장이 가장 크고 주당수수도 가장 많았다. 파종 후 이삭이 80% 나올 때까지 기간(Flowering)은 IRRI에서 74~81일, 한국에서 110~119일로 IRRI가 한국보다 34~40일 짧았다. IR64는 IRRI와 한국에서 Flowering이 각각 81일과 119일로 가장 길었고, 밀양23호는 각각 80일과 114일로 다른 한국품종보다 Flowering이 길었다. 한국품종들은 IRRI에서 한국보다 수량이 1.53~5.35t/ha 감소하였고, IR64는 0.82t/ha 증가하였다. IRRI에서 수량의 감소율은 한아름벼가 54.8%로 가장 높았고, IR64는 14%로 가장 낮았다. 밀양23호는 한국품종 중에서 수량 감소율이 18.1%로 가장 낮았다. IRRI에서 수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밀양23호(6.95t/ha)였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다산벼(4.41t/ha)였다. IRRI에서 주당수수는 수량과 유의한 정의상관(r=0.69, p<0.05)을 나타냈다. 한국에서는 출수기는 수량과 유의한 부의상관(r=-0.57, p<0.05)을 보였으며, 등숙률은 수량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상관(r=0.70, p<0.01)이 있었다.
        13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0년대 후반 국내 쌀 소비량의 지속적인 감소와 MMA물량으로 인한 국내 양곡 재고부담이 가중되면서 쌀가공품에대한 관심과 함께 원료곡의 원가절감 대안으로 초다수성 품종이 재조명을 받게 되었다. 따라서 가공용으로 사용되는 원료곡의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복합내병성이며 수량성이 높은 ‘한아름2’를 육성 하였다. ‘한아름2’의 출수기는 평야지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8월 14일로 중생종이며, 간장은 76㎝로 ‘다산벼’보다 약간 크고 수당립수는 ‘다산벼’보다 약간적은 편이나 등숙률이 85.7%로 높고 현미천립중은 23.0g으로 비슷하다. ‘한아름2’의 불시출수와 수발아 및 포장도복은없었으며, 내냉성은 약한 편이다. 잎도열병, 목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 및 흰잎마름병(K1, K2, K3, K3a)에 강하고,검은줄오갈병에는 중정도의 저항성을 보였고 벼멸구에는 감수성이다. 쌀알은 맑고 심백이 약간 있으며 단백질함량은 8.2%로 ‘다산벼’보다 높았으나 아밀로스함량은 17.5%로 ‘다산벼’보다 낮았다. ‘한아름2’의 쌀수량성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보통기 다비재배(6개소)에서 7.58MT/ha로 ‘다산벼’대비 13% 증수되었다. ‘한아름2’는 중부 및 영호남 평야지가 적응지역이다.
        131.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대 웨딩화훼장식의 통일성(Unity)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통일성 표현기법의 개념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일반인 집단에서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로 전문가 그룹이 통일성의 개념에 대하여 화훼장식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의 인식에 대한 집단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 화훼장식의 표현기법에 있어서 통일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는 전문가 그룹이 일반인 그룹 보다 더 높았다. 통일성 표현기법을 사용한 웨딩화훼장식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화훼장식가와 일반인 모두 통일성 표현기법의 웨딩화훼장식을 선택하였다. 오브제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오브제를 전체 웨딩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브제 통일이 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이룬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였고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는 이유가 였고 유행하는 스타일로 나타났다. 색채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91%(143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9%(14명)로 나타났고 색채를 통일시킨 것을 선택한 이유로는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 고급스럽고 세련된, 유행하는 스타일 순으로 나타났다. 화훼소재의 통일성을 이룬 사진을 선택한 그룹은 83%(130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17%(27명)로 나타났으며 화훼소재를 전체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132.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통일교육은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는 통일교육이 도덕과 내용으로서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나, 도덕과 교사의 실천적 정체성이 부족한 탓에서 기인한 면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Wenger의 실천공동체(CoP) 이론을 통해 그 해결점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기존의 실천공동체 이론에서 핵심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개념에서 탈피하여, ‘의미’라는 새로운 개념의 측면에서 통일교육을 바라보았다. 이를 통해 진정한 통일교육의 의미를 재탐색하고, 도덕과 교사의 정체성을 논해 보았다. 결국 도덕과의 내용 요소로서 통일교육이 진정한 교육적 의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천적 정체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실천공동체 이론은 그 중 도덕과 교사 조직 및 교육 기획 프레임 구성에 있어 유의미한 방향을 제공해 준다. 즉, 조직 기획 면에서 교사들이 통일교육과 관련된 학습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공동체의 역량을 높이는 것이고, 교육 기획 면에서 내용 전달보다는 학생들 사이에서 학습공동체가 형성되고 활성화되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13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강찰 1호'는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2006년도에 육성한 중생 복합내병충성 통일형 찰벼 품종으로 그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중부평야지 및 영 호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3일로 신선찰벼 보다 3일 늦은 중생종이다 2. '한강찰 1호'의 주당수수는 10개, 수당립수는 156개의 수중형이고, 등숙비율은 85%, 현미 천립중은 21.2 g이다. 3. 성숙기의 엽노화는 중간 정도이며 못자리일수 50일묘 이앙 시에 불시출수가
        13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나의 신제품이 시장에 나오려면 많은 시간과 개발비용, 광고 및 판촉비용 등이 든다. 하지만 그러한 노력 끝에 나오게 된 신제품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은 10~20%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에서는 브랜드확장을 통해 신제품을 출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브랜드확장이란 소비자들의 기존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및 지식, 선호도 등을 확장브랜드에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Kimani, Sood, and Bridge, 1999). 샴푸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 무수히 많은 제품이 존재하며 브랜드확장을 통해 제품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에 샴푸의 브랜드확장 시 모브랜드와 확장브랜드간의 패키지디자인의 여러 그래픽적 요소들인 네이밍(naming), 브랜드로고(brand logo), 색채(color system), 캐릭터(character),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레이아웃(layout),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의 등도 브랜드를 인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그래픽적인 요소들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용기의 형태 또한 브랜드를 인지할 수 있다고 보고, 용기라는 것이 단순히 무엇을 담는다는 의미에서 확장되어 브랜드를 인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135.
        2011.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 웨딩화훼장식의 통일성(Unity)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통일성 표현기법의 개념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화훼장식 전문가 그룹이 통일성의 개념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 화훼장식의 표현기법에 있어서 통일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에 있어서도 전문가 그룹이 일반인 그룹 보다 더 높았으며 통일성 표현기법을 사용한 웨딩화훼장식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화훼장식가와 일반인 모두 통일성 표현기법의 웨딩화훼장식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대 웨딩홀화훼장식에 있어서 통일성 표현기법은 점점 더 트렌드화가 되고 있으며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에게 선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3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거 국내 통일형 품종들은 일반계인 밥쌀용 품종들보다 수량은 높았지만 밥맛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호에 맞지 않았던 단점을 갖고 있었다. 세계진미는 취반시 경도가 높지 않고 아밀로그램에서 최고점도가 높고 취반점도가 낮은 일반계 양질품종과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며, 밥맛 관능검정결과에서도 추청벼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은밥 관능검정결과 다산벼 등 통일계 품종과 비교하였을 때 월등한 밥맛을 보였다. 세계진미는 간장이 82cm로 다산벼 보다 큰 편이며, 출수기는 남부 평야지에서 8월 17일로 다산벼보다 1주일 정도 늦은 중만생종이다. 애멸구,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복합내병충성 품종으로서 내냉성이 약하며 벼멸구에는 저항성이 없다. 3개년간 11개 지역의 평균 쌀수량은 701kg/10a로 다산벼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며 적응지역은 남부평야지 1모작지이다.
        13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이 세계농업발전을 위해서 공헌한 연구 업적 가운데 가장 뛰어난 3가지 업적은 온대지방에서 열대 지역에서 육종한 단간종 IR8을 이용해서 통일벼를 육성 주식인 쌀 자급을 이룩한 것이고, 둘째가 미국의 선진 옥수수 육종기술인 단교잡종 하이브리드를 세계 최초로 자체 힘으로 개발 강원, 충북, 경북산간지 농가 의 옥수수 생산량을 5년내에 3배 높이고, 이 기술을 인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중국, 북한 등에 기술 이전을 한 것이고 세 번째 업적은 아마도 비닐온실 혁명일 것이다. 위의 1, 2 농업혁명을 위해서 연구직과 지도직공무원들은 나라의 식량증산과 농업발전을 위해서 죽으면 죽으리라는 각오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 했다. 새마을 운동이 성공하고 오늘의 한국이 있기 까지 외화를 벌기 위해서 피땀 흘려 일한 우리의 애국 노무자들, 기업인들, 적은 박봉이지만 국민의 종이라는 자부심을 가졌던 공무원들의 노력이 있었다. 국제경쟁 력이 있는 친환경 정직 농업을 연구하고, 지도하고,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 할 때 농업이 선진국 한국 발전의 버팀목이 될 수 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