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nsliaea acerifolia,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endemic to forested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has drawn attention for its bioactive properties and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and medicinal resource. Despite its ecological and economic value, little is known about its spatial distribution or habitat preferences under changing climatic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current and future habitat suitability of A. acerifolia in southeastern Korea—including Gyeongsangnam-do, Busan, and Ulsan—using the MaxEnt (Maximum Entropy) species distribution model. A total of 217 presence records were compiled from both GBIF data and field surveys, and seven key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multicollinearity screening. Model performance was robust (mean AUC = 0.845), and key predictors included topographic roughness (TRI), precipitation of the driest month (Bio14), and mean diurnal range (Bio2). Under current climate conditions, 31.5% of the study area was identified as suitable habitat (≥0.222), with only 4.7% categorized as core habitat (≥0.6). Future projections under SSP1-2.6, SSP2-4.5, and SSP5-8.5 scenarios indicated substantial habitat contraction, particularly in coastal and lowland areas, with refugial zones likely to persist in mid-elevation inland mountains (500–900 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acerifolia is highly sensitive to climatic variability and emphasizes the urgent need for conservation strategies focused on climate-resilient refugia and ecological corridors. The study provides a spatial framework for species conservation planning under future climate uncertainty.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연구로써 연 구자는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으로 접근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통찰과 방법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총 42편의 논문을 분석했다. 문헌 분석은 북한이탈주민의 법 적 지위와 법제 통합, 외국 사례의 분석과 시사점 연구, 대북지원과 통합 정책 평가와 방향 제시, 사회적 자본과 멘토링 연결망, 북한이탈주민의 동질성 회복 및 공생, 학교 적응과 교육, 차별과 취업 불만, 낙인, 문화 적응과 관계 형성, 소통과 심리적 통일, 포섭과 배제의 연구 문제로 나누 어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치적 다양성, 주 체사상의 극복과 새로운 시민으로서의 정체성 재구성, 북한이탈주민들의 문화자본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제3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 이탈주민 여성 자녀들의 문제와 지지방안 수립에 관해 논의했다.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정책사업인 로컬콘텐츠 중점대 학을 중심으로, 최근 2년간 온라인에서 형성된 담론의 구조와 사회적 수 용 양상을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 뉴스, 웹문서 등 다양한 채널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텍스트 마이닝(단어빈도, TF-IDF, N-gram), 개체명 인식, 2-mode 매트릭스 분석, 감성 분석, CONCOR 분석, LDA 토픽모 델링 및 의미기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 ‘콘텐츠’, ‘창업’, ‘지역’, ‘지원’ 등 핵심어를 중심으로 한 의미구조가 형성되어 있 었으며, 담론은 대체로 긍정적 정서를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대학, 지역 기관, 중소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가 주체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이며 다 층적 실행 구조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로컬콘텐츠 중점대학의 사회적 인식과 정책적 함의를 담론 기반으로 조망함으로써, 향후 제도 설계 및 지역혁신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goji berry (Lycium barbarum) beverages with enhanced sensory quality through the addition of fruit extracts. Five formulations were prepared using hot water extracts of dried goji berries, blended with varying proportions of concentrated apple and aronia extracts. Each beverage was adjusted to 7 of °Brix and standardized with citric acid and stevia to ensure consistent sweetness and acidity.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20 panelists using a 9-point hedonic scale to assess sweetness, sourness, bitterness, color, aroma, and overall accep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were confirmed through one-way ANOVA and Tukey’s HSD post-hoc te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were performed to explore patterns in the sensory data. The beverage formulation containing 70% goji berry extract, 15% apple extract, and 14.93% aronia extract, along with sodium citric acid and stevia, demonstrat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among all samples. This was followed by the formulation composed of 70% goji berry extract, 15% apple extract, and 15% aronia extrac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dentified sweetness, aroma, and overall acceptability as the primary sensory attributes influencing consumer preference, with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accounting for 95.61% of the total variance.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further confirmed these findings by grouping the two formulations together based on their sensory profiles. In conclusion, blending goji berry extract with complementary fruit extracts such as apple and aronia significantly improves the sensory quality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functional bevera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ptimized fruit blending may be a promising strategy for enhancing the palatability and marketability of goji-based health beverages.
일 의미감은 조직구성원의 주요 심리적 및 행동적 결과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핵심 변수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일 의미감은 단순히 주관적인 평가를 넘어서, 개인의 가치, 관계, 목적의식 등 다양한 심리적 요소와 연계되는 다차원적 구성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 의미감을 일반요인과 세부요인으로 구성된 bifactor 구조로 모형화하고, 각각이 대표적인 조직관련 변인들인 조직몰입, 이직의도, 번아 웃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풀타임 근로 자 4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 석 결과, bifactor 구조는 적절한 모형 적합도를 나타냈고, 일 의미감의 일반요인은 정서적 조직몰입 증가, 이직의도 감소, 번아웃 완화 등 모든 조직결과변인에 대해 안정적인 예측력을 보였다. 반면, 세부요인들은 각 결과변인에 대해 상이한 방향성과 유의미한 추가 설명력을 보여주었으며, 일부 요인은 오히려 부정적 인 효과를 나타내는 등 복합적인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 의미감이 단일한 정서적 경험이 아닌 다양한 심리적 자원들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적 구조임을 시사하며, 각 하위요인이 구성원 태도 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일 의미감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확장함과 동시에, 조직 내에서 보다 정교하고 실질적인 의미감 기반의 인사전략 수립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및 실천적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관광객이 낯선 장소에서 경험하는 감정(설렘과 두려움)에 대 한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관광 경험이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변화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관광학 이론과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결합하여 관광객의 감정을 설명하고 문헌 고찰하여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관광객의 감정은 복합적인 요인 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밝혔다. 관광객이 경험하는 설렘은 새로운 환 경과 문화에 대한 호기심, 자유로움, 비일상성에서 비롯된 것인 반면, 두 려움은 안전 문제, 언어 장벽, 문화적 차이, 사회적 낯섦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 두 감정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며 관 광객의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는 점을 도출했다. 긍정적인 관광 경 험은 문화적 개방성을 높이고 다문화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과 부 정적 감정(두려움, 불안 등)은 특정 지역이나 문화에 대한 편견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결국, 이러한 감정은 개별 관광객의 경험을 넘 어 관광지의 이미지 형성, 정책 변화, 지역사회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 친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