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연구에서는 HMD VR 사용 시 눈에 발생하는 건조증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눈 내부의 온도와 습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신체 건강한 체육계열 대학생으로 선정하였고 안구건조증의 영향이 있거나 안질환 병력, 수술자와 양안시기능 이상자는 제외하여 최종 연구 대상자는 49명으로 선정되었다. 체육계열 대학생의 HMD 내부 온도, 습도, 체감온도의 변화를 50분간 관찰하였고 VR 사용 전후로 맥모니 테스트(McMonnies test)를 실시하 였다. 결과 : HMD 내부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40분 이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습도는 사용 직후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25분 이후에는 초기 베이스라인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지속적인 체 감온도 상승은 안구건조증 증상뿐만 아니라 시각적 불편감을 줄 수 있다. 결론 : HMD 방식의 VR 기기의 설계는 안구내 습도환경과 열적 불쾌감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편안함과 장기적 인 눈 건강을 보장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적 검증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late Count Agar (PCA; 48시간 배양)와 MC-Media Pad A.C+ (MMPAC+; 24시간 배양)의 검출 효 율과 정량 정확도를 비교하여 건조필름의 배양시간 단축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샐러드 60건에 대한 검출 효율 실 험에서 PCA는 6.1±1.0 log CFU/g, MMPAC+은 6.3±1.1 log CFU/g의 결과를 나타냈다. PCA와 MMPAC+의 P-value 는 0 .3 3 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관계수 (R2)는 0.5545로 상당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샐러드에 일 반세균을 저농도로 접종한 결과 PCA의 경우 3.3±0.1 log CFU/g, MMPAC+의 경우 3.4±0.1 log CFU/g로 나타났고 P-value는 0.251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 농도로 접종한 결과 PCA의 경우 8.9±0.2 log CFU/g, MMPAC+의 경우 9.0±0.3 log CFU/g로 나타났고, P-value 는 0.561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PCA(48시간 배양)와 더불어 MMPAC+ 건조필름을 24시 간 배양하여 일반세균 실험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 단되었다.
목적: 건성안은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안과 질환이다. 본 연구는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2021)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직업에 의한 스트레스와 건성안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자료 중 건성안 진단 유무와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응답한 3,781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학력 등의 일반적 특성과 건성안 진단 유무, 스트레스 인지 정도, 직업군별 건성안 유병률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p<0.050을 유의수준으로 설정하였다. 결과 : 여성에서 남성보다 건성안 유병률이 높았으며, 젊은 연령층과 고학력자에게서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 다. 스트레스 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건성안 발생률도 증가하였고, 직업군별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직업에 의한 스트레스는 건성안 유병률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특히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직업군에서 건성안 발생률이 높았으며, 이에 따라 직업환경 개선 및 예방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gypsum application on dry matter yield (DMY), mineral content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and soi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land in South Kore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eokmun,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which is reclaimed with approximately 70 cm depth of degraded island soil. Treatments consisted of a control with no gypsum application (G0), 2 ton ha-1 (G2), and 4 ton ha-1 (G4) of gypsum application. The first harvest was carried out when the alfalfa reached 10% flowering, and subsequent harvests were conducted at 35-day intervals. Over the three-year experimental periods (2019-2021), the total DMY of G2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0 and G4 (p<0.05). Although both G2 and G4 gypsum application treatments lowered soil pH, the G4 treatment increas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 content of the soil. Additionally, gypsum application affected the mineral contents of alfalfa, resulting in reduced concentration of sodium (Na) and Magnesium (Mg). Therefore, this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 gypsum application rate of 2 ton ha-1 is optimal for improving alfalfa dry matter yield and mineral balance, as well as enhancing soil chemica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land in South Korea.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에 따라 음주와 전자기기 사용이 안구건조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대학생 32명(64안)을 콘택트렌즈 착용군(16명)과 미착용군(16명)으로 나누었다. 순목 횟수, 비침입성 눈 물막 파괴검사(NIBUT), 오큐튜브 검사를 기본 검사, 스마트폰 20분 시청 후, 목표 혈중 알코올 농도 0.03% 달성 후 측정하였다. 결과: NIBUT는 미착용군에서 착용군보다 일관되게 낮았으며, 기본 검사 및 전자기기 사용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0, p=0.001). 음주 후에는 경계선상의 유의성을 보였다(p=0.057). 오큐튜브 검사값은 미착용군에서 높았으며, 음주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6). 미착용군은 전자기기 사용 후 순목 횟수와 오큐튜브 검사값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고(p=0.001, p=0.000), 음주 후에는 모든 검사값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039, p=0.000, p=0.000). 착용군은 전자기기 사용 후 순목 횟수(p=.034), 음주 후 오큐튜브 검사(p=0.00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성안의 유병률은 미착용군에서 전자기기 사용 후(p=0.028), 착용군에서 음주 후 (p=0.022)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음주와 전자기기 사용은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대학생의 안구건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As increasing markets for Lithium‒ion battery (LiB), several environmental issues have attained great attention. Especially, the organic solvent N‒Methyl‒2‒Pyrrolidone (NMP), commonly used in the traditional slurry casting process for fabricating LiB electrodes, will be about to be regulated due to its toxicity and the environmental concerns. Therefore, the production of LiB electrodes by a dry process without using NMP organic solvents is of special interest nowadays. In the dry proces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1‒dimensional carbon materials like carbon nanotubes (CNT) are beneficial than conventional carbon conductor such as carbon blacks (CB). However, CB is inevitably included during the CNT production, simultaneously as an impurity. Refining CNT from CNT/CB mixture can cause another cost obviously.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limited information to study dispersion of carbon materials in electrode with respect to dispersion method and types of carbon conductor. Here, we systematically test the effect of dispersibility of carbon conductor in electrode according to dispersion method and type of carbon conductors. In addition, effect of CB amount in carbon conductor are also elucidated on manufacturing procedure, properties of electrode and their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연구는 내항여객선의 상가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연료비를 포함한 운항비용의 절감 가능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박의 연료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인 선체부착생물은 선박과 해수 간 마찰을 증가시켜 더 많은 연료 소모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 져있다. 선박안전법에 따라 감항성 유지 및 운항 안전을 위해 매년 정기검사 또는 제1종 중간검사를 받아야 하는 내항여객선은 일반적으 로 이러한 검사에 대비하여 연 1회의 상가 수리를 통해 선체부착생물을 제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운항 중인 3척의 내항여객선 을 대상으로 AIS 데이터, 항해일지 및 상가 수리 비용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연간 표준운항비용을 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MATLAB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선박의 상가 주기별 운항 비용 산출하여 비용 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박별로 최대 비용 절 감 효과가 나타나는 시점이 상이하였으나, 연료비 절감과 추가 상가 비용 간의 균형점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내항여객선의 선체 유지관리에 있어 상가 주기 조정이라는 운영 전략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선사의 유지보수 계획 수립에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 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treatments and soybean oil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 and the textural properties of gels. Dry heat and microwave heat treatments were used as pretreatments to enhance the textural and storage qualities of mung bean starch gels. Pretreatment and the addition of soybean oil increased the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of starch; particularly, dry heat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starch. In the RVA test, microwave heat treatment increased pasting viscosity, whereas dry heat treatment reduced pasting viscosity over all temperature ranges. Both pretreatments increased the peak time and gelatinization temperature. Dry heat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mung bean starch gels compared to microwave heat treatment, however, reduced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The addition of soybean oil slightly increased the fracture strai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water-holding capacity due to pretreatment and oil addition.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ung bean starch gel were affected by pre-heat treatment of the starches.
본 연구에서는 baird paker agar (BPA)와 MC-media pad SA (MMPSA)의 황색포도상구균 검출효율과 정성 및 정 량 정확도를 비교하여 황색포도상구균 건조필름의 사용가 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마카롱(30건), 편육(30건) 및 김밥(30건), 총 90건을 실험 재료로 사용하 였다. 유통식품 90건의 황색포도상구균 검출효율 실험결과, BPA와 MMPSA의 검출효율은 48건(53.3%)으로 동일 하게 검출되었다. 또한 정량 정확도는 BPA와 MMPSA에 서 각각 2.0±0.8, 2.0±0.7 log CFU/g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 황색포도상구균의 정성 정확도 실험결과, BPA의 경우 97.7%, MMPSA의 경우 96.4%로 산출되어 유 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효 율, 정성과 정량 정확도 실험결과, BPA와 MMPSA 두 배지 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황색포도상구균 정성 과 정량실험 시 MMPSA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노후화된 교량의 단면 보수를 위한 고성능 콘크리트 보수재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진행하였다. 건식 숏크리트 방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혼합비를 도출하기 위해 재료에 대한 기본 실험을 바탕으로 내구성 및 수밀성 측면에서 적합한 성능을 개발 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리카 흄, 고로슬래그, 자연섬유 등을 혼합하여 각 변수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압축강도, 소성 수축, 염소 이온 침투 저항성, 동결융해 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리카 흄과 천연 섬유를 혼합하여 내구 성 및 수밀성을 확보한 채 팽창제와 폴리머 분말수지를 혼입하여 적합한 성능을 가진 보수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완료하 였다. 이 보수재료는 압축강도, 동결융해 저항성, 소성수축 균열 저감성, 염소 이온 침투 저항성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줄 것이 다. 본 연구에서 개발될 보수재료는 기존 보수 모르타르보다 성능이 우수하며, 건식 숏크리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 및 후처리 과정이 습식 숏크리트 방식보다 간단하여 소구 작업에 더욱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목적 : 일개 대학 안경광학과 대학생들의 지각된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안구건조 및 구강건조 증상의 관련 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일개 대학 안경광학과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8문항, 스트레스 자각적도 10문항, 안구건 조 증상 8문항, 구강건조 증상 6문항을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과 ANOVA 분 석, pearson의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지각된 스트레스와 안구건조 증상이 더 높았으며,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7시간 이 상일 때 안구건조 증상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자가 비음주자보다 낮은 스트레스를 지각 했으며, 안구건조와 구강건조 증상은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나쁜 그룹은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안구건조 및 구강건조 증상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며, 학생들의 스 트레스 관리 및 건강상태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와 스트레스 요인을 포함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eding d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mineral contents of rye cultivated in the paddy field. The field experiment was conceived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performed in triplicate with seeding dates of October 19 (T1), October (T2), November 2 (T3), November 9 (T4), and November 16 (T5). All treatments was harvested on May 22 of the following year. Plant length, stem diameter, dry matter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 were higher in rye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whereas TDN was higher with late seeding date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among the different seeding dates.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higher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K and Ca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1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2, T3, T4 and T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g and Na content among T1, T2, T3, T4 and T5 treatments. P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T1 > T2 > T3 > T4 > T5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e sugar contents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by treatments, whereas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T1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p<0.05). Coll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favorable to seed (T1 and T2) soon after harvesting rice to increase dry matter, TDN yield and total free sugar content of rye in the midlands of Korea.
식품공전 시험법은 식품기초규격 적부 판정, 수거검사의 적부판정, 수입식품의 적부판정 등의 판단근거가 되기 때문 에 식품산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락, 밀키트, 된장에 오염된 일반세균, 대장균군, 효모, 곰팡이, 대장균을 분리하기 방법으로 사용되는 평판배지법, Petrifilm법, Compact Dry법을 이용해 각각의 세균을 분리하였고, 회수율을 비교 하였다. 식품 내 자연균총(일반세균, 효모/곰팡이, 대장균군) 검출은 평판배지 PCA, PDA, DCLA와 Petrifilm AC, YM, CC의 성능을 Compact Dry TC, YMR, CF와 비교하였다. 인 위접종한 대장균(E. coli)의 경우는 평판배지 EMB, Petrilfilm EC, Compact Dry EC의 검출능을 비교하였다. 본 실험결과,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의 검출에서 Compact Dry법은 기 존의 평판배지법 및 건조배지법과 비교하여 식품 내 각각의 세균수를 계수하는데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평판배지법과 Compact Dry간의 상관관계 및 Petrifilm 과 Compact Dry간의 상관관계 역시 1에 가까운 높은 값을 확인하였다. Compact Dry법은 미생물 분석을 위해 배지 준 비 과정이 필요 없으며, 접종 후 자체 확산이 가능하여 사 용하기 쉽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의 배지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많은 장점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식품 중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의 검출을 위한 Compact Dry법(Compact Dry TC, CF, EC)은 기존의 식품공 전 상 등재된 다른 건조필름법을 대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eeding effects of imported timothy hay, domestic Italian ryegrass silage (IRGS) and IRG dried by hot-air dry system (IRGHDS) under basic total mixed ration (bTMR) on rumination activity, milk production, and milk composition in lactating dairy cows. Eighteen Holstein dairy cow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bTMR + imported timothy hay), treatment 1 (bTMR + IRGS) and treatment 2 (TMR + IRGHDS) groups.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total period of 24 days, including a 10 days adaptation period and a 14 days main experimental period. The results indicate body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p>0.05), and rumination ti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1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01). Milk fat, protein, and lacto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p>0.05), however, somatic cell cou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eatment 1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01). As a result of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feeding TMR using IRGS and IRGHDS will increase profit by 402.8 won/day and 331.4 won/day per cow compared to imported timothy hay. Therefore, IRGS and IRGHDS can be used as substitutes for imported timothy hay in feeding lactating dairy cows.
This study performed the pre-treatments of the manufacturing of the pork skin snack with wet-salting (3% and 6%; 3W and 6W) and dry-salting (0.3% and 0.6%; 0.3D and 0.6D). Regarding the manufacturing yield, the 0.3D and 6W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The water contents of the Con and 0.6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The fat contents of the Con and 6W were evidently higher than the 3W, 0.3D, and 0.6D (p<0.05). The lightness of the wet-salting group was markedly higher than the Con (p<0.05). The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0.6D were noticeably higher than the Con (p<0.05). The crispness of the 0.6D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The appearance and sensory crispness of the 3W and 0.6D were notably low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The taste score of the 0.6D was much lower than the 6W and 0.3D (p<0.05).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Con, 6W, and 0.3D was appreciably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 (p<0.05). Overall, this study showed that wet-salting with 6% (6W) and dry-salting with 0.3% (0.3D) can improve pork skin snack quality properties.
배관 세정 공정은 조선소 선박 건조과정에서 배관 설치 후 장비를 시운전하는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최종적으로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만약에 배관 내에 이물질이 있는 상태에서 장비를 시운전하는 단계로 넘어갈 경우 이물질이 고가의 장비에 유입되어 펌프 및 기어, 베어링 등이 파손되는 요인이 된다. 특히 펌프나 유압 밸브 같은 경우는 아주 작은 이물질이라도 장비 속으로 유입이 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며, 이런 장비 사고는 주변에 장비 운전을 하는 작업자의 인명사고까지 연계되어 중대 재해 의 잠재 원인이 되므로 조선소 고객인 선주들도 매우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 에서 기존의 배관 세정 공법에서 유세정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배관 내 세정 유체의 흐름을 증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