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SAIS) is a prevalent cause of shoulder pain, often linked to abnormal scapular positioning and movement.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s (SSE) may improve SAIS symptoms, but there's a lack of research on the specific quantitative effects of SSE on scapular position and function.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SE on scapular position and shoulder function in patients with SAIS.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rty participants with SAIS, diagnosed using the Scapular Dyskinesis Test (SDT),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SSEG, n=15) or a tradi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group (TRTG, n=15). Both groups received eight weeks of intervention.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scapular index (SI), measured using digital vernier calipers, and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Results: The SS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scapular index (SI) and significant decreases in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pain and disability scores. The TRTG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se measures. The SSE group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I and SPADI scores compared to the TRTG.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SE may be a valuable treatment option for improving shoulder function and reducing pain in patients with SAI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and explore the longterm effects of SSE.
본고는 대화코퍼스 수집 및 분석을 통해 개별적 연구에 국한되어 있던 ‘X是’구조 응답표지들의 기능 및 특징들을 정리 및 개괄함으로써 ‘是’가 출현하는 응답표지들의 담화적가치를 재고하고자 시도하였다. 우선, 선행발화문과 ‘X是’응답문을 하나의 인 접쌍으로 인식하여 담화기능을 세분류하였다. 또한, 대화코퍼스의 통계를 통해 응답 표지 ‘也是’, ‘那是’, ‘才是’, ‘我是’의 응답기능이 갖는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자주출현하 는 문형인 중복과 대구문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응답문의 ‘X是’는 자신 고유의 문 법적 의미보다는 응답표지로서의 기능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중복문형과 대구문형 은 ‘강조’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 동시에 강조의 초점대상에서는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2019년 농촌 인구는 전년도보다 7만 명 감소하였으며, 60대 이상이 전체 농촌 인구의 69%를 차지하면서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과 가뭄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에도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농업용수 절감과 자원 낭비 감소가 필수적이다. 현재 농가에서는 파종 후 초기 육묘기에 분수 호스를, 성장기에는 점적 테이프를 사용하지만, 두 가지 장치를 함께 설치하면 노동력과 비용이 증가하고 관수 효율이 낮아 용수 낭비와 폐기물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거리 살수 기능을 가진 분수 호스와 직하 점적 기능을 수행하는 점적 테이프의 장점을 결합한 복합형 분수 호스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공급 압력만으로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돌형 Dripper를 설계하였으며, 내부 유로의 최적 설계를 통해 충돌각, 충돌율, 단면적의 형태 및 크기, 공급 압력 등의 요소를 조절하여 원거리 분사와 직하 점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을 통해 충돌각 20° 및 30°에 대한 다양한 Dripper 설계 조건을 평가한 결과, 충돌각 30°에서 중첩율 30.0%(0.50×0.50 mm, 중첩 거리 0.15 mm)의 Dripper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이 설계는 0.5 bar의 낮은 압력에서는 직하 점적 기능을 수행하고, 1.0~2.0 bar의 높은 압력에서는 원거리 확산 살수가 가능하여 기존의 분수 호스와 점적 테이프를 하나의 장치로 대체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농업 노동력 절감, 관수 비용 절감, 용수 절약 및 관수 폐기물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복합형 분수 호스의 실용화를 위한 설계 기준을 제시하였다.
Zinc tin oxide (ZTO) thin films were deposited using atomic layer deposition (ALD) to ensure precise thickness control and uniformity. However, the low-temperature processing of ZTO often results in increased defect states, leading to degraded electrical performance. To address this issue, metal capping layers (Al or Au) were added to the ZTO active layer. The capping layers modulate electron energy levels at the interface, increase carrier density, and reduce interface traps, thereby improving electrical properties. Aluminum (Al) and gold (Au) were evaluated for their impact on key performance metrics, including electron mobility (μsat), threshold voltage (VT), subthreshold swing (SS), and on/off current ratio (ION/OFF). Results show that Al-capped ZTO thin-film transistors (TFTs) exhibited enhanced performance due to the lower work function of Al (4.0 eV), which facilitates electron injection and reduces contact resistance. In contrast, Au-capped ZTO TFTs showed decreased performance due to electron depletion caused by the higher work function of Au (5.1 eV). Optical analyses, including UPS and UV-Vis, revealed the band structure and work function of the ZTO thin film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hoice of capping material and its design parameters play a critical role in optimizing TFT performance, offering valuabl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high performance TFT devices.
목적 : 디지털 시기능 훈련용 게이밍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시기능 훈련 후 양안시기능의 변화를 조사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전신질환, 안과적 질환, 과거 수술력이 없고 사시 진단을 받지 않은 신체 건강한 성인 25명(남 자 14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리얼 엔진을 기반으로 한 게이밍 프로그램은 시기능을 강화 및 훈련하 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모든 피검자에게 디지털 시기능 훈련용 프로그램을 한달 동안 일주일 2회, 30분간 시행하여 훈련을 진행하였다. 결과 : 디지털 시기능 훈련 전과 후의 조절근점은 13.08±2.26 cm에서 10.15±3.41 cm으로 향상되었다. 조절 용이성은 12.05±1.20회에서 9.78±1.32회로 개선되어 선명하게 초점을 맺는데 시간이 단축되었다(p<0.050). 버 전스용이성(Vergence facillity)은 12.89±2.34 회에서 9.14±1.75 회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0.050). 외사위도는 –2.48±2.56 Δ(exo.)에서 -1.07±1.23 Δ(exo.)으로 외사위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p<0.050)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21.99±4.26 Δ에서 24.55±2.89 Δ으로 개선되었고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평균 17.57±2.12 Δ에서 18.69±1.60 Δ으로 약 0.1 Δ이 소폭 증가하였다. 결론 : 디지털 시기능 훈련으로 연구 대상자들의 외사위도가 감소하였고 조절력, 조절 및 버전스 용이성과 안구 운동성 능력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시기능 훈련은 안구 운동성 기능과 양안시기능이 중요한 직군 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활용가치 및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Background: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and personal computers has contributed to a rise in thoracic kyphosis,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excessive outward curvature of the upper back. This condition can lead to reduced lung function, poor posture, and decreased spinal angles, all of which can cause reductions in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Furthermore, these issues are often associated with scapular protraction and anterior tilting.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a scapular support pillow in people with thoracic kyphosis, as well as determine the changes in respiratory capacity and postural alignment. Methods: Forty-one participants (25 males and 16 females) with thoracic kyphosis (Cobb angle > 40°)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ir respiratory function (FVC, FEV1) and body posture (spinal angle, chest expansion, acromion-to-the-wall index)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using the scapular support pillow for approximately 30 minutes. FVC, FEV1, spinal angle, chest expansion, and acromion-to-the-wall index were analyzed using paired-t test.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measured parameters. Both respiratory function and posture-related metrics showed notable increases after using the scapular support pillow. Conclusion: The use of a scapular support pillow can effectively improve respiratory function and postural alignment in patients with thoracic kyphosis. Our research makes a meaningful contribution by proposing an effortless and convenient treatment option for individuals with thoracic kyphosis.
The Ansan Reclaimed Wetland, reclaimed in 1986 and maintained for 38 years, underwent two wetland function assessments to develop strategies for enhancing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The biota of the reclaimed wetland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across most taxa, while the number of amphibian and reptile species decreased. Among legally protected species and specific species, Aix galericulata and Lefua costata were not observed, whereas Libellula angelina were introduced.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protection or improvement” and “enhancement.” Proposed conservation measures include removing planted shrubs, maintaining waterways, and installing gabion structures and wildlife corridors.
본 연구는 산림 분야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산림기능구분도의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산주, 공무원, 임업 분야 종사자, 연구원으로, 이들의 산림기능구분에 대한 인식, 활용 현황 및 개편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산림기능구분도의 활용성과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기존 제도나 지침에 따른 형식적 경영계획 수립을 지양하고, 현장 중심의 맞춤형 산림 관리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히, 통합 및 단순화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생활환경보전기능이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연환경보전기능과 수원함양기능이 동일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경관 제공, 온실가스 흡수 및 저장, 산림휴양, 생물다양성 보전과 같은 기능은 추가적 고려 및 강조가 필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림기능구분도의 개편 및 중장기 산림 관리 방향 설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takes the semantic symbol “走” in “Shuowen Jiezi” as the research object. Firstly, starting from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of the semantic symbol “走”, it analyzes and summarizes the actual semantic categories of the semantic symbol “走” in constructing characters, providing a context for extracting the semantic function of “走”. Starting from the aggregation relationship of the semantic symbol “走”, the distribution of the actual semantic classes of the six semantic symbol parameters in the “足” group was compared, and the synchronous and diachronic substitution phenomena of the semantic symbol “走” and the semantic symbols “止”, “辵” , “彳”, “行”, and “足” were exam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drawn: In Shuowen Jiezi, the construction of “走” is rich, with “running” as the most typical and advantageous construction. the semantic symbol “走” has the most action semantic characters, while the ability to construct characters for the five major components of “running,” “jumping,” “falling forward,” “walking” and “foot movements” decreases in order. The ability of “走” to construct state and object meanings is weak, and it is often replaced by its variant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evolution, the number of preserved characters with the semantic symbol “走” has gradually decreased, and their semantic functions have become increasingly singular. Finally, explor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language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and historical evolution direction of the semantic symbol “走”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he prototype status of the basic construction meaning “run” in the semantic symbol “走” construction meaning category determines the number and historical stability advantage of its constituent characters. In the systemat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three factors of “the tendency of semantic symbol construction”, “the mode of semantic symbol construction”, and “whether the function of semantic symbol construction is powerful or not” have led to the semantic symbols “走” in ancient times, resulting in a tendency to “run” through a layer of associative parameters to express action semantic Chinese characters.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 여성노인의 베타 아밀로이드 및 인지기능을 위해 12주간 수중운동 을 적용한 후 베타 아밀로이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지기능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써 경도인지장애 여성노인을 위한 효율적인 운동 유형과 방법을 알아보고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운동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을 단순무선표집으로 선정하 였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은 주 3회씩 총 12주간 실시하였으며, 운동강도는 RPE 11-14으로 실시하였다. 운 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반복 측정 자료에 대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 으며,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경우 대응표본 t-검정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유의 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베타 아밀로이드에서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 전에 비해 감소하 였으나 통제집단은 증가하였다. 둘째, 인지기능의 결과 운동집단의 경우 운동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통 제집단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중운동은 경도인지장애 여성노인에게 있어서 베타 아밀로이드를 감소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인지기능을 증가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일반적인 택코트용 유화아스팔트는 도로 포장면에 살포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공사차량 및 포설장비 타이어에 쉽게 들 러붙어서 포장면의 코팅막 훼손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뿐 아니라, 접착력과 전단강도가 약하여 상하 포장층간 부 착력 저하로 균열, 포트홀, 밀림과 같은 포장도로 조기 파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택코트 시공 후 양생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공사차량 통행에 의한 접착 처리면 훼손을 최소화하여 아스팔트 포장의 조기 파손을 방지할 뿐 아니라, 포장체의 장기 공용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초속경성 타이어 미부착 택코트 유화아스팔트 개발과 이를 고속도로 현장에서 적용한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해당 기술은 택코트 훼손방지 기능 외에도 폴리머가 함유된 아스팔트를 적용하여 부착강도가 매우 우수하며, 배수성 포장, SMA 포장, 교면 포장 등 특수포장의 공용성 증진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양생시간 또한 크게 단축되어 1액형 택코트의 경우 30분 이내에 양생이 되며, 양생 촉진제를 적용하는 2액형 택코트는 5분 내에 양생을 완료 시킬수 있어서, 시공시간 단축을 통한 조기 교통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해당 기술은 국토교통부 개질 유화아스팔트 품질기준인 RS(C)-PG70T 규격을 만족하였고, 타이어 부착률이 약 1.5% 대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 현장 적용성 평가 결과, 양생시간이 5분 이내로 확인되었으며, 시공 후 현장 코어 시편 확인 결과, 택코트층이 잘 보전되어 있었으며, 포장층간의 결합력이 우수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고속도로 뿐만 아니라 서울시와 같은 도심지 및 택코트의 충분한 양생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아스팔트 유지보수 공사에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From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Korean connective ‘-nuntey’ is used in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caregivers. The ‘nuntey’-clause occurs not only in utterance-medial positions as a clausal connective but also in utterance-final positions without accompanying main clauses in actual conversations.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two primary functions of ‘-nuntey’: a ‘background provider’ and a ‘contrast marker’.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conversations between children and caregivers shows that caregivers often use the ‘nuntey’-clause to explain why they cannot comply with a child's request or to repremand them for their behavior, which frequently leads to changes in the child’s behavior or intentions. In contrast, children use the ‘nuntey’-clause in "telling-my-side" utterances to describe their own actions or observations, often eliciting responses or praise from caregivers. This pattern refelct the nature of child-caregiver interactions, where the caregiver's primary role is to manage the child’s behavior, while the child’s main goal is to attract the caregiver’s attention.
본 연구는 진단초음파 및 근적외선분광법 (NIRS)을 사용하여 발살바 조작 (VM)을 수행하기 위한 자발적인 흉강 내 압력 조정이 전전두엽 뇌기능 및 뇌혈류 역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30과 40mmHg VM을 수행하고, NIRS를 통해 대뇌산소포화도 (rSO2)와 산화헤모글로빈 (HbO)을 측정하 였다. 그리고 진단초음파를 사용해 경동맥 (CCA)에서 최대혈류속도 (PSV)와 심박수 (HR)를 측정하고, 혈관경직도(STIFF)와 맥파전달속도 (PWV)를 도출하여 VM 수행 전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30mmHg VM 수행 후 PSV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WV와 STIFF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0mmHg에서는 HR의 유의한 감소만 나타났다. VM 수행 후 전전두엽의 뇌기능은 30과 40mmHg VM에서 rSO2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 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HbO는 VM 수행 후 유의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두 가지 강도의 흉강 내압에서 VM 수행은 뇌기능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흉강 내압이 높은 경우에는 체압이 높아 효과적인 혈관 이완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낮은 흉강 내압에서는 혈관의 탄성도가 크게 증가되어 뇌혈관의 기능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rok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abilities experienced by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However, stroke progresses to a chronic level, patients are discharged from medical institutions and eventually no longer rece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at home. In this systematic review, we compared home-based rehabilitation (HBR) with comparison for patients with stroke. Literature published in Cumulative Index for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Embase,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PEDro), PubMed, and Google Scholar were reviewed. A total of 1,158 studies were initially retrieved. After reading the full texts, 11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Quality assessment of the included studies was conducted using Risk of Bias (RoB) 2.0, and Egger’s regression test was used to evaluate publication bia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studio software (R Studio). According to the quality assessment using RoB 2.0, three studies were evaluated as low risk, two as of some concern, and three as high risk. The overall effect size was moderate (0.309). The value of the balance function was a small effect size (0.201), while the value of the gait function was a moderate effect size (0.353). The values were small and moderate effect (0.154, 0.411) for the chronic and subacute condi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gger’s regression test, no publication bias was obser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BR resulted in the greatest improvement in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compared to those with chronic strok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is intervention to patients with stroke in the community is recommend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불면증 노인의 수면 질, 우울, 스트레스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 소재 시니어센터와 복지관에 등록된 노인 가운데 60세 이 상이며, 최근 3개월 이상 불면증을 호소하는 111명을 대상으로 수면 질, 우울, 스트레스 및 인지기능을 평 가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여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 출하였으며 영향요인은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인지기능은 수면의 질(r=-0.45, p<.001), 우울(r=-0.32, p<.001), 스트레스(r=-0.56,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인지기 능의 예측요인은 수면 질, 스트레스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35.0%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거주 불면증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수면 질과 심리적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Obesity is the cause of many diseases, and its severity continues to increase. Promoting non-shivering thermogenesi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treatment strategy for obesity. This study summarized the studies that evaluated the effect of Panax ginseng on promoting non-shivering thermogenesis in animal models. A total of 7 studies were includ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which five were judged to have a high risk of bias. Indicators of UCP1 mRNA, UCP1 protein, and PGC- 1a were used in the meta-analysis, and the certainty of evidence progressed for each indicator, with UCP1 protein showing the highest certainty of evidenc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5 works of literature with standard indicator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UCP1 protein level and PGC-1a mRNA leve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tatistically. In addition, the protein levels of PRDM16 and TFAM increased in several studies (not a meta-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nax ginseng could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its mechanisms and possible side effects fully. Thus, it is concluded that Panax ginseng in animal models can promote non-shivering thermogenesis and improve mitochondria function in animal models, opening up new avenues for research and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Many older reinforced concrete (RC) buildings were constructed and designed with only gravity loads in mind. Columns in those buildings have insufficient reinforcement details that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specified in current seismic design standards. This study aims to develop drift-based fragility functions for lightly RC columns. For this purpose, a database of 193 lightly RC columns was constructed to determine central and dispersion values of drift ratios for individual damage states. Additionally, to develop more accurate fragility functions of the columns, the failure mode of RC columns was incorporated into fragility functions.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for column failure mode is proposed in this study. Fragility functions for older RC columns are constructed according to four different damage states. The main variables of the fragility func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column properties and failure mode.
Background: Most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have difficulty walking, and various exercise methods are used clinically to improve the disability. Among them, various methods are being applied to improve walking through torso movemen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itland vertebra joint mobilization exercise and Evjenth trunk muscle stretching exercise on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hemiparesis due to chronic stroke.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In this study, 30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were divided into 15 patients in the Maitland vertebra joint mobilization group (MVJMG) and 15 in the Evjenth trunk muscle stretching exercise group (ETMSEG), and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3 weeks, 5 times a week, 30 minutes a day. After the intervention, walking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gait analyzer. Results: In terms of walking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walking rate, walking speed, and stride length following the intervention in both the MVJMG and ETMSEG groups (P<.05).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in walking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lking rate.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both Maitland vertebra joint mobilization and Evjenth trunk muscle stretching exercis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walking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the two interv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