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은 전통적으로 ‘사농공상’이 엄격한 신분사회로 상업에 종사했던 상인계층은 사회적 지위가 낮았으나, 이러한 엄격한 사회계급은 명대 상업의 발전과 경세치용 사조의 흥기에 힘입어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단지 사회적으로 조연의 입장에 있었던 상인들은 이후 다양한 사회참여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 함으로써 자신들의 역할을 분명하게 드러내게 되었다. 특히, 명 중기 이후 당시의 사 회적 변화와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치부에 대한 인식 변화가 널리 받아들여져 새로 운 신분계층이 출현하게 되었다. 또한 상업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지면서 사회적 기능 역시 중시되어 상인의 신분과 지위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6,0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research, all the translations of Mathematical terms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Ji He Yuan Ben in Ming and Qing Dynasty adopt Liberal translation. Some translation of mathematical terms exists the problem of multiple translations of a word, Matteo Ricci and Xu Guangqi’s collaborated on the translation of the mathematical terms most in use today. In the purely Liberal translation of the words translated by Matteo Ricci in collaboration with Xu Guangqi, borrowed and transplanted words are the most used today. In Literal translation words, two-syllable Literal translation words are the most used today. This was due to the impact of the principle of naturalization, influence of traditional systems theory thinking and the restriction of Chinese disyllabic law. The Mathematical terms translated by Matteo Ricci and Xu Guangqi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oice and creation of mathematical translations for later generations: establishes a predominantly Liberal translation of mathematical terms, pay attention to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Chinese knowledge, according to the need to create three syllables and more than three syllable translation words and lay emphasis on the systematic translation of words, etc.
        7,700원
        3.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명(明)나라 만력(萬曆.1573—1620)년간에 출판된 옛 사람들의 화보(畫譜)를 임화(臨畫)한 것을 연구 대상으로 삼 았다. 이로부터 두 가지 의문이 제기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였 다. 첫째, 옛날 사람들의 그림을 모사한 것이기 때문에 원본(原 本)을 충실하게 재현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실은 대체로 원작을 수정하거나 가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러므로 그 이유는 무엇인가의 문제이다. 둘째, 화보와 각첩(刻 帖)은 모두 묵적본(墨跡本)을 다시 새긴 것이다. 그런데 후대에 이런 화보와 각첩에 대한 평가에는 큰 차이가 있는데 또한 그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본 논문은 위의 서로 다른 두 가지 의문을 모두 문인(文人) 의 미적 감상에 이중적인 기준이 존재하는 현상으로 인하여 발 생하였다고 보았다. 즉 화보와 묵적 원본에 대한 문인의 심미 적 판단에는 이중적인 잣대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5,200원
        4.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화조화 역사에 있어 명대(明代)는 중요한 전환기에 속 한다. 이 시기의 화조화는 송·원시대 화조화의 정수를 계승하고 있을 뿐 아니라, 또 다른 화조화의 상태와 기법을 보여준다. 려 기(呂紀)는 명나라 원체(院體) 궁정 화조화를 대표하는 사람 중 한 사람이다. 그의 화조화 양상은 다양하며 색체가 화려하고, 구도가 교묘하여 당시 궁정 귀족들의 사랑을 받았다. 려기 화 조화의 많은 장점 중에서도 구도적 특색이 가장 두드러진다. 중국 화조화 역사에 있어 명대(明代)는 중요한 전환기에 속한 다. 이 시기의 화조화는 송·원시대 화조화의 정수를 계승하고 있을 뿐 아니라, 또 다른 화조화의 상태와 기법을 보여준다. 려 기(呂紀)는 명나라 원체(院體) 궁정 화조화를 대표하는 사람 중 한 사람이다. 그의 화조화 양상은 다양하며 색체가 화려하고, 구도가 교묘하여 당시 궁정 귀족들의 사랑을 받았다. 려기 화 조화의 많은 장점 중에서도 구도적 특색이 가장 두드러진다. 려기 화조화의 구도는 화조(花鳥)를 주체로 하는 전경식 화조 구도와 산수(山水)를 주체로 하는 전경식 화조 구도로 나눌 수 있다. 그의 화조화 구도는 변경소(邊景昭), 임량(林良)의 화조화 구도의 특징을 계승하여 거폭의 전경식 화조화를 독창적으로 창작해냈다. 또한 이러한 전경식 화조화 구도에는 마원(馬遠)과 하규(夏圭)의 산수화의 변각식(邊角式) 구도 및 ‘삼원법(三遠 法)’의 구도 요소가 녹아 들어 있다. 전체적인 화면은 구성과 점, 선, 면의 처리에 있어, 동시대의 선배들을 뛰어넘어 더욱 풍부한 층차감을 띄고 있다. 이러한 구도적 특색은 이후 화조 화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5,800원
        5.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blems of misinterpretation, lack of text, absence of text, derivation of text, reverse text and sentence reading errors in some of the texts inscribed in the opera tablets of the Ming Dynasty in the south of Shanxi are caused by many reasons, such as unclear grammar and style of writing, unclear cultural words, no recognition of homophone characters and similar characters, no recognition of different characters, or indistinct and vague characters in the topographic films. By checking the topology, combining the handed down documents and unearthed documents, correct the misword, supplement the missing text, correct the missing text, correct the derived text, correct the inverted text, correct the sentence reading, indicate the wrong cause, correct the explanation text, in order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reliable text information for the academic research.
        5,800원
        6.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huan Li Wan Xiang Ming Yi’s “Gujinzi” is a typical sample outside the region, and it stores a wealth of thematic corpus. This paper sorts out more than 300 groups of “Gujinzi”, and through the analysis and summary of the style of these materials, it is found that there are not only typical terms marked by the words “Gu” and “Jin”, but also terms such as “Tongshang.” “Shangwen” and “Mouzi” mixed with the typical terms. The col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its expression style is the premise for further research on the materials of “Gujinzi”, and as an exotic sample of the development of “Gujinzi”, the comparative research on Chinese “Gujinzi” can provide some circumstantial evidence for solving the long-debated problems in the academic history of “Gujinzi”; As an exotic eye, it also provides us with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connotation of the traditional term “Gujinz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6,000원
        7.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positions of ethnic groups in Macau vary with time. Prior to the opening of the port,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in Macau were Chinese people, including those living on land and at sea. After the port was opened, with the increase of Portugal businessmen and missionaries, the population was divided into Chinese people and foreigners (so-called ‘Yiren’ or 夷人in Chinese). Chinese people living on land were mainly of Hakka, Fujian, and Cantonese descent. Those living at sea were referred to as ‘Tanka People’ (named ‘Danmin’ or 蜑民in Chinese). They lived on floating boats for their entire lives and were similar to the ‘drifters’ in Japan. Since modern times, many refugees from mainland China and Southeast Asia flooded into Macau due to warfare.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required a larger number of laborers, and some ‘coolies’ entered Macau in legal or illegal ways, making it a multi-ethnic city. However, the Tanka people were not considered a minority ethnic group under the national ethnic policy of 56 ethnic groups since they did not have an exclusive language and shared dialects in different regions. As the ports inhabited by Tanka people gradually restored foreign trade, the boats and stilt houses used by Tanka people were dismantled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area of the ports. Many Tanka people began to live on land and marry people on land, leading to the disappearance of the Tanka group in Macau. The fishing boats and stilt houses used by Tanka people have also disappeared, with only a few remaining in areas such as Pearl River Delta and Hong Kong.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of Tanka people in Macau from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o the Republic of China, as well as the adaptive changes they adopted for the aforementioned environment in terms of living space and architectural type, on the basis of summarizing the historical activities of Tanka people. Finally, this study provides a layout plan and interior structure of the most commonly used boat for Tanka people from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o the Republic of China, with the use of CAD and other technical software, along with reference to written historical documentation, and provides a case study for further research on the architectural history of Macau's inner harbor cities, from anthropological and folklore perspectives.
        4,600원
        8.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명청 시기는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해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게 되면서 지식인들 에게 여가란 단순한 노동 이외의 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여유와 인격 수양과 더불어 정신적 치유를 위한 방편이 되었다. 당시 사대부들은 심령의 자유와 개성의 해방을 추구하고 전통사상의 속박에서 벗어나 산수를 유람하며 일상에서 술 과 차, 놀이문화를 즐기고 독서와 문학 창작, 예술품 감상을 통한 고상한 삶을 추구 하였다. 그들은 풍부한 지식과 품격을 토대로 철학, 문학, 예술, 양생, 심미관, 인격 수양과 연결시켜서 다양한 여가문화를 형성하였다.
        5,700원
        10.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oju is one of the nine weeks of the ancient period, and according to literature records, the construction of Seojuseong Fortress has a long history of 2573. This is the land of Oseongtong-gu, a political and military hub, and flood disasters have frequently led to frequent reconstruction of fortresses. In particular, it is also an important place to show that the function of the fortress is defensive and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floods. This study analyzed the shape of Seojuseong Fortr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s in the Myeongcheong period through excavation data and literature data.
        4,800원
        1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대 중국의 개인장서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명대는 국가에서 문연각(文淵 閣)을 설치하여 문헌의 출판과 소장을 엄격하게 관리하였기에 국가 주도의 문헌 출 판 사업이 크게 제한을 받았다. 반면 경제적 번영과 인쇄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개인 장서가들의 출판 활동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지금의 강소성 상숙현(常熟 縣)은 명대 경제문화가 가장 발달한 지역 가운데 하나였으며, 출판의 중심지었다. 모 진(毛晋)은 상숙현 출신으로 명말 청초 시기에 활동한 장서가이며 출판가이다. 명대 를 대표하는 개인 장서가이며 출판가인 모진의 고문헌 수집과 출판 활동은 매우 활 발하여 소장 도서가 84,000책에 달하며 출판한 서적도 경사(經史)와 소설, 필기류를 포함하여 600여 종에 달한다. 그가 수집한 선본과 그 선본을 저본으로 한 많은 고문 헌의 출판은 중국 고문헌의 보존과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본고에 서는 모진의 평생 가업인 장서와 출판활동에서 나타난 주요 특징과 중국의 고문헌 정리에 있어 서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4,800원
        1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7~19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의 제작배경, 유형과 시기별 특징, 그리고 조 선과 일본도자에 미친 영향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삼았다. 박고문자기는 고동기에 대한 완상 및 애호가 일종의 문인취미로서 확산되었던 명․청대 사회상을 반영한 대표적인 시각작품이다. 그 제작배경과 관련하여 당대 문헌사료들을 통해 박고취미가 성행했던 시대적 배경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17~19세기 자기 박고문에서 보이 는 고기물 도상, 문방청완, 팔보 등 기타 길상소재 등의 구성요소로 유형 분류를 시도하고, 유형별 자기 박고문의 편년자료와 양식을 통해 17~19세기 박고문자기의 시기별 특징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17~19세기 자기 박고문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했으며, 이는 곧 시기별 박고문자기의 변천과 특징으로 이어졌다. 17세기 중후반, 경덕진 민요에서 문인취 향이 적극 반영되어 나타난 박고문자기는 18세기 이후에는 官樣의 내수뿐 아니라 다양한 품종으로 유럽 수출자기로도 크게 성행하였다. 19세기에는 전반적으로 자기의 질이 쇠퇴되며, 민간 잡보를 비롯한 여러 길상적 문양요소로 이전보다 더욱 번잡해지는 구성으로 변모되었다. 한편 박고문자기는 같은 한자 문화권이었던 조선과 일본도자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현전 하는 작품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그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조선의 경우, 조선 후기 골동애 완풍조 등 중국의 복고적 취향을 잇는 주요 매개체로 작용하였으며,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19세기 민화적 요소와 결합되어 자기의 문양으로 변용되었다. 일본은 조선과는 달리 17~18세기 유럽시장을 배경으로 한 수출자기에서의 수용과 변용이 이뤄졌으며, 일본식 미 감이 가미된 일본 수출자기의 특색으로 자리하였다. 이처럼 조선과 일본 각국에서 중국 박고 문자기를 수용하는 시기와 경로, 모방과 변용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점을 통해 동아시아 도자 문화에서 갖는 박고문자기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7,700원
        1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朝鮮王朝實錄을 기초 자료로 삼아 15세기 명나라 사신의 서화 교류의 구체적인 발생 양상을 분류하여 정리하였고, 題畫詩및 題 跋⋅記文등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서화 교류가 문학 교류⋅우호 외교⋅ 문화 수출 분야에 담당하였던 역할을 밝혔으며, ‘朝中文化交流史’ 및 ‘東 亞藝術史’의 각도에서 15세기 명나라 사신의 서화 교류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우선, 15세기 朝鮮使行중 서화 교류의 구체적인 발생 양상은 주로 作 畫留書⋅禮物贈受⋅請書請畫세 가지로 분류된다. 일부 書畫에 능한 명나라 사신은 朝鮮을 방문하는 동안에 서화의 재능을 펼쳐 적극적으로 서화 교류에 나서는 동시에 조선 문인과 詩文唱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서화 교류의 결과물, 즉 그림과 글씨는 詩文唱酬의 대상이 되었고 한시는 당시 서화 교류의 형태를 기록하였다. 15세기 명나라 사신은 양국의 우호 관계를 증진하고 문화적인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서화를 선물하곤 하였다. 명나라 사신은 귀한 선물을 사양하면서 조선왕실에서 증여한 書簇⋅畫簇⋅法帖⋅書帖등 서화 선물을 흔연히 받 아드렸다는 기록도 서화 교류의 융통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명나라에서는 조선 서화에 대한 생기면서 명나라 사신은 조선왕실에서 적 극적으로 조선 서화를 청탁하기 시작하였다. 15세기 명나라와 조선 간의 서화 교류는 보편성과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詩文唱酬를 진행하는 데 참여 인원이 높은 문학적인 수준을 갖춰야 한다는 상황과 달리 서화 교류는 쉽게 접할 수 있는 교류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 많이 배우지 못한 명나라 內史⋅少監도 禮物贈受⋅請 書請畫의 방식을 통해 서화 교류에 많이 참여하였다. 한편, 서화 자체의 특성(휴대성, 적당한 가격, 예민한 문자가 없음 등)은 선천적인 편의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명나라 사신은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친한 조선 관원에게 서화를 선물로 하여 우호 관계를 추진하면서 서로 부담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朝⋅中문화 교류사’ 및 ‘동아시아 예술사’의 시각으로 볼 때 15세기 朝鮮使行중 발생한 서화 교류는 새로운 ‘畫題’⋅畫法을 도입 하여 15세기 조선 畫壇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고, 16~17세기 朝⋅明간 활발한 서화 교류의 성황을 위해 토대를 마련하였다.
        7,700원
        1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ew type of comprehensive Life Encyclopaedia that appeared in the Ming Wanli years were close to the folks and life, and the enthusiastic publishing lasted for two to three hundred years and preserved the first-hand information on social life at that time. owadays, such books are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and it is particularly inconvenient to search for them. Therefore, the academic circle lacks research results on the overall investigation of their origin and evolution, which causes some difficulties for researchers to use such literature.By systematically combing the editions of Life Encyclopaedia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content changes of Life Encyclopaedia in different time periods, and reveals that after the late Ming Dynasty, Life Encyclopaedia gradually form a unified form from the initial diversified editions. In order to control the cost and increase the sales volume, the volume of such books is decreasing gradually.In terms of content, the Life Encyclopaedia use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its specific conten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imes and needs, and in the reign of Emperor Qianlong of the Qing Dynasty, Emperor Guangxu of the Qing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Republic of China, the content of the book was revised three times.
        5,800원
        15.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o Xian Guan Yi Yu” is included in the C version of “Hua Yi Yi Yu”, recorded more than five hundred vocabularies about astronomy, geography, hunman affairs and so on in Ming dynasty. The material were all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It is not only the vital material for researching Korean language, but also an important clue for the study of official phonetics in Ming Dynasty. Until now most of the relative research are concentrated on Korean phonetics part. Ming dynasty's Chinese characters and phonetics are saved in “Chao Xian Guan Yi Yu". At the same time, as officially translated document uses characters for recording Chinese phonetic and vocabulary information, reflecting the situation of Mandarin at that ti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ccurate time of the book, backgrou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ndarin phonetics and vocabulary at the time of “Chao Xian Guan Yi Yu” based on the phonetics and vocabulary provided in the data, and determine that which Mandarin was offically used at that time through the phonetic and vocabulary of Chinese. 저
        4,800원
        16.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orning ritual was a rite whereby a morning audience with the emperor was held for feudal lords sovereigns and subjects living in the precincts, monarchs or foreign envoys of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and other ethnic group. Distinction between the main and subordinate rituals, changes in the ceremony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position or rank of those participating in the rite, wer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ed the costumes worn for ritual.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costumes worn by members of the Ming dynasty (emperor, prince imperial, prince)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period and detailed ceremonies with a focus on the morning ritual and costume systems presented in the official historical records. Through this study, only Mian-fu (冕服) and Pi-bian-fu (皮弁服) were defined by the costume system ase costumes worn in the morning ritual. However,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morning ritual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ongtian-guan-fu (通天 冠服), Yishan-guan-fu (翼善冠服), and Bianfu (便服: slightly casual wear) were also wor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color of Gunlong-pao (袞龍袍)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status; the Emperor wore yellow, the Prince Imperial and lower levels wore red, which was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academia. However, following confirmation of the custom costume for the morning ritual,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of this differentiation appeared during the 3rd year of Emperor Yongle of Ming (1305). Previously five traditional colors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were used for the season.
        5,200원
        17.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석명』에 수록된 글자 중에서 유가철학적 인식의 특징이 보이는 글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漢朝의 신유학은 정치의 시녀로 전락 하였다는 점과 도가와 법가 등 여러 사상이 혼재되었다는 점 등에서 非儒라고 비판 하기도 한다. 하지만 漢朝의 유학과 사상, 문화 등은 이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문화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우리는 반드시 다양한 각도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석명』의 字釋은 그 당시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대한 작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석명』의 仁· 誼·禮와 德에 대한 관념, 그리고 선악과 시비에 대한 유희의 해석에는 선진유학의 전통적인 유가철학적 관점과 더불어 동중서의 신유학적 관점도 함께 공존하고 있어서 동중서의 유학관이 유희가 살았던 漢朝 말기까지 널리 퍼져 있었고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5,800원
        1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교주의 봉건국가’인 조선·명·청은 소설을 배척했던 통치이념과 이를 성문화한 ‘明律’의 ‘造祅書祅言’과 ‘禁止師巫邪術’ 조항이라는 법률적 근거를 공유했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분모 에도 불구하고 이들 3왕조는 각기 다른 형태의 소설규제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우선 ‘금지소설’1)의 법적 근원인 ‘挾書律’과 ‘唐律’의 계승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唐律’의 ‘造祅書祅言’ 조항이 어떻게 ‘明律’과 ‘淸律’의 ‘造祅書祅言’과 ‘禁止師巫邪術’ 조항으로 계승되었는지, 또 어떤 형태로 조선에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끝으로 전문적인 소설규제법을 제정한 청대 ‘법제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 찰 결과 유가적 통치이념을 공유하였지만 ‘淫’에 주목하지 않았던 명과 ‘淫’에 주목했던 청, 그리고 ‘稗’에 주목하였던 조선의 문화적 정서적 차이가 각기 다른 양상의 소설규제라는 정치 적 결과를 야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도 한중소설 비교연구에 법전과 실록이 공통성 과 객관성을 담보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6,900원
        2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중국 운남성 라평현 명가촌(中國雲南羅平縣明格村)대상지로 명가촌의 생태보전 및 지역발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운남성 라평현의 독특한 계단식 밭 경관(梯田景觀)은 중국의 중요한 농업문화유산이고 매우 높은 보존 가치를 가지고 있다. 운남성 라평현 면가촌에서 살고 있는 포의족(布依族)은 중국의 소수 민족에 속하며, 그 민족의 전통문화와 풍습은 중국의 중요한 무형문화유산으로 보전가치 크다. 중국은 고대부터 다민족 국가였다. 수천 년 간 다른 민족문화와 지역문화가 서로 융합되어 상호 영향력이 중국의 전통문화를 형성했다. 소수 민족의 전통문화는 중국 민족의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운남성 포의족(布依族)은 독특한 의상, 음식, 건축, 무용, 공예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현대문명의 통일화에 따라서 운남 포의족 전통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중국 독특한 소수 민족 문화가 시간에 흐르면서 잊혀지고 없어지는 것은 세계 문화사에 커다란 동정이다. 그래서 포의족 문화의 전승과 보전에 대한 내용도 핵심 내용이다. 현재 명가촌의 농촌마을계획은 장기간 단일화 발전 모델로 이 지역의 보전가치가 큰 계단식 밭경관과 포의족(布依族)의 문화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점차 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명가촌의 경관보전 및 지역발전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명가촌의 생태마을설계와 무형문화유산의 보전을 기반으로 지역 발전의 활성화 계획을 다루고자 한다. 첫째, 명가촌 생태마을설계에 대한 내용이다. 우선 기존의 농촌마을계획을 진단하였다. 생태마을설계 방향은 자연생태환경과 포의족 전통건축 복원 및 계단식 밭의 보전이다. 둘째, 마을의 무형문화유산 보전방안이다. 농업문화유산은 현대 농업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과학 기술이 꾸준히 발전함에 따라 수천 년 동안 지속되어 온 전통적인 농업은 사라질 위기에 있다. 명가촌 계단식 경작지의 경제적 가치, 생태적 가치, 미학적 가치, 문화적 가치, 과학적 연구 가치 및 사회적 가치와 같은 여러 가치를 가지고 있다. 반면, 면가촌 전통적인 농법은 단지 1차 산업에 국한되어 있고, 계단식 경작지는 경사가 급하고 협소한 폭으로 기계경작이 어려워 농민의 소득과 생활수준을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한요소는 오히려 녹색농업, 유기농업 및 생태농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회요소가 되고 있다. 계단식 경작지와 연계한 생태관광의 개발을 장려하고, 다자간 경제 보상을 통한 유기농업과 특색 있는 농업을 촉진한다면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명가촌 Permaculture 및 생태관광 모행 도입이다. 1). 전통적 단일농업 → 다양한 산업구조 퍼머컬쳐로 전환(유채 재배업, 유채씨 기름 가공업, 양봉업, 유기농산물 판매 산업) 2). 생태관광 개발 (포의족 전통문화 홍보, 지역수익증가, 생태경관보전)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