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tioxidant activities (FRAP, ABTS, and DPPH),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lotus (Nelumbo nucifera) extracts. Lotus leaves, stems, and seed pods were extracted with deionized water at 95℃, and with 70.5% ethanol at 85℃. The TPC ranged from 8.12 to 215.12 GAE mg/g. The ethanol extract of the seed pod had the highest TPC, and the TPC of the corresponding deionized water extract was 161.45 mg/g. FRAP values ranged from 104.03 to 3,546.39 TEAC μmol/g,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ies ranged from 105.11 to 3,956.94 TEAC μmol/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anged from 37.29 to 2,549.46 TEAC μmol/g. EC50 values ranged from 0.26 to 9.63 mg/mL, and 0.31 to 21.21 mg/mL for ABTS and DPPH, respectively. The ethanol and deionized water extracts of the seed pod showed higher TPC and stronger antioxidant properties (FRAP, ABTS, and DPPH) than those of characteristic of the leaf extracts. The ethanol and deionized water extracts of the seed pod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with inhibition zones of 9.0 to 14.0 mm, and the ethanol extract of the leaf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nd S. aureus with inhibition zones of 9.0 and 10.0 mm, respectively. Thus, the lotus seed pod could be used to produce novel teas, and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therapeutic ingredients for food and medicin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biochemical factors in lotus (Nelumbo nucifera) leaf, stem, and yeonjabang and their effects on serum factor levels in mice fed a high-fat (HF) diet. The loutus leaf showed 9.47±0.30% moisture content, 8.25±0.39% ash, 21.45±1.25% crude protein, and 2.21±0.13% crude fat content; the lotus stem showed 11.84±0.43% moisture, 10.21±0.64% ash, 17.55±0.92% crude protein, and 4.16±0.23% crude fat content; and the lotus yeonjabang showed 11.86±0.50% moisture, 6.81±0.51% ash, 18.71±1.02% crude protein, and 3.95±0.15% crude fat. Blood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r in the HF group (146.43±38.81 mg/dL), and lower in the HF+yeonjabang groups (98.00±17.18 mg/dL). In particular, blood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that had 10% dry yeonjabang powder added to the high-fat diet. The inclusion of excessive high-fat diet increased concentrations of serum insulin and leptin. Serum leptin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the HF group mice (3.00±1.35 ng/dL), whereas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yeonjabang groups by 1.34±0.52 ng/dL (p<0.05). Thus, addition of dry yeonjabang powder to the high-fat diet was more effective in regulating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s and leptin in mice. Additional studies would help in the development of yeonjabang as a functional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Jeolpyeon containing lotus seed powder. Original Jeolpyeon and Jeolpyeon with BHT (butyl hydroxy toluene) werecompare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ased ontotal poly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SOD-like activity. Total poly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Jeolpyeon containing lotus seed powder were estimated at 37.81±0.45 mg GAE/g and 26.35±0.13 mg Q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upon addition of lotus seed powder. Further, reducing power was higher in Jeolpyeon containing lotus seed powder than original Jeolpyeon or Jeolpyeon with BHT. The antioxidative effect of Jeolpyeon significantly increased uponaddition of lotus seed powder.
The effec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leaf dry powder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were evaluated in rats. Forty-eigh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ed high fat diets for sis weeks. Experimental groups were following diets; Control group (CON), 40 % animal and plant high fat group (AHF and PHF) control with 2% Lotus leaf dry powder group (CLDP), animal and plant high fat diets with 2% Lotus leaf powder group (AHFLDP, PHFLDP). Tissue weights of liver, heart, kidney, spleen and lung of AHF group exposed rats were decreased by PHFLDP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in rats fed the CLDP and PHFLDP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in CLDP and PHFLDP group the were lower than those in AHF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H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CLDP and PHFLDP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levels of L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CLDP and PHFLDP groups were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GPT and GOT were decreased in CLDP and PHFLDP groups and than in the AHF group. LDHase was lower in CLDP and PHFLDP groups than in the AHF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2% Lotus leaf dry powder groups may reduce elevated levels of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aquatic ornamental herb with multiple uses, including food, tea, natural pigments, and/or healthcare produ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lotus sprouts grown in three media: sprouting machine (LSSG), soil (LSSC), and mud (LSMC). The longest sprout was obtained in LSMC (4.79 and 26.79 ㎝) followed by LSSC (1.95 and 5.4 ㎝), and LSSG (0.60 and 2.85 ㎝) at 5 and 10 days, respectively. Higher amou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were found in cotyledons (33.96, 21.45, and 38.90 ㎎/g) than in hypocotyls (15.77, 7.90, and 15.29 ㎎/g ) for LSSG, LSSC, and LSMC, respectively. The ratios of total essential to total non-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er in hypocotyls (0.36, 0.31, and 0.46) than in cotyledons (0.34, 0.25, and 0.40), respectively. Similar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hypocotyl of LSMC (50.33 ㎍ GAE/g) was the highest and that of the husk of LSSG (24.08 ㎍ GAE/g) was the lowest. Overall,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hypocotyl was higher than that of husk and cotyled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tus sprouts grown in mud could be a good source of nutritional and natural antioxidants.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써 이미지 분석법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우선 신선편 이 연근의 갈변 저해 처리를 위해서 50℃의 증류수에 5분간 블랜칭 처리(DB), 50℃의 1% ascorbic acid에 5분간 블랜칭 처리(AB), 50℃의 1% citric acid에 5분간 블랜칭 처리(CB) 하고, 절단 후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갈변 저해 처리 후 0.04 mm의 polyethylene film(25 cm×30 cm)에 열 접합 포장 후 4℃에서 9일 동안 저장하면서 관능 평가, 갈변도, polyphenol oxidase 활성을 분석하였다. 연근 의 갈변도 분석은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컬러 모델을 사용하였는데, 우선 RGB와 CIE L*a*b* 컬러 모델에서 각각 의 색 지표를 분석하고 HSV 컬러 모델을 이용하여 갈변 면적을 분석하였다. 관능 평가에서 AB와 CB 처리구가 저 장 9일째까지 갈변 현상이 가장 많이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 고, RGB 컬러 모델에서 R, G, B 값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AB와 CB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정도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CIE L*a*b*와 HSV 컬러 모델에서는 저장 기간이 지남에 따라서 L*값은 감소하고 a*, b* 값과 갈변 면적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 었는데 AB와 CB 처리구에서 값의 변화 정도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olyphenol oxidase 활성 분석에서 도 모든 저장 기간 동안 AB와 CB 처리구에서 효소의 활성 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위의 결과들을 토대로 유기산과 블랜칭 병용 처리에 의해서 연근의 갈변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관능 평가와 모든 실험 결과 값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최소 0.84 이상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특히 L* 값이 0.93으로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이미지 분석법은 다양한 컬러 모델을 이용하여서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도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무안 회산지 백련의 개화 상태를 통해 개화 이력을 알 수 있는 지표 마련 및 이를 이용하여 생태 체험관광 자원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자료 확보 측면에서 개화 기간 중의 화형 변화를 조사하였다. 꽃은 개화 1일째는 6시에, 2일째는 5시 40분, 3일째는 6시 10분, 4일째는 5시 10분에 개화가 시작되어 오전 중에 피었다가 12시 이후에는 오므려들었다. 꽃의 직경은 개화 1일째는 10시 정각에 7.6cm, 2일째는 7시 정각에 25.2cm, 3일째는 8시 정각에 23.7cm, 4일째는 10시 정각에 22.2cm로 최대치를 나타냈다. 꽃잎 수는 14개였으며, 3일째에 2개가 탈락되었으며, 4일째 12시 이전에 모두 탈락되었다. 꽃잎의 각도는 개화 1일째는 모두 직립하였으며, 1일째와 4일째는 하향된 꽃잎이 없었고, 2일째는 수평, 3일째는 직립형과 사립형이 많았다. 이와 같이 백련 꽃의 화형은 개화 후 경과 일수에 따른 각각의 특성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개화 상태별로 시청각 자료나 모형을 만든 후 시청각 자료 및 모형을 보면서 개화 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하면 무안 회산지 백련은 생태체험 관광 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연 종자의 발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 무안산 백련 종자를 이용해 종피의 파상부위, 발아 온도, 황산용액 처리 농도 및 시간별에 따른 종자 무게 변화와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종자를 파상하지 않고 파종한 것은 15일째가 되어도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부를 파상하여 25℃에서 발아를 시킨 것은 6일 만에 100%가 발아 되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종자를 물에 침적시켰을 때 물에 뜬 것(0.90 g)과 가라앉은 것(1.18 g) 모두 발아 되었으나 침적된 종자를 25℃에서 발아 시켰을 때 발아세가 가장 좋았다. 황산처리는 80% 용액에서 40-160분간 침적처리 했을때 6일째에 100%가 발아해 가장 우수한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종자 채취 후 0개월, 12개월 및 24개월 된 것을 파종한 결과 발아세와 발아율에 차이가 없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연의 종자번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청양백련의 개화 상태를 통해 개화 이력을 알 수 있는 지표 마련 및 개화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자료 확보 측면에서 개화 기간 중의 화형 변화를 조사하였다. 꽃은 개화 1일째는 6시 10분에, 2일째는 6시 20분, 3일째는 6시 40분, 4일째는 5시 50분에 개화가 시작되어 18시까지 지속되었다. 꽃의 직경은 개화 1일째는 9시 정각에 22.3cm, 2일째는 11시 정각에 26.5cm, 3일째는 10시 정각에 26.6cm, 4일째는 9시 정각에 26.7cm로 최대치를 나타냈다. 꽃잎 수는 16개였고, 3일째에 2개가 탈락되었으며, 4일째 11시 이전에 모두 탈락되었다. 꽃잎의 각도는 개화 1일째는 모두 직립하였으며, 1일째와 4일째는 하향된 꽃잎이 없었고, 2일째는 하향, 3일째는 직립형과 수평형이 많았다. 이와 같이 청양 백련 꽃의 화형은 개화 후 경과 일수에 따른 각각의 특성이 뚜렷하였으며, 이는 개화 이력을 추적하는데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건조 연근을 포장방법(PE 필름, PP 필름, 마대, 종이봉투)과 저장온도(-5, 0, 10, )를 달리하여 품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분함량, 경도변화, 색도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수분의 함량은 PE, PP 포장재에서 종이봉투 및 마대 처리구 보다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마대와 종이봉투 포장재는 온도에 따 시료간의 수분함량 차이에 있어서 PE와 PP의 포장재와 달리 큰
연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구분한 후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릭 화합물은 백련 잎에서 각각 12.84 mg/g 및 24.33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
연자육 분말을 밀가루 중량에 대해 0, 5, 10, 15, 20%를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빵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 연자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과 조섬유 함량 등이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구 보다 연자육 분말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빵 무게는 연자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 수 록 증가하였으며, 부피는 감소하였다. 빵의 비용적은 연자육 분말 첨가구가 이었고, 대조구는 5.12 mL/g
Nelumbo nucifera root(NNR) is used to clear summerheat(暑熱), bear Yang(陽) upwards and stop bleeding as mention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lso, it has been known that NNR is effective for lowering blood pressure and hyperlipidemia. The rhizome is considered to be nutritive, demulcent, diuretic and cholagogue and is used to treat piles, dyspepsia and diarrhea. An increasingly growing market for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has triggered the study on natural sources for nutraceuticals, health foods and functional foods. But rhizome was inconvenient to formulate liquid dosage form(extract) by way of hot water because of its limited storage. Also the majority of the consumers have a complaint against the dos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unctional materials from NNR without side effects. We formulated the solid dosage form viz tablet and granule from the lotus root.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in terms of smell, taste, color and overall of lotus root and all colored forms(brown, dark brown, light green and yellow) of tablet and granule to evaluate the acceptability of the formulated tablets and granules. In sensory evaluation, among the formulated tablets and granules, light green granules obtained best score overall and yellow tablets showed the overall improved acceptability. In conclusion, lotus rhizome could be recommended as functional food. Further studies to clarify bioactive functions of Nelumbo nucifera in experimental animal model on atopic dermatitis are in progress.
연근의 생리활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HMG-CoA reductase 저해능과 in vivo 에서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유발된 흰쥐의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선효능을 실험하여 검토하였다. In vitro 에서 연근 에탄올 추출물은 HMG-CoA reductase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In vivo 에서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혈증 예방효과는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HC군은 정상식이만을 급여한 NC군에 비하
Minimally processed lotus root was stored at 4 followed by dipping in distilled water, 3% ascorbic acid, 1% citric acid, 1% acetic acid, 1% EDTA, 2% lactic acid and 3% malic acid. The weight loss, color, soluble solids, pH, vitamin C and sensory characteristic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period. The rate of weight loss decreased in the minimally processed lotus root. ΔL was changed slightly after 1 week storage and 1% acetic acid and 1% EDTA especially retarded a little retardation in browning during storage. Soluble solids was changed slightly, but decreased after 2 week storage in lotus root treated with 2% lactic acid and 3% malic acid. pH increased but vitamin C decreased during storage. The organoleptic quality of lotus root treated 1% EDTA showed the best by sensor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