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of medicinal plants and mushrooms plays a crucial role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potenc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processed under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120 to 180 °C) and times (10 to 20 minutes). Processed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including total phenol content,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NO assay, ROS scavenging capacity, and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Antioxidant potency was highest with processing at 180 °C for 10 min and at 210 °C for 10 min. This enhanced activity is likely attributed to changes in compound functional groups due to heat processing, which in turn influences antioxidant activity. In contrast to antioxidant potency, chemical components, including ganoderic acid D, ganodermanonitriol, and ergosterol, showed decreasing trend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ime.
본 논문에서는 역학적 변수들을 측정하는 방안으로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과 강형식 기반의 MLS 차분법을 융합한 DIP-MLS 시 험법을 소개하고 추적점의 위치와 이미지 해상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시료에 부착 된 표적의 변위 값을 측정하고 이를 절점만 사용하는 MLS 차분법 모델의 절점 변위로 분배하여 대상 물체의 응력, 변형률과 같은 역 학적 변수를 계산한다.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서 표적의 무게중심 점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미지 기반의 표적 변위를 이용한 MLS 차분법의 역학적 변수의 계산은 정확한 시험체의 변위 이력을 취득하고 정형성이 부족한 추 적 점들의 변위를 이용해 mesh나 grid의 제약 없이 임의의 위치에서 역학적 변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개발된 시험법은 고무 보의 3 점 휨 실험을 대상으로 센서의 계측 결과와 DIP-MLS 시험법의 결과를 비교하고, 추가적으로 MLS 차분법만으로 시뮬레이션한 수치 해석 결과와도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기법이 대변형 이전까지의 단계에서 실제 시험을 정확히 모사하고 수치해석 결과와도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서리 점을 추가한 46개의 추적점을 DIP-MLS 시험법에 적용하고 표적의 내부 점만을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경계 점의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 시험법을 위한 최적의 이미지 해상도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직접 실험이 나 기존의 요소망 기반 시뮬레이션의 부족한 점을 효율적으로 보완하는 한편, 실험-시뮬레이션 과정의 디지털화가 상당한 수준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적절한 행동을 위해서는 사회인지적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정서 정보의 처리 역시 중요하다. 정서의 처리과정은 자극의 속성 뿐 아니라 다양한 맥락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정서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효과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물형운동자극을 사용한 정서변별과제를 시행하였다. 첫 번째 과제에서는 분노, 행복, 또는 중립 정서를 지닌 단서자극과 함께 제시된 빨강, 초록, 흰색, 또는 노란색 중 하나의 색과 분노 또는 행복 정서를 지닌 표적자극을 비교하여, 단서자극에 비해 표적자극이 나타내는 정서를 판단 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정서 중립 자극만을 사용하여 색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표적자극의 특정 색과 정서 간 연합이 관찰되었다. 즉, 빨간색은 분노정서, 초록색은 행복정서 처리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단서자극과 표적자극의 정서가 일치할 때 표적자극 정서의 변별 정확도가 높았으나, 빨간색과 분노정서가 조합된 조건에서는 단서자극 정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표적자극의 색에 의해 착각적인 정서반응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주로 사용된 얼굴자극이 아닌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의 정서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 및 색 요인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가능한 후속연구 및 임상적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low processing rate for producing polyacrylonitrile (PAN)-based carbon fiber is a critical to obtain a homogeneous radial microstructure with high resistance to oxidation, thereby resulting in their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The dry-jet wet spun PAN organic fibers were processed (e.g., stabilized and then carbonized) utilizing two different rates; one is 1.6 times longer than the other. The effect of processing rate on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s of carbon fibers was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fter slow etching in air, as well as Raman mapping after graphitization. The rapidly processed fiber exhibited the multilayered radial structure, which is caused by the radial direction stretching of the extrusion in the spinning. In case of the slowly processed fiber, the layered radial structure formed in the spinning process was changed into a more homogeneous radial microstructure. The slowly processed fibers showed higher oxidation resistance, higher mechanical properties, and higher crystallinity than the rapidly processed one. Raman mapping confirmed that the microstructure developed during spinning was sustained even though fiber was thermally treated up to 2800 °C.
Temperature distribution studies were performed in steam-air retor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come-up time, sterilization temperature, and internal pressure throughout the steam-air retort). Retort temperature data were analyzed for temperature deviations during holding phas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est locations at the beginning and after 1, 3, and 5 min of the holding phase, and box-and-whiskers plots for each location during the holding phase.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sterilization temperature led to a more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than low sterilization temperature (pasteurization). In pasteurization condition, the temperature stability was slightly increased by increasing pressure during the holding phase.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stability was slightly decreased in high sterilization temperature condition. Programming of the comeup phase did not affect the temperature uniformity. In addition, the slowest cold spot was found at the bottom floor during the holding phase in all conditions.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s affected by retort processing conditions, but the steam-air retort needs more validation tests for temperature stability.
목적 : 본 연구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의 지속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만 7세 이상 13세 미만의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0분씩 8주 동안 진행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와 놀이기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포함된 총 24가지 주제에 맞는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의 사전․사후․추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사전․사후․추적조사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고, 윌콕슨 순위검정을 사용하여 사전․사후․추적조사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중재 이후 대상자들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4주후 실시한 추적조사에서 치료의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능력의 증진뿐만 아니라, 또래상호작용이 필요한 학령기 아동들에게 모방과 그룹 안에서의 연습을 제공하고, 일상생활까지 그 효과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다.
바다속 60 km 깊이의 수압과 같은 압력을 사용하여 순간적이고 균일한 압력전달로 가열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선한 맛과 향, 텍스처, 비타민의 유지 등 품질보존을 할 수 있는 기술인 HPP는 식중독과 부패미생물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술로 현재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기존의 열처리가 단백질의 변성, 화학적 변화, 전분의 호화,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쳐서 보존성을 유지한다면 HPP는 열처리의 장점은 그대로 갖고 있으면서 열처리에서 야기되는 원치 않는 화학적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보존기간이 길어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첨가물의 사용이 필수적인 육류가공품에 대해서는 초고압처리에 대한 국내 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육가공품인 슬라이스햄에 대해 600MPa 초고압처리(0분, 4분, 6분)가 이들의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수분함량은 48~69%, 염도 1.07-1.11%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었고, pH는 처음 6.4-6.5에서 6.1-6.15까지 낮아졌으나 대조군과 처리군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고압처리 후 20oC에서 보관한 일반세균 결과는 4주까지 모든 군에서 미미한 수준에서 일반미생물이 발견되었으나 5주부터는 대조군과 HPP 6분 처리군에서 105을 초과하였고 7주에는 4분 처리군, 6분처리군에서 식품으로 섭취가 불가능한 106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20oC 가중실험으로 7주간 관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군에서 대장균군이 발견되지 않았다. 육류의 단백질 신선도 판정에 사용되는 방법인 VBN은 4주차까지는 1 mg% 미만의 VBN값을 보였고 5주부터는 1~2 mg%의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군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육의 조직내 지방 산패 정도의 지표로 사용되는 TBA는 7주가 끝날 때까지 0.18 mgMA/kg 이하였고 이 수치는 신선육의 범위에 들며, 처리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는 포장재의 변성이 발생하지 않았고 가스의 발생으로 인한 부풀어 오름도 발생하지 않았는데, HPP의 효과가 전혀 관찰되지 않은 사실은 포장재의 밀착으로 인한 공기와의 차단만으로 기본적인 보존 효과를 보인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HPP) on a sterilization and microbiological shelf-life of commercial beef patties by varying the pressure level (200, 300, 400, and 500 MPa), treatment time (0-10 min), and storage period (0-16 day at 4oC). The HPP treatment of 200 MPa were ineffective, however the treatment of 300, 400, and 500 MPa reduced the bacterial count by 0.61-1.16, 1.11-1.69, and 2.73-3.86 log (CFU/g), respectively. During 16 days of storage, the viable cell numbers in beef patties treated with 400 and 500 MPa were substantially lower than those in the non-treated control. The control count reached 6.6 log CFU/g after 16 days at 4oC, but after the same storage time, the counts in HPP-treated samples of 400 and 500 MPa were 4.7 and 3.1 log CFU/g, respectively. After an HPP treatment of 200-500 MPa, the pH values were approximately 5.83-6.28. During the 16 days of storage, the pH values in the samples of 400-500 MPa were maintained at initial level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regardless of treatment time for HPP.
화학 관능기가 다른 지방산 에스터계, 지방산 금속염 및 아마이드계 분산 및 흐름개선 첨가제가 EPDM과 카본블랙을 충전제로 사용한 고무 배합물의 가류 특성과 가류된 고무 배합물의 기계적 물성 및 노화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무니점도계, 레오미터, 경도계, 만능재료시험기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25 oC에서 측정된 무니점도는 아마이드계 > 금속염계 > 에스터계 첨가제의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스코치시간은 에스터계와 금속염계 첨가제는 첨가 유무에 따라 거의 차이가 없거나 조금 늦어지며, 아마이드계 첨가제는 1분 이상 빨라졌다. 160 oC에서의 레오미터 측정 결과 가류시간은 금속염계 와 아마이드계 첨가제의 경우는 가류반응이 빨리 진행되었다. 델타토크 값은 금속염계와 아마이드계 첨가제가 있는 경우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에스터계 첨가제가 있는 경우는 약간 감소하였다. EPDM 배합물의 인장강도는 에스터계 첨가제가 첨가된 경우 크게 향상되었으며, 아마이드계와 금속염계 첨가제의 경우는 큰 영향이 없었다. 신율의 경우는 금속염계 첨가제의 경우 크게 향상되었으며, 나머지의 경우는 큰 영향이 없었다. 인열강도는 첨가제의 첨가에 따라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금속염계 첨가제의 경우에서 확연히 상승하였으며 경도는 첨가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100 oC에서 24 시간 열노화시킨 EPDM 배합물은 금속염계와 아마이드계 첨가제의 경우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신율의 변화는 첨가제를 함유한 모든 EPDM 배합물이 10-20%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For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for hypoglcemia,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model system to confirm factors that reduce the glycemic index in real foo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l model system and real food the high amylose type of segoami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ncentration (X1; 10, 15, 20, 25, and 30%) and steaming time (X2; 30, 35, 40, 45, and 50 min). The predicted glycemic index (Y1) was analyz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gression of pGI was 0.7343, indicating that the model fits the data well in the prediction test. The predict glycemic index of the gel was in the range of 71.38 ~ 83.78, depending on the gel preparation conditions and predicted optimum condition was 23.7% gel concentration and 43.8 minutes of gelatinization. The predict glycemic index of rice gel were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gel concentration, rather than the steaming tim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n in vitro digestibility in real food, the real food (Garraedduk) was prepared by applying the optimal condition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value (77.1) and the experiment value (76.6). This result showed that the in vitro digestibility in real food can be predicted by applying the gel model system.
Broccoli, one of Brassica vegetables, has been known to possess various health benefici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ion, anti-oxidation and anti-cancer etc. Various metabolites were indicated as active compounds in broccoli. Glucosinolates such as glucoraphanin, glucobrassicin, glucoerucin and isothiocyanates, i.e. sulforaphane, which is produced through the enzymatic action of myrosinase are getting focus as their bioactivities. In this study, we treated broccoli with pulsed electric field (PEF) processing and the metabolite profil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metabolomics analysis. PEF process was applied to stem and floret of broccolis with three different levels; 500, 1000, 1500 pulses with 2 kV/cm, then metabolites were extracted with 70% methanol. Metabolomic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mass spectrometry throug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OPLS-DA model. Significant changes of metabolite profiles were observed by PEF treatment and specific metabolites were affected as dose dependent manner. Content of major glucosinolates compounds such as glucoerucin, glucoiberin, glucoraphanin, glucobrassicin, 4-hydroxy glucobrassicin, and 4-methoxy glucobrassicin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ile sulforaphane was distinctively increased in PEF treated broccolis. The results implied that myrosinase released from vacuole by PEF processing transformed glucosinolate into isothiocyanate, which would be useful findings for enhancing bioactivity of broccoli by simple PEF treatment.
Self-assembled monolayers(SAM) of microspheres such as silica and polystyrene(PS) beads have found widespread application in photonic crystals, sensors, and lithographic masks or templates. From a practical viewpoint, setting up a highthroughput process to form a SAM over large areas in a controllable manner is a key challenging issue. Various methods have been suggested including drop casting, spin coating, Langmuir Blodgett, and convective self-assembly(CSA) techniques. Among these, the CSA method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due to its potential scalability to an automated high-throughput process. By controlling various parameters, this process can be precisely tuned to achieve well-ordered arrays of microspheres. In this study, using a restricted meniscus CSA method, we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cessing parameters on the formation of large area self-assembled monolayers of PS beads. A way to provide hydrophilicity, a prerequisite for a CSA, to the surface of a hydrophobic photoresist layer, is presented in order to apply the SAM of the PS beads as a mask for photonic nanojet lithography.
MAO ceramic coatings were prepared on AZ61 magnesium alloy for various processing times ranging from 5 to 60 min, in an electrolyte solution based on silicate-fluoride. The mechanical, electrochemical and, microstructural properties and the phase compositions of the coating layers were investigated. In this work, unlike previous studies, coatings with high amounts of the Mag2SiO4 phase were formed which contained small amounts of MgO and MgF2 at a processing condition of 30 min. A microstructur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rosity of the coatings was reduced considerably with an increase in the processing time, together with a change in the pore geometry from an irregular to a spherical shape.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and mechanical testing results showed that the coatings acquired after a processing time of 30 min were superior to all of the others.
본 실험은 초고압과 입자도 차이에 따른 더덕의 외피와 육질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진행하였다. 외피의 경우 입자도 크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유의 차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육질의 경우에는 입자도 크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유의 차가 나타났다. 초고압 하에서 실시한 더덕 외피에서는 입자도간 항산화 활성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육질에서는 초고압 처리한 압력에 따라 또한 측정한 항산화 성분에 따라 입자도 간에 유의차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시료를 구성하는 물질이 서로 다른 경도를 지니고 있어서 내부저항에 차이가 생기는 것에 기인하며 초고압 처리가 내부저항에 작용하는 정도에 따라 기인되었을 것으로 추론한다. 이 같은 결과로 더덕을 외피와 육질을 분리하지 않은 채 입자도 영향을 분석할 경우 입자의 크기가 큰 영역에 항산화도가 높은 외피가 많이 분포되어 오히려 항산화도가 높음을 관찰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ss-fed cow’s milk (GM) and conventional feed-fed cow’s milk (CM) with various conditions of non-thermal high-pressure processing (HPP) sterilization process. The sterilized GM and CM stored at 5℃ and 10℃ for 14 days and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was evaluated.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changes of HPP sterilized milk were maintained acceptable level 6.7-6.8, 0.14-0.16%, respectively. HPP sterilization was efficient in the reduction of total bacterial population to decrease the level of 4-7 Log CFU/ml compare to those of unsterilized control milk, and coliform bacteria was not detected in the HPP sterilized milk. Non-thermal HPP sterilization processing was not affected milk fatty acid composition compare to those of low temperature long time process (LTLT) sterilized milk. GM has lower ratio of n-3:n-6 unsaturated fatty acid level than those of CM.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GM and commercial milk products, overall consumer acceptance of HPP sterilized GM was higher than CM and LTLT commercial product. In conclusion, the effects of HPP was comparable with conventional LTLT sterilization process to control undesirable microorganism in the milk products with minumal nutritional and chemical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