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에서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을 처음 사용을 시도할 때, 작물재배지에 정착시키기 위해서 몇가지 변수에의해 성공여부가 결정되기도 한다. 이에 우리는 천적을 보다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조건들을 탐색하여 보고,그 중 실제로 사용하여 성공하였던 사례를 보고한다. 보다 성공적으로 진딧물 방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콜레마니진디벌 방사시 뱅크플랜트의 사용이 요구된다. 작물재배와 동시에 뱅크플랜트가 투입될 경우, 뱅크플랜트에 유인 진딧물류의 정착과 콜레마니진디벌이 안정적으로 정착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지속적인 콜레마니진디벌 방사시기를 결정하고, 배송천적의 품질관리을 위하여, 간이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의 밀도를 간이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작은 용기와 끈끈이트랩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농가에서 천적을 배송 받은 후 바로 방사할 여건이어려울 경우, 배송된 콜레마니진디벌이 담긴 병 안에 꿀물을 급여하여 우화하기 시작한 기생봉의 생존율을 높일수 있도록 하였다.
포식성노린재는 최근 시설재배지에서 활용가치가 높이 평가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포식성노린재중담배장님노린재를 포장에 정착시키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포식성노린재류의 먹이인 가루이류, 진딧물류 등의해충이 발생하지 않은 포장에 방사할 경우, 담배장님노린재는 먹이가 없어 방사한 포장에 정착하지 못하고 외부로날아가 비용대비 효과를 얻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우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담배장님노린재를해충이 발생하지 않는 포장에 조기정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유인식물로 알려진 참깨를 활용하여 담배장님노린재를정착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농가에서 참깨 등 유인식물을 미리 준비하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여 대체먹이를 선발하고자하였다. Ephestia kuehniella, Artemia franciscana, Typha angustifolia 등을 먹이로 제공한 결과, 담배장님노린재 약충발육기간은 각각 12.8, 13.5, 17.5일이었다.
The hard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Ixodida: Ixodidae) is one of the vectors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syndrome virus (SFTSV) causing in humans, however little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biological control of the pest.We evaluated three bioassay methods, such as spray, dipping and dropping. As a result, the dipping method was themost efficient way to measure the fungal virulence. Finally, we constructed a Haemaphysalis longicornis pathogenic fungallibrary to further facilitate the resources to be used as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A conidial suspension of 1×107conidia/ml was exposed to the ticks by dipping. We confirmed that some isolates were highly virulent to the ticks. Thisresults indicated that some fungi could be us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Haemaphysalis longicornis.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피해 차단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반사필름과 반사판, 허수아비판, 방충망이 산란에 미치는영향을 조사하였다. 블루베리 과원내 지제부 포장에 알루미늄 증착 반사필름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주당 난괴가84.6개(무처리 113.6)로 25.5%의 산란차단효과가 있었다. 또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삼각형 반사판을 설치하였때에는 주당 106개(무처리 137.6)의 난괴를 산란하여 22.9%의 산란차단효과 있었다. 또한 빨강색 허수아비판(높이1m × 폭 65cm)과 야광허수아비판(높이 1m × 폭 65cm)을 설치하여 산란차단효과를 분석한 결과 빨강색 허수아비판은주당 169.6개, 야광 허수아비판은 155.8개(무처리 154.4개)의 난괴를 산란하여 허수아비판의 산란차단 효과가 없었다.방충망 2, 4, 6, 9mm 눈금크기에 따른 산란차단효과를 살펴본 결과 무처리에서는 주당 1.7개를 산란하였을 때9mm 이하의 크기에서는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반사필름, 반사판, 방충망 설치가 갈색날개매미충산란억제 효과가 있었다.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for persimmon pest control, however the overuse caused insect resistance andenvironmental toxicity. Herein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potential of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biologicals)and entomopathogenic fungi in controlling persimmon pests, Stathmopoda masinisaa and Riptortus pedetris. A botanical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 Bacillus thuringesis NT0423 and one isolate of Beauveriabassiana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he pests in laboratory conditions. The selected botanical extract andmicroorganism were combined with a chemical pesticide (buprofezin+dinotefuran WP) and were assessed their controlefficacy in persimmon fields. Compared to the three times of chemical spray,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timeof chemical spray and the selected biologicals controlled the persimmon pests with an acceptable levels. Consequentlyone time of biological spray can be integrated to the spray program where only chemicals are strongly considered.
귤굴나방은 감귤의 어린 잎의 표면에 잠입하여 가해하고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감귤의 주요한 해충이다. 귤굴나방의방제시기 결정을 위해 연간 발생양상을 예측하는 개체군 모형을 수립하고 모의 결과를 제주에서의 지난 10년간의트랩 포획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모형의 작성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는 국내외 각 문헌으로부터 수집하였다. 귤굴나방의발육단계별 발육모형과 성충 산란모형과 같은 부속모형의 결과값들과 기주인 감귤의 신초 발육율을 산출하는데에 일평균기온을, 성충의 비행활성을 산출하는 데에 일최저기온과 일평균풍속을 이용하였으며 이에 해당하는기상자료는 기상청의 제주도내 4개 관측지점의 데이터를 입력하였다. 모의 결과는 과거 트랩 포획 데이터와 잘적합되었으며 개체군 모형을 통해 해충의 발생양상을 예측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Mythimna separata (Lepidoptera: Noctuidae) is a notorious migratory pestand has caused significant damage in NortheastAsia including South Korea. For this reason, predicting occurrence time and distribution area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for establishing early control plan. Because it cannot survive during the winter in South Korea and occurs seasonallydue to invasion from the southeast of China, general application of CLIMEX may not be adequate. Therefore, we appliedCLIMEX for analyzing seasonal occurrence M. separata of based on its growth index (GI) predicted in accordance withclimate. As a result, GI in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began to occur at the earliest time and showed the highestvalue from the end of April to the beginning of September.
토마토 재배는 적당히 높은 온습도가 유리하기 때문에 주로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인해 온도, 습도, 일조량, CO₂등을 원격으로 조절하여 힘과 시간을 덜 소모하고도작물의 생육환경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팜(Smart farm)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의 기존재배방식인 비닐하우스와 그와 다른 새로운 방식인 스마트팜에서의 위치 및 높이별 온습도와 토마토의 주요 해충인담배가루이와 작은뿌리파리의 발생량 및 시설 내에서의 발생분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비닐하우스는 논산,평택, 세종에서 각각 한 동씩이었으며, 스마트팜은 논산의 한 동이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비닐하우스와 달리 스마트팜은 온습도가 더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해충의 유입으로부터 조금 더 폐쇄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주요 해충의발생량이 적었다. 또한 작은뿌리파리는 시설의 가장자리에서, 담배가루이는 중앙부에서 밀도가 높게 나타나는경향을 보였다.
The comstock mealybugs had been occurred at a Muscat of Alexandria’ organic vineyard in Okcheon. They had beenfound in the vines’s trunk since mid-June and moved to cane and leaves since early July, and also had been found ingrape clusters since late-July. The number of comstock mealybug and the grape’s fruit damage in Eco-friendly vineyardswere higher than in conventional culture vineyard. And the marketability of green variety grape was more damaged fromcomstock mealybug than the black variety grape. Toxicities of 8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OAM) were evaluated tocomstock mealybug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As a results, Lightyellow sophora and Derris extracts exhibitedstrong insecticidal activity with 100% mortality. When the Lightyellow sophora extract was uniformly distributed on thevine from early-July to mid-July, commercial grapes could be harvested. Therefore, I thought that we can control comstockmealybug by spraying OAM in a timely period.
본 연구는 가을작형 잎들깨 재배 시 천적과 살충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시기별 주요해충인 점박이응애, 차먼지응애, 들깨진딧물, 들깨잎말이명나방의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점박이응애는 유묘기인 8월~9월말까지 낮은 발생을 보이다가 이듬해 4월부터 다시 낮은 발생을 보였다. 차먼지응애는 10월, 12월에 낮은 발생을보였고, 이듬해 2월부터 잎당 2마리 이상의 발생밀도를 보였다. 들깨진딧물은 8월에 낮은 발생을 보였고, 10월에잎당 5마리 이상의 발생을 보였으며, 이듬해 2월부터 4월까지 낮은 발생을 보였다. 들깨잎말이명나방은 8월부터9월까지 발생을 보였다. 따라서, 가을 잎들깨 해충 방제 시 점박이응애는 유묘기인 8월에 천적인 칠레이리응애와선택독성이 높은 등록약제로 방제하고, 차먼지응애 발생 시에는 점박이응에 등록약제로 방제하여 방제한다. 들깨진딧물은 월동 전에는 발생 시 약제로 방제하고, 겨울철에는 보리를 이용한 뱅커플랜트로 예방한다. 들깨잎말이명나방은8월에 등록약제로 방제한다.
시설고추에서 대만총채벌레와 꽃노랑총채벌레는 정식 후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까지 최대 발생량을 보였고,Taylor Power Law(TPL) 분석 결과 집중분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추에 발생하는 대만총채벌레와 꽃노랑총채벌레는 주로 잎을 가해하며 과실의 상품성을 저하시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중요한 해충이다. 두 해충의 조사를위해 황색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일주일 간격으로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3개 지역 모두 6월 중순 경부터 급격히밀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에 최대 발생량을 보였다. 이 두 총채벌레의 포장 내조사지점별 밀도를 비교한 결과 주로 하우스 측면과 입구 쪽에서 밀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으나 통계적 차이는없었다. TPL 분석의 직선회귀에서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 모두 기울기 b값은 “1” 이상으로 집중분포양상을 보였고 R2는 각각 0.9279와 0.9384로 신뢰성이 높았다. 추후 TPL 상수를 이용한 고정정확도 수준에서 조사주에따른 표본조사를 중지할 수 있는 총채벌레 누적마리수를 추정하여 적정 표본조사 중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We selected the trap plant that could attract Ricania spp. adult effectively and the systemic chemicals that could beused at the same time in 2016. Ricania spp. has recently spread throughout Chungnam province since its occurrence in2010. We found that sunflowers could attract them effectively in pre-oviposition period of Ricania spp. and selected thesystemic chemicals could be used with sunflower simultaneously. The sunflower attracted their adults about 90 to 95percent in pre-oviposition period. The systemic chemicals was dinotefuran SG 50% and the control effect of it was 96.2%.The control effect of dinotefuran transferred to sunflower was excellent, and the density of adult in blackberry field couldbe kept low in pre-poviposion period of Ricania spp. The abov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using sunflower as atrap plant to control Ricania spp. adults.
In recent years, not only the cultivation area of Jujube in Korea but also the number of pest species has increased.The farmers farm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re in great difficulty because there are no effective control materials. This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rol effect of the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on two pest species (Caposinasasakii and Spodoptera litura) in jujube orchard. As a result, Sophora extract and paraffin oil showed over 70% controlefficacy to the C. sasakii and Sophora extract show over 90% control efficacy to the S. litura. Therefore, Sophora extractand paraffin oil were thought to be a envionment friendly effctive materials in controlling the C. sasakii and S. litura.
국내 정부양곡 보관창고에서는 알루미늄포스파이드 정제를 사용하여 쌀 해충 방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 약제는훈증시간이 4~7일로 장시간 소요되며, 제형 특성상 분말(잔사물)제거가 필요하고, 훈증완료 후에도 3~5%의 미반응물질이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안전한 새로운 훈증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Methylbromide(MB) 대체훈증제인 Ethyl formate(EF)와 Phosphine(PH3)의 병행처리를 통해 국내 주요 저곡해충인 가루좀벌레(장두)에 대한 약효를 조사하였다.가루좀벌레 성충을 대상으로 데시케이터 실험을 통해 도출된 100% 방제 가능 조건인 EF+PH3(16.6 + 1g/m3),24시간을 금속훈증상(1m3)에서 처리한 결과 가루좀벌레에 대해 100%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양곡보관창고 훈증처리시 알루미늄포스파이드 대체제로서 EF+PH3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소나무 재선충은 현재 가장 심각한 산림해충으로 확실한 방제방법이나 진단방법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졌지만, 재선충 감염 소나무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본 연구에서는 재선충 감염소나무에 존재하는 특이 항원들을 발굴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Title: Development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detection techniques by using its specific antigens and antibodies. No. 12178-0279-01)
Chlorantraniliprole에 대한 저농도 및 고농도 저항성 계통을 이용하여 다른 약제들에 대한 교차 저항성 구명 연구를수행하였다. Chlorantraniliprole과는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지는 작물보호제들에 대한 저항성 지수를 계산하는 연구를수행하였다. 그리고, 저농도 및 고농도 저항성 게통에서 발현이 차이가 나는 Glutathione-S-Transferase를 알아내기위하여 발현 양을 정량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저항성 회피 기전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사료된다.
단독형 풀무치에서 군집형 풀무치로의 전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단독형과군집형 풀무치의 뇌에 존재하는 단백질들의 인산화 차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단백질의 기능과 활성은많은 부분 인산화에 의하여 조절이 된다. 그러므로, 인산화에서 차이가 나는 단백질들을 밝혀내면, 친환경적으로군집형 풀무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낟.
단독형 풀무치에서 군집형 풀무치로의 전환은 유전정보의 급격한 변화 없이 형태, 생리 및 생태의 변화가 일어나는다형현상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다형현상은 우성 유전학적으로 조절이 이루어질 거라고 생각이 된다. 다양한우성 유전학적 현상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 유전체의 methylation의 차이를 밝혀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단독형과 군집형 간에는 methylation의 차이가 존재를 하며 이러한 차이가 단독형에서 군집형으로의변화를 유도하므로, 향 후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의 개발은 친환경적인 풀무치 발생 조절에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Project title: Studies fo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d control methods against the migratory locust,Locusta migratoria, Project No: PJ0116302017)
Serine proteases and serine protease homologs are involved in the prophenoloxidase (proPO)-activating system leadingto melanization.The Bombyx mori serine protease homolog BmSPH-1 regulates nodule melanization. Here, we show the dualrole of BmSPH-1 in the development and immunity of B. mori. BmSPH-1 was expressed in hemocytes after molting andduring the larval-pupal transformation in normal development. In contrast, following infection, BmSPH-1 was expressed inhemocytes and activated in the hemolymph, which resulted in the induction of PO activity. Moreover, BmSPH-1 was activatedin the cuticle during the larval-pupal transformation and early pupal stages. In BmSPH-1 RNAi-treated silkworms, the reducedBmSPH-1 mRNA levels during the spinning stage or the prepupal stage resulted in the arrest of pupation or pupal cuticularmelanization, respectively. The binding assays revealed that BmSPH-1 interacts with B. mori immulectin, proPO, andproPO-activating enzyme.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BmSPH-1 is responsible for the larval-pupal transformation, pupalcuticular melanization and innate immunity of silkworms, illustrating the dual role of BmSPH-1 in development and immunity.
Major royal jelly proteins (MRJPs) are important protein components of bee royal jelly (RJ) and exhibit various biological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oyalisins and the jelleines contained within MRJP 1 andMRJP 2 in RJ have been elucidated. However,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other bee RJ MRJPs remain largely unknown.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the Asiatic honeybee (Apis cerana) MRJP 4 (AcMRJP4) exhibits antimicrobial activitiesagainst bacteria, fungi, and yeast. Recombinant AcMRJP4 was expressed as a 63-kDa protein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cells. However, some of the recombinant AcMRJP4 proteins were cleaved into two fragments (i.e., 48-kDa (AcMRJP4-48)and 15-kDa (AcMRJP4-15) proteins) by the proteolytic cleavage of the C-terminus of the recombinant AcMRJP4. Interestingly,AcMRJP4, AcMRJP4-48, and AcMRJP4-15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ies, with AcMRJP4-15 exhibiting the highestantimicrobial activity, followed by AcMRJP4. AcMRJP4-15, which is a hydrophilic peptide with 88 amino acid residuesthat contains a high content of Asn and positively charged amino acids, induced structural damage in the cell walls ofthe assayed bacteria, fungi, and yeast. Altogether, our data demonstrated that AcMRJP4 functions as an antimicrobial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