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재배 작물의 주요 화분매개곤충인 땅뒤영벌의 난황단백질(Vitellogenin; Vg)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휴면 및 사회성에 따른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클로닝한 Vg 유전자의 일부분은 꿀벌 및 기생벌의 Vg와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다. Northern blot을 통해서 Vg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조사해 본 결과 우화한 여왕벌은 교미를 했으나 휴면 전 단계에는 난소가 발달하지 않았고 Vg 발현이 아주 저조했다. 그러나 3개월 동안 저온에서 휴면기간을 지내고 난 뒤에 상온에서 산란유도를 했을 시에는 Vg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여왕벌의 휴면 전 단계(우화후 6일간)와 여왕벌의 지배를 받지 않은 같은 나이의 일벌을 대상으로 Vg 유전자의 발현패턴을 비교한 결과, 우화한 이 후 여왕벌은 Vg 발현이 저조한 반면 일벌은 증가하였다. 또한 여왕벌의 몸무게에 따라서 Vg의 발현이 차이가 있었다. 즉, the heavy group(>0.9g)은 Vg 발현이 저조한 반면 휴면에 들어가지 않는 the light group(<0.7g)은 증가하였다. 땅뒤영벌의 유약호르몬인 JH-III를 먹이에 혼합하여 휴면 전 단계인 여왕벌을 습식시킨 결과 0.1μM 농도에서 Vg 유전자의 발현이 촉진되었다. 하지만 다른 농도에서는 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Vg 유전자의 발현패턴은 여왕벌의 휴면생리와 관련하여 차이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성에 의한 영향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약호르몬의 습식에 의한 Vg의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보아 호르몬처리에 의한 여왕벌의 휴면타파를 예상할 수 있으며 휴면기작 연구를 위한 분자 마커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surveyed the effects by pollinating activity of Apis mellifera and Bombus terrestris released in the paprika vinyl-houses. The foraging activity and behaviour of A. mellifera and B. terrestris visited on the paprika flowers were nearly alike. The pick times of pollinating activity by A. mellifera and B. terrestris were showed the hightest at 11:00 and 15:00, and 09:00 to 11:00, respectively. The rate of fruit set by A. mellifera and B. terrestris released for pollinating paprika were same level with 94%, and these rate were higher than the fruit setting rate which was 92% by fan operated. The qualities of paprika produced by pollinators released were higher than those by fan operated. And weight per fruit, number of seeds per fruit and economical profit per 2,310 ㎡ were over 10% higher than those by fan operated. Therefore the economical effects by the pollinating activities of A. mellifera and B. terrestris released in the paprika vinyl-houses were obviously demonstrated.
연안개발에 의하여 해양으로 유입되는 부유토사는 해양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를 이용하여 부유토사 농도 변화에 따른 폐사율 및 글리코겐 함량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0~2,000 mg/L의 부유토사 농도구에서 96시간 동안 노출을 행한 결과 전복의 폐사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연체부의 글리코겐 함량에 있어서는 1,500 mg/L 이상의 농도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부유토사가 전복의 폐사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부유토사에 의하여 건강상 장해를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유토사의 영향을 고려하여 양식장으로의 토사유입을 방지 할 수 있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portable digital pressure algometer. Fifty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Pressure pain thresholds of splenius capitis, levator scapular, and upper trapezius muscles were measured using by FPK algometer and portable digital pressure algometer. Three trials were done on each subject by two examiner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were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FPK algometer was good and excellent (ICC .63~.79) a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poor and good (ICC .15~.57).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a portable digital pressure algometer was excellent (ICC .75~.86) a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poor and good (ICC .35~.61).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rarater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portable digital pressure algometer were better than an FPK algometer.
본 연구는 가정폭력이론과 가정폭력발생 원인을 살펴보고 아동이 가정폭력을 경험한 경우와 아동이 부부간의 폭력을 목격했을 경우, 아동의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폭력경험, 폭력목격, 공격성 검사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2.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학생이며, 학년이 높을수록, 가족 성원의 수가 많을수록,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가정폭력경험, 가정폭력목격 및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폭력적인 영상물인 공포영화, 폭력물, 애니메이션, 판타지, 게임비디오 등에 많이 노출된 아동들이 더 공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폭력경험, 가정폭력목격, 공격성과의 상관관계(pearson r)를 분석해본 결과 모두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아동의 가정폭력경험, 가정폭력목격 그리고 매스미디어 노출정도가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이 가정폭력으로부터 보호되고 부부간의 폭력을 목격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복지적인 개입방법으로 가정폭력예방과 아동폭력예방 및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감정조절 그리고 인간관계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Costal regions in Korea often suffer severe damages due to wave-induced disasters, storm surge disasters and so on. therefore, many engineers and researchers have devoted their energy to prevent these costal disasters.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reefs including sunken vessels is one of their remarkable achievements and various kind of these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have been designed and applied. However,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a Tetrapod under the water has not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So in this article, in uniform flow of circulating water channel and some different velocities, PIV measurement has been conducted on the flow characteristics behind a Tetrapod. The results were analyzed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both cases of a Tetrapo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both cases have its own distinctive flow characteristics behind the bluff body; Case A has an steep upstream flow pattern. On the contrary, Case B has an developed downstream flow pattern in the near wake of the Tetrapod. The velocity gradient at position x=150mm of Case-A appears gently up and down But, the velocity gradient at the same position of Case-B appears better highly up and down.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t is essential to research and analyze target markets in advance. However until recently, there has been a lack of food research in regions of select countries in order to create systematic plans for marketing Korean foo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Korean foods as compared to other Asian foods in young adults living in Vaxjo, Sweden. Over 90 percent of the Swedish students had experienced Thai and Chinese cuisines, indicating their popularity as Asian foods in Sweden. The participants were attracted to six positive attributes of Asian food: 'fresh vegetables', 'low fat', 'chicken and sea food', 'exotic ingredients', 'good value for the money' and 'unknown foods'. The favorite type of Asian food was Thai food and Korean food was the least tried, as over 50% of respondents linked it to 'unknown food' attributes.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introduce Korean food more successfully,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unique and unknown attributes of Korean food, as well as emphasis placed on its healthfulness, to stimulate the curiosity of target markets such as young Swedish adults.
본 연구는 서울시내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 일부구간을 대상으로 도시하천의 식생회복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통해 횡단구조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시하천 횡단구조는 제방형태(수직형, 사면형)와 둔치 유무, 호안구조의 3가지 항목을 조합하여 사면형 56개 유형, 수직형 31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상지내에서는 SB1(저수호안-자연형 식생호안, 고수호안-자연하안), SG5(저수호안-콘크리트, 고수호안-사석공) 유형을 비롯한 사면형 9개 유형, VH4(제방호안-찰쌓기), VH7(제방호안-콘크리트) 유형 등 수직형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중 저수호안과 고수호안이 모두 콘크리트로 정비된 SG7 유형과, VG7 유형이 가장 긴 구간에서 분포하였다. 주요 8개 유형에 대한 미지형구조 및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결과 유형화 항목별 특성에 따라 횡단구조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횡단구조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은 뚜렷치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