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icro-structural changes,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micro-fractural behaviors at the joint interface between a Sn-4.0wt%Ag-0.5wt%Cu solder ball and UBM treated by isothermal aging are reported. From the reflow process for the joint interface, a small amount of intermetallic compound was formed. With an increase in the isothermal aging time, the type and amount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 changed. The interface without an isothermal treatment showed a ductile fracture. However, with an increase in the aging time, a brittle fracture occurred on the interface due mainly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s and voids. As a result, a drastic degradation in the shear strength was observed. From a microshear test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generation of micro-cracks was initiated from the voids at the joint interface. They propagated along the same interface, resulting in coalescence with neighboring cracks into larger cracks. With an increase in the aging time, the generation of the micro-structural cracks was enhanced and the degree of propagation also accelerated.
Timoshenko의 전통적인 보 이론에 근거한 유한 요소의 전단 잠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 변형도법을 적용한 7자유도 공간 박벽 뼈대요소를 개발하였다. 2개의 노드를 갖는 직선 보요소에서 한 요소내의 변형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형상함수를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일의 원리에 따라 강성행렬을 구성하였다. Corotational 기하 비선형 해석법을 이용하여 불평형 하중을 산정하였으며 부재 길이의 비선형 효과를 반영하기 위하여 bowing effect를 정밀하게 고려하였다. 일축 비대칭 단면을 갖는 곡선 외팔보와 이축 비대칭 단면을 갖는 직선 외팔보에 대하여 횡-비틀림 좌굴에 의한 안정 해석과 후좌굴 해석을 수행한 결과 ABAQUS 쉘요소와 좋은 일치를 보여 주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Kimchi to be well known in the World, which to be international food on the each nation and each people, each religion cultural area, with having done Kimchi adaptation plan for localization. Among the plan, Kimchi utilization ways with the localization strategy in Turkish dietary life were investigated to the Kimchi preference, improvement points on Turkish view, for the Turkey person it would be able to apply in Turkish food cultur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sex of Chinese cabbage Kimchi preference, men (M=3.75 ± 0.89) appeared higher than women (M=3.62 ± 0.88). Color or appearance preference after Chinese cabbage Kimchi taste was investigated in order that red 〉 burnish felt 〉 transparent 〉 yellow, and the smell preference which was hot(M=4.64 ± 1.37) appeared highest. A hot taste felt most intensely, and it was investigated in order that aftertaste〉 salty taste 〉 sourness 〉 off flavor taste 〉 fermented fish source taste 〉 sweetness〉 carbonic acid by the followings. For the feeling of texture of Kimchi, the crunch was higher than durable tough(it was visible the consider difference of the sex 2. That the Korean Kimchi hit to a palatable taste, against 109 people (72.2%) answered suitable appetite to this taste, and the reason which was in order of that hot tasty 〉 appearance 〉 chewing texture 〉 red 〉 fermented flavor was investigated. Did not hit to a taste 42 people (27.8%) answer back, with the reason that was investigated in order of hot tasty 〉 appearance 〉 red 〉 fermented flavor 〉 chewing texture. The hot tasty of Kimchi was commonly presented that hit and did not hit to appetite taste against people. 3. Among the Turkish food, similar foods for Kimchi were answered in order of Lahana Tursu (44.2 %) 〉 Kapuska (25.9 %) 〉 Lahana Prasa (11.1%), and similar food category were that Chinese cabbage or various vegetables to be pickling food and to be dressing salad with salt and vinegar. The accompanied or garnished Turkich food category for Kimchi were answered in order of cooking meat (34.1%)〉 steamed cooking rice (22.7%)〉 cooking fish (17.0%)〉 cooking soybean (14.2%). This result was same tendency with steamed cooking rice accompaniment for Kimchi in Korea and Turkey, and could be applied a new main menu like meat cooking and fish cooking dish which matched and accompanied with Kimchi.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새로운 기술로 구현된 환경으로 그에 적합한 새로운 사용성 평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사용성 평가를 그대로 도입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하고 심리적인 변인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기적 측면의 사용성 평가만이 아니라 서비스 시나리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나리오적 측면에서 사용성 요인을 분류하고 기기적 측면에서 심리적인 요인인 통제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 현존하는 사용성 요인을 유사성과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중 요성을 재분류 한 결과 10개의 그룹이 생성되었다. 연구 2에서는 구체적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기기의 친밀감과 복잡성이 통제감의 환상을 유발시킬 수 있는지 실험해보았다. 그 결과, 기기의 친밀감과 복잡성이 통제감의 환상을 유발시키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산림의 현존량 축적에 대한 연구는 줄기밀도와 임목의 재적과 건중량을 전환하는 현존량 확장계수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완도군 붉가시나무 임분의 줄기밀도와 영급에 따른 현존량 확장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각 영급별로 수간석해를 실시하여 각 부위별 현존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임목의 영급에 따른 줄기 밀도의 값은 0.557~0.636으로 나타났으며, 지상부 현존량 확장계수는 1.168~1.324였다. 지상부 현존량 확장계수는 수령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으며, 현존량 확장계수와 줄기 밀도는 임목의 영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붉가시나무에 대한 전국 규모의 탄소고정량 산출에 있어서 영급에 따른 확장계수 추정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reliminary time-series observations for short-period variability survey (SPVS) were carried out using a 155mm refractor and a 2k×3k CCD camera at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We found 21 new variable stars in the 90′×60′ test field region : 9 eclipsing binary stars, 5δ Scuti type stars, a γ Doradus type star, and 6 long period variables. The observing field center is R.A. 05 h00m00s, DEC. 50∘00′00" (J2000.0). The period and amplitude ranges for the short-period variables, i.e., δ Scuti stars, were 0.052day - 0.107day and 0.012mag - 0.064mag, respectively.
This paper aims at studying on the medium of cultural interchange regarding who did and how to introduced the new trend of architecture during the period of Koryo Dynasty. Before the era of Koryo Dynasty, Kyungjang(Sutra Pitaka, 經藏) was mainly centered in Kyeongnu with a substantial function of storage. In the early Koryo Dynasty, however, Daejangjeon(大藏殿), which was spatialized for worship, began to appear. Normally, fixed walls were installed and the Sutras were enshrined inside Daejangjeon, while Jeonryunjang (revolving wheel sutras), a type of rational bookshelf, was introduced, and a new trend became developed in Kyungjang construction. Jeonryunjang(revolving wheel sutras, 轉輪藏) is a dharma instrument with a rotational function so that one revolution gives an effect of reading the enshrined Sutra one time, and began to be created actively in the period of the Northern Song. It is considered that the introduction of Jeonryunjang(revolving wheel sutras) to Daejangjeon was resulted from Haejokuksa(慧照國師) Damjin(曇眞) who visited the Kangnam areas in the Northern Song at that time. The Kangjeol areas in the Northern Song, where Damjin concentratively itinerated three times, were the place in which Jeonryunjang was created in many temples. Since Damjin, historical materials and excavated data regarding constructing Jeonryunjang have been discovered in the Buddhist temples, which are related to his pupils and dharma lineage. The only existing Jeonryunjang of Yongmusa Temple in Korea is the one that Joeung Daesunsa, who succeeded to the dharma lineage of Haesokuksa, promoted, and supports strongly such introduction of Jeonryunjang by Haesokuksa
Quand on apprend une languε 하rangère , il est reconnu que le système de la languε matεmεIIε constitue toujours pour l'apprεnant de langue étrangère un P이ot de repère fondamental. Cela signifie que 10rs de 1’εnsεignement d’une languε étrangère, iI faut tenir compte de cε qui existe déjà chez 1’ appren때t, à savoir la langue matemelle, et y 5Upεrposer une nouvεIIε pratique et connaissances. Aussi, compte tεnu dε l’importance de la langue maκmelle , cette étudε consiste à proposer l'enseignεmεot de la grammaire française pour des apprenants coréens portant sur la contrastivité métalinguistiquε entre le français εt Iε coréen. Pour ce faire, notrε intérêt est centré sur les tεrmεs grammaticaux qUi ne constituent qu’une partie du rnétalangagε gramrnatical. En particulier, nous prεnons ici pour exernplε le complémζnt d’objet indirect qui est trζs révélateur de cεttε différence ζntre la terrninologiε grammaticale coréenne et cε11ε française. Ce qui va montrer la nécessité de tenir compte des différences métalinguistiques commençant par la terminologie grammaticale pour renouveler les descriptions grammaticales d헤 à existantes.
English εducation has becomε our national concern, but it cannot bε denied that this has caused the social problem of the English dividε In partic비 ar, the present public English education system sεems to be in a dilemma bεcause there is a largε gap bεtwζζn the goal of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and the reality of our schools. Thus, this paper discusses why we need to recognize thε role of English grammar education in thζ EFL situation as one of the ways to carry out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English education. It focuses on thε necessity of the combination of grammar with communication by reviewing the status of gr잉nmar educa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seconψforeign language ζducation theories and by consi~ering the problεms with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in our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The concept of gramrnar ha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one and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gramrnar teaching are still being reevaluated. A dζsirable public education policy should bε εstablishεd on the basis of the real needs of 1εarners and the real situation of schools. To accomplish thε goals of effective English εducation , this papεr accordingly suggests that a new approach to gramrnar teaching bε irnplemented with political support through English education programs.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와 보호자 중 뇌졸중 환자를 중심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지도와 현재 생활하고 있는 주택 환경 내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의 필요도 및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서울과 경기도의 종합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외래 환자와 보호자 112명을 대상으로 2006년 11월 27일~12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지식 여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편리도,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필요도 및 중요도로 구성되었다.
주택의 편리도,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필요도 및 중요도에 관한 설문은 주택 입구, 현관, 방, 부엌, 욕실, 주택 전체에 있는 설비 및 가구에 대한 항목으로 나누어 총 5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4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결과 :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해서 이번 연구 전에 들어본 적이 있는 사람은 환자 33.9%, 보호자 35.7%이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가옥에 적용할 의사는 환자의 경우 33.9%, 보호자의 경우 57.1%이었다. 환자 및 보호자가 현재 생활하고 있는 주택 전반에 걸친 편리도는 환자의 경우 2.89점, 보호자의 경우 2.82점이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한 부분은 환자나 보호자 모두 주택 입구, 욕실, 주택 전체에 있는 설비 및 가구의 순서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중요한 부분은 환자의 경우 주택 입구, 욕실, 현관의 순서였고 보호자의 경우에는 주택 입구, 부엌, 욕실의 순서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인식도가 낮은 편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가옥 구조의 변경과 보조도구의 사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을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인식시켜줄 필요가 있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가옥에 적용 할 때 주택 입구, 욕실, 부엌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surface roughness of Al, Ag and Ni nano-powders which were prepared by pulsed wire evaporation method was quantified based upon the fractal theory. The surface fractal dimensions of metal nano-powders were determined from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 and Inln () using multi-layer gas adsorption theory. Moreover, the fractal surface image was realized by computer simu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condition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metal nano-powders was discussed in detail.
中唐 시기 “시승”은 이미 시가 창작의 한 주체로서, 시가 창작에 대한 자각적 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자각적으로 자신의 시 세계를 추구해 나갔음을 알 수 있다. 시승의 시 세계는 또한 일반 문인 사대부들과는 다른, 시승 특유의 풍격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러한 시승의 시풍이 이미 사회적으로 보편화되고 인정받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中唐의 시승이 위진 남북조 시기의 승려시와 다른 점이며, 문학사에서 “시승” 집단의 출현을 中唐으로 보는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의미이다. 요컨대, “시승”이란 용어는 단순히 中唐 시기에 승려들 가운데 시에 능했던 승려들이 출현했다는 것을 말하는 것만이 아니다. 문학사적 시각에서 볼 때, 더욱 중요한 것은 그들의 출현과 그들의 시가 창작에 대한 자각과 추구, 그리고 시가 작품 자체가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았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中唐의 “시승”은 개별적 현상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문화사나 문학사에서도 매우 독특하고 의미 있는 현상으로 자리 매김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