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

        43.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란우 89두와 수라우 94두를 사용하여 호르몬 투여에 대한 난소반응, glycerol의 평형과 제거방법에 따른 융해란자의 형태적 정상성과 동결 융해란의 이식후 임신율과 쌍태유기율을 조사하였다. 1. 호르몬처리에 대한 난소반응 :1) 과배란 처리후 배란된 난자수는 A.B.C군에서 각각 8.3, 7.8, 9.5개로서 C군이 전체 평균의 8.3개보다 증가되었다. 2) 난자의 회수율은 42.1%, 두당회수된 난자수는 3.5개였으며, 회수란자중 정상발육한 상실
        4,000원
        46.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mass propagation system using tissue culture technique to supply the seeds of Elephant garlic (Allium ampeloprasum L.) which has difficulty in propagation. Immature spathe of Elephant garlic was cultured on Murashige &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two plant growth regulators, naphthaleneacetic acid (NAA) and kinetin. After 6 weeks of culture, the highest number of shoot (14.9/explant) was obtained when the immature spathe with 10 ㎝ length was cultured right after harvesting.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 ㎎/L kinetin and 0.5 ㎎/L NAA, the most vigorous growth characteristics was observed, the shoot number was 14.9/explant, its length was 11.3 ㎝, and its fresh weight was 2.5 g. When the bulblets were cultured in MS medium with 2 ㎎/L kinetin and 0.5 ㎎/L NAA, the addition of 30 ㎎/L adenine improved their proliferation and growth significantly, the highest bulblet formation rate (48%) was obtained. The addition of 7% sucrose also increased the bulblet formation rate at the highest frequency of 98.2%. The shoots were shown be more vigorously proliferated at the secondary subculture stage rather than primary culture stage, their propagation rate was 80% after subculture.
        47.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ongpungheukhyangchal' New aromatic, black pericarp and glutinous rice variety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2012.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hindongjin' as a grain quality source and 'Heugseonchal' as a black glutinous and aromatic source. The donor parent, 'Sindongjin' has been backcrossed one time with recurrent parent 'Heugseonchal' and selected by the pedigree breeding method, until F6 generation. As a result, a promising line, CBR11-2-4-3, was advanced and designated as the name of ‘CBR L3’ in 2009. The maturity period of this cultivar took approximately 168 days from seedling to heading. This cultivar has about 15 tillers per hill and 115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Ripening ratio is about 76.5% and 1000 grain weight is 27.2 g in brown rice. Milled rice of 'Cheongpungheukhyangchal' has trait of glutinous and aromatic endosperm. It has higher anthocyanin content compared to that of black pigmented check cultivar ‘Heugseonchal’. The yield performance of brown rice was 5.39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Cheongpungheukhyangchal’ is adaptable to central plai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 of Korea.
        48.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풍흑찰’은 충북농업기술원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다수성 흑색 찰벼 품종이다. 잎은 녹색이고, ‘흑선찰’보다 길이는 짧고, 너비는 비슷하다. 초형은 반직립형이며, 줄기의 강도가 강한 편이다. 이삭 추출은 양호하고 착립밀도는 조밀하다.까락은 벼알 선단부분에 약간 발생되며, 탈립이 잘 안되고 부선은 황색, 영색은 담자색이다. 출수기는 8월 23일인 중만생종이다. 간장은 65 cm로 작은 편이고, 주당수수와 천립중은‘흑선찰’과 비슷하였으나. 수당립수는 16개 더 많았다. 성숙기 하엽노화는 느린 편이며, 줄기의 강도가 강하여 도복에 강하다. 도열병에는 저항성을 나타냈지만, 해충에 저항성이 없다. 단백질 함량은 ‘흑선찰’보다 낮고, 도정수율 및 강하점도가 높아 가공적성이 뛰어나며,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이 뛰어났다. 수량성은 ‘06~‘08년 3개년 간 실시한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 3개소에서 평균 현미수량이5.80 MT/ha로 ‘흑선찰’ 대비 53% 증수되었다.
        4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이앙재배시 유기물시용이 벼 생육, 수량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생종인 조생흑찰을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벼의 초장은 이앙 후 50일부터 관행구, 유박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쌀겨처리구에서 전 기간 동안 가장 억제되었다. 벼의 간장과 수장은 관행구와 비교하여 모든 유기물 처리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유기물 처리구 내에서는 유박처리구에서 가장 컷으며, 쌀겨 처리구에서 가장 작았다. 벼 수량은 관행구와 비교하여 호밀 녹비+쌀겨처리구와 유박처리구에서 각각 관행의 98%, 91%로 수치는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앙 후 40일경 잡초 발생량은 화학적 방제를 실시한 관행구에서 현저히 적었으며, 유기물처리구에서는 쌀겨처리구에서 다른 유기물처리구보다 현저히 적었다. 또한 쌀겨를 병행 시용한 처리구(호밀녹비+쌀겨)에서 잡초의 발생량이 적었으며, 유박처리구에서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6~2007년까지 2개년에 걸쳐 전국 8개도 27개 지역 28개 시험구에서 재배한 시료를 바탕으로 등숙기 온도가 벼의 등숙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식미치 향상에 적합한 등숙온도를 추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의 평균기온이 출수 후 40일까지의 평균기온 보다 벼의 등숙정도를 나타내는 현미 천립중과 식미치 변이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었다. 2. 시험에 사용된 중만생종 벼 품종들은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의 평균기온이 21℃ 이하일 경우에는 저온으로 등숙이 불량하였고 22℃ 전후에서 현미천립중이 최고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현미천립중이 감소하였다. 3. 현미천립중이 최대가 되는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 평균기온은 22.2℃ , 식미치가 가장 높았던 평균기온도 22.2℃ 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 평균기온이 증가할수록 현미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고 현미천립중이 증가할수록 현미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현미천립중이 증가하면 식미치가 증가하였고 현미단백질이 증가하면 식미치가 감소하였다. 5. 식미치가 최고를 나타내는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의 평균기온은 남평벼에서 22.1℃ , 일품벼와 주남벼에서는 22.5℃ 였지만 동진1호는 23.1℃ 로 다소 높았다. 6. 출수기~출수 후 30일까지 평균기온이 21℃ 이상인 경우 온도가 높아질수록 현미단백질 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현미천립중과 현미단백질 함량과의 관계는 부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7. 식미치는 현미천립중과 정의 유의성을 보였고 현미단백질 함량과는 부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5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revitalize rural economy and to generate job opportunities in the Korean countryside through the specialized production of high-valued/environment-friendly farm products and the active promotion of green tourism in the farmland-remodelling project sites in 4 main riverside areas, this study developed the regionally differentiated development models of future-oriented agri-business complex. Through two rounds' expert group consulting/checking, related literatures review and similar case-projects benchmarking, a tentative model system was made and corrected, and finally, 6-development types with 24 model complexes proposed.
        5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basic planning criteria required in ecological restoration and improvement works of streams in rural a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stream assessment methods (water quality, soil environment, and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at 6 study sites of Han River basin. The investigation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the evaluation items like a manure use, salt degree, river peripheral tree, which did not fitted to apply to domestic streams, in the SVAP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and NRCS Riparian Assessment that were evaluation models developed in USDA. The area inhabitants with a little knowledge and education personally seems to utilize the evaluation methods through improvement partly with an aspect that evaluation is slightly easy. 2) From the stream assessment results, the construction of diverse pools, large woody debris and isolated backwater pool are needed to improve a few of problems observed at the mostly study sites. The result of NRCS Riparian Assessment showed that the improvement of stream bank vegetative communities is needed by planting tree with deep-binding root masses, and managing of noxious weeds and exotic undesirable plants. 3) Summing up, the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the assessment scores were higher at upstream than downstream, the stream with totally maintenance than that with partly maintenance, the stream with slope bank than that with vertical bank, and the stream with a flood plain than that without a flood plain. So, the direction of stream maintenance projects must be set by consideration of those results.
        55.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planning(i.e. including rural landscape character area designation and rural landscape planning etc.). That application of landscape planning provides the probably most operable and comprehensive version of what is generally accepted by the discipline. According to the planning discipline the schemes of planning are to; Firstly, we derived the improvement of landscape and the methods of landscape characterization subsequen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grasp the landscape resources in Yesan via reviewing the current study and field survey. Secondly, in order to achieve environmentally friendly rural landscape plan and characteristic rural landscape creation, we planed the draft landscape area such as woodland, hydrology area, urbanized area, rural communities, etc. which was classified by sphere of life moreover, we planed partly outdoor facilities, road and colour suchlike. Thirdly, we tried to seek the programme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for scenic and characteristic rural landscape area via rural landscape character area designation. Lastly, it is proposed that rural landscape planning lead to inhabitant participation, system improvement, subject performance for carrying out efficient rural landscape planning.
        56.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wing to the industrialization, the urbanization and cultivation abandonment actual condition, the most abandoned farmlands increased. Those results have occurred inefficient land use and destruction of agricultural ecosystem with the secondary succession. The research for the abandoned farmlands of Korea is fundamental phase. Also, the researches to restore abandoned farmlands are something yet to develop and not established the restoration for ecological value of abandoned farmlands. The objective of research revealed the ecological functions of abandoned farmlands and it presented an application plan. The research method divided in the literature and case study. Using abandoned farmlands, Japan government tries to create the ecological parks for the conservation of a vulnerable plant species, dragonfly biotop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research, etc. Accordingly, the goal for the abandoned farmlands coulds be set suitably to Korean situation as of Japanese styl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man-made biotopes.
        5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생흑찰의 품질과 수량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기 위해 재배 지역과 이앙 시기를 달리하여 그에 따른 생육과 품질을 조사하여 최적의 이앙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1. 출수기는 동일 이앙시기에서 청원이 제천에 비해 4~5 일 빨랐으며, 이앙시기가 첫 이앙 일을 기준으로 10일씩 늦어짐에 따라 제천은 각각 2, 5, 6일, 청원은 5, 6, 8일 각각 늦어졌다. 2. 출수기 간장은 제천 청원 모두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길어졌으며, 수장은 비슷하였으나 지역 간에는 제천보다 청원이 다소 길었다. 3. 수수는 제천보다 청원이 많았으며, 영화수는 5월 30일 이앙에서 두 지역 모두 많았다. 등숙 비율은 제천이 청원보다 높았고, 천립중은 청원지역이 무거웠다. 4. 수량은 제천이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높았고, 청원은 늦어질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현미수량으로 추정한 최적 이앙시기는 제천은 5월 11일 (491 kg/10a), 청주는 6월 16일(468 kg/10a)로 추정되었다. 6. 이앙시기별 현미의 색도는 제천의 경우 모든 이앙시기에서 검은색을 띠었으나, 청원의 경우 6월 10일 이앙 이후에서 검은색이 짙어졌다. 7. C3G 함량은 제천이 6월 10일 이앙 이전의 동일한 시기에서 청원보다 높았으며, 이앙 시기가 늦을수록 높았다.
        5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 analyzing domestic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 consisted of 3 fields - understanding, experiencing multifunctionality, and applying it to classroom, and contents validity was evaluated by 3 experts.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268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questions were about motivation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level of program, and so on.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data,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5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논에서 벼 이앙전・후 쌀겨를 0kg/10a, 100kg/10a, 200kg/10a, 300kg/10a 처리하여 벼생육, 수량 및 미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쌀겨처리구별 토양화학성을 분석결과 유기물, 인산, 규산 토양성분은 쌀겨처리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물체 무기성분 분석의 경우 이앙후 30일경 쌀겨300kg/10a 처리구에서 T-N율이 3.89%로 가장 높았고, P2O5, K2O, CaO, MgO 성분은 쌀겨처리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생육상황은 쌀겨 300kg/10a 처리구에서 이앙후 50일경 초장은 80cm, 경수는 20개/주, 엽색도는 41을 나타냈다. 수량구성요소는 쌀겨 200kg/10a 처리구에서 간장 101cm, 수장 21cm, 수수는 18개/주로 가장 높았다. 정조수량은 쌀겨 200kg/10a에서 683kg/10a로 가장 많았으며, 완전미 수량도 485kg/10a로 가장 높았다. 쌀겨처리구별 완전미의 비율은 91.3~92.9%에 분포하였다. 단백질함량의 경우 쌀겨200kg/10a에서 현미는 7.5%, 백미는 6.1%를 나타냈다.
        6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휴경 후 재경작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막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관리 방법은 휴경 답을 매년 경운 후 경관작물을 파종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관리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어 저비용과 생력적인 관리 방법을 찾고자 몇 가지 지피식물을 충북 제천과 청원 두 지역에 2005년 가을 벼를 수확한 후 지피식물(헤어리베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들묵새, 자운영) 4종을 무경운 산파하여 2007년까지 방임한 처리와 비교하여 본 결과 지피식물의 월동 생존율은 13~23%범위였으며, 자운영은 두 지역 모두 거의 생존개체가 없었다. 지피식물의 하고 전 토양표면 피복율은 파종 후1년차의 경우 청원, 제천 모두 들묵새가 79~89%범위로 최고를 나타냈으며, 파종 후 2년차는 자운영을 제외하고는 지피식물 간의 차이가 적어져 청원이 37~45%, 제천이 59~64%의 피복율을 보였다. 지피식물의 잡초발생 억제 효과는 하고 전에는 두 지역 모두 파종 후 1년차에는 들묵새, 파종 후 2년차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에서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파종 후 2년차의 효과는 비슷하거나 현저하게 떨어졌다. 하고 후의 잡초발생 억제효과 또한 들묵새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에서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파종 후 2년차에는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졌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