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다목적댐 운영은 기존의 홍수조절, 용수공급, 수력발전과 같은 수량뿐만이 아니라 수질, 생태환경 등 다양한 이해관계를 고려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암조절지댐의 저온 심층수 방류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수온을 조사하고, 수온변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암조절지댐, 하류하천, 순천만 지역에 대해 장기간에 걸쳐 수온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3차원 수치모형(EFDC)을 활용하여 방류량과 같은 다양한 외부 인자들을 고려하여 하류하천 및 순천만에서의 수온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및 수치모의 결과 댐의 저온 방류수 영향은 대체적으로 4월~9월 기간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댐 저온수 방류 영향이 방류시기, 방류수온, 방류량, 기상, 조위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복잡한 형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댐의 저온수 방류로 인한 하류하천 및 연안지역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댐 운영 개선방안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kin anti-wrinkle activities of the stems and leav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evaluated by theextracts obtained from various extraction processes such as using hot water at 100oC, 70% ethanol at 85oC, and 70% etha-nol with ultrasonication at 60oC The ultrasonicated extract showed 95.62% of the highest cell viability in addition of0.3㎎/㎖ of the extracts into the normal human fibroblast cell, CCD-986sk. For antioxidant activities, the extracts usingultrasonicated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 80.27%, followed by 75.88% and 62.44% for theextracts using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The ultrasonicated extract also showed the highest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as 25.32%, compared to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based method at 22.01% and 12.88%, respectively. MMP-1production was most effectively decreased down to 2908.1pg/㎖ with ultrasonicated extract while 6640.8pg/㎖ with waterextract and 3609.3pg/㎖ with ethanol extract, in addition of 0.3㎎/㎖. Collagen production was increased up to 154.7ng/㎖in addition of ultrasonicated extract, and followed by 121.4ng/㎖ and 31.2ng/㎖ for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anol extract should have skin anti-wrinkling activities and can be improvedby the ultrasonication process that high energy input elute more amounts of bioactive substances eluting more amounts ofbioactive substances from the high energy input of ultraso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as natural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general and antioxidative nutrients of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are 53.41%, 25.00%, 7.95%and 13.64%. And the calories of Wasabi leaves was 385.23Kcal. Total dietary fiber was 52.27%. The K was the largestmineral followed by Ca, P, Mg which means Wasabi leaves is alkali material. The contents of sinigrin and allyisothiocyanatein the wasabi leaves were 69.2㎎/g and 241.0㎎/g, respectively.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hot water extract and the 70%ethanolic extract were 19.44±0.23 and 19.33±1.17㎎ GAE/g,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s content of the hot waterextract and the 70% ethanol extract were 7.69±0.71 and 19.25±1.41㎎ QE/g, respectively. The general nutrients andother antioxidant bioactive materials in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were also potential materials for good health food.
적설한랭지의 경우, 동절기의 동해 및 적설에 의한 교통통행의 원활을 기하기 위하여 제설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제설염의 사용은 동 결융해 및 염화물에 의해 콘크리트의 급속한 스케일링 피해를 야기시킨다. 이에 대한 피해로 인하여 콘크리트 포장은 콘크리트의 피복두께 감소에 따른 조기 열화 및 사용자의 안정성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국외적으로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하여 평가를 하기 위해 다양한 시험 및 평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평가방법에 대한 규정은 없으며, 관련 연구 또한 미미한 수준이 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기관 및 나라에서 제시되고 있는 평가방법을 조사하고, 각각의 규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은 실험방법과 실험결과의 고찰을 통하여 국내현장에 맞는 실험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특성, 수업만족 등 관련 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집한 2013년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자료 가운데 2013년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중학생들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등 심리적 특성이 긍정적일수록,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도 높았다. 둘째,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는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었으며, 이러한 관계요인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특성과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개인적 특성들은 수업만족에는 직접 효과를 나타냈으나 학교생활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 특성, 수업만족 요인들 가운데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관계 특성요인, 수업만족 요인, 심리적 특성 요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들과 함께 논의하였으며, 학교생활 적응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valuate antioxidant and skin-whitening effec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by extraction processes. First, antioxidant effects were follows: EE (70%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DPPH scavenging activity of 69.66% than WE (hot water exract) 59.13% at 0.3 ㎎/㎖, also UE's (70% ethanol extract by sonication process) higher than EE. Reducing power was that also EE showed higher than WE, and it was the highest value with UE's because of ultrasonic pretreatment. Next, the whitening effect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as measured that EE was 23.88%, WE's was 16.69%, and UE was 23.34%. Ultrasonic pretreatment did not influence to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Cell viability showed low cell toxicity in all groups. UE's inhibited melanin synthesis, 55.1%, that is higher than EE and WE, 52.7% and 39.5%, respectively.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antioxidant activities and skin-whitening effect by extraction process. Also, th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extracts worth as cosmetic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cementitious composites containing lathe scrap to use it as a alternative materials of steel fiber. For this purpose, the cementitious composites containing lathe scraps were made according to 5mm, 10mm, and 20mm in lengths for their widths of 2mm and 4mm,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from the test result that the cementitious composites containing lathe scraps were most largely increased than plain mortar in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when its width is 2mm and its length is 5 to 10mm.
Based on the paper study of recycled aggregates production method and registrated patents ,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al use of recycled aggregates was few. And it was caused by high production costs and lack of researches.
Because aging sewer on the ground due to cavitation are a lot of social problems occur, the existing aging pipes are to be replaced. But is not easy to accurately detect the aging water and sewage pipes. In this research, we present a technique that can detect defective sewerage pipes used in GPR through Test-bed, which can be used as urban planning resources for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replaced.
본 연구에서는 밀양23호의 배경에 O. glaberrima의 특정 염색체단편을 가지는 55 이입계통의 내건성 관련 형질을 조 사하여 변이를 검정하고 내건성이 향상된 4 계통을 선발하였 다. 특히 IL55는 유묘기, 영양생장기 그리고 생식생장기에서 반복친인 밀양23호에 비해 조사된 내건성 형질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내건성 관련 유전자의 분석 및 교배모본으 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입계통들은 밀양23호의 유전적 배경에 각 계통마다 서로 다른 O. glaberrima 단편이 이입된 계통으로, 이 집단은 O. glaberrima에서 유래된 내재해성 및 작물학적으로 유용한 유전자의 탐색에 효율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skin wrinkle effect of Agastache rugosa Kentz extracts by extraction processes.In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of the solvent extraction, the extracts by 70% ethanol (EE) showed better biological activitiesthat those by hot water. Therefore, further fermented Agastache rugosa was applied to 70% ethanol extraction process(FEE). FEE showed higher DPPH scavenging activity of 62.98% than EE’s 62.71% at 1.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Elastase inhibition was measured 23.0% from FEE at 1.0㎎/㎖. Cytotoxicity showed the highest 16.26% from FEE, thisvalue is safe in the cell experiment. Collagen production showed 113.1ng/㎖ from FEE, on the other hand EE was measured77.4ng/㎖ in adding 1.0㎎/㎖. MMP-1 production was observed 1398pg/㎖ from FEE and EE was measured1632pg/㎖. These results were found the highest antioxidant and anti-wrinkle effect. As a result, it was also confirmed thatanti-skin wrinkle activities of the Agastache rugosa Kentz extract was cor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ies.
국내 항만과 주변지역은 매년 자연재해가 반복되는 지역으로 최근 14년간 해일, 해수범람 등에 의한 해양재해로 피해규모가 늘어나고 있어 지진해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진해일은 대규모 자연재해로써 한번 발생하면 수많은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피해를 발생시킨다. 또한, 근래에 들어 세계적으로 해저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둘 필요성이 있다. 동해안에 비하여 남해안은 지진해일 기록이 미미하고 해저지진활동도 높지 않아 안전지대로 여겨왔지만 2005년 3월 20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하여 남해안에서의 지진해일 방재대책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이 발생시점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진해일 유발 가능 지진원이 있는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 사이의 섭입대 지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류큐열도 주변 및 류큐트렌치 단층대에 발생하는 지진에 의한 발생빈도별 규모를 산정하여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가능최대지진해일을 MW9.2의 단층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Mansinha and Smylie의 해석해로 구한 지진해일의 초기파형 수치모형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침수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Waterworks sludge is currently disposed after being used in water treatment, spending enormous cost. In order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avoid wasting, this study aims to develop high-temperature clay bodies using waterworks sludge for art tiles. As starting materials, feldspar, clay, and waterworks sludge, in place of silica, were used by triangular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results indicated, the 40% sludge contained bodies showed good results which have low water absorption and high fracture strength in physical properties and color for art tile. The result of analyses showed mainly mullite and anorthite were developed in the bodies. Addition of Ca volume or firing at the higher temperature promoted the formation of anorthite and improved the strengths of the body. When mullite and anorthite coexisted in the bodies, fracture strength and water absorption showed maximum value, but overuse of Ca caused growth in porosity and absorption. The body color was affected by color development of iron. When mullite was doped by Fe3+ hematite appeared red and then increase of anorthite by addition of Ca, the magnetite was detected in the body and they appeared from dark gray to black shade color. Bodies of art tiles using recycled waste materials and waterworks sludge showed comparative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bsorption, and bending strength to those of traditional tiles.
본 연구는 수요와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수수의 안정적인 생산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주 요 4품종(남풍찰, 동안메, 황금찰, 흰찰)을 이용하여 종자의 형태적 특성과 다양한 종자세 검사 등 종자의 기본적인 특 성을 알아보았다. 1. 수수의 형태적 특성에서는 폭을 제외한 장과 두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종실형태는 흰찰은 원형, 나머지 품종은 난형의 형상으로 보였다. 종피색에서는 흰찰과 나머지 품종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남풍 찰과 황금찰은 무광택 종자이었다. 2. 표준발아검사 및 저온검사는 황금찰>남풍찰>동안메> 흰찰 순으로 나타났고, 노화촉진검사에서는 표준발아 검사와 비교시 동안메에서만 15% 이상의 감소를 보였 으며, 전기전도율 검사는 표준발아검사, 저온검사 및 노화촉진검사의 발아율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3. 출현율 평가에서는 황금찰이 가장 높은 85.7%로, 가 장 낮은 출현율을 보인 흰찰보다 40% 이상의 차이가 나타났고, 평균 출현율일수에서는 흰찰이 가장 느린 6.0일로 보이며 품종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