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0

        16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아동의 사회적응이 이슈화되는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어린이집 적응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KMCI)와 유아교육기관 부적응진단검사(PBQ)로 분석하여 다문화아동의 적응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와 김포시의 위치한 34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중 다문화가정아동을 담당하는 담임교사 73명과 재원중인 만 3-5세 아동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은 연령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어린이집적응 차이는 일반가정아동이 다문화가정아동보다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성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미혼과 낮은 연령일수록 아동이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임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교사의 아동일수록 어린이집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교사와의 관계성차원에서 더욱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은 무엇이며,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한 15개 초등학교와 16개 다문화관련 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자녀 23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정체감, 친구지지, 학교에 대한 흥미, 지역사회지지로 나타났다. 즉,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친구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학교에 대한 흥미가 높을수록, 지역사회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사회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회적응에 대한 각 변수들의 영향력은 친구지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지역사회지지, 학교에 대한 흥미, 자아정체감 순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회적응 향상과 보호요인 개발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16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표적 다문화기관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인력의 다문화 역량 및 서비스 질의 관계를 탐색하고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훈련방안 등에 관한 함의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현재 정부의 다문화정책은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통합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에서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서울·경기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인력 157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질과 다문화 역량 변인들의 관계를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인력은 전문자격증 소지자들로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교육 및 종합적인 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서비스 질과 다문화 역량이 높은 편이다. 특히 다문화 역량의 특성은 일반적 변인, 전문인력 변인, 교육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서비스 질은 학력, 자격증, 다문화 교육 시간 등에 따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인력의 교육과 근무기간 등의 특성과 다문화 역량 요인인 지식과 기술이 서비스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다문화 역량 증진과 서비스 질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인력양성체계 등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언하였다.
        16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외국인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하는 민족-인종사회화의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고 서구사회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외국인 어머니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어머니들이 가장 자주 보인 민족-인종사회화는 문화사회화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인 어머니들이 필리핀인 어머니들에 비해 문화사회화를 더 자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외국인 어머니들은 한국역사관에 대해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자녀교육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한국역사에 관한 내용을 비중 있게 실시되어야 함을 시사해주고 있었다. 셋째, 서구사회와 달리 한국사회에서 차별받은 경험을 가진 외국인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한국에 대한 불신을 촉진시키기보다는 그러한 차별에 당당하게 대처할 것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이 가족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주여성의 한국어 이해 증진 및 가족생활 제고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2006년 수집한 경기지역 결혼이주여성 810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이주여성의 한국어 사용능력은 낮고, 한국어 학습기회를 가졌던 사람도 많지 않았고, 여가생활을 비롯한 가족생활 의사결정 참여도 낮았다. 특히 이주여성의 한국어 사용능력은 여가생활이나 가족생활 의사결정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가족생활의 내용에 따라 남편의 정보, 결혼 유형, 자녀 유무, 취업 여부 등이 가족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주여성의 한국어 사용능력 개선과 가족생활 참여 제고 방안을 제안하였다.
        167.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가족의 지지, 성격 특성, 계획된 행동이론의 주요 구성개념(태도, 주관점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참여의도 및 신체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번안된 질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1개 중학교 학생 180명(남학생=90명, 여학생=90명)이 참여하였고, 2단계 본조사에는 2개 중학교로부터 총 449명(남학생=238명, 여학생 =211명)이 참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의 결과 가족의 지지가 태도에 직접 영향을 주지만 주관적 규범과 태도를 통해 신체활동 행동에 간접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성격특성은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를 통해 신체활동 의도를, 지각된 행동통제를 통해 신체활동 행동을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 다집단 분석 결과 태도와 행동통제에 미치는 성격특성의 영향력은 남학생 집단에서, 신체활동 의도에 미치는 행동통제의 영향력은 여학생 집단에서 강하게 작용하였고, 외향적 성격특성이 높은 남녀 학생일수록 신체활동 행동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71.
        2010.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족 관련 그림책을 이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단일 연령 학급 유아 26명(남 16명, 여 10명)이었다. 사용된 검사 도구는 가족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로 다양한 가족 관련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기초로 연구자가 면접을 위한 질문지의 형태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유아의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 후 유아의 반응을 항목별로 분석하였고,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유아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관련 그림책을 이용한 교육활동은 다양한 가족형태(한부모 가족, 국제결혼 가족, 조손 가족)와 다양한 가족 유아(한부모 가족 유아, 국제결혼 가족 유아, 조손 가족 유아)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3.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패널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를 활용하여 학교적응도에 영향을 주는 가정, 학교,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해당 요인들 간의 종합적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교적응에 대하여 가족 내 사회적 자본, 학교 내 사회적 자본 그리고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 모두가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학교적응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적응에 실패하고 있는 취약계층 아동들에 대한 사회 자본을 활용한 다양한 접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176.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족광상은 풍암분지 북측에 분포하는 백악기 반상화강암의 열극을 충진한 백악기 함금 은 석영맥 및 방해석맥들로 구성된다. 함금 은 석영맥은 전형적인 복성맥의 산상과 함께 빗구조, 피각상 구조, 정동조직, 옥수질 석영 등의 천부 맥상 조직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석영맥 및 방해석맥들은 광화 1기에서 5기까지 구분되며 광화 중기 및 후기에서 집중적으로 금.은광화작용이 수반된다. 광화 중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금함량(~50 atomic % Au) 및 철함량(~6 mole % FeS)을 보이는 에렉트럼과 섬아연석, 황철석, 방연석, 황동석 등이 산출된다. 광화 후기에는 황철석, 황동석, 방연석 및 휘은석 또는 자연은 등의 함은광물과 함께 비교적 낮은 금함량(10~30 atomic % Au)과 철함량(〈 1 mole % FeS)을 갖는 에렉트럼 및 섬아연석이 산출된다. 광화 유체는 약 360~150℃의 온도와 〈 7.0 wt% NaCl 상당 염농도를 보이며, 광화가 진행됨에 따라 온도와 염농도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광화 유체의 산소동위원소비 값(δ18O; -0.6~-6.7 %o)은 광화작용의 진행과 함께 지표수(또는 순환수)의 유입이 점증하였음을 시사한다. 이는 가족 금 은광상의 광화작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염농도를 갖는 광화유체로부터 시작하여, 지표수 유입에 의한 희석 또는 혼입 작용에 의해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가족 광상의 광석광물, 열수변질대의 산상, 유체포유물 및 동위원소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 광상의 광화작용은 지표수의 다량 유입이 가능한 천부 지질환경에서 진행되었음을 시사하며, 성인적으로 백악기 화성활동과 관련된 저유황형 천열수 광상으로 해석된다.
        177.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lotment gardens with log house in rural area as a rural growth tool are able to adapt to current market mechanisms by communication and promotion techniques.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and how allotment garden's users seek their benefits to market segmentation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gment and profile the benefits of allotment garden's potential users so 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allotment garden in Korea.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obtained from 298 allotment gardens users in the study area. Four distinct seg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benefits; relaxer(23.7%), educator(21.9%), want-it-all gardener(42.3%), and grower(12.2%), and these were profiled with respect to socio-demographics and civic garden-related features. We suggest that the relaxers are target market of allotment gardens with log house because they have willingly intented to pay a higher rent.
        178.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situation of allotment garden and its implication from case study on the Kleingarten in German the Dacha in Russia and the Civic Garden in Japan. It has shown that the allotment gardens have gradually been an important for urban people to have recreation and health from agricultural activities. The results suggest that whereas most of kind of allotment gardens in three countries was perspectively enhanced according to their historic and social contexts, the basic rationales initiated were to provide recreation areas for supporting people health and preserving green areas in urban areas. To expand these kind of allotment gardens, we conclude that the establishment and amendment of the related law are needed to activate and enhance the allotment garden in Korea.
        179.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수준의 골프 선수로 만들어지는 오랜 기간동안에 어린 골프선수들의 삶에 미치는 가족의 영향력에 대한 심층연구를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가족은 5 가족으로 5명의 선수와 10명의 부모(전체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했다. 본 연구는 Ericsson 등(1993)이 제시한 프레임 웍과 Cote(1999)의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Erisson 등은 전문적인 수행을 습득하는데 있어서 3가지 중요한 요인의 동기, 노력, 자원이 포함된다고 제시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골프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의 3가지 주요한 요인들을 어떻게 취급하여 Cote(1999)가 제시한 결과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각 골프 선수와 부모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ote(1999)가 제시한 3단계 분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초기단계에서는, 부모는 어린이에게 골프 기회제공, 다양한 과외활동 참가 유도, 그리고 선수들의 재능을 인정했다. 전공단계에서는 선수는 골프 한 종목에 몰입, 부모는 학업과 골프 성취 모두 강조, 재정적, 시간적으로 많은 헌신, 골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투자단계에서는 부모는 선수들의 훈련 증진에 방해되는 요인들을 없애도록 도와주고 있으며, 어린이의 각각에 대해 다른 행동을 보이며, 형제들은 선수의 골프 성공에 대해 질투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단계별로 가족의 역동성이 논의된다.
        180.
        199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