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Beijing perception for Korean Kimch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questionnaire was examined on male 145 (45.7%) and female 172 (54.3%) college students of residing in Beijing. Nationality of Kimchi answered Korea 83.3% of all the participants, and have eaten Kimchi was 59.0%. Male purchased commercial Kimchi 39.7%, and female restaurant 44.9% (p< .05). The first answered 'it was taste' 52.1% when commercial Kimchi purchased, and packing size of commercial Kimchi was 50g 50.0%. Among the intake experience have eaten Kimchi was the highest Baechu Kimchi 79.1%, Mu Kimchi 68.4% and Oi Kimchi 63.6%, also preference of Kimchi was Baechu Kimchi 44.3%, Mu Kimchi 29.3% and Oi Kimchi 19.2% in order. After have eaten Kimchi answered good 64.6% (p< .05), Kimchi liked reason were the highest 'refreshing taste' 42.4%, unliked were 'oder (of garlic, ginger and anchovy juice, etc)' and 'too spicy' 33.3%, respectively. Improvement on consumption extention of Kimchi answered 'not too salty' 30.2%, 'not too hot' 28.5% and 'not too strong seasoning' 22.7%. Perception for Kimchi answered the highest mean (3.95) 'Kimchi is a good side dish with cooked ri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inese in Beijing and Shanghai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questionnaire was examined on male 145(45.7%) and female 172(54.3%) of residing in Beijing, and on male 139(49.5%) and female 142(50.5%) of residing in Shanghai. In foods of eating with Kimchi resulted the highest Chinese foods 40.3% on male, and Korean. Chinese foods 25.3% on female in Beijing(p< .05), Korean, Chinese foods 26.7% and 25.3% on male respectively, and Korean foods 50.7% on female in Shanghai. In Kimchi used dishes Beijing resulted high Kimchi Ramyon 61.5%, Kimchi Kuk 51.3%, and Kimchi Chigae 44.9%, and Shanghai were Kimchi Ramyon 51.2%, Kimchi Kuk 41.3%, and Kimchi Fried Rice 22.4% in order. In evaluation by kinds of Kimchi, the taste resulted high onion juice Kimchi(M=6.55) of the third days, and overall acceptability resulted high onion juice Kimchi(M=6.18) of the third days, similary in Beijing, and Kimchi added in shrimp(M=5.70) of two days, and overall acceptability resulted high Kimchi added in shrimp(M=5.70) of the third days, similary in Shanghai. In Sensory evaluation by used Kimchi, the taste resulted high in the order of Kimchi Fried Rice and Chinese style Kimchi Fried Pork(M=6.27), and overall acceptability resulted Kimchi Fried Udong(M=6.40), Chinese style Kimchi Fried Pork(M=6.27), Kimchi Dumpling(M=6.20) in Beijing, and Kimchi Chige(M=6.70), Kimchi Fried Rice(M=6.67) and Kimchi Pancake(M=6.44), and overall acceptability resulted Kimchi Fried Udong, Kimchi Chige(M=6.50), Kimchi Fried Rice and Kimchi Pancake(M=6.44) in Shanghai.
본 연구는 나박김치를 초기 발효시킨 후 김치 냉장고에 저장하면서 먹을 경우 가장 적합한 초기 발효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발효 온도는 4℃, 15˚C, 25˚C로, 발효 시간은 12시간, 24시간으로 달리하여 초기 발효시킨 나박김치를 4℃에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24일 동안 SF25, LF25, LF15의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SF4, LF4, SF15의 pH는 초기에 상승하다가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숙기의 pH 4.3~4.5 부근에 도달하는데 SF25는 저장 6일, LF15는 저장 21일 정도 소요되었다. 총산도는 초기 발효 직후 SF4, LF4, SF15의 세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다른 처리군인 LF25의 총산도가 처리군 중에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SF25, LF15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모든 처리군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다가 최대치를 보이고 감소하였다. LF15, SF25 LF25의 용존 CO2함량은 SF4, LF4, SF15의 용존 CO2함량에 비하여 더 빠른 기간에 최대치에 달해 시원한 맛을 빠른 기일 내에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명도와 적색도는 모든 처리군에서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은 초기 발효 직후 LF25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SF4와 LF4는 두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SF4와 LF4는 처리군 중에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용존 CO2함량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F4, LF4, SF15는 관능검사 결과 발효가 지연되어 풋내와 짠맛이 높게 평가되었고 탄산미는 낮게 평가되었다. LF25는 관능검사 결과 다른 처리군에 비해 신맛과 이취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15℃에서 24시간 발효시킨 나박김치 (LF15)와 25℃에서 12시간 발효시킨 나박김치(SF25)는 탄산미와 관계가 있는 용존 CO2함량이 저장 12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 동안 다른 처리군에 비해 풋내와 이취가 적으면서 탄산미가 높게 평가되어 15℃에서 24시간 발효(LF15)와 25℃에서 12시간 발효(SF25)가 적합한 초기 발효 조건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물김치류인 동치미나 열무 물김치도 초기 발효 조건에 따라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김치의 조직감에서 cutting force는 제조당일 8.4kgf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낸 후 1일후 40%의 감소가 일어난 후 그 후 서서히 감소하다가 14주째에 급격한 증가를 보인 후 다시 감소하였다. 이러한 절단력은 질긴 정도와 씹힘성을 나타내 주고 있는 바 compression force 시험에서도 gumminess와 chewiness가 각각 제조 1일 후 급속히 감소하였다가 14주에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쳐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는 씹힘성과 질김성이 r= 0.879로 다른 인자들보다도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씹힘성과 경도(r=0.570), 씹힘성과 응집성(r=0.591), 씹힘성과 탄성(r=0.513), 질김성과 경도 (r=0.503)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김치의 관능평가에서 외관, 짠맛, 경도는 제조당일 김치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14주 동안 발효된 김치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18주 발효된 김치의 경우 탄산미와 신맛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나타냈다. 관능검사를 통한 taste간의 상관관계는 신맛과 off-flavor(r=0.805), 신맛과 탄산미(r=0.813)는 매우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탄산미와 off-flavor(r=0.661), 짠맛과 단단함(r=0.530)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Taste와 조직감에 대한 상관관계는 짠맛과 단단함이 r=0.559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off-flavor와 단단함(r=-0.657), 탄산미와 단단함(r=-0.540), 신맛과 단단함(r=-0.651)은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조직감간의 상관관계는 아삭아삭한 정도와 뻣뻣한 정도(r=0.522)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3.7% 염도의 김치를 제조하여 15±1℃에서 24시간 동안 예비 숙성시키고 -1±1℃의 김치전용냉장고에서 30주 동안 숙성시키면서 묵은 김치의 텍스쳐와 관능적 특성을 실험한 결과 묵은 김치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기간은 18주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rstly a way of promoting health through increasing kimchi ingestion by means of analyzing the points to be improved on the state of taking kimchi, the traditional Korean food, the degree of kimchi likings and the problems of the kimchi on the market, and secondly the other way of having our favorite age-old kimchi quality improved as well as making kimchi inherited by means of collecting useful related materials via questionnaire survey intended for 316 housewives of 20~50 years old who lived in Seoul. In the degree of preferences, 92% of them liked kimchi, being considered that higher the age, higher the nostalgia with perception of traditional food. On the problems to be improved of the kimchi on the market, the most answers, 48.73%, said that the hygiene was worrying, indicating that the most overriding problem to be improved in the kimchi on the market was all-out sanitary management. On the thinking of kimchi, the feeling of that the kimchi was the most Korean-like was predominant.
본 연구는 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pH, 총산, 향기성분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풍미, 식미감 및 기호도 면에서 가장 뛰어난 김치의 조건을 찾아내고, 위 김치의 분말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BFS(Breakfast Sausage)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담백한 맛과 향을 제공하면서 영양성과 보존성이 뛰어난 동결 김치분말 첨가 BFS(Breakfast Sausage)를 개발하고자 한 논문으로 그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김치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 5.5에서 pH 3.9로 낮아졌고 총산은 0.35%에서 0.82%로 높아졌으며, 관능검사 결과는 저장 18일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은 저장 12일부터 18일 사이에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pH 4.0, 총산 0.73%을 나타낸 저장 18일째의 김치를 동결 건조하여 동결김치분말 첨가 BFS(breakfast sausage)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2. 김치(pH 4.0, 총산 0.73%, 저장 18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aldehyde류가 5종, acid가 4종, ester가 5종, sulfide1종, alcohol 1종 등으로 나타났다. 3. 동결김치분말의 첨가량을 0, 3, 6, 9%로 달리하여 제조한 BFS(breakfast sausage)를 굽지 않고 실시한 관능검사 결과, 색은 김치분말 9%첨가군(6.65점)이, 맛(6.45점)과 전반적인 기호도(6.25점)는 김치분말 3% 첨가군이, 부드러움은 Cotrol군(5.70점)이, 매운 맛은 김치분말 9% 첨가군(6.85점)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고, 구운 뒤 실시한 관능 평가 결과, 색(7.15점), 맛(7.10점), 부드러움(6.00점), 전반적인 기호도(7.15점) 등 거의 모든 평가항목에서 김치 분말첨가 3%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또한 구운 것과 굽지 않은 것을 비교하면 구운 것이 안 구운 것보다 좋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동결김치분말 3%를 첨가하여 구워 만드는 BFS(breakfast sausage)가 가장 우수한 제품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n the Gwangju Kimchi Festiv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satisfaction on 'pre event publicity of the Festival', the satisfaction of '03 was high. It was founded that Publicity through TV was successful. The visitors' satisfaction on understanding regional cultures was low. It was consecutively low for three years. There should be strategic development plans to increase satisfaction about understanding regional cultures. It was found that TV was the major pre event information resource for the residents. Also word of mouth was the most important pre event information resource for domestic tourists. The satisfaction on access to festival was increased consecutively. Providing free shuttle buses to the festival place and placing festival placard influenced positively. There should be expansion of service facilities. There should be more strengthening of fest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guiding facilities. More professional interpretation systems and interpretation education are necessary. Visitors satisfied about festival products and quality of the products. Visitors satisfied with festival events programs and hands on experience based programs including making diverse Kimchi.
전남 목포의 각 가정에서 담근 김치로부터 분리된 총 56균주의 유산균 중 14균주가 pH 2.5인 인공위액에 내성을 나타냈다. 이 내산성 유산균은 인공위액에서 2시간 배양할 경우, 초기 유산균수의 수 109/mL에서 유산균수가 107~109/mL의 범위를 나타냈다. 김치로부터 분리된 내산성 유산균 AK 3, AK 7, BK 28 그리고 DK 37균주들은 초기 생균수에 비해 인공위액에서 2시간 진탕 후의 생균수가 감소하였지만, 그 생존율이 59-77%를 나타나 다른 유산균에 비해 인공위액에 대해 비교적 높은 내성을 나타냈다. 내산성 유산균으로 배양한 요구르트 5종류는 전체적으로 pH는 3.78~4.32 사이였으며, 산도는 0.96~1.41%, 그리고 점도는 1,659~2,348cps로 나타났다. 요구르트의 유산균 생균수는 1.1×109~2.1×109 cfu/mL의 범위를 나타냈다. 내산성 유산균 BK 28이 다른 균주에 비해 pH 3.78, 산도는 1.41%를 나타내었고 점도가 2,348 cps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성 유산균의 β-galactosidase 활성은 경시적으로 효소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48시간에 최고의 활성도를 나타냈지만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Kimchi noodle have a original taste and characteristics. This noodle was used for sour kimchi, kimchi taste powder, red bean fiber and emulsified oil etc. with RS(resistant starch) premix as blended wheat flour mixed to resistant starch. For manufacturing process of this kimchi mixed dry noodle, suitable kimchi of pH3.70~3.80 was required storage period during 4~5days at room temperature. At this point, the suitable treating amount of sour kimchi was about 20%(w/w) level. Manufacturing of kimchi noodle could be at the suitable manufacturing condition from use of kimchi taste powder and red bean fiber etc. Calori of this kimchi noodle was 308.17Kcal/100g as low level than wheat flour noodle as 355.82Kcal/100g, decreasing effect of calori was about 13.39%. This kimchi noodle had a characteristic sour and hot taste, that wasn't required the special seasoning and/or soup at this result.
본 연구는 식생활의 향상 및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2%의 저염도 통배추 김치에 미삼추출분말을 단독 또는 미삼추출물과 오미자즙을 병용하여 첨가하였다. 김치는 25℃에서 24시간 발효 한 뒤, 4℃에서 40일간 저장하며 5일마다 김치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과 함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pH와 환원당은 저장 초기에는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저장 11일부터는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도와 용존 CO2 함량은 저장기간 내내 전반적으로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용존 CO2 함량은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 미삼추출분말 첨가군, 대조군의 순서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도는 저장기간 내내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단단하게 나타났다. 미생물 중 총균수 및 젖산균수는 저장 6일부터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관능특성검사 결과,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은 신맛이 약하고, 경도가 단단하게 평가되어 대조군에 비해 저장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삼추출분말 및 오미자즙 첨가군은 미삼추출 분말 첨가군과 인삼향미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쓴맛은 유의적으로 약하게 평가되어 소비자 검사 결과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 없이 미삼추출분말 첨가군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의 특성검사의 상관관계는, 용출된 국물양은 산도와 양의 상관관계, pH 및 경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용존 CO2함량과 용출된 국물양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탄산미는 신맛과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경도 및 아삭거림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맛과 탄산미는 pH와 음의 상관관계, 산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저염도 배추김치에 미삼추출분말과 오미자즙을 첨가함으로써 기능성 증진과 더불어, 인삼의 쓴맛을 완화시켜 기호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미삼추출분말 첨가군의 저장성이 향상되었던 것과는 달리 미삼추출분말과 오미자즙을 함께 넣은 처리구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발효 양상을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미삼과 오미자즙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생각되며, 이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김치에 첨가되는 고추를 건조하지 않고 세척, 마쇄한 다음 냉동 저장한 고추를 김치에 사용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김치의 pH는 제조당일에는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 마쇄액의 pH가 가장 높았으며 마쇄고추로 담근 김치의 마쇄액과 김치액에서는 그보다 더 낮게 나왔고 숙성 2주까지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감소하다 숙성 3주이후에는 시료간에 pH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산도는 담근 초기에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보다 높은 산도를 보였으나 숙성 2주째에는 동일하였고 숙성 3주부터는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의 김치액과 마쇄액에서 모두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숙성 전 기간을 통해 김치의 L값과 a값은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액이 가장 높았고 b값은 가장 낮았다. 유기산 함량에서는 acetic acid와 lactic acid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에서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citric acid는 숙성 2주까지는 동일하게 마쇄고추를 첨가한 김치가 더 높았으나 숙성 3주부터는 마쇄고추 및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의 QDA 결과 담근 직후와 숙성 2주일째 김치에서는 적색도, 매운맛, 상큼한 맛이, 숙성 5주째 김치에서는 적색도와 상큼한 맛에서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는 담금 직후, 숙성 2주째 및 숙성 5주째에서 모두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보다 외관과 종합적인 기호도가 월등히 높았다. 따라서 마쇄고추를 김치에 사용할 경우 기존의 고춧가루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 김치의 L값과 a값 및 citric acid함량을 증진시켜 관능검사시 적색도와 상큼한 맛을 높여 소비자의 종합적인 기호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Shanghai perception for Korean Kimch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 questionaire was examined on male 139(49.5%) and female 142(50.5%) college students of residing in Shanghai. Nationality of Kimchi answered Korea 75% of ail the participants, and have eaten Kimchi was 60.9%. Male purchsed commercial Kimchi 42.2% and female restaurant 46.3a(p< .01). The first answered 'it was taste' 51.6% when commercial Kimchi purchsed, and packing size of commercial Kimchi was 200g 56.9%. Among the intake experience have eaten Kimchi was the highest Baechu Kimchi 77.8%, Mu Kimchi 58.5% and Oi Kimchi 35.7%, also preference of Kimchi was Baechu Kimchi 49.7%, Mu Kimchi 26.9% and Oi Kimchi 13.8% in order. After have eaten Kimchi answered good 54.5%(p< .01), Kimchi liked reason were the highest 'refreshing taste' 39.7%, unliked were odor(of garlic, ginger and anchovy juice, etc) and too spicy in order Improvement on consumption extention of Kimchi answered 'not too hot' 30.4%, 'not too salty' 28.6% and 'not over-riped' 21.7%. Perception for Kimchi answered the highest mean 3.51'Kimchi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p< .05) and 'Kimchi is a good side dish with cooked ri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of Kimchi food festival in 1999, 2000, and 2003. This is the longitudinal study on the cultural festival which used Kimchi as the main resourc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Kimchi festival as a foreign tour product. This study has several important findings including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was higher than domestic visitors in most programs. Second, there were many foreign visitors to the festival and the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was higher than residents and domestic tourists. More programs for the foreign visitors are recommended to be an international food festival. Third, experience based food tour events were popular. Introducing more experience oriented programs are recommended for this festival Fourth, There should be more improvement on food price and parking.
Application of pheasant and soybean extracts to improve the quality of baechu kimchi was attempted. Pheasant and soybean extracts at various combinatory concentrations were added into baechu kimchi and fermented for 24 days at 10℃. Assay was performed on salinity, acidity, bacterial growth, sensory evalua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The pH decreased, and acidity increased by fermentation time. The optimum pH 4.2 was reached within 12~15 days, and optimum acidity was reached within 6~9 days.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increased by fermentation time. Score of intensity characteristics in color. crispness carbonated taste, and overall quality were higher for the pheasant and soybean extracts added baechu kimchi(B) than for the control product(S). The result of L and a value of baechu kimchi were Higher in treatment than in control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The hardness of baechu kimchi with pheasant and soybean extracts(B)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
우수한 알카리성 식품이자 발효식품인 오이김치를 직접 제조하여 저장기간별로 글로로필, 비타민 C의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오이김치의 저장기간별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클로로필은 클로로필 a의 경우 저장 0일 52.21%, 저장 11일 20.67%, 저장 14일은 분포를 보이지 않았고 클로로필 b의 경우는 저장 0일 14.44%, 저장 11일 16.99%. 저장 14일까지는 클로로필 a와 마찬가지로 분포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Phephorbide a의 경우는 저장 0일 28.44%. 저장 5일 31.20%. 저장 11일 42.63%로 증가하였으나, 저장 12일에서 14일까지는 분포하지 않았다. Phephorbide b의 경우는 저장 0일 1.25%,저장 1일 10.55%, 저장 11일 15.79%로 증가하였으며 저장 12일에서 14일까지는 분포하지 않았다. Pheophytin a의 경우는 서장 0일 2.85%, 저장 11일 3.92%, 저장 12일에서 14일까지는 소실되었고, Pheophytin b는 저장 0일 0.62%, 저장 5일 1.71%로 증가하다가 저장 11일에서 14일은 분포하지 않았다. 비타민 C는 저장 0일 2.57(mg/100g), 저장 4일 5.49(mg/100g)으로 증가, 저장 11일 2.95(mg/100g)으로 감소, 저장 14일에는 소실되었다. 관능평가는 외관, 냄새, 맛, 질감, 종합적인 맛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저장 8일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저장 10일부터는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