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2015년 현재 총인구 5천만 대비 노인인구 12.8%를 차지하면서 2017년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하여 커다란 사회변동을 예측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 담론’의 의미는 매우 중요할 것이다. 개인은 사회와 역사적 추진력에 의해 형성된다는 C. W. Mills의 추상적 경험주의를 통해 한 사람의 일생을 사회와 역사 속에서 노인을 신노년의 측면에서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할 시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성공적 노화를 위한 기초적인 개념 및 인식의 전환을 위한 노화성공모델과 신노년을 위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구축하여 노인 개인과 사회의 역할을 규명하여 건강한 고령사회를 대비하고자 하였다. 노인문제를 해결하고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 첩경은 기본적인 심리적, 생물적, 사회 적 문제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문제행동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 첫째는 노년기의 대처행동의 핵심은 개체성이라 할 수 있다. 개체의 완성이 곧 정신활동의 근원이며 창발적 활동이 가능하다. 개별화로 대별되는 인간의 본성은 성공적 노화의 핵심요인이다. 그러나 인간의 본성을 규정하는 것은 유전자(Gene)도 아니고 인간 본성의 궁극적 산물인 문화도 아니다. 오직 성공적 노화는 후성 규칙(epigenetic rules)인 것이다. 생물학적 본성과 문화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특히 사회에 의한 그런 상호 작용이 어떻게 인간 본성의 공통성을 만들어 내는가에 있다. 결국 유전자․문화 공진화(gene-culture coevolution)이라고 불리는 하나의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 둘째는 상호의존적 구조라는 차원이다. Martin Seligman이 Positive Psychology에서 자기 절제가 삶의 성공을 위한 핵심적인 힘이며 열쇠라고 주장한다. 자기절제는 스트레스를 없애고 중요한 도전에 의지력을 보존함으로써 삶을 이완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인간의 성장 및 변화의 원칙은 외적 상황에 따른 사고의 단순한 적응과 순응이 아닌 인간의 의지와 노력 등 끊임없는 훈련에서 단련되고 익숙해진 습관적 행동의 힘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인간 개체의 성숙과정이라 할 수 있는데 의존적 상황에서 독립적 상황으로 발전하며 결국에는 상호의존적 상황으로 내면적 성숙을 이루는 개인의 지속적인 자기쇄신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적응적 노화 과정은 탄생하여 죽을 때까지 점진적으로 보다 높은 수준의 책임 있는 독립성에서 효과적인 상호의존성으로 변화해가는 상향적 나선형의 성장과 발전인 것이다. 사회체계 내에 개인의 안녕과 발달을 꾀하는 양육, 교육, 지도 등 활동을 통해 다음 세대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해야 하는 중차대한 책무를 지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는 C. W. Mills가 주장하는 “개인은 사회와 역사적 추진력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그가 살고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비록 미약하나마 그 사회의 형성과 그 사회의 역사적 진로에 공헌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내용과 일맥상통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iscourses and directions of the Korea-China Initiative for People-to-People and Cultural Ties (PCT) for which the Presidents of Korea and China signed in June 2013. The Initiative has gained public attention because Korea and China, which share cultural commonalities through the long history of mutual exchanges, employed humane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diplomatic policies in an effort to substantiate the Korea-China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Despite its successful initialization, however, differing views on the PCT have emerged in regards to the notion of cultural ties/communities and the substances of cultural commonalities. This article, based on a review of the political contexts the two countries reached the agreement, critically examines the differing nuance and positions regarding the Initiative.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Chinese contexts where traditional cultures, usually represented with Confucianism and Chinese characters, are actively employed as political, ideological and diplomatic devices. In addition, examining the Chinese strategies regarding PCT and foreign policies, this article quests for balanced, reciprocal directions of the Initi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is important and necessary since it is a strong method to apply across the applicable areas in terms of educational scene of school and company, drawing up and operation of social policy as well as management aspect of company and to have a strong influence. In this regard, Ivan Illich criticized the function of education as one of a social evaluation system that injects what society wants from people, cultivates talents which society wants, rather than allowing people to learn and growth through a social education function of society, while applying destructive standards of social evaluation and culling people to those who do not follow such routes. Ivan Illich has made diverse and actual suggestions for becoming active learners as the society opens and connects various resource for the people to select by themselves rather than making people learn with an artificial education system. This suggestion gives considerable implications to the current online community beyond exclusively an off-line oriented commun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everal limitations that educational applic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has in the swirling era of change based on such suggestions of Ivan Illich and to present alternatives for this.
본 논문의 목적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야곱의 사다리에 숨겨져 있는 메시지를 신화적 상징과 신학적 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동일한 사건이 신화, 종교, 교리의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수용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다. 창세기에 등장하는 야곱의 사다리를 신화적 상징과 신학적 담론이라는 두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근거는 이 일화가 신화적 상징과 신학적 의미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대교도나 기독교인이 아닌 사람의 시각에서 야곱의 사다리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포함한 다양한 신화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상징체계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구약성경을 자신의 종교경전으로 간주하는 유대인이 나 기독교인의 관점에서 보면, 야곱의 사다리는 야훼 하나님과 신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보다 구체적이며 제한된 신학적 담론 안에서 논의될 수 있다. 야곱의 사다리는 다시 유대교와 기독교의 신학적 담론 안에서 각기 다른 의미로 해석될 뿐 만 아니라, 동일한 기독교 안에서도 가톨릭과 개신교에서 각기 다른 신학적 담론을 형성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목적을 위해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신화의 영역은 주로 엘리아데의 “우주의 축”의 개념에 따라, 유대교, 가톨릭, 개신교의 영역은 각기 성전, 교황, 만인제사장의 신학적 담론 안에서 “야곱의 사다리”를 분석한다.
이 연구는 현행 방송법 제65조가 행위자별 법적 권한에 대해 명료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 할 뿐만 아니라, 수신료 결정의 ‘교착상태’를 초래하는 규정으로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는 점을 지적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2013-2014 수신료 인상 논의과정에서 법적 행위자 들의 실제 행위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담론 및 행위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행위자들의 법적 권한에 대한 평가와 함께 수신료 결정과 관련된 법조항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수신 료결정과정의 3단계 중 제1단계와 제2단계에서 나타난 다수결주의는 처음부터 수신료결 정의 교착상태를 예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KBS 이사회의 정파성과 방통위의 정파 성, 국회의 정파성이 이미 존재하는 상황에서 다수결주의는 극단적인 입법교착을 가져올 수밖 에 없고 사회적 논란을 증폭시킬 수밖에 없는 요인이다. 양당제 하의 대통령제 권력구조에서 정파적 다수결주의에 의한 입법교착의 발생은 민주주의의 효율성마저 떨어뜨릴 수 있다. 방송 법 제65조에 명시되어 있는 법적 절차는 행위자들의 실질적 권한 중심으로 법률행위가 이루 어지고 있다기 보다는 법률에 명시되지 않은 행위자들의 주도적인 행위/담론과 정파적 의사결 정이 지배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런 법률적 구조 하에서 행위자들의 실질적 행위가 계속 된다면 앞으로도 수신료 결정이나 인상은 합리적 절차를 담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신료 결 정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수신료 결정단계마다 나타나고 있는 ‘정파적 다수결주의’를 배제하는 일이다. 적어도 3단계에 서 모두 나타나고 있는 정파성을 한 단계라도 축소하는 것이 수신료 결정과정의 합리성을 증 진시키는 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몇 가지 입법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ealing how ‘GAME ADDCTION’ becomes a discourse. With this study we can find that ‘GAME ADDICTION’ is tool for restricting ‘ABNORMAL’. In conclusion , ‘GAME ADDICTION’ was born in Korea at 1990, and become a discourse with ‘STARCRAFT sensation’ and ‘PCbang’. Social organizations used game addiction discourse from 1999 to 2004. And psychiatry started ruling game addiction discourse from 2005. Now psychiatry is using game addiction to expand their power into home. These processes resembles Foucault,M.’s “LES ANORMAUX”. And many things prove that psychiatry acts just like what that did at Foucault’s 19c. We have to aware what is going on in Korea about game addiction and need to study on psychiatry’s actions.
아바타로 촉발된 3D 관련 담론은 시각 이미지 재현과 수용의 역사 속에서 항시적으로 수용자의 프레젠스에 대한 욕망이 존재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지금에 와서 가장 극대화된 욕망인 것처럼 포장한다. 한국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이것은 테크놀로지를 매개로 결국 철저히 생산자 중심으로 구성된 산 업 관련 담론으로 귀결된다. 이 과정에서 수용자로부터 능동적으로 형성되는 담론 구성 현상들은 억압되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본 연구는 <아바타> 현상을 만들어낸 성공요인을 중심으로 생산자 중심의 담론으로 서 테크놀로지와 산업의 입장에서 펼쳐진 언술들을 살펴보고 수용자 중심의 담론 으로는 영화 보기와 읽기, 쓰기가 이루어지는 문화적 과정을 연구하였다.
This study is on the pedagogical conven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in Korea, especially that of Western Architecture. Recent institutional change in architectural school in Korea has caused overall restructuring of academic program. In spite of extension in the field of history there was no progress of method and way of thinking. There is no change in the point of view to see the western architecture and its history as a unique and specialized phenomenon in the civilization of mankind. Because of no recognition about for what, for whom, and how to, and because of orientalism, the cultural position of western architectural history and its narrative was not asked. With the help of post-colonialism, de-constructivism and critical historiography this paper tries to show the fundamental premise of western architectural history as a myth and show its prejudice as not being justifiable. The background of the discourse there has been a representation effect with regard to knowledge as a power. we need to escape from this kind of cognitional frame With the analysis of the its premise and narrative we can find it is a historical construct that was made in the age of imperialism. In fact it has a lot of false information and problematic point of view. The Identity and originality of western architecture and its history has no logical reason or foundation if we think that it depends on the difference and comparison with other civilization. For example the explanation of its historical origin western architecture has big difference with Islamic architecture in spite of the resemblance each other. This paper try to show several reasons that discourse of western architectural history can not be survived any longer. So we need to reconstruct new pedagogy with deconstruction for the students of non western, or Korean students. Because it has important effect to see and think about architecture and its history.
S. Freud가 주창한 정신분석(psychoanalysis)은 심층심리학(deep psychology)으로부터 출발되었는데 그 독창성은 무의식을 성적억압과 관련지었다는데 있다. 그러나 성적으로 너무 치우치면서 비판운동과 충동갈등 패러다임을 일부학자들은 수정하려고 하였다. Erich Fromm은 프로이트의 이론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재조명하고 인간을 미리 결정된 본능에 따라 환경에 반응하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며 살아가는 존재로 보았다. 현대 수정주의 이론가 Jacques Lacan은 무의식에 선재하는 언어 욕망, 상상계 등의 개념을 통해 인간의 정신을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아이는 자아와 언어와 사회로 형성된 3차원의 질서 속에서만 개별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보고 언어가 출현하면 무의식이 구성된다고 말할 수 있는데 무의식을 구성하는 기본 억압이란 언어의 출현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한편 프로이트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은 이성이 인간과 존재하는 것이 최고의 기능성이라고 주장하는 Herbert Marcuse, 현대사회는 사적․성적 실험이 급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아의 철저한 파편화와 사회 조직의 침투가 시작되고 있다고 하는 Willhelm Rcich, 자기도취적인 자아는 ‘생존주의 문화’의 산물이라고 보고 이러한 유폐된 심성은 가부장적인 가족의 쇠퇴와 연결되어 있음을 예리하게 지적 Christoper Lasch, 정신분석은 성의 고백과 사회 통제의 유지를 위한 억압적인 조처라고 하는 Michel Foucault의 견해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Mikhail Bakhtin은 프로이트의 충동이론이 아무런 근거가 없는 주장이라고 비판하면서 생물학의 심리학화, 주관주의화라고 말하고 유기체의 모든 객관적, 생물학적 형태와 과정은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것들 속에 용해되어 버린다고 하며 방법론적으로 볼 때 의식심리학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고 비판한다. 프로이트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에서 현대적 의미의 정신분석학적 논의는 현대사회의 각 개인들의 무의식적 동기들에서 더 넓은 세계 쪽으로 나아가는 강력한 해석적인 디딤판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적 환상이 공적으로 되는 그러한 변형과정을 연구하는 것이고 정신분석학의 개념을 문학, 예술, 문화 등 다양한 영역으로 응용하고 확대함으로써 문화와 억압으로부터의 자유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Lacan은 치료가 아니라 욕망의 적극적인 추구를 강조하여 욕망은 인간의 본질이며 대타자의 욕망이고 무의식은 대타자의 담론이라고 정식화한 점에 주목해서 실재가 본질에 앞선다는 명제를 중시해야 할 것이다. 결국 욕망은 이미지를 형상화해서 문화로 탈바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현대인의 성 역할이나 성 이데올로기에 민감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페미니즘의 성역할과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여성들의 사적인 고통과 개인적인 억압을 낳는 외부적인 사회 조건에 대응 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사이의 이론적인 대화는 육아의 분석과 그 문화적인 귀결들에 대한 분석에 특히 중요한 것이었다.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보기에 사회적, 성적 억압에 대한 프로이트의 비판은 성적 차이와 젠더 위계의 역학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이상의 논의에서 인간은 단지 유전자에 의해서만 형성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인간을 단순히 그가 소속되어 있는 사회의 산물이라고 말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생물학적 결정론으로서의 정신분석학이 해석과 이해를 필요로 하는 인문과학적 요소를 품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그의 유전자 이상이며, 그 사회 이상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에게 전해진 본성을 초월할 수 있는 우리의 핵심적인 인간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과학이 주는 풍요로움 속의 인간성 상실과 고독은 인간의 정신과 개성을 존중하는 종교와 예술을 통해서 해소해야 할 것이다. 그 중심에 정신분석이 위지하고 있으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정신분석(Psychoanalysis)의 담론(Discourse)은 정신의학(psychiatry)의 영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교류를 넓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women's magazines and women's food consumption stories of the 1950/s. That is, it attempted to comprehe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aspects of food consumption as discussed in the 1950's. The public aspect of culture was investigated using the women's magazine "Yeo-won" which reflected the social and intellectual hegemony of the time. The private aspects of culture were investigated by reviewing the daily life of women though in-depth interviews. Mass media reflected the social and intellectual hegemony and indicated that a cultivated woman who supported western food was a wise mother and a good wife, and that a woman who consumed flour-based food was a reasonable and modern consumer, ahead of her time The admiration for the U.S. and its advanced civilization through free handouts of flour and powdered milk accelerated the consumption of industrialized flour-based foods such as noodles, hardtack, and steamed bread. This lead to the rigid traditional food-eating habits of boiled rice, and side dishes changed to flour-based and processed foods. That is, food represented a cultural identity.
최근 문학 담론으로써의 탈식민주의 이론은 실천적 의미에서 텍스트 해석의 전략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더불어 탈식민주의는 식민 경험을 했던 국가 안에서 문화적 맥락으로써 식민 담론을 전복한다는 의미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작가에게 이러한 의식은 글쓰기에서 탈식민 공간과 주체적 정체성을 형성하게 만들어 주는 동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정전적 글읽기로 대변되었던 예이츠의 텍스트를 탈식민주의 전략 중의 하나인 탈정전적 글 읽기로 다시 조명해보기로 한다.
In 21st century, subordinated relationship of fashion from the body has been disappearing, and fashion is understood as variable and creative field. This research aims at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fashion depending on the theories about the authority and the desire. So, this utilizes between theoretical study and empirical analysis. For concentrated study, research period limits from 2000 to the present time 2010. Contemporary body and fashion have being changed into various forms and values, become complex and de-territory. Especially, body is symbol of ambivalence eroticism that gives point to sexual property, and the object of fetishism and machine having a desire. This study's purpose draw a parallel with between the limits of contemporary body that couldn’t be rid of the capital and desire, and the liberty of fashion that escape from the body’s influence has being changed independent and fluid space. This research's results are as follow as; contemporary de-territory fashion is expressed as 1) symbol of the object and physical material property, 2) self-transcendental instrument fashion, 3) independent spatial molding, 4) de-centering fashion.
This paper inquired into the discourses on material culture in the latter half of Ming dynasty, which including Gao Lian's Eight Discourses on the Art of Living, Xiang Yuanbian's Nine Records from a Banana-shaded Window, Wen Zhenheng's Treatise on Superfluous Things, Tu Lung's Desultory Remarks on Furnishing the Abode of the Retired Scholar, Zhang Yingwen's Pure and Arcane Collecting. The discourses by Jiangnan intellectuals were compiled during the years 1590 to 1630 and dealt with their classification of and the way of seeing material world. Gao Lian and Xiang Yuanbian were rich merchants who cultivated cultural attainments necessary to be a literatus and tried to enter into elite society, Tu Lung passed Jinshi examination as a son of merchant, became an official, and succeeded to enter into elite society. On the other hand, Wen Zhenheng and Zhang Yingwen were members of elite society. Their discourses on material culture can be viewed on the one hand as rich merchant's cultural effort to try to enter into elite society, on the other hand as elite group's cultural capital on which they sought way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본 글에서는 지아장커 영화중에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계를 축소시킨 영화 <세계>를 중심으로 그 속에 던져져 있는 많은 영화적 기호들,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푸코와 부르디외가 말한 권력의 양태들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또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를 고민하면서 이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될 것이다. 본 글에서 지아장커의 영화 속에서 권력을 장악한 자가 누구냐에 따라 권력의 선과 악이 정해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영화 속에서 ‘차이의 정치’를 발견하였다. 차이의 대상이 인위적인 정치의 장치로 형성되는 것에 비판을 가하여야 함에 있어 감독은 조용한 외침을 보여주었다. 왜냐하면 권력관이 없는 차이의 정치는 공허한 외침이나 강자에게 시혜를 구걸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며, 정치를 이야기하면서 권력을 말하지 않는 것은 제대로 된 비판의 자세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떠한 현상에 추상적 비판을 가하는 것은 연약한 은둔자적인 태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