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tary type dust remover is a device in which the rake assembly filters and processes clumps in the water while rotating and repeating movements along the track. It is installed in the pump suction part of the drainage pump station and the rainwater pump station to protect the pump to ensure smooth drainage. Since the rake assembly plays a key role in filtering out complications while passing through the water, stainless steel is applied to all components constituting it, and damage or failure due to deformation causes a crisis in case of heavy rain.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rake assembly is excellent in rigidity, but all components are assembled by welding, which takes a lot of time for repair and replacement. In this study, shape design for rakes and assemblies of the rotary type dust remover, structural analysis to secure reliability, and demonstration tests were conducted through prototype production.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help prevent the stiffness of the joint of the rotary type dust remover from deteriorating, reduce time and cost, and efficient operation.
책가도는 조선 후기 상당히 유행하였던 새로운 장르의 그림이다. 소재와 형식 면에서 중 국과 관련성을 보이고 당시 빈번했던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조선에 전해지게 된 것으로 그 기원을 중국에 두고 발전된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지금까지 연구에서 책가도의 기원에 대 해 책가도와 부분적으로 개연성을 보이는 중국의 다양한 예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거의 없었다. 때문에 책가도의 제작에 참고가 된 중국의 사례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18세기 유럽으로 수출된 중국 기물을 도해한 중국 책장 그림은 유럽 건축의 벽지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현재까지 전 해져 오고 있다. 이 그림들은 연대가 추정이 가능한 18세기 작품들로 조선시대 책가도가 유 행하기 시작하는 18세기 후반과 시간적으로 가까우며 투시도법과 명암법, 눈속임 기법 등 회화적인 기법이나 양식과 소재에서 책가도와 아주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유럽에 전해지는 중국 책장 그림들은 책가도의 원류와 관련이 있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유림 산림경영의 경제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경영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유림 산림경영은 국가 주도로 장기간 이루어졌지만, 실질적인 경제적 성과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에, 목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림, 숲 가꾸기, 솎아베기, 수확 등의 주요 사업 비용과 판매 수익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산림청의 공식 지침 및 공시 자료를 기반으로 주요 수종별 시업 기준을 적용하여 단위 면적(ha)당 투입비용과 수익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국유림 1ha를 경영하는 데에는 약 4,312만 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 목재 판매를 통해 얻는 평균 수익은 ha당 약 313만 원에 불과하여, 국고 순손실이 약 93% 발생하였다. 이는 현재의 산림경영 구조로는 임업경영의 기본인 경제적 지속 가능성 확보가 불가능함을 보여준다. 특히, 국유림의 임목 매각 가격이 사유림보다 높게 책정됨에도 불구하고, 기대했던 수익성 확보에 실패한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국유림의 벌기령(50~60년)을 준수하더라도 입목축적과 매각단가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현실도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유림 및 사유림 경영 정책의 전면적인 재검토와 체계적인 관리 전략 재수립의 필요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하 기 위해 의사결정나무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는 경 상북도 내 중학교 5개교에 재학 중인 1,71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으며, 부모양육태도, 교사와의 관계, 친구관계, 사회정서역량 등을 주 요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은 SPSS 28.0과 Stata 16.0을 활용하 여 이루어졌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의사결정나무모형, 로지스틱 회 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결정나무모형에서는 사회정서역 량 중 자기인식(자기개념)이 삶의 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 었으며, 부모양육태도 중 따뜻함과 자율지지, 친구관계, 그리고 자기관리 (목표관리)와 (정서조절)도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로지스 틱 회귀분석에서는 부모양육태도(따뜻함(OR=1.700), 자율지지(OR=1.549)), 교사와의 관계(OR=1.508), 친구관계(OR=1.893),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인 식(자기개념)(OR=1.646)과 자기관리(정서조절(OR=1.365), 목표관리(OR=1.279)) 가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삶의 만 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및 사회 정서역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교육적·정책적 개입 방안 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를 포함한 종단적 연 구를 통해 보다 일반화된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In April 2023,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a plan to address the nursing workforce shortage by introducing the Accelerated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ABSN) program. This accelerated program, designed to shorten the traditional three-year nursing bachelor's degree program to two years, allows individuals with prior bachelor's or master's degrees in another field to earn the nursing license. While the number of nursing professionals is increasing, there is still a shortage compared to the OECD average, particularly in clinical settings. The ABSN program offers the advantages of supplying nursing workforce rapidly and cultivating interdisciplinary nursing professionals who can easily adapt to the demand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re are also drawbacks, including an increased academic workload due to differences from the regular curriculum and confusion over academic identity. Moreover, given the limited availability of clinical practice sites and the ongoing shortage of clinical nurses, concerns remain about whether the ABSN program can effectively achieve its goal of training high-quality nursing professionals. To address these concerns,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ABSN program and clarify its objectives, distinguishing it from the current bachelor's transfer system.
For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MR fluid for MR dampers, MR fluid with a viscosity of 506 cP and a density of 2.6 g/cc was produced. In order for MR fluid to have suitable performance for MR dampers, it is important to select surfactants, magnetic particles, base oil, and characteristic additives to obtain high damping force and maintai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dispersibility of MR fluid, viscosity, density,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dispersibility, and temperature effects were evaluated.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ter and a vibrating magnetometer were used, and a yield stress and redispersion device were developed to obtain the yield stress of the MR fluid. The recovery rate of MR fluid was approximately 97% at 0.2% succinic acid coating and 8% anti-settling agent. And when current is applied, the viscosity increases by more than 90% due to magnetic properties.
Various cystic diseases or benign tumors can occur in the jaw, and diagnosis through accurate analysis is essential. In clinical examination, objective tests such as palpation, percussion, and pulp vitality tests are mainly performed on the patient's subjective symptoms, and differential diagnosis is performed by combining rad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cidence rate, location, and recurrence rate of cystic diseases and benign tumors that appear as radiolucent lesions in the jaw. From 2016 to 2020, 1,293 patients diagnosed with cystic diseases or benign tumors with radiolucent radiographic features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identified. Under general anesthesia, patients were subjected to cyst enucleation or excision, and the masses were sent for pathohistological examination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definitive diagnosis. The incidence rate, location, and recurrence rate of the diseases mentioned above were analyzed. 1,293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dentigerous cysts being the most common, followed by radicular cysts, odontogenic keratocysts (OKC), and ameloblastomas. Most ameloblastomas, dentigerous cysts, and OKCs were located in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whereas radicular cysts were predominantly observed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Recurrence was most notable in ameloblastomas and OKCs. Dentigerous cysts are the most common radiolucent jaw lesions, while ameloblastomas and OKCs show high recurrence rates, thus requiring careful management. The lesions vary in their predominant locations, with ameloblastomas, dentigerous cysts, and OKCs commonly occurring in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and radicular cysts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Given the differences in recurrence rates and site predilections, it is crucial to differentiate these lesions accurately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vide appropriate treatment tailored to each type.
일반적으로 전기 패널은 용접이나 앵커링을 통해 기초에 설치된다. 콘크리트 기초-앵커 시스템에서 고려해야 할 열화 요인에 는 콘크리트 기초의 균열이 포함된다. 콘크리트 균열은 전기 패널의 앵커에 영향을 미치는 열화 현상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독립반 및 열반된 전기 패널의 동적 특성은 상당히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하나의 전기 캐비닛 시편으로 진동대실험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열반 구성을 고려하여 동적 특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0.5 mm 및 1.0 mm 균열 폭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기초-앵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콘크리트 기초-앵커 시스템을 진동대에 고정하고 1∼3개의 열반으로 구성된 단순화된 캐비 닛 모델을 설치하였다. 열반 수와 콘크리트 균열을 매개변수로 고려하여 진동대에 의한 공진주파수 검색 실험을 수행했으며 각 실험편 의 공진 주파수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겨울철 강수량이 음()과 양(+)의 극값으로 각각 관측된 2021/2022년과 2023/2024년 사 례를 중심으로, 북극 성층권부터 열대 태평양까지 이어지는 전구 규모 대기 변동이 동아시아 대륙-북서 태평양을 거쳐 중국 동부-황해-한국 지역 대류권 하층 강수 발생 메커니즘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규명하였다. 1991-2024년 동안 한국 겨울철 강수량은 연평균 0.55±0.80 mm yr1 , 강수일수는 0.04±0.08 day yr1로 증가하였으나, 2021/2022년에는 74.9 mm, 2023/2024년에는 +150.1 mm의 극단적 아노말리가 발생했다. 2021/2022년 겨울에는 북극 성층권 냉각으로 강한 극소용 돌이가 발달해 중위도 대류권 상층이 온난해졌으나, 티벳 고원의 눈 덮임으로 형성된 한랭 고기압이 중국 동부-황해-한 국에 북서풍을 강화하고 수증기 발산을 유도함으로써 강수량이 크게 줄었다. 반면 2023/2024년 겨울에는 성층권 돌연 승온과 엘니뇨가 겹쳐, 서태평양-남동아시아 해역 해수면 온도가 양(+) 편차를 보이는 가운데 온난 고기압이 대류권 하 층 남서풍을 강화해 수증기 수렴과 구름 생성을 촉진하여 극단적인 강수량 증가로 이어졌다. 결국 북극-열대 태평양 간 그리고 동아시아 대륙-북서 태평양 간 외부 요인이 내부 요인들과 복합적으로 작용해 한국 겨울철 강수량 극값 변동을 유발함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겨울 몬순 기후 예측 및 이해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역사적으로 빈곤층을 대상으로 한 반빈곤 정책은 전통적인 빈민 구호 방식에서 인적 자본 형성과 경제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투자 전략으로 전 환되어 왔다. 미국의 개인발달계좌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s, IDAs) 의 경우, 저소득층이 발달적 목표를 위한 자산을 축적하도록 장려 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경제적 안정을 달성하도록 설계된 대표적 인 자산형성 프로그램이다. 한국에서도 2010년부터 저소득층을 위한 자 산형성지원사업을 도입하였으나 프로그램의 주된 목표는 탈수급을 유도 하는 것이어서, 사회투자 전략에 기반한 장기적인 발달 목표를 지원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빈곤층을 위한 자산형성 개념을 재 조명하고, 한국의 자산형성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저소득 층을 위한 개인발달계좌의 원형적 시범 사업인 아메리칸 드림 시범사업 (American Dream Demonstration, ADD) 프로젝트를 주요 사례로 분 석하였다. 이를 위해 David Gil의 정책분석 틀을 적용하였고, ADD의 주 요 쟁점, 가치 전제, 제도적 메커니즘, 주요 성과와 시사점, 상호작용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한국의 자산형성지원사업이 ADD에 내재된 사회투자 개념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Experimental findings pertaining to the frost resistance of calcium sulfoaluminate (CSA) and amorphous calcium aluminate (ACA) cement-based repair mortars incorporated with anhydrite gypsum are described herein. To prepare the mortars, CSA and/or ACA cements were used as binders, and the water–binder ratio was fixed at 0.57. The compressive and bond strengths, chloride-ion penetration resistance, and scaling resistance of the mortars were measured. Based on the ASTM C666 method, the resistance to both frost action and multi-deterioration of chloride and frost attacks on the mortars were experimentally examined. Calcium aluminate-based binders effectively enhanced the compressive and bond strengths of the mortars owing to the formation of C2AH8 and Ye’elimite hydrates. Furthermore, replacing 25% ACA with OPC yielded excellent resistance to both frost attack and multi-deterioration of chloride and frost attacks. Replacing ACA at an appropriate level as a binder effectively improves the durability of concrete road facilities in winter.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교육 환경의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AI 기반 학습플랫 폼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학업정서와 학습동기적 측면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해 AI 기반 학습플랫폼을 경험한 초등학생 및 중고등학생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그들이 경험 한 학업정서 및 학습동기에 대해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자료 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기술하는 방법인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CA)을 통해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학업정서는 2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은 AI 기반 학습플랫폼을 사용하면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정서로는 만족감, 성취감, 기대감, 즐거움, 안도감을 경험하였으며, 부정정서로는 답답함, 우울함, 좌절감, 불안함을 경험하였 다. 학습동기는 5개의 하위범주로 나뉘어졌고, AI 학습이 학습동기에 도움을 준 이유는 5개의 주제묶음으 로 구성되었다. 결과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AI 기반 학습플랫폼을 사용한 학습자들은 몰입, 자율성, 흥 미,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성을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I 학습을 경험한 학습자들은 AI 학습플랫 폼이 학습동기에 도움을 준 이유로 AI의 기능적 측면, AI 콘텐츠, 보상, 피드백, 게임 요소 등을 꼽았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논의하였다.
사회 전반이 디지털화되는 디지털 대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디지 털 역량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 경북 지역 초중고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실태를 파악하고, 디지털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디지털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 고 학생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술 통계와 집단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디지털 윤 리 역량이 낮았고, 집단별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초,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읍면 지역 학생보 다 동 지역 학생의 디지털 역량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연구를 통해 디지털 교육의 추진 방안에 대해 다 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디지털 교육에 대한 학교 현장의 준비도를 점검한다. 셋째,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디지털 교육을 단계적으로 실시 한다.
포도 ‘My heart’의 기내증식과 기외이식 후 생장에 있어서 배양용기에 부착한 미세공극 Filter 처리가 건전한 유묘를 생 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미세공극 Filter는 환기구 크기별로 White filter type (50.0 mm×3.5 mm)과 Green filter type (50.0 mm×7.0 mm) 으로 구분하여 밀폐 처리와 비교하였다. Shoot tip 배양에 있어서 Green filter type에서 shoot 분화율이 75%로 White filter type 77% 와 밀폐처리 80% 보다 낮았지만 투명화 shoot 발생율은 4% 로 White filter type 13.4%, 밀폐처리 24.7%에 비하여 9.4- 20.7%가 적었다. 전체 배양묘의 54.9%가 투명화 발생이 되 었을 때 Green filter type으로 90일 동안 계대 배양하고 조사 한 결과 투명화율은 11.8%로 감소하였고 분화한 shoot 수는 89개에서 915개로 증가하였다. Filter type에 따라 IBA 2.0 mg·L-1를 첨가하여 30일 동안 배양을 하였을 때 Green filter type에서 기내 발근율 100%, 뿌리 수 7.3개, 엽수 10.0개로 White filter type과 밀폐 처리보다 좋았다. 기외 이식하고 15 일 후의 유묘 생존율도 Green filter type에서 100%로 다른 처 리에 비하여 1.5-29.5% 더 높았고 초장이 11.0cm, 생체중이 1.7g 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미세공극 Green filter 처리는 포 도 ‘My heart’의 기내배양에서 shoot 투명화를 감소시키고 shoot와 뿌리 생성을 촉진시키고 기외이식 후 생장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확인되어 건전한 유묘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IIn the context of site response analysis, the use of shear wave velocity ( ) profiles that consider the seismological rock ( ≥ 3,000 m/s) depth is recommended. This study proposes regression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based models to predict deep profiles for a specialized excavated rock site in South Korea. The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by modifying mathematical expressions from a previous study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nd model variables to predict deep beyond 50 m. The machine learning models, designed using tree-based algorithms and a fully connected hierarchical structure, were developed to predict from 51 m to 300 m at 1 m intervals. These models were validated by comparing them with measured deep profiles and accurately estimating the trend of deep variations. The proposed prediction model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ground motion predictions for a specialized excavated rock site in Korea.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항암치료는 메토트렉세이트, 6-머캅토퓨린, 빈크리스틴, 아스파라기나제와 같은 약제를 기반으로 한다. 아스파라기나아제 관련 췌장염은 최대 18%의 발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급성 발병 및 만성 합병증으로 백혈병에 대한 항암 치료를 중단하는 주요 원인이다. 백혈병 환자에서 항암제에 의한 췌장주위 체액저류를 치료한 사례는 다양하다. 최근 WON (벽으로 둘러 쌓인 괴사) 배액을 위해 내강 인접 금속 스텐트(LAMS)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전기 소작술로 강화된 전달 시스템을 통해 스텐트 배치가 더 간단하고 빨라졌으며 전체 절차가 간소화되고 잠재적으로 절차 시간이 단축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질환의 내시경 배액술에 LAMS를 사용하면 좋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성인 환자의 L-아스파라기나제 유발 급성 췌장염 및 췌장 가성낭종을 치료하기 위해 hot-system LAMS를 시행한 사례를 논의하고자 한다.
현대 사회는 교사의 권위에 대한 많은 질문이 생기는 시대이다. 이러한 때에 루터의 직업윤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루터의 직업 윤리는 종교개혁의 위대한 결실이다. 그의 직업윤리는 중세의 이원론적 직업윤리를 배경으로 할 때에 잘 파악된다. 그는 구원, 목회직, 가족관계, 직업, 교회의 직분, 특별한 사명, 일상과 관련하여 7가지 의미의 “소명” 개념을 사용하였다. 1520년의 작품들에서 루터 의 직업소명론은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고 오히려 인간의 삶과 직업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모든 일을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는 일로 보기 때문이다. 디모데전서 3:13에 대한 주석(1527/28)을 보면, 영적 소명 과 외적 소명이 같은 자리를 차지하는데 그것은 후자가 전자보다 상위 자리를 차지해서가 아니라 두 소명 모두 그리스도를 기쁘게 섬기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1530년대 창세기 주석에서 루터는 신자들이 감사하 면서 자신의 직업에 충실할 것을 권면한다. 여기서 루터의 의도는 바람직한 기독교인의 삶의 자세를 제시 하려는 것이지, 직업을 바꿔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이 아니다. 루터는 교육을 하나님께의 봉사를 위한 도 구로 보았다. 그는 신 앞에서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며 그렇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루터의 이러한 사상들이 오늘날 교사들에게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여 그 사명감을 고취하 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used text mining to analyze public interest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Nakdong River. We examined news articles (1990~2024) and academic publications (1960~2024) to understand the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societal concerns and scientific research. Main findings reveal growing public interest towards the Nakdong River, with initial focus on pollution related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shifting to large-scale river modification projects and water quality issues. This increased awareness mirrored trends in research, where early emphasis on classic ecology and water quality expanded to include sociocultural, educational aspects and advanced methodologies. The study highlights a dynamic interplay between public discourse and scientific inquiry, with research priorities aligning with societal concerns like water pollution, algal blooms, and biodiversity loss, underscoring the need for integrated, multidisciplinary research that addresses emerging environmental challenges and promotes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Nakdong River ecosystem under climate change and other societal shif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