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6

        72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y City’는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10년도에 육성한 분화용 국화 신품종으로 2006년도에 분홍색에 흰색이 혼합된 복색 분화용 국화 ‘Fabienna’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적색 중륜형 분화용 국화 ‘Redwing’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얻었다. 이 품종은 빨간색과 노란색이 어우러진 복색의 분화용 품종으로 20 cm이상의 긴 초장을 가지며 꽃의 직경도 5 cm이상인 홑꽃형이다. 2008~2010년까지 춘계 촉성재배와 동계 억제재배를 포함한 특성검정을 수행 하였으며, 자연개화기는 10월 26일이며, 전조재배와 차광재배로 개화조절이 용이한 주년재배 품종이다. 화경은 56.0 mm, 착화수는 본당13.4화이고 꽃잎수는 26.2매이다. 엽색은 녹색(RHS Green Group 137A)이고 줄기색도 녹색(RHS Green Group 138B)인 이 계통은 2010년 11월 ‘경교 B1-13’ 으로 부여하고 2010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심의회를 거쳐 ‘마이시티’로 명명 하였다. ‘마이시티’는 흰녹병 저항성 검정시 약하게 발병되었고 기호도는 높았다. ‘My City’는 연중 개화가 균일하며 독특한 화색에 분화로서 적합한 초장과 분지성을 가지고 있어 연중생산과 내수용 판매에 적합한 품종이다.
        72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신품종 ‘옥랑’은 ‘세리단’을 모본으로 하고 ‘캠벨얼리’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2002년도에 우수 계통을 선발한 후 2003년부터 2009년까지 7년간 ‘포연-3호’의 계통명으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여 2009년도에 최종 선발하였다. 옥천지역에서 발아기는 4월 17일, 만개기는 5월 29일, 성숙기는 8월 30일로 ‘세리단’ 품종에 비하여 40일 정도 빠른 조생종으로 수세는 약~중간 정도이며 성엽 앞면의 주맥상의 안토시아닌의 함량도 중간 정도이다. 과실의 평균 과방중은 300 g, 과립중은 3.4 g이며 당도는 16.9 °Bx 로 대조품종에 비하여 조금 높은 수준이다. 과피색은 흑색이며 풍부한 여우향을 나타내며, 화진 현상이 적어 착립율이 우수하다. 또한 포도주 제조시 와인의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725.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좀비비추 'White Edge'는 돌연변이 유기용 화학물질인 EMS(ethyle methane sulfonate)용액을 이용하여 돌연변이개체를 유기하고 그 중 잎 가장자리에 흰색의 테두리가 들어간 식물체를 선발하여 영양번식한 품종이다. 2003년에서 2005년까지 3차례의 특성조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White Edge'를 선발하였다. 3년간 특정검정을 실시한 결과, 'White Edge'는 잎 가장자리에 흰색무늬가 년 중 변함없이 균일하게 발현 되어 2007년에 종자산업법에 따라 국립종자원에 비비추 신품종 'White Edge'로 등록(품종보호 제 1880호)을 하였다. 잎의 무늬가 독특하여 및 화단용 반음지성 지피식물로 이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신품종이다.
        726.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프레이국화 ‘예스미키(Yes Mickey)’는 2008년 예산국화시험장 육종온실내에서 네덜란드에서 육성된 홑꽃화형의 ‘포워드(Forward)’를 방임수분하여 얻어진 280개의 종자를 2009년에 파종하였고, 이중에서 다화성으로 화색이 선명하고 녹색의 짙은 화심을 갖고 있는 ‘SP09-182-03’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품종의 주년재배 특성검정을 위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2차 생육특성 검정을 수행하였고, 2012년 3차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기호도가 4.08/5.0로 높아 ‘예산SP-40호’로 명명하였으며 2012년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를 통과하여 ‘예스미키(Yes Mickey)’로 명명하고 품종등록 출원하였다. ‘예스미키(Yes Mickey)’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모본으로 사용된 황색의 ‘포워드(Forward)’를 대조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예스미키’는 황색(7A)의 화심이 진한녹색인 조기개화성 절화용 스프레이국 품종이다. 본당 착화수는 23.7개로 대조품종 17.2개보다 월등히 많았으며 꽃직경이 3.6cm이고 꽃잎수는 31.0매로 대조품종의 2.7cm에 43.0매와 비교하여 볼륨이 크고 녹심이 뚜렷한 산티니계열의 수출용 꽃다발로 적합하였다. 개화소요일수는 자연재배에서 45일로 대조품종보다 5일 빠른 경향을 보였다. 재배상 유의사항은 개화반응기간이 짧아 영양생장기에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고 다화성으로 적정 재식거리를 준수하여야 한다.
        727.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2009년까지 육성된 콩 120품종들의 saponin 함량 변이를 구명하여 콩 기능성 품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Saponin 함량은 Group A saponin이 225.6∼1,193.3㎍/g의 범위였고 평균은 592.5㎍/g이었으며, Group B saponin은 2168.6∼7270.0㎍/g 범위였고 평균은 4318.0㎍/g이었다. Group A와 B saponin을 합한 총 saponin 함량은 2431.1∼8231.3㎍/g의 범위였고 평균은 4910.5㎍/g이었다. 콩 saponin 함량은 품종, 육성연대, 용도, 종실크기 및 육성모지 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종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인식되는 group B saponin이 높은 5개 품종들은 원황콩, 녹채콩, 부광콩, 장기콩 및 흑미콩 이었다. 육성연대는 2000년도 이후가, 용도는 나물콩이, 종실크기는 소립종이, 육성모지는 익산이 총 saponin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saponin 함량과 Group B saponin의 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728.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프리지아 ‘Shiny Smile’은 2006년 수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초세가 강한 자주색 반겹꽃 중생종인 ‘Troubadour’품종을 자가교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08년 직립성이 좋고 초장 및 분지수가 분화용으로 적절한 자주색 다화성 겹꽃 프리지아 ‘08-219’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구근 증식 및 1·2차 생육특성검정을 수행하고, 2011년에 ‘원교C3-5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분화용 품종으로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좋고, 초세가 강한 계통으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2년에 직무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Shy Smile’으로 명명하고 품종을 출원 중에 있다. ‘Shy Smile’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자주색 홑꽃 품종 ‘Opala’를 대비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Shy Smile’은 RHS color chart RP64A의 자주색 홑꽃 프리지아 품종으로 초장이 69.7cm, 소화수가 14개, 분지수가 4.7개로 대조품종보다 우수하며 개화도 대비품종보다 9일 정도 빠르다. 자구번식력은 약 5배 이며 바이러스와 구근 부패병의 자연발생이 적다.
        729.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지속적인 쌀 소비량 감소로 쌀 가공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차별화되는 양질의 가공용 쌀의 개발과 안정적인 원료 공급을 통해 쌀 소비 기반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통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전통식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바, 국내 토종 유전자원에 대한 육종 소재로서의 활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민요, 문헌 등에서 떡으로 가공했을 때 오랫동안 굳지 않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재래종 찰벼인 ‘돼지찰벼(돈나)’의 우수한 가공특성을 규명하고, 재배안정성 및 수량성이 개선된 양질의 찰벼 신품종 육성을 위해 수행되었다. 단간 내도복 찰벼 계통 육성을 위해 주남벼에 돼지찰벼를 교배하였고, 복합저항성 찰벼 계통육성을 위해 보석찰벼와 돼지찰벼를 교배하여 F1을 얻었고, 각각의 F2를 전개하여 계통육종방법에 의해 우량계통을 선발하였다. 단간내도복 특성의 찰벼 우량계통(JS22-3-24-1-6-2-1-1-1)은 수원지역에서 8월 22일경에 출수하는 중만생종으로 간장이 평균 66.2㎝이고, 이삭길이는 22.5㎝ 이다. 현미의 길이와 폭은 각각 4.5㎜, 2.8㎜로 장폭비가 1.9 정도였고, 현미 천립중이 18.5g 정도로 다소 소립이며, 10a 당 수량은 480kg 정도이다. 육성된 복합저항성 찰벼 우량계통(JS23-4-39-14-4-5-1-1-1)은 수원지역에서 8월 15일경에 출수하였고, 간장이 82.3㎝이고 현미천립중은 21.0g 정도이며, 10a 당 수량은 500kg 내외로 동진찰벼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포장에서 목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마름병에 대해 저항성을 보였다. 토종 찰벼의 우수 가공특성을 활용한 양질의 찰벼 계통으로 친환경재배용 품종 및 쌀가루 가공용 등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730.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잎은 열매에 비하여 베타인 함량이 많고, nicotianamine, glutamic acid, 7종의 무기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잎 추출물은 고지방 식이(high-fat diet)로 인한 체지방 및 혈장내 leptin 수준 증가 현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을 뿐만 아니라 미백 활성이 우수하여 식품과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 있다. 이에 잎 생산 전용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청양구기자시험장에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원 143계통에 대하여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보유한 유전자원의 잎 길이는 평균 7.0±0.84cm, 잎 폭 2.5±0.44cm, 잎 두께 0.25±0.057mm이었고, 길이와 폭으로 산출한 엽형지수는 0.22 ∼ 0.50 범위로서 유전적 변이가 다양하였다. 변이계수는 잎 두께가 잎 길이와 폭에 비하여 높았고, 잎이 두터운 계통을 선발할 필요가 있었다. 엽면적은 길이 및 폭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중 잎 폭이 넓은 계통을 선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구기자 엽면적을 간이로 측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를 구한 결과 엽면적은 (0.28 × 잎 길이) + (3.88 × 잎 너비) - 4.13(R2 = 0.88**)로 산출될 수 있었다. 구기자 엽면적이 큰 계통으로 IT232288, IT232589, IT232620, IT232709등 4계통을 선발하였다. 지표성분인 베타인 함량은 평균 2.36±0.642%로 열매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4.0% 이상인 계통으로 IT232593, IT232609, IT232615, IT232648, IT232687 등 5계통을 선발하였다. 앞으로 엽면적이 큰 계통과 베타인 함량이 높은 계통을 육종소재로 이용하여 잎이 크고 두터울 뿐만 아니라 지표성분이 높은 잎 생산 전용품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731.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강 기능성식품은 농업분야에서도 실버세대를 위한 블루오션으로 부각되고 있다. 고령화 될수록 발병율이 높으며, 단백질 습취가 제한되는 만성신부전증 같은 생활습관병 환자의 식이요법용 벼 신품종 ‘건양2호’가 개발되었다. 건양2호는 출수기가 8월 10일의 중생종 품종이며, 간장 이 75cm로 단간이며 내도복성이 우수한 품종이다. 또한 수당립수는 90개, 등숙율은 82%로 양호한 편이다. ‘건양2호’쌀의 단백질 조성 중에서 소화성 단백질인 글루테린 함량의 조성비가 낮고, 난소화성 단백질인 플로라민의 함량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먹어도 소화 흡수되는 단백질이 낮아서 단백질습취가 제한된 생활습관병 환자의 식이요법용을 적합하다. 건양2호는 아밀로스 함량이 11.5%로 일반 멥쌀과 찰벼의 중간정도이며, 중간찰 품종으로서 찰기가 높고 밥이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건양2호의 반찰특성에 관한 유전분석을 수행한 결과 1개의 단순열성 유전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찰벼인 백옥찰벼와 교배한 후대 집단에서 찰, 메, 반찰로 분리되었으며 벼의 찰성을 조절하는 GBSS와는 비대립관계에 있다. 또한 국내육성된 반찰벼 품종인 백진주와 대립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메와 반찰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백진주와도 서로 다른 유전자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건양2호의 후대 집단을 이용하여 유전자지도 작성 및 SSR마커를 이용하여 연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건양2호의 저아밀로스 유전자는 6번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732.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12년 화색이 선명한 핑크색 절화용 거베라 ‘써니팜’을 육성하였다. 교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2005년부터 국내 재배농가에서 유전자원 수집 후 특성을 검정하였다. 2007년 3월 교배 후 우수계통을 선발하여 2008년부터 2012년까지 3회의 특성검정을 거친 다음,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경남교G-45호를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절화특성이 우수하고 화색 등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아 2012년 10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써니팜(Sunny Farm)’으로 명명하였다. ‘써니팜’ 품종의 생육 및 개화특성 조사를 위하여 대조품종으로 교배모본인 ‘핑크라이트(234254)’을 사용하였다. ‘써니팜’ 품종은 핑크색계의 ‘핑크라이트’(234254)와 자주색계의 ‘메피스토’(234275) 와의 교잡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화색이 선명한 핑크색(RHS, 39-B) 반겹꽃으로, 화폭이 11.3cm 정도인 절화용 대륜화이다. 또한 포기당 연간 평균절화수량은 48.3송이 정도이며, 절화수명은 약 12.7일 정도이다. 개화소요일수는 95.5일로 대비품종 ‘핑크라이트’의 99.2일에 비하여 약 4일 정도 빠르며 이때 개화엽수는 약 8.8매 정도이다. ‘써니팜’ 품종의 설상화의 길이는 5.1cm 정도로 대조품종 ‘핑크라이트’의 4.9cm에 비하여 길며, 설상화은 1.3cm 정도로 대조품종 ‘핑크라이트’의 1.2cm와 비슷한 편이다. 화경 직경은 상부는 0.6 cm 정도이고, 하부는 0.8cm 정도로 대조품종 핑크라이트의 상부 0.6cm와 하부 0.7cm와 비슷한 편이다. 재배상의 유의사항은 지온의 관리 및 양·수분의 흡수가 쉽도록 가능한 이랑을 높게 만들고, 여름철 고온기의 생리장해 및 고온에 의한 꽃봉오리의 유실 방지를 위하여 차광재배하여 온도상승을 막아주고 환기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733.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프레이국화 ‘러빙유’ 는 2008년 10월에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황색 폼폰형에 중심부가 녹색인 ‘Furore’를 모본, 흰녹병에 강한 녹색 스파이더 화형의 ‘Green Joy(234213)’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획득한 506개의 종자로부터 실생 계통을 양성하여 초세가 강하고 화형이 안정되며, 화색이 우수한 폼폰 화형의 복색(녹색/황색) 스프레이국화 ‘FG09-257’을 개체 선발하였다. 삽목에 의해 개체증식 후 화훼연구소 비닐온실 내에 정식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간에 걸쳐 1·2차 생육특성검정을 통해 안정성, 균일성과 흰녹병 저항성 등을 조사하였고, 2012년에는 계통번호 ‘경남CS-31호’를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을 수행해 안정성과 균일성에 대한 연차별 재현성 그리고 주년생산성(자연, 촉성, 억제재배) 및 품평회와 시장출하 등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기호성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기호성이 좋고, 화색 및 화형 등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12년 농작물 직무육성신품종심의회 심의를 거쳐 ‘러빙유’로 명명하고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 하였다. 국화 ‘러빙유’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1월 상순이며, 선명한 황색(Y8B) 꽃잎 끝 부분에 녹색(YGN144C) 테두리를 두른 복색 폼폰 화형인 스프레이국화로서 착화성이 좋고 생육이 균일하다. 초장이 96.1cm, 줄기 직경 5.9mm로 대조품종 95.9cm, 5.6mm과 비슷한 편이나 꽃 크기가 5.6cm로 약간 큰 편이다. 꽃자루 길이는 14.6cm로 약간 긴 편이고 설상화의 주된 형태는 선단 모양이 둥근 모양이며, 꽃잎수가 305.2개로 밀도가 조밀하다. 평균 착화수는 13.4개로 대조품종 보다 2∼3개 많으며, 절화수명은 26.2일로 매우 긴 편이고 휴면에는 약하다. ‘러빙유’ 품종은 디스버드와 스프레이 형태로의 재배가 가능하고 비닐하우스 내에서 연중재배 할 수 있다. 재배상 유의사항은 하계 고온기에는 화색 발현을 위해 한 낮엔 차광율 30% 정도의 한랭사로 차광하여 온도상승을 막아주고 환기도 충분히 해 주는 것이 좋다.
        734.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프리지아 ‘Mauve Topaz’는 2005년 수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초세가 강 보라색 홑꽃 중생종인 ‘Avila’품종과 초세가 강한 보라색 겹꽃 중생종인 ‘Blue Bayou’품종을 교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07년 직립성이 좋고 초세가 강한 연보라색 다화성 겹꽃 프리지아 ‘07-223’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구근 증식 및 1·2차 생육특성검정을 수행하고, 2012년에 ‘원교C3-5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절화장이 길고 직립성이 강한 홑꽃품종으로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좋고, 초세가 강한 계통으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2년에 직무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Mauve Topaz’ 로 명명하고 품종을 출원 중에 있다. ‘Mauve Topaz’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보라색 홑꽃 품종 ‘Striped Jewel’을 대비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Mauve Topaz’는 RHS color chart V85A의 연보라색 홑꽃 프리지아 품종으로 초장이 109.7cm, 소화수가 13.0개로 대비품종보다 많다. 분지수가 4.3개이며, 개화도 대비품종보다 8일 정도 빠르다. 자구번식력은 4.1배이며 바이러스와 구근 부패병의 자연발생이 적다.
        735.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내 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수입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국내 쌀의 과잉 공급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밥쌀용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으나, 가공용 쌀의 소비량은 200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기능성 품종개발 및 새로운 수요 창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가공용 향미 벼 품종육성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다수성 통일계 품종인 다산벼와 향 특성을 갖는 IR841을 교배하여 F1을 얻었고, F2를 전개한 후, F3 이후 다수계이며 향을 갖는 계통을 선발하여 초형과 수량성이 우수한 계통(JS14-12-36-8-5-3-1-1-1)을 육성하였다. 육성계통은 수원지역에서 8월 14일경에 출수하는 중생종으로 간장이 평균 81.5㎝으로 다산벼 보다 다소 크고, 이삭길이는 26.2㎝, 이삭당 벼알수는 평균 128개로 다산벼와 비슷한 수준이다. 현미의 길이는 평균 6.67㎜, 폭은 2.29㎜, 두께는 1.70 수준으로 장폭비 2.9의 장원형이다. 현미의 단백질함량과 아밀로스 함량은 각각 8.4%. 19.4% 수준이었다. 현미의 천립중은 20.8g이며 10a 당 수량은 627kg 수준이다. 도복에 강하고, 도열병에 어느정도 견디는 편이나 멸구 등 해충에는 약하다. 육성 다수성 향미계통은 떡복이용 떡, 볶음밥 등 조리가공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736.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거베라 ‘Pinkholic’은 2007년 수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자주색 반겹꽃 ’A Cappella’와 분홍색 반겹꽃 ‘Peter’를 교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07년 실생 계통을 양성하여, 화색이 선명하고 화형이 안정된 대륜계통의 분홍색 반겹꽃 거베라 ‘07B3-2’를 개체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에 대하여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개체 증식 및 1·2차 생육특성검정을 수행하고, 2012년에 ‘원교B3-49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 안정성·균일성에 대한 연차별 재현성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하고, 절화수명이 우수한 품종으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원교B3-49호’는 2012년 농촌진흥청 직무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Pinkholic’으로 명명되고 직무육성품종으로 등록되었다. ‘Pinkholic’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화색과 화형이 유사하며 교배모본으로 사용된 ‘Eta’를 대조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Pinkholic’은 녹색 화심의 RHS color chart RP58C의 분홍색 반겹꽃으로, 대조품종(RHS R52C)보다 밝은 분홍색 품종이다. 평균 화경은 12.0cm로 대조품종보다 0.8cm 큰 대륜계 품종이며, 설상화의 길이와 폭도 각각 5.7cm와 1.2cm로 비교적 길고 넓다. 대조품종의 꽃대 굵기가 꽃목부위 4.0mm, 중간부위 5.5mm인데 반해, ‘Pinkholic’은 각각 4.9mm, 6.8mm로 비교적 굵고 둥글어 경할현상이나 꽃목굽음 등의 생리장해 발생이 적고, 절화수명도 평균 10.4일로 길다. 절화장이 평균 55.7cm 정도로 길어 절화 품질이 우수하며, 연간 채화량도 53.9(본/주) 정도로 많은 다수성 품종이다.
        737.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는 타식성 작물로 잡종강세 육종을 하기 위한 자식계통이 요구되며 육종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식계통들의 특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시험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단옥수수 자식계통들의 특성을 평가하여 육종효율을 높이고 유전체 연구의 자원으로 활용코자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계통들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KSE1 등 sugary enhancer(se) 유전자를 가진 단옥수수 자식계통 45점이며 4월 중순에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시험포장(수원)에서 재식거리 60×25㎝(6,600본/10a)로 파종하여 발아율, 식물체특성, 생육특성, 화분 및 종자생산 관련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KSE2가 31%로 가장 취약하였고 수광태세와 관련된 엽신과 줄기사이의 각도는 21~65°로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숙기와 관련된 출사일수는 47~67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화분의 생산량과 관련된 웅성소수의 밀도는 3~7, 1차 지경수는 5~25개, 웅수의 길이는 19.1~40.7cm 범위였다. 종자생산량과 관련된 이삭의 길이는 7.8~16.2cm, 폭은 3.0~4.5cm, 이삭당 열수는 10~18열 범위였다.
        738.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장은 주로 밥에 혼반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잡곡으로 연간 14,000천톤에 이르는 양이 수입되고 있다. 농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기장은 수전기에 강우가 지속될 때 불임이 심하여 이를 개선한 기장의 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황실찰’은 경산지역에서 수집한 재래기장을 기본집단으로 하여 분리육종법을 통해 2012년 육성된 신품종이다. 출수기는 대비품종인 ‘황금기장’보다 보통기에서 18일, 이모작 재배시 14일 늦고, 생육일수는 보통기 117일, 이모작 101일로 ‘황금기장’보다 13∼19일 늦은 만생종이다. 간장, 수장 모두 ‘황금기장’에 비하여 큰 편이며, 등숙비율은 ‘황금기장’ 65.9%, ‘황실찰’ 76.7%, 조곡 천립중은 ‘황실찰’ 6.3g, ‘황금기장’ 5.5g으로서 ‘황실찰’이 등숙비율과 천립중이 높았다. 특히, 수전기 연속 강우에 의해 나타나는 기장의 불임현상에 대해 비교적 내성이 강하여, 강우가 잦았던 2011년 보통기 생산력검정시험에서 수량성은 202kg/10로 ‘황금기장’ 131kg/10a에 비하여 50% 이상 높았다. 전국 3개 지역 2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평균수량은 보통기 207kg/10a, 이모작 165kg/10a로 ‘황금기장’에 비해 보통기 재배는 38% 증수되었고 이모작은 비슷한 수량성을 나타내었다.
        739.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수는 최근 생활습관병 개선을 위한 곡물로서 각광받고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수수는 대부분 재래종을 사용하고 있어서 유전적으로 순도가 높지 못하고 수량이 낮아 품종개선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항산화 활성과 수량성이 높은 건강 기능성 메수수인 ‘동안메’를 육성하였다. ‘동안메’는 2009년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CS-4 LOCAL COLLECTION’을 기본집단으로 하여 분리육종법을 통해 2012년 육성된 품종이다. ‘동안메’는 파종 후 출수까지 평균 71일, 수확까지는 평균 115일인 중생종이다. 키가 약 160cm이고 이삭의 형태는 밀수형이며 밀도는 조밀하며 받침껍질(영)색과 종실색은 짙은 갈색으로 ‘황금찰’보다 좀 더 붉은색을 띈다. 한 주당 이삭수는 3∼4개로, 각 분얼의 이삭이 동시에 성숙하여 일시에 수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수량성은 약 310kg/10a로 다수성이다. 폴리페놀, 탄닌,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활성(ABTS)이 42.0mgTE/g으로 ‘황금찰’에 비해 30%가 높다. 현곡 천립중은 26.8g, 주당 이삭중은 33.6g으로 무거우며, 도복은 ‘황금찰’보다 강한 편이다. ‘동안메’는 메수수이므로 점질성이 높은 찰수수보다 빵, 과자, 국수 등 가공식품 원료곡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하여, 건강기능성이 높지만 단순 혼반용으로만 이용되던 수수의 섭취방법을 가공제품 등으로 다양하고 폭넓게 활용이 가능한 품종이다.
        740.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모1028’은 쌀가루를 이용하는 가공식품의 원료곡 사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통일형 다수성 품종이다. 2002년 하계에 재배안정성이 우수하고 수량성이 높은 한아름벼를 모본으로, 천립중이 크고 단간 다수성인 다산벼와 YR22841(YR18241-B-B-47-1/YR18241-B-B-210-1)의 F1을 부본으로 이용하여 인공교배를 실시하였다. 2003년 하계에 F1을 양성하였고, 2005년도 F3세대부터 2007년도 F5세대까지 계통육종법으로 고정된 계통을 육성하여 우량한 YR24232-16-1-1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후 2008년 하계에 예비선발시험,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한 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마치고 2012년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우수성이 인정되어 ‘중모1028’로 명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