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를 이용한 실내 위치인식 기술은 현재 다양한 환경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 중 철골구조로 이루어진 선박은 전파의 반사에 의해 수신율은 높지만 레인징 오차가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위치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IEEE 802.15.4a의 CSS 기반으로 변형 이변측위와 초전센서를 이용한 선내 위치인식보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선내 복도와 같은 좁은 통로에서 CSS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이동노드와 고정노드 사이의 적합한 수신거리를 추정하여 고정노드의 수를 줄이고 또한 전파의 반사와 회절에 의한 레인징 오차가 크게 변동하는 코너영역에서 제안한 변형 이변측위기법과 초전센서를 이용하여 이동구간을 추적하여 위치를 인식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일반적인 방법 대비 86.2 %의 선내 위치인식 정확도와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목적 :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2010년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센덱스(시니어 및 장애인 엑스포) 박람회에 참석한 일반인에게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인식을 물어보는 설문을 실시하여, 총 174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박람회 및 설문지가 보조공학기기를 이해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 확인한 결과, 대상자의 85.0%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보조공학기기가 장애인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8.8%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정부에서 지급하는 보조공학기기를 알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45.7%만이 알고 있다고 대답하여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한 홍 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summarized findings from an investigation into the awareness and evaluation of traditional foods among 197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garding awareness of cooktable setting of traditional foods, 44.67% (88 students)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d little knowledge.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awareness of cooktable setting (p<0.05). Regarding the taste of traditional foods, 64.97% (128 students) of subjects responded appropriately. Regarding the necessity for parti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s into a modern style, 61.90% (52 students) of male subjects and 84.96% (96 students) of female subjects were in agreement (p<0.01). Regarding the necessity for traditional food education, 77.16% (152 students) were in agreement, especially female students (86.73%, 98 students) showed considerably higher consent (p<0.05). For the assessment of traditional foods, nutrition (4.57 scores), taste (4.31 scores), and appearance (4.26 scores) were very highly assessed, whereas cookery (3.30 scores) and economic aspects (3.04 scores) scored relatively lower. Traditional desserts were recognized as routine and modern by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girls recognized desserts as traditional (p<0.05). Accordingly, we must preserve and pass down Korean traditional foods by increasing awareness through education or experience as well as through planning better cookery and economical aspects by applying certain standards for traditional fo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ating habit,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behavior by BMI in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ata on the 16, 574 subjects was obtained from the six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0). Only 52.2% of the subjects had regular breakfast.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er in the underweight group than in the obese group, but the rate of skipping dinner was on the contrary to this. Underweight students had a higher intake frequency of fruits, fast food, instant noodle, and snacks than the obese groups. 3.5% of underweight student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overweight or obese. 53.4% of obese student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overweight. The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increased according to BMI, but underweight students considered weight control as an effort to be slimmer. Meal restriction was used more frequently to control weight. The perceived stress level was higher in obese student, especially due to appearance. Therefore, an appropriate, integrated and personalized high school nutrition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for proper body image perception and to develop the self-esteem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amo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Yeongsu, Ganwon-do. 19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our study. The ginseng intakes of male students(59.1%)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e intake of female students(40.9%). The primary reasons for consuming ginseng were to “Maintain my [one’s] health” and to, “Restore my [one’s] energy”. The reasons for not consuming ginseng were “Taste” and, “Physical constitution”. Consumers purchased the following ginseng products at the market: For males, ginseng wine(21.7%), ginseng beverage(17.4%), ginseng candy(17.4%) and ginseng kimchi(17.4%) for females, Korean ginseng snacks(23.3%), ginseng yogurt(20.9%), ginseng candy(14.0%), and ginseng jelly(11.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을 규명하는 데 있 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육과정 중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동작교육 수업을 진행하 기 위해 수업 연구에 대한 노력과 수업 자료를 갖고 있는지와 교사들이 생각하는 동작교육에 대 한 창의성 여부는 어떠한가를 심층면담하고 분석하였다. 수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일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 대학교육에서나 지속적인 연수를 통하 여 동작교육을 다양하게 실습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그 자료를 현장에서 필요할 때 참조 활용할 수 있도록 수준별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유아교육기관에 보급함으로써 보다 질 높은 동작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을 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동작 교육 지도에 있어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 창의적 동작표현 수업 시 어려운 점 등의 내용 을 살펴 본 결과에 대한 해법으로도 제시 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움직임과 관련된 동작교육만이 그 교과의 인식과 경험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것인 만큼 대학교육이나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그리고 여러 가지 교재 개발을 통해 교사들 은 수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받기도 하고, 스스로 현장에서 개발하기도 하여 그 영역 에 대한 세계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ive recently proposed or implemented English education policies. Among the policies are performance assessment, the depaπmentalized classroom system (DCS), 20 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the two-Ievel (Types A' B) English test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nd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The study examines three aspects ofteacher perception on each p이 icy: knowledge, attitudes, and implementa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nd the responses of 395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비ts showed that the knowledge aspect scored the highest for all five p이 icies while differences were revealed as to specific aspects of knowledge, attitudes, and implementation across different policie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attitude aspec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mplementation aspect and that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implementation was higher than the 、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knowledge. The facto rs identifi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all five policies were teacher’s academic attainment, age, and teaching experien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 creative school.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in-service teacher development, English education policy-making, and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garding desirable body image recognition by examining body image recognition 395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3.7 years for boys and 12.6 for girls. Their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65.4 ㎝ and 57.1 ㎏ for boys, and 155.7 ㎝ and 48.8 ㎏ for girls. As for body shape, girls thought that they were overweight more often and wanted to lose weight compared to the boys.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weight control efforts were not systematic such ad via professional counseling. Weight control by students was attempted by themselves in order to control their weight by skipping meals. Further, the subjects exhibit dietary behavioral problems such as overeating, skipping meals, unbalanced diet, and eating speed. In conclusion, correct body image recognition is needed and families and schools should make efforts to help students properly control their weight and adopt proper eating habits.
얼굴 자극의 성별 및 종족과 라인업 절차에 따른 얼굴 인식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 사용된 자극은 동남아시아인 및 동북아시아인 남성의 정면 얼굴 이미지였으며 얼굴 자극의 종족과 실험참가자의 종족이 동일할 때 얼굴 인식이 향상될 수 있는지(동종족 우세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2에서는 동북아시아인 남성 및 여성의 정면 얼굴을 자극으로 사용하여 참가자와 얼굴 자극의 성별이 같을 때 얼굴 인식이 더 정확한지(동성별 우세효과) 알아보았다. 두 실험에서 실험참가자는 모두 동북아시아인이었으며 라인업 절차의 동시제시 조건과 순차제시 조건을 사용하여 얼굴 자극 제시 방법에 따른 차이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동종족 우세 효과와 라인업 절차에 따른 얼굴 인식 정확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표적이 동남아시아인 자극일 때 얼굴 인식 정확률이 높았다. 흥미롭게도, 동성별 우세 효과는 여성 실험참가자에 한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얼굴 인식이 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hinese Recorder and Missionary Journal』에 기고했던 재중 선교사 티모티 리차드, 존 로스, 및 D. Z. 셰필드의 글들은 19세기에 맺어진 서구열강과 중국 간의 조약들, 그 조약에 포함된 선교적 권리들, 그리고 선교사의 향후 태도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견해를 보여준다. 리차드는, ‘조약권리’ 중 기독교 선교와 관련된 항목들이 본국 외교부와 중국 관료들에 의해 이행되지 않으면서 더 많은 중국 신자들의 박해가 일어나고 선교에 큰 장애가 되어왔다고 간주하여, 동 권리의 이행 및 법 개정을 위한 외교부의 노력을 주장하였다. 그는 ‘신자들의 종교자유권’, ‘선교사의 내지거주권’, 그리고 박해자의 처벌을 포함하는 ‘신자 및 선교사 보호권’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그의 주장은 선교현장에서 ‘선교의 자유’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있던 개신교 선교사공동체의 내적인 딜레마를 잘 보여주고 있지만, 또한 그의 제국주의적 서구의 중국침탈에 대한 인식의 결여를 잘 보여준다. 로스는, 선교사들이 서구열강의 억압으로 쥐어짜낸 ‘조약권리’에서 나오는 선교적 권리를 포기하고, 신자들과 비신자간에 일어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사관의 권력에 의지하지 말며, 극단적인 박해사건에 개입하되 관리들과의 ‘직접적인 대화’를 통하여 ‘우호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의 견해는 서구 제국주의의 본질을 통찰하고 중국인들의 입장을 고려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역시 텐진조약이 가져다 준 북부항구의 개방이라는 외교적 조건 안에서 기독교 선교를 수행하는 한계를 안고 있었지만, 선교적 문제해결에서 ‘가장 덜 제국주의적인 방식’의 해결을 제안하였다. 이와 달리, 셰필드는, 기독교선교와 문명의 전파를 위하여 서구국가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기독교신앙과 진보정신 그리고 우월한 인종을 보유한 서구기독교국가의 선교는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며 서구국가들 및 중국의 보호를 받을 만하다고 보았다. 기독교 선교의 방법으로써 말(word)과 힘(power)을 제안하는 셰필드의 견해는 매우 가부장적이며, 나아가 서구제국주의에 대한 무비판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리차드, 로스, 그리고 셰필드는 청말의 동시대에 중국선교사로 일하였지만, 중국의 조약법 및 기독교선교를 위한 조약법의 이행에 대하여 매우 다른 견해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보다 사실적인 대규모 게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NPC(Non-Player Character)의 지능적인 경로 계획 기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필드 기반 경로 계획 기법의 하나로 지금까지 기하 모델링에 사용되어 왔던 적분형 MLS(Moving Least Squares) 기법의 적용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다른 필드 방식(부호 거리장 기법, SDF)에 비해서 모든 지점에서 연속, 미분 가능(C1)한 부드러운 경로를 제공하며 간단한 매개변수 하나만으로 지형 장애물과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른 자연스러운 동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적분형 MLS는 GPU 기반 병렬 기법과 2차원 및 3차원에서의 해석이 상당히 진행되었으며 비교적 어려운 3차원 공간 상의 경로 계획에도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