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71

        421.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was turned out by the beam trawl survey in 2009 that flora of three phylum 16 species and fauna of eight taxa 68 families 97 species were inhabite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nd western coastal waters of Namhae island. Winter season showed the most various appearance of species with 63 species and markedly several kinds of algae species, while summer season showed the lowest number of species with 44 species. However, the indices of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were highest in summer, and vice versa in winter. Major dominant species were Crangon hakodatei, Leiognathus nuchalis, Asterias amurensis, Thryssa kammalensis, Luidia quinaria,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Oratosquilla oratoria, Charybdis bimaculata, Cynoglossus joyneri, Pennahia agentata. The 10 dominant species occupied at 81.4% of catch in number and 49.0% of catch in weight. There were seasonal fluctuations and differences by st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nd western coastal waters of Namhae island, which brought to the difference of length structures, that is, bigger-sized individuals of major dominant species at station A (near to river estuary) than station C (near to ocean). Species compositions by season and by station were separated to two groups. Winter season showed a separated species composition from other seasons and station A exhibited a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from other stations, which was located at near to the Seomjin River estuary.
        4,500원
        422.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60대부터 발전하기 시작한 국제환경법은 1992년 리오환경회의 이후 매우 활발하게 진전되었다. 그 중에서 특히 지구표면의 70%를 덮고 있는 해양환경은 너무나 광활하지만 많은 부분에 걸쳐 오염이 심각하여 연안 생태계로써 마땅히 보호되어져야 할 것으로 간만의 차가 큰 어귀, 습지, 망그로브 나무숲 등이 제대로 보존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것은 매우 다양하고 경제적으로도 중요하여 해안 공동체에게 큰 이익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러한 자연 생태계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해양생물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법은 과학적 자료 분석에 의해서 철저하게 대처해 나갈 효과적이고 통합적인 협약을 체결하지 못하고, 그 때 그 때 상황에 따라서 임시방편적으로 대처해 온 것에 지나지 않았다.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은 320개조문과 9개 부속서를 지닌 일괄처리방식에 의해 대립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채택되었기 때문에 그 전의 어떤 협약보다도 국제법 분야에서 뛰어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비록 제194조 내지 제195조에 ‘취약하고 희귀한 생태계, 서식지 훼손, 위기에 처한 해양생물을 보호하고 유지하며 외래종의 규제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협약당사국에게 요구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지만,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에는 생물다양성보호에 관련된 규정은 없다. 리오회의에서는 해양생물자원과 관련한 국제법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 후속적으로 체결된 협약으로는 고도회유성어족보호에 관한 1995년 국제합의와 공해어선 관리에 관한 1993년 합의, 불법적이며 규제되지 않거나 보고되지 않은 어업에 대해 책임어업행위강령 및 국제실행계획서 등에서도 해양생물자원보호와 보존에 관해 규정되어 있다. 또한 해양 및 연안의 생물다양성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보호하기 위해서 생물다양성협약이 채택되었다. 이 협약에는 연안의 통합관리, 해양보호지역 설정, 연안과 해양의 생물자원의 지속적인 이용, 외래종의 규제, 해양생물자원의 다양성을 구성하고 있는 종들에 대해서 규정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니터링제 도입, 해양생물자원의 다양성에 위해가 될 수 있는 국경을 초월하는 위해물질에 대한 비용부담과 책임을 주요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유지시켜 나감으로써 인구증가로 인한 자연환경보호와 식량 및 건강을 유지해 나갈 수 있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으며, 해양 및 연안의 생태계에서 생물다양성이 유지되는 체제야말로 인간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유엔해양법협약이 체결된 이후 31년이 지났으며 또한 생물다양성협약의 채택도 21년이 지났다. 이 두 협약의 체결로 인하여 현대국제사회의 새로운 흐름과 발전을 출현시킴에 직면한 협약을 출현시켰다는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이러한 협약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현실에서 볼 때 실정국제법학자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국제법의 현저한 특징으로 국제규범과 현실문제의 괴리를 해결함에 있어서는 아직도 국제법의 흠결이 많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엔해양법협약과 그 후속적으로 출현된 생물다양성협약은 서로 다른 주제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 협약 사이의 관계는 국제법 체제를 통합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협약은 해양생물자원을 지속 가능한 이용과 보존을 유지해 나가서 현세대뿐만 아니라 후세에도 이익을 향유하게 하는 역할을 해 나갈 것이다.결론적으로 필자는 이 들 협약뿐만 아니라 그 후속으로 탄생된 관련 협약들이 비록 실정 국제법으로서 완결성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 협약의 취지에 맞게 해석적으로 통합해 나감으로써 국제규범과 현실의 괴리 문제를 원만히 해결해 나가고자 함에 있다.
        9,300원
        426.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과 유럽의 기업들은 지속적 경쟁우위를 위해 ‘기업시민행동’을 중요하게 여겨오고 있다. ‘기업시민행동’에 대한 해외의 선행 연구들은, 기업시민행동이 기업성과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기업이익과 사회이익을 모두 생산해 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서, 국내 기업들도 기업시민행동을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구체적인 제도를 통해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그 수준들이 미국과 유럽에 비하면 아직은 초기 단계이며, 기업시민행동의 정확한 개념 정립과 그를 바탕으로 한 실증 분석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국내 기업들이 실행하는 기업시민행동이 조직구성원이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 국내기업들의 기업시민행동이 어떤 경로를 통해 최종적인 기업성과와 연결되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시민행동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했으며, 인적자원성과와 주관적 재무성과, 일인당 매출액을 각각 매개변수와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횡단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이를 통해서 기업시민행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시민행동은 인적자원성과, 주관적 재무성과, 일인당 매출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자원성과는 기업시민행동과 주관적 재무성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기업시민행동과 일인당 매출액의 관계에서는 인적자원성과의 매개 역할을 확인할 수 없었고, 기업시민행동의 직접효과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국내의 기업이 추구하는 기업시민행동이 인적자원성과와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그리고 인적자원성과의 매개 역할을 부분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기업시민행동과 기업성과의 연결고리 일부를 밝혔다.
        5,200원
        428.
        201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팽이버섯 재배에서 미강(쌀겨)은 농가별로 35∼40% 정도 첨가되고 있으며, 미강은 지방성분이 많 아 높은 온도에서 장기간 운송시 산패와 미생물 오염의 위험이 있어 수입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고, 국내 미강 생산량은 40만톤으로 주로 축산사료와 유기질비료용으로 사용되고 벼 재배 면적이 감소 하고 있어 버섯배지용 미강 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팽이버섯 재배에서 미강을 대체할 배 지재료는 전혀 없는 상태이며 미강의 공급이 중단될 경우 버섯의 생산과 공급에 심각한 문제가 발 생할 가능이 높으며, 따라서 미강공급의 중단에 따른 긴급 상황에서 버섯재배 농가의 피해를 막기 위하여 대체 배지재료의 개발이 시급하다. 미강(쌀겨) 대체를 위한 보리가루의 첨가비율을 조사한 결과 팽이버섯 균사생육은 대조구에 비해 보리가루 첨가 처리구에서 모두 빨랐으며, 특히 보리가루 100% 첨가시 가장 빨랐다. 팽이 버섯의 수량은 보리가루를 70%까지 첨가하여도 수량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따라서 미강 부족시 보리가루를 팽이버섯 재배에 이용 가능하였고, 팽이버섯 자실체의 특성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갓 직경, 대 굵기는 보리가루 30%에서 약간 높 았다. 산림간벌목의 느타리버섯 배지재료 활용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산림간벌목의 구성 비율은 소 나무 90%, 활엽수(참나무 등) 10%로 구성되어 있으며, 느타리버섯 균사 생육은 소나무 첨가비율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하였다. 느타리버섯의 수량은 소나무 톱밥 첨가비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며, 소나무 톱밥 30% 첨가시에는 수량이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특성 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29.
        201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생산량도 2009년 39천톤에서 2011년에는 46.6천톤으로 조금 증가하였다. 또한 재배방식의 발달과 함께 품질의 균일화 및 수량이 높은 혼합배지를 개발하기 위 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구지뽕나무 톱밥에 운지버섯을 접종하여 배양 후 기능성 버 섯생산을 위해 첨가한 결과 느타리버섯 균사 생육은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무처리 보다 균사생육 이 조금 빨랐으며, 운지버섯 톱밥의 첨가량에 따른 버섯 수량을 조사한 결과 운지버섯 톱밥을 30% 까 첨가하여도 무처리와 수량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40%이상 첨가시에는 수량이 떨어졌다. 운지버 섯 톱밥의 첨가량에 따른 느타리버섯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운지버섯 톱밥 20%첨가에서 갓 직경과 대 굵기는 높았지만 경도와 색깔은 처리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삼 첨가비율에 따른 느타리 균사 생육을 조사한 결과 단삼 첨가비율이 증가할 수록 무처리보다 생육이 늦었지만 단삼 5%와 10%첨가에서는 무처리와 생육차이가 없었다. 단삼 첨가비율에 따른 느타리버섯 수량을 조사한 결과 단삼 첨가량이 증가수록 수량은 급격히 낮아졌지만 단삼 5g 첨가한 배양병에서는 무처 리와 수량차이가 없었다.
        430.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3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the mineral resource protection policies and regulations in production countries of natural resources including rare metals are becoming more stringent. Such environment makes which market has malfunction. In other word, those are not perfect or pure market. Therefore because each market of natural resources have special or unique characters, it is difficult to forecast their market prices.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several models to estimate prices of natural resources using ARIMA and their business indices. And for examples, Indium and Coal were introduced.
        432.
        201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중국의 장성자원조사사업(2005∼2014)에서 보이는 새로운 장성의 정의는 무엇이며 논리적 근거로 삼은 것은 어떤 것인지, 거기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이제 중국은 길게 이어진 성벽과 거기에 세워진 關門만이 아니라 烽燧나 城堡와 같이 점점으로 떨어져 있는 시설물까지 장성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들도 성벽과 유사한 방어선으로 파악하여 장성 성벽이 없더라도 장성으로 기능했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북방의 胡人을 막기위해 세운 장벽만이 아니라 漢人이 세우지 않은 장벽이라 해도 장성자원에 넣고 있다. 축조 주체가 누구인가의 구분 없이 역사상 명멸했던 제 왕조 모두를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장성을 민족 융합의 장으로 보려는 중국 당국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지만 장성은 고대 중국인과 다른 민족의 경계를 구분짓고 이동을 차단하기위한 구조물이라는 종래의 이해를 대체하기엔 여전히 역부족으로 보인다. 장성은 그 자체가 정치 군사적 경계이자 민족적 경계인 것이다. 또한 중국 학계는 西北지역의 漢代변경유적 연구를 근거로 삼아 東北지역의 烽燧線과 郡縣의 城城을 장성 방어체제의 일부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두 지역의 봉수선은 분포형태와 기능에서 전혀 다른 유적이었다. 서북지역의 봉수선은 군현의 前方에 위치하여 최전선이 되었던 것에 반해 동북지역의 것은 군현 내의 성곽을 연결하는 형태를 이루었다. 또한 전자는 봉수선의 전면에 방벽(塞)이 축조되어 방어선을 이루었지만, 동북지역에서는 새가 찾아지지 않는다. 街道를 따라 설치된 봉수선(道上燧)인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장성자원조사사업이 의지한 새로운 정의는 서북지역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는 제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를 근거로 동북지역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던 유적을 재해석하여 장성 유적으로 간주한 것은 결코 학술적인 연구방법이라고 볼 수가 없는 것이다.
        5,800원
        43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누에분말중에 들어있는 성분인 1-deoxynojirimysin(1-DNJ)은 α-glucosid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소장에서 혈액으로 포도당이 흡수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 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1-DNJ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환자들에게 혈당강하제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1-DNJ는 간염바이러스 등 외막형성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 하므로 항바이러스성 소재에 대한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혈당강 하 및 항바이러스성 기능을 갖는 1-DNJ의 누에 유전자원 중의 계통별 함량, 그리고 누에 교배조합에 의한 1-DNJ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1-DNJ의 함량은 누에 유전자원의 지리적 및 계통별로 차이를 보였다. 일본종은 JF가 0.536%로 가장 높았으며, 잠303이 0.249%로 가장 낮았다. 중국종은 C108이 0.519%로 가장 높았으며, 중27이 0.242%로 가장 낮았다. 유럽종은 록191이 0.595%로 가장 높았으며, AP가 0.254%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미분류종의 CRE 가 0.653%로 가장 높았으며, J037은 0.297%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유전형질인 혈 색, 견색, 그리고 난색에 따른 1-DNJ 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종 누에를 이용하여 교배조합(F1)을 작성한 후의 1-DNJ의 함량 변화를 비교한 결과, 교배조합에 따른 1-DNJ의 함량 변화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누에 유전자원의 계통별 및 교배조합에 따른 1-DNJ 함량 변화는 누에 품종육성 및 누에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 로 생각된다.
        43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진사회성(eusocial)곤충으로 말벌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고유종인 참 땅벌(Korean yellowjacket, Vespula koreensis)의 먹이자원의 이용도에 따른 포식 행동을 분석하였다. 둥지를 떠난 땅벌 일꾼은 제한된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 의사 결정을 내려야 하고 집단에 속해있는 구성원으로서 집단의 필요를 충족시켜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참땅벌 일꾼들이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며 기 존의 분업을 이어가는지, 또는 기존의 확인되어진 포식재료 쪽으로 분업의 패턴을 바뀌어 나가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포식 재료로 nectar(에너지원), pulp(둥지 재 료), prey(유충 먹이)를 공급하고, 에너지원인 nectar의 공급이 갑자기 끊어졌을 경 우 nectar forager의 분업 형태가 어떤 식으로 변화하는지를 보았다. 모든 포식재료 를 충분히 공급하였을 때의 각 forager 비율은 nectar forager가 15.0%, pulp forager 가 1.0%, prey forager가 84.0%로 나타났으며, nectar의 공급을 중단 후 전체 nectar forager의 8.3%는 pulp forager로, 66.7%는 prey forager로, 기타 25%로 분업 패턴 을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분업의 패턴을 바꾼 nectar forager들의 나이 개체변 인(크기, 몸무게 등)에 따른 분업의 패턴 변화를 추청해보고 비교 토의 하였다.
        43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 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 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동물 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동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동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 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 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도 전반에 걸쳐 동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 사 2차와 3차 조사결과를 문헌리뷰하여 결과를 업었고, 시 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 담수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5문 8강 20목 87과 312종이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의 관찰은 유량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타나 며 또한 계절에 의한 종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들 무척추동물 중에서 전 지역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동 물군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산간계류에서는 비교적 청정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강도래류 토우민강도래, 진강도래, 녹색 강도래, 꼬마강도래, 총채민강도래, 날도래류에는 검은머리 물날도래, 플라나리아, 옆새우류 등이 발견되었다. 강의 하 류나 평지에서는 비교적 오염된 지역에 서식하는 종들이 주를 이루었다. 전라북도 담수에 서식하는 어류는 최근 문헌자료에 의하 면 총 9목 19과 88종이 보고되었다. 이 중 잉어목이 51종으 로 가장 많았고, 칠성장어목 1종, 뱀장어목 2종, 메기목 6종, 바다빙어목 2종, 숭어목 2종, 동갈치목 2종 드렁허리목 1종, 횟대목 21종이 보고되었다. 환경멸종위기종 Ⅰ급 어류는 임실납자루, 감돌고기 총 2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 급 어류는 다묵장어, 꾸구리, 돌상어, 모래주사 총 4종이 출현하여 총 6종의 멸종위기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특산종 은 각시붕어, 칼납자루,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가시납지리, 쉬리, 참중고기, 중고기, 긴몰개, 몰개, 참몰개, 왜매치, 돌마 자, 왕종개, 줄종개, 미유기, 눈동자개, 자가사리, 꺽지, 동사 리, 얼룩동사리, 큰볏말뚝망둥어 등 22종으로 전체 25%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어종은 블루길 베스 2종이 보고되었다. 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육상곤충류는 18목 249과 2,105종 이 보고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Ⅰ급은 없었으며, Ⅱ급에 속하는 고려집게벌레, 멋조롱딱정벌레, 붉은점모시 나비, 비단벌레, 쌍고리부전나비, 왕은점표범나비 등 6종만 이 기록되었다. 고려집게벌레는 전주시 완산 칠봉에서 최근 에 관찰되었으며, 멋조롱딱정벌레는 무주군에서 문헌상으 로만 전해지며 붉은점모시나비는 무주군, 정읍시, 진안군에 서 문헌기록상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단벌레는 부안 변산국 립공원과 정읍내장사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쌍 꼬리부전나비와 왕은점표범나비는 각각 무주군과 무주군 및 정읍시에서 문헌기록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최근까지 관 찰기록은 없었다. 전라북도 양서류는 총 2목 6과 19종이 출현하였고, 환경 부 멸종위기종 Ⅰ급에 해당하는 수원청개구리 1종과 Ⅱ급 에 해당하는 맹꽁이, 금개구리 2종이 출현하였다. 보호종은 두꺼비, 맹꽁이, 금개구리 3종이 확인되었고, 외래종은 황소 개구리 1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2목 10과 30종이 출현 하였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Ⅱ급은 구렁이 1종이 출현하였 다. 보호종은 남생이, 까치살모사 2종이 출현하였고 외래종 은 붉은귀거북 1종이 출현하였다. 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조류는 총 17목 53과 257종이 출현 하였다. 아비목 1과 1종, 논병아리목 1과 4종, 사다새목 1과 2종, 황새목 2과 14종, 기러기목 1과 26종, 매목 2과 17종, 닭목 3과 4종, 두루미목 1과 4종, 도요목 5과 49종, 비둘기 목 1과 3종, 두견목 1과 5종, 올빼미목 1과 5종, 쏙독새목 1과 1종, 칼새목 1과 2종, 파랑새목 3과 6종, 딱다구리목 1과 4종, 참새목 27과 110종이 출현하였다.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조류에는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큰고니, 노 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소쩍새,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황조롱이, 원앙 16 종이 있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Ⅰ급에는 매, 청다리 도요사촌,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총 5종이 출현하였 고, 멸종위기종 Ⅱ급 종으로는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독 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큰기러기, 물수리, 별매, 솔개, 조롱이, 큰 말똥가리, 잿빛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새홀리기, 뜸부기, 흰목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긴꼬리딱새 총 24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은 총 29종이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에는 고창군과 군산시 지역에서 노랑부리백로 1종만이 발견되었다. 전라북도 포유류는 총 5목 11과 30종이 출현하였으며,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포유류는 하늘다람쥐, 수달 등이 발견 되었다. 또한 환경부 멸종위기종Ⅰ급에 수달 1종이 출현하 였고, 멸종위기종 Ⅱ급에는 삵, 담비, 하늘다람쥐 총 3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이 총 4종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으 로는 멧토끼와 고라니 2종이 확인되었다.
        436.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 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 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식물 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식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식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 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 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 도 전반에 걸쳐 식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사 2차와 3차 조사결과와 환경영향평가서 및 현지조사 결과를 리뷰 하여 결과를 얻었고, 시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 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 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는 동부산간지대인 무주, 지안, 장수, 남원지역이 서부평야해안지대인 김제, 부안, 고 창, 익산, 군산 등지보다 많은 식물이 분포하며, 지리산 국립 공원을 끼고 있는 남원시가 가장 많은 종을 보유하고 있었 다. 또한, 전라북도는 고산수종부터 남부해안 수종까지 다 양한 식물이 분포하며, 이는 동부산간지대와 서부평야해안 지대로 구성된 전라북도의 지형적인 특성에 기인하였다. 전라북도의 관속식물상은 총 141과 615속 1,313종 7아 종 171변종 총 1,49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지역 의 식물 멸종위기종으로는 무주군에 광릉요강꽃, 가시오갈 피, 산작약, 복주머니난으로 4종, 남원시에 솔붓꽃, 산작약 으로 2종, 임실군에 솔붓꽃, 정읍시에 진노랑상사화, 부안군 에 미선나무로 각각 1종씩 확인되었다. 고창군에는 솔붓꽃, 가시연꽃으로 2종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가운데 정밀생태조사종에 해당하는 Ⅲ등급종은 152 분류군, Ⅳ등급종 27분류군 및 Ⅴ등급종 32분류군으로 총 2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히 각 시군 가운데 완주군은 Ⅲ등급종 23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및 Ⅴ등급종 3분류 군으로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어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그 뒤로 남원시가 Ⅲ등급종 18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Ⅴ등 급종 3분류군으로 총 23분류군, 정읍시가 Ⅲ등급종 18분류 군, Ⅳ등급종 1종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전라북도에서 나타난 한국고유종은 양치류 3 종, 나자식물은 구상나무로 1종, 피자식물로는 쌍자엽식물 은 42종과 단자엽식물 7종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26 과 43속 44종 8변종 1품종으로 총 5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라북도에서 나타난 산림청 희귀종으로는 24과 29 속 28종 2변종 30분류군으로 고란초, 사스레피나무, 개서어 나무, 만주바람꽃, 쥐방울덩굴, 백작약, 매미꽃, 히어리, 낙 지다리, 물매화, 왕벚나무, 모감나무, 태백제비꽃, 금강제비 꽃, 구상난풀, 꽃개회나무 등 총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전역에서 나타난 귀화식물에서 생태교란 야생종 은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 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털물참새피 등 9종이 확 인되었다.
        43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은 한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팀 리더의 감성리더십이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20 개 중소기업의 315명으로부터 수거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관
        4,900원
        43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presented general considera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germ-plasm collection. The topics addressed concern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ection, the acquisition andentry of the plants into the collection, germplasm health issues, a presentation of the various conserva-tion methods available to germplasm collections and collection management procedures. Many impor-tant varieties of field, horticultural, root and tuber crops are ether difficult or impossible to conserve asseeds or reproduce vegetatively. Genetic resources of such plant species are generally conserved in fieldgenebanks. field genebanks provide easy and ready access to conserved material for research as well asfor use. For a number of plant species the alternative methods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so that theycan be effectively used. For many species, field genebank is one of the components of complementary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of vegetative germplasm. Despite the importance that field genebank playsin conserva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s, the concepts and scientific principles for establishing andmanaging field genebanks are not very well understood by many plant genetic resources workers. Plant-ing a few plants or tree does not constitute a field genebank. There is more science to it that is needed forcontinue maintenance of genetic diversity in the accessions planted in the field as well as to utilize thediversity being thus maintained. It is well recognized that an appropriate collection and conservationstrategy for a particular plant gene pool requires a holistic approach, combining the different ex situ con-servation techniques available in a complementary manner. Ex situ methods are options available for thedifferent genepool elements that are cultivated species, including landraces and modern varieties, wildrelatives, weedy types, etc. Vegetative germplasm has been maintained in field genebanks may be lostbecause of mite infestations or microbial infections. The level of duplication may also depend on theholdings of other genebanks. Accessions available at another genbank may require fewer duplicates thanunique samples
        4,000원
        439.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술제휴 동기의 주요 이론적 배경인 거래비용이론(TCE)과 자원준거이론(RBV)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거버넌스, 성과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하였다. 기술제휴의 동기인 TCE와 RBV의 통합 분석 관점에서 기술제휴의 각 단계, 즉 기술 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거버넌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국내 하이테크(High-Tech) 기업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 시 TCE 관점과 RBV 관점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버넌스 유형 선택에는 TCE 관점이 보다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제휴의 성과에는 TCE 관점과 RBV 관점 모두 관계가 있지만 RBV 관점의 설명력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제휴 각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양 이론의 세부 변수를 제시하고,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과 시사점 및 한계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