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전통회화기법을 활용 한 옻칠교육을 통해 전통의 올바른 계승과 창의적 사고력 및 표현력 향상을 위하여 전통회화 교육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옻칠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전통회화 교육에 대한 현황 분석을 위하여 교육과정 분 석과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서 나타난 전통회화 교육의 문제점은 전통표현의 답습과 감상에 치우진 소극적인 수업 형태, 실제 수업에서 전통회화 영역의 낮은 비중 및 학생 들의 전통회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시급하였다. 둘째, 전통회화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은 전통회화의 특징을 해치지 않으면서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기법을 응용하여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는 새로운 표현기법과 전통 표 현기법의 장르별 통합 형태이며 연구한 기법 및 재료를 바탕으 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였다. 전통회화 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력과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자유로운 기법과 재료의 활용은 창의적 사고력 향 상을 돕고 새로운 표현기법과 전통 표현기법의 통합적인 응용 을 통해 자신의 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표현력 향상은 미술의 타 영역 표현에서도 전통회화의 재료와 기법을 응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생들 이 즐겁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흥미 유발에도 도움이 되었 다. 셋째, 전통회화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은 초등학생들이 옻칠화 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아졌다.
기존 예이츠 연구에 있어서 극작가로서 예이츠는 주로 아일랜드극 국민운동의 지도자 또는 베케트와 핀터 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유럽" 모더니즘 계열의 극작가로 연구 및 이해되어왔다. 하지만 그 결과 근대 아일랜드 회곡사의 전통 안에서 극작가로서 예이츠의 위치라는 문제는 경시되거나 아일랜드 회곡사의 여백에 기입되는데 그쳐왔다. 본 연구는 현대 아일랜드 회곡사의 중심에 서있는 브라이언 프리엘과 예이츠의 극형식과 주제의 두 축에서 연관 지음으로써 예이츠를 그 전통의 내부로 다시 포섭하려는 2부작 연구의 두 번째이다.
pH의 변화는 10%, 15%, 20% 염도 고추장에서는 숙성기간이 지나면서 약간의 pH의 감소 현상이 일어나기는 했지만, 수치에 큰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염도가 낮은 3%와6% 고추장은 급격한 pH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호기성 세균수는 숙성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지만, pH의 감소 경향과 비슷하게 3%와 6% 염도 고추장에서 생균수가 더 많이 감소했다. 모든 염도에서 B. licheniformis와 B. subtilis가 큰 비중으로 차지하였다. 그러나 염도가 낮은 3%와 6% 염도 고추장에서는 이외에도 다양한 균주가 확인되었다. 호염성 세균수의 변화 추이는 호기성 세균의 생균수 변화 추이와 비슷했다. 호염성 세균도 B. subtilis가 모든 염도에서 전 숙성기간 동안 가장 큰 비중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호염성 세균에서는 B. licheniformis 대신 Peanibacillus 속이 많은 부분에서 지배균주였다. 이외에도 3% 염도 고추장에서는 숙성 기간 동안 다양한 균주가 확인되었다. 효모는분리 유무가 숙성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pH의 급격한 저하에 의해 낮은 pH에도 생육이 가능한 균주만 숙성후기에 분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20% 이상의 염도에서는 pH보다 고염에 의한 영향으로 효모의 증식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모든 염도에서 Candida 속과 S.cerevisiae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균종이 확인되었다. 검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ester류가 26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 alcohol류가 12종, ketone류가 6종등 총 70종이 검출되었다. 이 중 alcohol류의 ethanol, ester류의 ethyl acetate와 3-methyl-1-butyl acetate, ketone류의 3-hydroxy-2-butanone, acid류의 acetic acid 등이 10-40% 정도의 면적비율로 검출되면서 주요한 성분으로 나타났다. 효모의 대사산물이면서 고추장의 고소한 향미를 내는ethanol은 10%와 15%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고, 과실향에 기여하는 ethyl acetate는 3%, 6%, 10% 염도 고추장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발효유의 중요한 향기성분인 3-hydroxy-2-butanone은 염도가높아질수록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바나나의 향기에 중요한 3-methyl-1-butyl acetate와 초산발효에 중요한 기여를하는 acetic acid는 3%와 6% 염도 고추장에서 매우 높은수치로 검출되면서 고추장의 이취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결론적으로, 일반적인 고추장의 미생물 균총과 휘발성 향미가 달라지지 않게 제조하기 위한 고추장의 최저 염도는10%가 가장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고에서는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 못한 대학생에게 한문구조를 교수 할 경우의 한 가지 학습방법으로서 전통시대의 초학교재를 활용하여 2자, 3자, 4자, 5자, 7자의 한문문장을 축자식으로 해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문장구조의 필수성분인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학습에 중점을 두고, 부속성분인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는 문장의 확장정도로 제시하면서 문장의 기본구조를 학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동아시아 세계의 전통 초학교재란 단순히 과거에 사용된 교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전통’이란 과거를 재평가하고 재해석하면서 미래의 비전을 창조하기 위하여 재서술 되는 것이다. 현재의 곤란에 위기의식을 느낄 때, 인간은 과거를 돌이켜보고, 그 반사경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현재의 한문학습에서 느끼는 곤란함을 극복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과거에 사용하였던 교재들을 돌이켜 보는 것이다. 이런 위기의식과 위기 극복의 노력이 겹겹이 쌓여 갈 때, 한문학습의 새로운 역사가 전개될 것이다. 이 경우 한문학습의 역사는 결국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전통’에 근거하여 미래를 창조해가는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문학습의 전통 안에서 사용되었던 초학교재는 교육의 근원적 자료로, 그 내용과 형식은 오늘날에 가져와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되었다. 한문학습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서, ‘전통교재’의 재해석, ‘전통교재’의 재평가, 혹은 ‘전통교재’의 한계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Korean foods have the strengths to addresssome of the health problems of modern man. To assess the properties of Korean noodles, daily value %, DVS, DDS and energy density were compared between many kinds of noodles from around the world. Using a variety of reference materials, a nutritional database of noodles was built for this study. For carbohydrate, lipid, vitamin A, vitamin K, vitamin C, niacin, zinc, and copper, the daily values % of western nood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lso, the serving size of Korean noodles was significantly small. Comparing the average energy density of the noodles, they showed 1.87±0.93 kcal/g (Korean noodles), 2.42±1.08 kcal/g (western noodles) and 1.84±0.84 kcal/g (other noodles). The dietary fiber, polyphenols, and flavonoids content of the nood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Neither DVS nor D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orean noodles, the GMDFV pattern showed a diverse choice of food groups. Korean noodles show a lower energy density, and the small serving size to have favorable for the prevention of obesity. Thus, Korean noodles are an excellent choice in terms of diversity and energy density.
어육장의 항산화활성은 L. halophilus와 red ginseng powder를 첨가한 어육장에서 control보다 높은 결과를 얻어 기능성 향상에 기여함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ε-poly-L-lysine의 경우 기능성 부여에는 제한이 따르지만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함을 보임으로서 어육장의 저장성 증진에 효과를 보였다. 또한 L. halophilus에서도 같은 효과를 보이는데, 이는 저장 중 생성되는 유기산과 pH 감소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평가의 경우 풍미에서는 L. halophilus 첨가군이, 짠맛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red ginseng powder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control에 비해 유의차가 없었다. 병원성균이 저장 전후로 검출되자 않아 12주의 저장기간 동안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히이니의 초기 시편들은 산업화 이전의 농촌에서의 유년시절의 기억,북아일랜드 전통의 회고, 또 이러한 기억들이 상기하는 영국의 식민통치에서 비롯된 분노와 불안, 그리고 식민통치가 남긴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문화적 유산에 대해서회고하는 작품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정서들이 표출될 때, 대부분의 경우 여과되지 않은 거친 감정과 선동적인 외침의 분출에서 벗어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구나 북아일랜드의 역사는 불안과 공포로 얼룩져있었고, 그 여파로 발생한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갈등은 북아일랜드 거주민들, 특히 종교적 소수자인 가톨릭들에 게 커다란 불안과 고통을 초래했었다. 그러나 히이니의 초기 시편들이 아일랜드 민족의 정치적, 종교적 세력의 처지를 대변하고 있으면서도 잔잔한 감동과 미학적 울림을 주는 것은, 날선 감정으로 일방적 역성에 치중하지도 선동적이거나 지사적 언사를 동원하지도 않으며, 그렇다고 맹목적 패배주의나 허무주의로 함몰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연함과 숙연함만을 앞세워 애오라지 정도의 눈물이나 상심마저도 허락하지 않는다면 문학으로서의 감동은 희미할 수밖에 없다. 히이니의 초기 시의 매력은 여기에 있다.
Traditional wall is ground coat, twice plater, last plaster by such a process has made a wide variety of used materials and techniques are accordingly diverse. These traditional techniques handed down the traditional walls of the techniques, rather than coming to the lowered cut off at any moment from now when the technique is used, not knowing whether to be used. Repair and restore cultural property maintenance work, it is not only the outward form hiding inside it is a technique to keep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can be called true. When viewed from the side walls of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to reveal changes in the traditional process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technology with traditional techniques for cause shall be made in stock. This paper is from the late Joseon Japanese occupation of techniques ranging from traditional wall to reveal the change process to its current significance of cultural property repair method to be helped.
In terms of awareness of Korean traditional food, elementary students are most affected by their par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ental awareness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he Chungnam Area. In a survey of 126 parents, 58% of subjects we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food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bout 87% of parents thought that inheritance of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was needed. The reasons for inheritance of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To stick to styl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68.2%), ‘Palatable’ (21.8%), ‘Education for children’ (6.4%), and ‘Beautiful and fine custom’ (3.6%). The awareness point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re easy for cook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p<0.01). In all age groups, subjects highly recognized that Korean traditional foods are good for health.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verall preferences for Tteok and Hankwa (r=0.351, p=0.001), Hankwa and Korean traditional drink (r=0.374, p=0.001), and Korean traditional drink and Tteok (r=0.406, p=0.001). As a result, preferences for other items also increased when preference for one of the three traditional foods increased. Therefore,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s necessary in order to satisfy parental preferences.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그리고 사례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관광 및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R&D투자를 확대해 경쟁력을 제고해야한다. 둘째,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여야 한다. 셋째, 이미지 전략으로써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특성화 지향을 통하여 장소의 역사성을 공간적으로 부각하며 점포별 스토리텔링을 통한 브랜딩과 디자인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넷째, 지속가능한 시장 운영관리 조직을 통한 경영 혁신으로써 디자인과 경영 컨설팅을 통한 전통시장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사회적 기업 조직을 통한 공동체의 경제적 기반 조성한다. 다섯째,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개방 공간의 조성과 문화 프로그램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함께 즐기는 축제로 발전시킨다. 여섯째, 지역 특산품을 세계적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 구매심리 및 동선을 고려한 적절한 상품 배치를 통해 쇼핑의 편리성과 아울러 자연스러운 쇼핑을 유도한다. 일곱째, 시장 커뮤니티의 지역 결속력을 다지기 위하여 시장을 둘러싼 주체들의 의지와 파트너 쉽, 그리고 지역주민과 상인, 그리고 투자자들의 시장 커뮤니티에 대한 헌신성을 유도하며 시장 계획 및 운영 과정에서의 지역주민의 참여도(공간을 지키려는 주민의 결의와 단합)를 높이도록 한다. 또한 지속적인 상인 교육을 통하여 자발적인 노력을 유 도한다.
본 연구는 전통대두발효식품에서 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EMD17, HCD2, 그리고 MJ1-43 균주들과 B. subtilis W42 균주의 혈전용해능과 식염저항성을 조사함으로써 대두발효식품 제조에 종균으로 유용한 균주들을 확보하는 것이다. EMD17과 HCD2는 본 연구를 통해 B. amyloliquefaciens 균주들로 동정되었고 우수한 혈전용해능을 지님이 4 종류의 배지에서의 배양을 통해 확인되었다. B. amyloliquefaciens MJ1-4와 B. subtilis W42 균주들은 각각 항진균력과 항균력이 우수한 균주들로 보고된 바 있으나 혈전용해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이들 2 균주도 혈전용해능을 지님이 확인되었다. 항균력과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바실러스 균주들을 종균으로 사용하는 것은 비단 식중독균 오염을 줄여줄 뿐 아니라 혈전용해능과 같은 기능성도 높여줌으로써 궁극적으로 고품질의 대두발효식품 제조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nd changes in hemp textile production practices at Gurye in Jeollanam-do in modern times. To do this, in this study, both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work research were utilized as research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Gurye's hemp data, and the fieldwork research involved two separate trials. Male and Female residents of Gurye who had experience in the area of hemp production from the 1920s to the 1980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hemp fiber cultivation in Gurye, hemp cultivation continued to the 1970s and there were no changes in hemp cultivation practi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era. Second, there have been very important changes in hemp kilns over time. In the 1950s, there were both single-body kilns and separate-body kilns in Gurye. Later, specifically in the 1950s, a new type of kiln using an iron pot appeared, and the most modern kilns were concrete structures. Third, in Gurye, women cooperatively removed hemp husks immediately after stemming, subsequently bleaching the hemp by soaking it in lye or caustic soda. Over time, there have been changes in ash types and in soaking periods. Fourth, loom type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back-strap loom to the treadle loom in the 1930s- to 1940s. Fifth, since the 1970s, the hemp textile output levels of Gurye have been reduced due to the westernization of clothing styles, the inflow of Chinese hemp fiber and government regulations pertaining to hemp cultivation.
Various Korean healthy foods containing Deoduk were developed and standardized recipe. Sensory evaluations of Koreans and foreigners for these developed food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5-point hedonic scale.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on foods containing Deoduk were as follows: Deoduk bap (2.90~3.91), Deoduk seolgidduk (3.19~4.40), Deoduk gangjeong (3.00~4.60), riasted Deoduk with red pepper paste (2.73~4.20), Deoduk pine nut juice salad (2.40~3.96), and Seopsansam (3.91~3.81). Deoduk seolgidduk, developed by using a recipe for Sansambyeong which in a Chosun dynasty cook-book, was highly preferred by Africans, Japanese, and Koreans. In particular, all foreigners except Southeast Asians liked Deoduk gangjeong, and both Koreans and foreigners liked Seopsansam. Foreigners’ experience of eating foods containing Deoduk was high at ‘No’ (68.9%), whereas Japanese (60.0%) had previous experience. Exactly 91.6% of Koreans responded ‘Yes’ to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Deoduk food is good for health, whereas the proportion of foreign respondents who said ‘Yes’ was 43.2%, ‘No’ was 5.4%, and ‘I don’t know’ was 51.4%. Deoduk seolgidduk was preferred by Japanese, and most foreigners preferred Deoduk gangjeong and Seopsansam. Therefore, Deoduk could be developed as a healthy food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However, as foreigners’ awareness of Deoduk is low, we must positively promote the health function of traditional food ingredients and develop various menus suitable forforeigners’ tast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China and Korea have a long history of star charts, dating from the prehistoric period. Historically, Korean astronomy has been deeply influenced by China over the last two thousand years, particularly on constellation system. Therefore,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star charts have many similarities in terms of shape of constellation, number of star, and so forth. Korean star charts, however, have lots of unique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from Chinese ones, such as, size of star and position of constellation. Overall knowledge of the Chinese star chart is required to study the Korean star chart. In this paper, I focus on introducing selected star charts in China and Korea. Although this review is very limited, I hope that this paper is helpful in research in the field of historical astronomy.
The pattern cases for Korean traditional socks are named “beoseonbongip” which means a pouch to keep patterns for making “beoseon”. “Beoseon” is Korean traditional socks.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cases an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cases. One hundred fifty one photos of “beosonbongip” were collected an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Seventy percent of them were made between Joseon Dynasty and 1960s. As a result, most of the collected pattern cases are rectangular and square shapes, red color, and silk fabrics, and sizes of them are from 9cm to 15cm. A few pattern cases with different sizes and colors were also observed. Most pattern cases were made by fixing two among four triangle pieces which made by folding four tips of a rectangular or square cloth and then puting a not or a loop on the remaining triangle pieces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pattern cases. In a small number of the pattern cases, three of the four pieces were fixed and a button, a bead, a broach, or two nots or two loops were put on the other piece for opening and closing. Products such as apparels, bags, pouches, frames, and key holders were made using “beoseonbongip”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is shows that “beoseonbongip” is a useful motive for creative product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