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66

        294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준 마요네즈 제조에 Bovine Plasma를 첨가하거나, 난황의 일부 혹은 전량을 Bovine Plasma으로 대체하여 마요네즈를 제조하고 점도, 색도, 유화 안정성, 관능검사를 통하여 Bovine Plasma의 마요네즈의 제조적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도는 표준 마요네즈 (난황비율 12%) 제조 배합비에 0.01 ~ 0.1% Bovine Plasma를 첨가하였을 때 다소 증가하였고, 난황 첨가비를 50% 감소한 시료에서도 1 ~ 3% Bovine Plasma를 첨가함에 따라 표준 마요네즈와 근접한 점도를 나타냈다.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경우도 5% 첨가수준에서 표준 마요네즈에 근접한 점도를 나타냈다. 2. 색도의 측정결과, 난황의 비율 (6, 12%)과 Bovine Plasma의 첨가비율에 따라 명도값을 나타내는 L값은 전체 시료간, 저장기간 (30℃ 21일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난황의 비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Bovine Plasma의 첨가비율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Bovine Plasma의 첨가가 유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30℃ 21일간)을 검토한 결과, 표준 마요네즈에 Bovine Plasma를 첨가함에 따라 안정성이 증가하였고, 난황비율을 표준 마요네즈의 50%로 감소시켜도 1 ~ 3% Bovine Plasma를 첨가함에 따라 표준 마요네즈와 근접한 유화 안정성을 보였다.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경우도 5% 첨가수준에서 표준 마요네즈와 근접한 유화 안정성을 나타냈다. 4. 관능검사에서 표준 마요네즈에 0.01 ~ 0.1% Bovine Plasma를 첨가한 시료는 Bovine Plasma의 첨가비율에 따라 항목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낮은 기름냄새, 달걀냄새, 식초냄새, 기름맛, 달걀맛, 느끼한 맛, 식초맛을 나타내고 냄새와 맛의 조화도가 높아 표준 마요네즈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난황의 첨가비율을 50%로 감소시키고 1 ~ 3% Bovine Plasma를 첨가하여 제조한 마요네즈는 색을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에서 표준 마요네즈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5%의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마요네즈는 표준 마요네즈와 비교했을 때 다소 강한 기름냄새와 기름맛, 난황이 첨가되지 않아 색에 대한 기호도의 저하 등 관능적인 면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4,000원
        295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vironmental friendly acrylic/urea high-solid paint(MUHC) were prepared through the curing reaction of acrylics resin(EBHC) containing 70wt% of solids content and butylated urea curing agent. The synthesis of EBHC Was done at 150℃ for 6 hours,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Mn=1830~2190, Mw 3290~4000, Mw/Mn=1.80~1.83 viscosity=110~352 cps, and conversion=82~92%. After the film was coated with MUHC, th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They showed that enhancement of the coating properties such as adhesion, flexibility, abras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could be expected through introdl1cing caprolactone acrylate component in acrylics resin for the high-solids content acrylics/urea coatings.
        4,000원
        295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atty polyamide that gives softness, lubrication and bulky property and alkyl imidazoline that gives durable softness and antistatic property were synthesized. then, an O/W-type durable softener (DSN) was prepared by the emulsion of the synthesized fatty polyamide and alkyl imidazoline. Emulsion stability of the DSN was good, and the mixed HLB value was 11.2. From the measurement of softness, lubrication, antistatic property, bending resistance, and color fastness, it was proved that the prepared DSN was a good durable softener for nylon.
        4,000원
        295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직접메탄올연료전지에 사용가능한 이온교환막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폴리설폰을 설폰화시켜 양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고 그에 대한 특성을 150℃에서 열처리 전과 후를 통해 메탄을 투과도, 이온전도도, 이온교환용량 그리고 함수율 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폴리설폰 고분자의 단량체와 설폰화제의 몰비가 1.4일 때 메탄올 투과도는 2.87×10-7 ;cm2/s(열처리 안함), 1.52×10-7; cm2/s(열처리함)과 이온전도도는 1.10×10-2; S/cm (열처리안함), 0.87×10-2; S/cm(열처리함)을 각각 보여 주었다. 그 이후의 몰비에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함수율과 이온교환용량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4,000원
        2953.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선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섬광이 발생하는 무기형광체(inorganic fluor)인 cerium activated yttrium silicate(CAYS)를 폴리설폰 고분자막에 함침시킴으로써, 형광 용액의 도움 없이 방사능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막을 제조하였다. 막의 제조는 두 가지 공정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고분자와 용매의 균일한 1차 제막용액을 유리판 위에 제막 후 용매증발을 통해 폴리설폰 고분자막이 생성되도록 하였다. 고형화된 폴리설폰 필름 표면에 CAYS가 분산된 고분자 제막용액을 2차로 도포시킨 후, 비용매 욕조에 침지시키는 상전환 공정을 이용하거나 용매의 증발을 통한 유리화에 의해 2차 용액의 고형화를 유도함으로써 함침막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막의 형상은 치밀한 구조를 지니는 고분자 지지체와 이에 완전히 고착된 CAYS함침막의 이중구조를 지니게되며, 지지체 부분은 막의 안정성을 2차 제막에서 생성된 부분은 기능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구조적 특성을 지닌다. 제조된 함침막에 방사성핵종을 직접 도포하여 방사성핵종의 탐지 특성을 측정하였을 때 효율적인 탐지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295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life standard has enhanced, food products has incomparably advanced both in quality and variety to meet the consumer's choice. Despite of high quality and variety, appropriate food safety system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in food manufacturing. With Product Liability issuance effective on July 2002, consumers are demanding far higher food safety level than what it used to be. The food manufacturers are seeking food safety assurance system. HACCP system is a pivotal product safety system providing the infrastructure to PL. By the time in the early 1970 when HACCP was developed suitable for food, it comprised the category of Risk, in fact it was quantitative sequence system. In a preparatory phase of HACCP, decision mostly depends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In a recent study, the introduction of Risk Analysis is being reviewed for Food Safety system. In this study, FTA, FMEA are also reviewed in comparison with HACCP which have been utilized in Safety Engineering.
        4,000원
        295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x=0.69~0.74) powders synthesized by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organic acid salts. The obtained powders were uniform in composition and ultra-fine particle with about 400 nm. The amount of spinel phase of these powders was about 50% in X-ray diffraction patterns. The calcination of powder was carried out at for 2 hours in air. After the powders were calcined. the mean size of powder was about 500 nm and the amount of spinel phase was increased over about 65%. The maximum amount of spinel phase was about 75% in the specimen of X=0.72. The magnetic properties of calcined powders were the best among the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compositions
        4,000원
        2959.
        200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VRFB) has been studied actively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s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electric vehicles, photovoltaic arrays, and excess power generated by electric power plants at night time. CPCS has been shown to have the characteristics as an excellent current collector for VRFB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pecific resistivity 0.31 Ω cm, which were composed of G-1028 80 wt%, PVC 10 wt%, DBP 5 wt% and FS 5 wt%. Energy efficiencies of VRFB with the CPCE and the existing electrode assembly were 84.14 % and 77.24 % respectively, in charge/discharge experiments at constant current of 200 mA, and the CPCE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as the electrode of VRFB.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