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66

        3701.
        199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상의 괴타이트 합성조건을 구하고 Co/가스에 의한 침탄법으로 Fe3C 단상을 얻을 조건을 구하여 그 자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침상의 괴타이트는 공기 유입량을 1500ml/min, 반응온도 50˚C의 조건하에서 교반속도 500rpm, pH 12.0 이상에서 이상적인 분말을 합성할 수 있었으며 교반속도가 증가할수록 미세하고 입도 분포도 좁고 균일하였다. 탄화반응은 유리탄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CO가스와 N2가스를 1:2로 혼입하였으며 550˚C, 60min. 이상의 반응조건하에서 Fe3C단상의 포화자화값은 탄화반응 온도에 관계없이 100/emu/g으로 일정하였으며 보자력은 780 에서 400Oe까지, 각형비는 0.35에서 0.13까지 탄화잔응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4,000원
        3702.
        199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lk반절연 기판 웨이퍼에 이온 주입법에 의한 기존의 GaAs집적회로 제작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반절연 기판 위에 반절연성의 고저항 GaAs 에피층을 성장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반절연 기판의 EPD분포를 조사하고, MOCVD와 MBE법을 이용하여 undeped GaAs반절연성 에피층을 성장시켜 실제 집적회로의 제작에 적합한지를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반절연성 에피?을 buffer층으로 성장시킨 에피 기판에 ungated FET를 제작하여, 이 반절연성 에피?을 통한 누설전류를 측정하고, 또한 반절연 기판의 EP분호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누설 전류의 측정결과 비교적 주설 전류가 큰 1μm 두께의 MOCVD시료에서도 270nA/mm로 FET의 pinch-off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매우 작은 누설 전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누설전류의 분포가 반절연 기판의 EPD분포와 일치하는 것을 발견하여, 에피층의 quality에 기판의 결함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MBE법으로 성장한 2μm 두께의 undoped burrer층 시료는 휠씬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매우 균일하고 낮은 누설전류(40nA/mm)가 측정되었다.
        4,000원
        3703.
        199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동차용 부품재 및 일반산업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AC4A Al합금에 SiCw preform을 용탕단조법으로 강화시킨 복합재료의 시효 경화능은 SiC/aub w/30%> 10%> 20%의 순이며, 이는 100˚C-400˚C까지의 등시시효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낸다. 복합재의 T6처리재가 AC4A I/M재 보다도 시효경화능이 크고 절대값이 높았으며 SiCw체적분율 증가에 따라 초기경화 현상을 나타내었다. 가압력에 의한 강화효과는 미시효때와 같이 가압력 75MPa일때 가장 좋았으며, SiCw는 30%> 10%>20%순이었다. 가압력이 낮을경우 가입과 동시에 휘스커는 파단되지 않고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거나 기지금속과 wetting으로 일부 변형된 다음 가압이 진행되면서 이부부의 응력 집중으로 wetting부가 파단하게 되어 가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파단하게 되어 휘스커 모양도 다각형이거나 구형에 가깝게 되며 가압이 진행됨에따라 재차 파단되므로써 길이도 짧게 된다. 한편 가압력 75 MPa일 경우 휘스커의 형상은 일부 변형된 것과 잘게 파손된 것이 고르게 공존하고 있어 강화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704.
        199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Ar-H2 플라즈마법으로 고순도 Nb금속을 환원 정련하였다. 또한, Ar-(20%)H2플라즈마에서의 용융Nb금속과 수소간의 반응을 해석하였다. Ar플라즈마 환원에서는 C/Nb2O5=5.00의 비에서 99.5wt%의 금속 Nb을 얻었으며, 니오븀 산화물의 열분해에 의한 O/Sub 2/의 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 Ar-(20%)H2 플라즈마에서는 C/Nb2O5=4.80의 비에서 99.8wt%의 금속 Nb을 제조하였다. 주된 탈산반응은 H, H2와의 반응이었으며,NbOx의 증발에 의한 탈산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splash"효과에 의해 Nb의 질량손실이 발생함을 관찰하였다. 탈산반응은 1차 반응속도론에 따랐으며, 탈산의 반응속도 상수(k')는 7.8 × 10-7(m/sec)였다. Ar-(20%)H2 플라즈마법에서 Nb금속 내의 수소 용해도는 60ppm으로 분자상태 수소의 용해도인 40ppm 보다 높았으며, 포화되는 시간은 60초 이내였다. 이를 다시 Ar 플라즈마로 처리함으로써 수소 함량을 10ppm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소시킬 수 있었다.
        4,000원
        3705.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강정제조법의 표준화를 위해 부재료인 청주와 콩의 첨가 수준에 대한 최적 조건을 결정하였다. 청주의 수준이 낮을수록 콩의 수준은 높을수록 강정의 팽화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정의 기름흡수율은 청주 30 ml, 콩 10 g 첨가 수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응 표면 방법을 이용한 관능검사 결과로부터 찹쌀가루 200 g 당 청주 35 ml와 콩 8.5 g 첨가 수준이 부재료의 최적 조건으로 결정되었다.
        4,000원
        3706.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탁주 및 약주의 양조시에 koji를 곰팡이로 사용되고 있는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로서 쌀 koji를 제조할 때에 방화효소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본 균의 당화효소 생산 최적온도는 36℃이었고, 이 온도에서 40시간 배양했을 때 최고값에 도달하였다. 배양개시 후 20∼25시간까지 36℃로 배양한 후 그 이후에 32℃로 배양하는 방법은 koji의 유기산 생산과 당화효소 생산에 호의적이었다. 증미의 수분함량이 35% 이하일 때는 당화효소의 생산이 낮았으나 40∼60% 일 때는 높았다. 국균포자의 접종량이 지나치게 적을 때에는 배양초기의 당화효소 생산은 낮았으나 배양 40시간 이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Koji의 두께가 3㎝ 이상일 때는 당화효소의 생산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본 koji의 당화효소는 pH 2∼7에서 안정하였고, pH 2∼5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3707.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탁, 약주의 양조에 사용되고 있는 국균인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로 쌀 koji를 제조할 때에 유기산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본 균의 발아최적온도는 36℃이었고, 이 때의 발아소요시간은 8시간이었다. 증미의 수분함량이 40% 이상일 때는 발아가 잘 이루어졌으나 35% 이하일 때에는 발아지연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유기산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는 32 이었고, 36℃ 및 40℃에서는 유기산 생산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배양개시 후 20∼25시간까지 36℃로 배양을 하고 그 이후에 32℃로 배양을 했을 때는 유기산의 생산량도 높고 당화효소의 생산량도 높았다. 증미의 수분함량이 40%일 때 유기산 생산량이 가장 높았고, 30%이하일 때는 유기산 생산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국균 포자의 접종량이 적을 때에는 배양초기의 유기산 생산량이 낮았으나 배양말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Koji의 두께가 두꺼울 때는 유기산의 생산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4,000원
        3708.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펄프를 Serum과 불용성 펄프로 분리하고 serum만 10%향기성분 회수·첨가하여 저온에서 감압농축후 제조합한 향미특성이 우수한 농축 딸기 펄프의 한 응용예로써, 향미품질을 그대로 유지시킨 파우치형태의 잼을 제조하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쨈은 개방농축법에 의해 제조된 쨈에 비해 안토시아닌계 색소, vitamin C함량이 높았으며 GC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피크의 갯수와 면적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면색깔과 관능적인 품질 면에서도 월등히 우수하여 이 새로운 공정의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709.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710.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소재로 역삼투막을 제조하여 각종 제막조건에 의한 막성능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조사하였다. 제막 용액조성으로 CA, formamide, acetone과 2-methoxyethanol을 사용하여 평판형 막을 만들고, 투과유속 및 배제율을 측정하였다. 특성 측정 인자로서 고분자 농도, 증발시간, 열처리 온도 및 처리 시간, 조작압력, 공급액의 농도 등을 변화시켜 막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제조된 막을 사용하여 역삼투 모델식에 적용하여 각각의 파라메타를 계산하였다.
        4,000원
        3712.
        199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kaline cleaning agent(ACA) was prepared by blending of POE(4)octadecylmine(S-204), Na2CO3, sodium orthosilicate(Na-OSi). Tetronix T-701(T-701), and MJU-100A. The physical properties of ACA tested with steel specime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leaning powers of ACA-6(S-204 80g/Na2CO3, 160g/Na-OSi, 80g/T-701, 60g/MJU-100A, 20g mixture) for press-rust preventing oil was 98% and 99% degreasing at 2wt%, 70℃ and 90℃, respectively : for quenching oil, the cleaning power of ACA-6 was 95% degreasing at 2wt% and 70℃. From these results, it was ascertained that ACA-6 exhibited a good cleaning power. Foam heights measured immediately after foaming by Ross & Miles method and Ross & Clark method at 3wt%. 60℃ were 17mm and 40mm, respectively. As the result, ACA-6 was proved a good low foaming cleaning agent.
        4,000원
        3713.
        199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C 입자를 강화재로 한 AI금속기지 복합재료를 액상교반법으로 제조하는데 따른 제조조건과 물성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TiC 입자는 중량비 10%를 첨가하였으며,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5wt%의 Mg을 첨가하였다. TiC입자 첨가에 의하여 내마모 특성, 인장강도, 경도 등이 증가 되었으나 과도한 교반은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켰다. 본 실험조건에서 교반 속도의 최적조건은 500rpm이었다. Wetting agent로서 첨가한 Mg은 기지에 고루 분산하였다.
        4,000원
        3714.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남북, 경남북, 충남북, 강원도 지역에서 유과를 가정에서 만들어 먹는 사람을 대상으로 미리 만들어진 설문에 의하여 유과 제조방법을 조사한 결과 설문지 151건을 회수,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유과용 원료는 절대 다수가 찹쌀(96.3%)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제조의 첫 단계로 수침시간은 조사자의 47.5%가 2~5일로서 근래 밝혀진 수침시간보다는 길었고,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분쇄방법은 주로 떡방아간에서 가루내었고 가루를 반죽하는 데는 쌀가루와 물의 비율이 2~4.5 : 1로 상당히 되게 반죽하였다. 첨가물로는 설문 응답자의 1/3 이상이 술, 콩, 베이킹파우다를 넣고 있으며, 콩과 술을 넣는 빈도가 가장 높았고 전북지역에서 첨가물 종류가 많았다. 반죽의 찌는 시간은 김이 나오기 시작하여 15~35분이 32.3%이었고 충분히라는 경험적 방법(45.1%)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꽈라치기는 반수 이상이 절구통을 이용하였고 나머지는 집에서 쉽게 구하는 용구를 사용하였다. 반데기의 두께는 2~3mm에 크기는 10×10~15cm가 많았고 같은 두께에 크기만이 다른 경우가 다음이었고 호남쪽이 영남쪽보다 큰 경향이었다. 건조방법은 응답자의 82%가 아랫목에서 건조하고 건조 정도는 끊어서 바삭 부서질 정도(44%)로 경험에 의해서 건조 정도를 정하였다. 튀김기름은 77.5%가 대두유를 사용하였고 튀김 용기는 후라이팬(40.8%), 솥(24.5%)를 주로 사용하였다. 튀김매체는 식용 기름 외에 가열 모래(28건), 직화(5건), 가열 자갈(3건) 등이 이용되었고 전북과 경남지역에서 이런 사례가 많이 수집되었다. 집청은 주로 물엿(55.0%)과 조청(20.8%)을 사용하였고 매화(찰벼튀김), 밥풀튀김, 깨를 바르거나 잣, 참깨, 대추 및 밤과 같은 견과류, 곶감, 석이버섯 등으로 모양을 내고 있었다.
        4,000원
        3715.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약주의 제조방법중 반숙미를 밑술 담금에 사용하는 양조방법에 대하여 이 방법의 효과를 양조학적인 관점에서 입증해 보기 위한 것이다. 쌀을 여러 온도에서 가열처리한 후 쌀 전분과 쌀 단백질의 가수분해 용이도를 조사하고 전통적인 방문주의 제조방법에 따라 반숙미를 사용하는 양조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60∼65℃에서 반숙된 쌀이 80∼100℃에서 완숙된 쌀보다 당화 및 단백질의 분해가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졌다. 반숙미를 혼용하여 제조한 약주가 완숙미만 사용한 약주보다 당분, 총아미노산 및 exract의 함량이 2배 정도 더 높았다. 반숙미를 혼용하여 제조한 약주가 완숙미만 사용한 약주보다 관능검사에서 훨씬 좋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우리 조상들이 전통적인 약주류의 제조시에 반숙미를 혼용하는 것은 양조학적인 관점에서 매우 우수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716.
        1993.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3N4와 BN의 선택적 산화반응과 질소분위기 소결에 의하여 Si2N2O로 결합된Si3N4-BN복합재료를 개발하였으며, 이때 산화반응 온도와 CaO의 첨가가 Si2N2O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Si2N2O상이 도입된 Si3N4-BN복합재료는 내열충격성 및 용강에 대한 내침식성이 우수하여 연속제강새안의 부품인 break ring등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4,000원
        3717.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 Pb(Zn1/3Nb2/3)O3-40.5Pb(Ni1/3Nb2/3)O3-55PZT와 PLZT(10/70/30, 11/60/40)를 경사조성으로 하여 경사기능 재료를 제조하였으며, 그 유전 특성과 압전 변형율 특성을 조사하였다. 경사기능재료는 A/B/A의 세층으로 성형하고 소결한 후 한 층을 연마해내어 제작하였다. 닥터블레이드용 슬립에는 acrylic계 유기 결합제가 34-36wt% 혼합되었으며, 건조 후 균열이 없는 양호한 thick film을 제조하였다. 1250˚C, 2시간의 소성에 의해 경사기능화된 시편은 Nb와 La등의 조성 차이에 의한 구배를 이루었으며, 구배영역은 약 30μm 정도였다. 경사기능재료에서 유전상수나 큐리온도롸 같은 유전특성은 조합한 조성층의 특성들사이의 값을 나타내었다. 인가 전압에 따른 변형율 특성은 단일 조성의 시편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실제로 경사기능 압전엑튜에이터를 제조한 결과 약 3μm/100V 정도의 변위향을 나타내었다.
        4,200원
        3718.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2O-Al2O3-SiO3계 결정화유리의 저온합성을 위하여 출방원료로서 각 해당 금속 알콕시드를 사용하였다. 알코올을 용매로 충분히 첨가하고, drying control chemical additive로 dimethy1 formamide를 적당량 첨가한 혼합용용액을 과잉의 물로 충분히 가수분해시킨 습윤겔을 저온으로 건고하여 균열이 없는 건조된 monolith겔을 합성하였다. 건조겔로부터 750-950˚C로 10시간 이상 소결하여 저열팽창성을 나타내는 β-eucrypytite(β-quartz 고용체), Li2O· Al2O3· 3SiO2및 β-spodumene등의결정상을 석출시켰다.
        4,000원
        3719.
        199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3720.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래식의 벽돌형 메주(A), 국균접종의 벽돌형 메주(B)와 콩알형 메주(C)로 담금한 간장의 유리당과 알코올 함량은 다음과 같다. Galactose, glucose, arabinose, xylose, mannose가 검출되었다. 유리당 함량은 A구에서 galactose, glucose, arabinose, xylose 순으로 높았고, B구와 C구에서 galactose는 숙성기간중 가장 많았고 담금 직후에 glucose의 함량도 높았으나 60일 이후에는 시험구에 따라 arabinose나 xylose가 glucose보다 높았다. 유리당 총량은 C구, B구, A구의 순으로 높았다. 숙성과정중 ethtl alcohol은 6.23∼19.10㎎%, iso-butyl alcohol은 8.70∼169.03ppm으로 국균접종의 콩알형 메주가 다소 높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