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6

        2022.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배구선수를 대상으로 경쟁상황에서의 불안과 관련된 부정적인 사고의 교정을 주요 구성요소로 하는 인지ㆍ정서ㆍ행동치료를 적용하여 불안감소 훈련의 처치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7명씩 무선배치하였으며, 두 집단은 동질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는 9주간 주 1회 2시간(120분)씩 총 9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스포츠경쟁불안(SCAT)과 시합상태불안(CSAI-2)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그리고 훈련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사 실시 8주 후 파지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프로그램 처치 전과 후, 파지검사를 이원변량분석(two-way repeated ANOVA)한 결과,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은 실시 후 스포츠경쟁불안과 시합상태불안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불안과 신체적 불안이 감소되었으며, 상태자신감은 향상되었다. 하지만 프로그램 영향의 정도는 측정시기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반인을 대상으로 사용된 인지ㆍ정서ㆍ행동치료가 운동선수(배구)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과 본 프로그램이 배구선수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202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술관은 자라나는 학생들에게는 미술작품과의 직접적인 만남으로서 예술적 체험의 장(場)이 되고 학교를 졸업한 일반인에게는 평생교육차원에서 예술적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는 미술교육적인 공간이다. 미술관교육에 대한 관심은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예술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고조되고 있다. 또한 학교와 사회에서는 주 5일제가 시범적으로 운영되면서 주말을 이용하여 미술문화를 향유하려는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미술관에 대한 관심은 많은 관람객들이 미술관을 찾게 하며 미술관도 체계적인 미술교육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미술관 교육의 중심에는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이 있으며,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은 on line과 off line상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그 동안의 우리나라 미술교육이 그러했듯이 표현영역에 많이 치우쳐왔다. 최근 들어 국립현대미술관이나 삼성미술관(Leeum)등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프로그램 중 학생들에게 작품을 설명해 주는 도슨트 프로그램에 주목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미술관에서는 도슨트 프로그램이 존재하는데 초․중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을 거의 찾아보기 드물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교육적인 맥락을 갖춘 도슨트가 필요한데 이러한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전문 도슨트도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교적 교육적인 체계를 잘 갖춘 국립현대미술관의 <미술관은 내 친구>라는 사례연구를 통해 초․중학생의 도슨트 프로그램을 교육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024.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Li 환원법에 의한 PWR 사용후핵연료의 금속전환과정을 모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Li의 양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산화물의 금속 및 염화물 전환량을 계산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Li 환원과정의 화학반응에 관련된 특성치와 열역학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이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여 특정 Li 양에 의한 산화물의 반응결과를 전환률로 계산한다. 개발 프로그램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와 를 제외한 나머지 산화물은 기존 코드 결과값과 6 % 이내의 상대오차로 잘 일치하고 각 산화물의 개별반응에서 산화물의 완전 전환에 필요한 Li 양의 계산값도 이론적 계산값과 정확히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검증된 개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화물별 Li과 금속전환률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 중에서 Li이 250 몰로 주어졌을 때 의 83.73%는 U로 전환된 반면 나머지는 산화물로 잔존하였고, 100% U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Li의 양은 297 몰로 나타났다.
        202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n empowerment program, using horticultural therapy among the elderly clients of an In-Home Service Center at a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The empowerment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included group horticultural activities, garden activities, home horticultural activities, selling the products and a self-help group. This program had 49 sessions in total and was held from April 2004 to February 200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 mid-term, and post-tes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among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especially in terms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and interpersonal empowerment of self-esteem of the elderly using In-Home Services. Through using those common and familiar sources of horticultural materials, what the elderly found is the fact that they have the ability to create and raise plants of their own and to utilize this ability in their lives. Thus, it can be said tha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s helpful to empower the elderly in terms of developing their potentials in productivity and encourages them to utilize and maintain their horticultural skills and productivity in their lives.
        2026.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게임프로그램이 보호관찰대상 청소년들의 정서 및 사회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명령을 받고 있는 12명의 남자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주간 8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보다 심층적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의 질적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정서와 사회성의 변화를 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는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하였으며, 질적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8회의 프로그램 후 실시한 심층면담은 삼각검증법을 통해 결과를 알아보았다.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양적연구에서, 정서는 현재기분상태, 소외감과 사회비관적태도 중 현재기분상태(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성은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적연구결과, 첫째로 혼자가 아닌 우리라는 인식과, 둘째로 재미와 즐거움을 경험하였고, 셋째로, 도전과 성취로부터 자신감을 얻었고 넷째로, 자기반성의 시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8.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예비공학교육을 통한 미국의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의 내용을 살펴보는데 있다. 미국의 PLTW(Project Lead The Way)는 대학의 공학을 준비하기 위한 예비 공학 프로그램으로서 정규 교육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공학을 위한 지식과 직업과 관련된 기본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주요 내용은 미국의 과제중심 진로교육(PLTW)을 소개하고 초․중․고등학교 프로그램을 조사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도입,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조사된 내용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PLTW는 교육 시스템으로부터 졸업한 공학자와 공학 기술자의 양과 질을 늘이기 위한 공립 초․중․고등학교, 단과 대학 및 종합 대학의 고등 교육 기관과 민간 부문 사이의 협력을 맺은 프로그램이다. 둘째, PLTW는 예비공학 프로그램으로 6-12학년(초등학교 6학년~고등학교 3학년)학생을 위해 공학에 기초 훈련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공학과 공학 기술을 위해 2-4년제 대학이나 공업학교(technical school)에 입학하기 위한 필요한 것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셋째, PLTW는 공학과 공학 기술 프로그램을 추구하여 2-4년제 공과 대학의 학위를 필요로 하는 학생 수를 증가시키고, 성(gender)이나 인종적 태생과 관계없이 배우고자 하는 학문적 자격 있는 학생들에게 공정하게 모든 기회를 제공하여, 미래에 공과 대학이 감소하는 비율이 작아지도록 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넷째, 우리나라도 실업계 및 공과대학 인력 흡인책으로 PLTW와 같은 프로그램을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된다.
        2029.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수 연산 영역에서의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수학과는 위계성이 강한 단계형 교과로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을 고려한 수준별 학습이 꼭 필요한 교과이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는 다인수 학급 및 보충지도 시간 부족 등으로 인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는 개별적인 수준별 학습이 잘 이루어지기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준별 개별화 학습을 지원하여 올바른 수와 연산개념의 형성을 위한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본 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학습 진척도와 성취도를 검사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학습 단계를 자동으로 조절해 준다. 그리고 학습 중에도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힌트와 구체물 조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 기능을 제공한다. 본 학습 프로그램을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결과 수학과 학습에 대한 흥미도를 높아지고 특히, 힌트 및 도우미 기능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 영역에서의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어드벤처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 에 대한 개인차를 최대로 고려하는 수업을 통하여 학생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수준차가 심한 다인수 학급체제에서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 학습을 실시하여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van Hiele 이론을 적용한 수준별 게임 학습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어드벤처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심화 보충학습이 필요한 학습자들에게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공간 지각 능력이 필요한 도형 학습에서 다양한 조작활동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공간 감각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2031.
        200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에 개정된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도규정에서는 폐기물시설운영자는 처분 전 방사성폐기물이 인도규정에 적합함을 보장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앞으로 건설될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서 방사성폐기물 인수 시에 충족되어야할 방사성폐기물인수기준이 수립될 것이며, 이 인수기준에는 물리화학적 및 방사선학적 특성규명, 물리화학적인 제한사항, 금지품목, 포장, 인식표, 라벨, 문서요건 등을 규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규정을 준수하기 위하여 방사성폐기물 발생자는 방사성폐기물이 폐기물 인수기준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폐기물 인증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방사성폐기물이 그 기준에 만족하는지 확인하여야 하며,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모든 인증서류를 폐기물 처분시설에 제출할 책임이 있다. 본 방사성폐기물 인증프로그램계획은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의 인증프로그램에 대한 예비프로그램으로서 개발된 것이며 앞으로 처분장의 인수요건이 구체적으로 확립될 때까지 수정 보완되어야 한다.
        2033.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운동선수의 자기관리는 스포츠 상황에서 경기의 승패와 선수생활의 성공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자기관리는 우리 문화적 특성에서 발견되는 선수의 고유한 행동으로 선수는 물론, 지도자와 스포츠 과학자들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동선수의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을 타당성 있게 선정 및 체계화하여 실제 현장적용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수 개인에 적합한 맞춤형 자기관리 실천전략을 선정하고, 양적, 질적 연구 접근의 통합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참여자는 한국 프로배구팀 중 실력이 유사한 두 팀을 선정하여 실험팀(15명)과 통제팀(10명)으로 구분하여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참여자의 요구, 환경적 요인, 선수별 심리기술 상태 등을 반영)을 6주 동안 적용하였다. 그리고 자기관리 체크리스트에 선수 자신이 정한 실천전략의 실천여부를 표시하고, 매주 피드백을 제공하여 자신의 실천전략을 수정 및 보완해 나가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6주간의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은 실험팀의 자기관리능력과 심리기술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팀의 몸관리와 훈련관리 영역에서 많은 향상을 보였고, 수행전략의 혼잣말, 감정조절, 그리고 긴장풀기요인 등에서 부분적인 향상이 나타났다. 선수 자신이 정한 실천전략인 자기관리 체크리스트 분석 결과 선수들은 생활관리, 훈련관리, 정신관리 그리고 고유행동관리 영역의 순으로 실천전략을 세웠으며, 높은 실천빈도를 보였다. 또한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의 심리행동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접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자신이 정한 실천전략을 잘 수행했을 때는 자신감과 긍정적인 사고로의 전환이 빨랐으며, 수행하지 못했을 때는 불안과 부정적인 생각 등이 연습이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4.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 및 사회심리적 발달을 위한 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그리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2단계의 과정을 거쳤으며, 체육프로그램의 기본 모델은 학업성취 및 사회심리적 발달을 위한 ‘교수전략’과 ‘학습내용’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참가 대상자는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중학생(n=76)으로 12주 동안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연구 방법을 혼합한 실험설계(parallel mixed method design)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교생활만족도, 학교학습 태도, 학습동기, 수업평가의 일부 요인들에서 심리적 변화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심리적 변화를 이끌었다고 평가할 수는 없었다. 질적자료의 분석결과, 실험참가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재미와 흥미 요소를 경험하였다고 진술하였으며, 기존수업과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자기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수업을 구성하고, 적절한 교수전략 개발 및 게임상황에서 배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2035.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of papers are reported that Psychiatric Rehabilitation therapy has an effect on maintaining the therapeutic effects as drug side effects and high relapse rate for Mentally ill Patients has become a social problem. This study applied HT program to an inpatient in psychiatric wards, as HT program could divert psychological energy into affirmative attitude, in result, to confirm soci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such as relief of psychiatric symptoms, Improvement of social behavior and behavioral change. The study was accomplished to offer data to be considered HT program promoting a synergistic role for psycho-pharmacological as a part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therapies.
        2036.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대구광역시 장애인 종합복지관 내 조기교육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 아동 3명이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05년 3월부터 2005년 7월까지 매주 1회씩 총 18회를 실시하였다. 적응행동 평가결과 A, B, C 아동 모두 기술과 습관변화영역과 성격과 행동변화 영역의 점수가 원예치료 실시 전보다 높아졌다. 원예치료 평가표 측정결과 개인별로 차이는 있지만 원예치료 실시 전보다 정서발달과 사회성발달 영역에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평가 결과 집중력과 대인관계의 향상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다양한 색상에 대한 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치료는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2037.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temporary society gave birth to pollution environment, family collapse, estrangement human-being, and serious disequilibrium.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are core issue of developmental 21st developmental society. As the alternative plan came up needs of the times, community garden is able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elevating life quality for residents as well as get various beneficial effect. Community garden was attempted to settlement, failed it in Korea, while made good use from old times in Germany, U.K., and U.S.A. Participation and conversation intrapopulation are a key factor to use, maintain, and preserve. Consequent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leader training program that took charge of primary role in activating community garden. Organization which deduce outcome and motivate, as the core competence of leadership, was composed of horticultural information and actual experience to horticulture.
        2038.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ly practically community garden program which elevating quality of life through making, using, and keeping of it, that was helped rental housing residents improve life of oneself and environment of village independently. So far, a rental housing for a low-income group was a good way in solving lack of housing, reforming circumstance of house, but it gave rise to problems like breaking neighborship, and deprivation. Community garden program was composed to 16 session divided 1st and 2nd step program during March 29~July 26, 2005. 1st step was responsible for cultivating one's ability through observation plant culture, understanding, rule of the life, 2nd step was growing practical ability helped residents participate in community garden, effective management garden, development profitable business. This program got elevation of participant's self-esteem and life desire.
        2039.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아이스하키 선수들을 대상으로 8주간 심리훈련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대학 아이스하키 남자 선수 20명으로 선정한 후, 심리훈련 집단과 통제 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으로 할당하였다. 심리훈련 집단은 신체적 훈련과 함께 심리훈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심리훈련만 제외하고 심리훈련 집단과 동일하게 통제되었다. 사전시기와 사후시기(8주 후)로 나누어 동시에 각 집단별로 경쟁상태불안 검사지, 수행평가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리훈련의 효과를 추론하기 위해 사전 동질성을 검증한 후 사전-사후로 시기를 나누어 반복 측정하는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8주간의 심리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사후시기에서 인지적 불안 강도와 신체적 불안 강도 모두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불안과 신체적 불안을 수행에 긍정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8주간 심리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사후시기에서 상태자신감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8주간 심리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사후시기에서 수행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심리훈련 프로그램 효과와 현장적용 측면에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