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analyzed information provided by diet-related programs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of professional panelists and quality of provided information. We selected 82 items among eight programs by MBN, JTBC, and TV chosun. All 82 items provided information about food & nutrition and health & disease, but only 32 items (39.0%) and 35 items (42.7%) provided information on food culture and food safety, respectively. Among the food ingredients, phytochemicals (81.7%) we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nd the contents of functional ingredients occupied a large part. The inappropriate information on programs were broadcast on an average of 1.2 episodes per program, and the most pointed out item was information that could confuse viewers with drugs (29.3%). Among the professional panelists, medical doctors (38.9%) and Oriental medicine doctors (16.6%) had the highest number of appearances, and professors of food & nutrition constituted only 7.1%. Howev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ppearances of professo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program information. Contents focused on balanced nutrient intake and dietary culture of Korea should be increase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function of each nutrient in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Since a free-learning semester has been introduced to middle school curriculum, interest in career experience programs has increased. To respond to this new demand, we developed a continuous agriculture-related career experience program linked with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education, and we examined the program’s effects on the job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April 8, 2015 to June 24, 2015, and consisted of 12 classes. The direct experience subprogram was based on 13 different horticultural activities that reflect producing (nine programs), cooking (two programs), and sales (two programs) of horticultural produces. For the indirect experience subprogram, we preliminarily selected 10 representative agricultural jobs, and based on the keywords analyzed from 7 direct experience programs, we chose to introduce seven jobs to the students by videos and the three others by written material. We then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roductory videos on job interest,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by the students. We found that the student’s interest,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regarding each job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hen direct experience and video watching were combined. Career awareness was improved for gardener (47.0%), nursery grower (42.0%), rural extension official (31.1%), eco-friendly farm material developer (30.9%), agricultural research official (23.4%), plant doctor (19.8%), and agricultural wholesale distribution experts (9.3%). Conclusively, it is expected that career experience programs have the greatest effect on students when both interest in the job and participation on direct experiences are encouraged.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s and interventions with students are becoming promising field in school and therapeutic settings. Following this trend,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adopt more easily to school life and to encourage them to keep healthy relationships with othe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ociability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8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who were interested in animals and agreed to the research attended this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two times a week for 6 weeks (a total of 12 times) with one main researcher and three research assistants. The major research tool was the test of sociability and depression and the statistical test being used for this study was Wilcoxon's signed ran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on soci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ny aspects such as reliability, autonomy, sociability and compliance. Second, significant reductions i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found after the introduction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for students. Students who participated this program experienced a reduction in depression and stress to some degree. Also, they began to form much more positive friendships and followed school rules as well.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ha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adaptability and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animal-assisted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itive program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공감 능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A 지역아동센터에서 사회복지사가 프로그램을 추천한 아동들 중 부모와 본인이 동의한 9세부터 10세까지의 남녀 학생 총 7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진행은 주1회 총 12회기를 매 회당 60분씩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자와 보조 진행자 2인, 반려견 1두로 함께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로 공감능력 검사, 또래관계 검사를 사용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Version 18.0)을 사용하여 윌콕슨 부호순위검증 (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통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의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공감능력의 하위영역인 조망취하기를 통해 또래들의 입장 을 좀 더 생각해 보려는 노력을 하게 되었으며 상상하기와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으로 자신의 정서, 또래들의 정서에 관심을 갖게 되고, 그 정서에 대한 감정을 이해하고 언어로 소통하는 것이 좋아졌다.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의사소통적 공감에 모두 긍정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관계의 하위영역인 신뢰에서 또래들의 문제를 들어주고 해결할 방법을 찾아보려는 태도가 보였으며 분노. 소외감에서 모두 평균 값이 증가하였으나, 분노. 소외감은 통계적으로 그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살펴볼 때,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적 : 국내 재활치료 환경과 사회적 제도의 상황에 맞춘 편마비 환자를 위한 한국형 수동 휠체어 기술 훈 련 프로그램(Korean version of manual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for hemiplegia; K-WSTP)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향후 편마비 환자의 이동성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기존에 알려진 휠체어 기술과 수동 휠체어에 대한 일반적 훈련내용을 수정·보완하여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따라 K-WSTP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K-WSTP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실험군으로 휠체 어 사용시 도움이 필요한 편마비 환자 6명, 대조군으로는 휠체어 사용시 독립적인 편마비환자, 작업치료 전공학생, 작업치료사 각 6명씩 총 24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휠체어 훈련프로그램 시행전·후에 휠체어기술검사(Wheelchair Skills Test; WST),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mance Measure; COPM), 한국판수정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주관적의견 등을 평가 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훈련 후 WST와 K-MBI 점수에서 훈련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p<.05)로 향상되었다. 또 한, 훈련 후 WST, 수행도, 만족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정도(p>.05)로 향상되었다. 전체 연구대상자에 대한 주관적 평가결과 어려움을 느낀 휠체어 기술은 ‘turns in place’와 ‘maneuvers sideways’(18.2%)를, 실험군은 ‘level transfer’와 ‘relieves weight from buttocks’를 가장 어렵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 개발된 휠체어 훈련프로그램은 편마비 환자의 휠체어 기술, 독립성, 개인의 수행도, 만족도에 긍정 적인 향상을 보임으로써 향후 편마비 환자의 재활의지를 고취시키고 이동성 보장과 삶의 질 향상에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실행 기능,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 발병 6개월 이후의 뇌졸중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무작위 난수 생성 기능을 사용하여 가상현실 치료군과 비디오 관찰군으로 두 집단을 나눈 뒤 하루 20분, 주 3회, 5주간 실시하였다. 가상현실 치료군에는 NintendoⓇ 사의 Wii FitTM을 사용한 가상현실 치료(Virtual Reality Therapy; VRT)를, 비디오 관찰군에는 Wii FitTM의 데모 비디오 관찰(Video Observation; VO)을 시행하였으며 동일 기간 동안 20분의 일반 작업치 료 및 운동치료를 함께 중재 받았다. 중재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판 행동 통제 척도(Korean version of Behavioral Dyscontrol Scale; BDS-K)와 기능적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ing Test; FRT),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를 사용하였다. 결과 : 실험 결과 두 집단의 중재 후 점수 간 비교에서 BDS-K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가 상현실 치료군의 중재 전-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BDS-K, FRT, TUG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에서 실행 기능과 균형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며, 중재 후 두 집단의 비교 결과 실행 기능에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 프로 그램을 수행하고자 하는 치료사들에게 임상적 결정을 내리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입학사정관 전형(기회균형선발 특별전형I)으로 입학한 신입생을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 뒤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전형으 로 입학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학업적 특성과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심층면담을 수행하 였고,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일대일 학습코칭을 결합 한 형태의 학습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참여 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 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참여 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고, 특히 자아존중감은 상승하여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측면에서도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본 프로그 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같은 전형으로서의 동질감을 느끼게 되어 안정감을 얻었으며, 그룹 활동을 통해 함께 학습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사이버대학과 일반 오프라인 대학은 수업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특성에서도 많은 차이점이 있다. 즉, 사이버대학의 수업은 콘텐츠 기반의 온라인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습자들은 연령층과 직업분 야, 입학동기 등이 다양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역량이 요구되며, 대학 차원에서 는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수-학습지원을 해야 한다. 특히 사이버대학은 학습자들의 상황적 요인에 의한 중도탈락율이 일반대학에 비해 높은 편으로 입학에서 졸업까지의 지속적인 학습지 도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요구분석에 기초한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B 사이버대학 재학생으로 학습실태 조사를 기반으로 한 요구조사 분석을 토대로 1) 디지털 리터러시 강 화, 2)상호작용 강화, 3) 대학생활 안정화, 4) 실무능력 강화, 그리고 5)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운영 등 다섯 가지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서 는 사이버대학의 특성과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학습동기와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사 이버대학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교수-학습지원이 이루 어져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ference differences of experience programs in rural area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81 adults visited in rural social enterprises in 2015,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Twenty-six items for evaluating the preference of experience program were measured using 5 score Likert scale and were extracted to 6 factors such as physical, ecological, historical culture, recreational and healing, watching show, and rural life exper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isitors preferred the ecological experience the most and in order of recreational and healing, rural life, physical activity, historical culture, and watching show. Secondly, physical activity were preferred by young people, the unmarried, and student. Ecological, historical culture, recreational and healing, rural life experience were preferred by higher income earner or highly educat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ustomized consumer’s experience program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will be suggested.
이 연구는 집중인성교육 프로그램의 Ⅰ·Ⅱ·Ⅲ 과정에 대한 프로그램의 운영, 교육내용, 교육강사 운용 등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4월 현재 집중인성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4개 교도소의 프로그램내용과 강사구성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형자의 인성교육을 통해 재범억제는 물론 건전한 사회복귀를 추구하는 집중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하여, ① 프로그램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② 수용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인센티브 개발, ③ 교육프로그램의 목적 명확화, ④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을 통한 한국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등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집중인성교육 프로그램 내용과 관련하여, ① 단순 강의식 교육을 탈피하여 흥미와 참여를 유발할 수 있는 각종 교육기법의 활용, ② 시설 밖 프로그램의 활용 및 교류방안 모색, ③ 주도적 학습 프로그램의 일부 운영, ④ 죄종별 차별화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그것이다. 끝으로, 집중인성교육 교육강사 운용과 관련하여, ① 강사 관련 예산의 확보, ② 지역사회 전문가 집단 인력풀의 확보, ③ 내부강사의 재교육 및 위탁교육 내지 전종직원의 채용 등을 제안하였다.
Qualitative consumption is a trend in the children clothing market and watching TV of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are becoming popular. This study examines the watching degree of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TV programs of parent buyer (30s) and potential buyer (20s) and we investigate their shopping orientation of children wear. We did the survey research of 200 consumers with SPSS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the review of internet news, paper, and books on children wear shopping orientatio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longer the watching time of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TV programs, the higher shopping orientation, such as following the fashion of child stars, and the higher the watching preferences on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the greater shopping orientation in following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star when they are purchasing children's clothing. Second, potential consumers as well as parent consumers were affected by watching the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Watching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TV programs could give the impact when they were shopping children’s clothing because they wanted to follow the fashion of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TV star. Accordingly, the exposure of the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for children clothing is found to be positive to the both current and future consumers.
목적 : 지역사회 노인에게 운전중재 프로그램이 운전행동과 운전기술에 효과적인지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효 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외 논문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사용하여 전자검색을 하고 검색논문의 참고문헌을 추가하여 이차검색을 실시하였다.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검색논문을 선정하고 Jadad 척도를 사용하여 질적 평 가를 수행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6편의 논문이 선정되어 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 프로 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연구의 참여자는 총 1,232명이었고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효과크기는 운전행동 0.07로 ‘작은 효과크기’, 운전기술 0.42로 ‘보통 효과크기’를 보였다. 운전기술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5). 통계적 이질성 검정에서 유의미한 이질성이 없었고 출판편의 역시 없어 신뢰할 만한 연구결과임을 알 수 있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운전중재 프로그램은 운전기술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운전재활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중재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