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s on the consumption of caffeinated beverages by high school students (n=886) were performed. Of the students, 97.0% consumed a variety of caffeinated beverages, including carbonated drinks (90.0%), processed milk and cocoa (79.0%), coffee (63.0), teas (52.1), energy drinks (16.4%) and nourishment drinks (15.5%). The frequency of intake per student was 8.2 times per week. Caffeine intake through the caffeinated beverages was 41.53 mg/day, which was accounted for by coffee (51.5%), carbonated drinks (19.6%), processed milk and cocoa (11.5%), teas (11.4%), energy drinks (5.0%) and nourishment drinks (1.1%).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stress, those who consumed snacks twice a day, and those who used a computer (or smart phone) for more than 3 hours per da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ffeine intake. The groups with high caffeine intake experienced heart palpitations, insomnia and pollakiuria. Students indicated that they consumed the caffeinated beverages for the taste (57.9%), waking up (18.0%), thirst (13.2%), etc. (10.9%). They tended to consume drinks with a high content of caffeine to sleep less. In addition, they rarely checked the label, and showed a lack of awareness of the caffeine contents in the beverages, which calls for education.
본 연구는 코칭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1:1 코칭으로 진행되었으며, 학습은 물론 무기력과 지각, 결석 등의 잦은 부적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는 학교 현장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하는 H인문계 고등학교 1,2학년 33명을 대상으로 학교의 추천과 대상학생의 신청을 통해 선발하였다. 대상학생들은 학교와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주 1회 50분씩 4회기 동안 코칭 전의 자기 진단을 통해 1:1코칭을 실시하였으며, 코칭 후의 자가진단으로 대상학생의 코칭 전과 후의 가치변화를 확인하여 코칭 실시 전 후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생활 적용에 있어 1:1코칭을 통한 이들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코칭의 효과를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치 있는 도구로서의 정보를 제공하고자하였다.나아가 검사도구인 d-test를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한 향상의 효과는 1: 1 코칭이 부적응 청소년들에게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나 평생교육원,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부적응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코칭 보급화에 대한 가능성과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학교생활에서 발생되는 아동의 정서·행동상의 문제개선과 학교적응성을 높이고, 코칭활동을 통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한 학교환경을 개선하고 학교생활에서 행복감을 높이는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5,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과 코치가 1:1면대면 방식으로 주1회 60분에서 90분씩 총10회기 동안 코칭을 실시하였다.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정서·행동을 개선하고, 학교폭력으로 발생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며, 자기이해, 대인관계개선, 계획과 실행력향상 및 자기효능감을 높여 아동의 학교행복감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행복힐링코칭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할 수 있는 설득력을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고, 향후 학교폭력예방과 치료,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개선, 친구·가족·교사와의 관계개선, 학업성취, 진로지도, 교사역량계발, 학부모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코칭이 학교현장에 확대·적용 실시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프로그램계발이 필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농촌체험 활동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체험의 참여목적은 체험활동의 의미, 부모나 친구의 권유, 숙제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체험의 만족도인 종속변수와 흥미성, 다양성, 쾌적성, 친밀성의 독립변수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흥미성, 다양성, 친밀성은 채택되었지만 쾌적성은 기각되었다. 셋째, 농촌체험의 참여동기에 따라 흥미성, 다양성, 쾌적성, 친밀성은 차이가 있었다. 또한 흥미성은 주변관광과 농촌호기심, 권유, 학교숙제, 체험활동 의미의 집단 간, 다양성은 주변관광과 체험활동의 의미, 권유, 학교숙제의 집단간, 친밀성은 농촌에 대한 호기심 집단과 권유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irst learning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eam based high-fidelity simul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students were place in a setting of high-fidelity simulation to manage neurological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13 to September, 2013,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Five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s that were as follows 1) Thoughts about patients through the training manikin 2) Feeling of being engaged in practical training 3)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team and teammates 4)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 content 5) Prospects of improving the capacity for nursing practice. Conclusion: Although the students experienced simulation practicum for the first time, it was noticeable that they tried to actively utilize their theoretical knowledge on the training high-fidelity manikin during simulation practicum.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ng with their teammates through team role-playing, assuming a professional attitude as a result. Furthermore, analysis o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and self-evaluation would help foster the capacity to provide total care for patient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tudent-generated rubrics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imulation education. Methods: Student-generated rubrics was developed through the negotiation proces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content validity has been verified. The participants were 122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the one university in G city.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he simulation education for 15 weeks from 2011 to 2012. Experimental group were presented to student-generated rubrics before course starting was not presented to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with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Student-generated rubrics presented simulation education was to improv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Student-generated rubrics with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 number of areas to be developed and there is a need to be refined and ensure objectification of simulati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ference, intake frequency and eating behavior for kimchi as well as analyze the differences by gender among fourth to sixth grade students (n=410) in a Chungnam region. Approximately 64% of the students liked the spicy taste of kimchi, 75.9% liked the saltiness, and 48.5% liked well-fermented kimchi. The disliking factors of kimchi were its sour taste (38.5%), strong scent (20.1%), and salty taste (15.4%). The most preferred type of kimchi was Baechukimchi, followed by Kkakduki, Yeolmukimchi, and Chonggakkimchi. Further,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type of kimchi was Baechukimchi, followed by Kkakduki, Chonggakkimchi and Yeolmukimchi. Oisobaki, welsh onion kimchi, sesame leaf kimchi, Gatkimchi, Nabakkimchi and Baekkimchi were rarely consumed. About 34% of the students consumed 5 to 7 pieces of kimchi per meal, and 84.1% enjoyed eating kimchi, mostly because of its good taste (61.3%). The reason for not eating kimchi was because other side dishes are more delicious (30.2%). About 80%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prepared kimchi at home. Moreover, 74.3% of the students eat kimchi much more at home than at school. Improvements to be made for kimchi at school were as follows: less salty (34.9%), less spicy (27.6%), and sweet (22.5%). In conclusion, students enjoyed eating kimchi because of its good taste. Further, they showed preference for Baechukimchi, Kkakduki, and Yeolmukimchi and consumed them frequently. Because kimchi appears to be more preferred and more frequently consum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nu using kimchi along with the proper eating guidance for helping students consume various types of kimchi at school or at home.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를 도모하는 과학글쓰기를 이용한 학생주도적 모둠 탐구활동을 실시한 과학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활동 보고서,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담화유형을 변화의 핵심으로 보았다. 학생들의 탐구활동에서 비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과학 글쓰기 활동지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1학급 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주도적 모둠 탐구활동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모둠 탐구활동은 2007 개정교육과정 4학년 1학기 4개 단원에서 총 1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고, 이를 모두 녹화하였다. 우선 학생 보고서를 분석하기 위해 Millar (2010)가 제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탐구 정합성 평가의 틀로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학생의 과학 수업 및 과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반 1개 반을 선정하여 과학수업 및 과학에 대한 인식을 사전 사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16차시 수업 중, 초기 수업과 말기 수업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의 담화 형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 통해 학생의 질문과 주장 사이의 정합성은 초기보다 말기에 증가했고, 학생의 자신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이 좀 더 학생 중심 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의 유형이 더욱 교사중심보다는 학생중심에 가까워졌음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예이츠 시 “어린 학생들 속에서”에 나타난 춤과 춤추는 자의 합일성을 시인의 마음의 변화성으로 해석한다. 그 시 의식을 인지론적으로 접근하며, 그 합일성의 정도를 가능세계로 재음미해본다. 예이츠의 시심은 인지적 마음과 감성적 마음, 실행적 마음 중에서 시적 지성과 감성의 조화성만을 드러낸다.
초등 자녀의 자기주도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조력자로서 어머니의 영향과 역할이 중요하다. 아동이 이미 갖고 태어난 인성적 특성으로서의 자기주도성이 발현되도록 도와주는 어머니 역할이 어느 시기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 자아개념을 관련변인으로 하여 자녀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어머니 삶의 만족도가 자녀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초등자녀를 둔 어머니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자녀의 주도성을 높일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어머니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어머니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대상자의 직업, 수입, 학력, 가족구성, 자녀수, 자녀성별 중 대상자 자녀의 성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삶의 만족도 관련변인 중 부모역할만족도와 배우자지지도는 자녀주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어머니의 자아개념은 자녀주도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와 자녀주도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자아개념은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 자녀의 주도성 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에 따라 자녀주도성에 영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 자녀주도성 등에 부적 영향을 미친 어머니 자아개념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elebrity endorsers used in fast food industry among highschool and undergraduate students. By taking the sample’s age and income into consideration, the advertisement examples of fast food industries were chosen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400 student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PSS V19.0 was used for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chi-square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advertising effects according to gender and education level. Out of the consumers who were exposed to celebrity endorsers, the highschool students and women showed higher advertising effects. Second, the advertising attitude was positively related to brand images (F: 479.680, p<0.01) and buying intentions (F: 1101.427, p<0.01) as well as brand images on purchase intentions (F: 492.175, p<0.01). In conclusion, the consumers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s will also evaluate brand images positively and be more likely to purchase the product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ading fluency of elemena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50 six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wo schools of Gyeonggi province and their reading fluency was evaluated. Assessment of reading fluency was administered as follows: students were asked to read orally a reading text for one minute,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the teacher checked their read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ssessment criteria developed by Zutell and Rasinski (1991). Reading fluency dealt with four subcategories: decoding accuracy, reading rate per a minute (WCPM),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Mean score at each subcategory and its aspect were analyzed, expression element were compared between the lower and higher group, and finally co-relation between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most students gained higher score in decoding accuracy or reading rate, their expression was lower. Among four sub-categories of expression, i.e. expression and volume, phrasing, smoothness, and reading rate, score of expression and volume was the lowest. Most students read text with little expression or enthusiasm in their voice. On the basis of the result, some ideas for teaching fluency were suggested.
홍콩 교육당국은 90년대부터 적극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학습을 추진 하였다. 그러나 전자학습이 소학교 학생들의 연필을 잡고 한자를 쓰는데 있어 어 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쟁이 있다. 전자교재를 교육의 보조도구로 활용하는 방안은 이미 20년을 넘도록 추진되고 있으나, 오직 학자들만 이 가끔씩 이 변화가 가져오는 이익과 손해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소학교에 있는 네 개 반의 5학년 학생 80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녹화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한자쓰기를 상하구조, 좌우구조, 전포위구조, 반포위구조 등으로 분류하고, 계량화하였다. 이 때 비교실험군(전자학습반)과 통 제군(전통학습반)으로 나누고 학생들의 한자 쓰기 필순의 습관과 틀리게 쓰는 상황이 각기 다르게 나타는 상황과 한자 쓰기 퀴즈와 면담의 내용 까지도 실험 내용 에 포함시켰다. 연구를 통해 우리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암묵적으로 사용하는 한자쓰기와 필 순에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실험조의 낮은 수준의 학생들은 암묵적 쓰기에 있어서 대조군의 낮은 수준의 학생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교사 심층 면담을 통해 전자학습이 학생들의 한자 쓰기에 부정적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합리적인 한자교육의 운용과 평가, 학교 공부를 통해 이를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음을 알았다. 반대로 얘기하자면 보조적인 교수 학습 전 략이 부족하다면 낮은 수준의 학생들은 한자를 학습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이 계속 될 가능성이 있으며, 학습에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교사는 전자학습의 보조적인 전략을 운영할 때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목적: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의 미용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실태를 조사하여 올바른 착용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콘택트렌즈를 구매하고자 안경원에 내원한 고객 중 설문에 응한 여자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500명(중학생: 186명, 고등학생: 158명, 대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총 대상자 500명 중 316명(63.2%)이 미용칼라렌즈를 착용하였으며, 그 중 191명(60.45%)이 2조 이상의 렌즈를 보유하였다. 처음 착용 시기는 중학교 1학년 때가 149명(47.15%)으로 가장 많았고, 친구의 영향이 236명(74.68%)으로 가장 많았다. 미용칼라 콘택트렌즈 선택의 기준은 색상이 140명(43.06%)으로 가장 많았고, 하루 착용시간은 4~6시간이 86명(27.22%)으로 가장 많았으며, 렌즈 교체주기는 1~3개월이 81명(25.63%)으로 나타났다. 친구와 함께 미용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험은 102명(32.28%)이 ‘있다’로 응답하였으며, 보관용기에 대한 소독은 ‘한다’가 220명(69.62%)이었으며, 용기의 교체주기는 1~3개월이 76명(47.2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칼라 콘택트렌즈에 대한 가장 큰 부작용은 건조감(빈도: 2.72±1.05, 정도: 2.79±1.24), 불편감(빈도: 2.43±0.89, 정도: 2.39±1.15)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미용칼라 콘택트렌즈의 착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처음 착용시기도 어려지고 있으나, 관리방법 및 취급에 대한 지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관용기를 포함한 콘택트렌즈 관리와 교체주기에 대한 충분한 지도 및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Yang Myung-hee, Kang Huisuk and Park Dong-geun. 2013. A Sociolinguistic Study on the name of Korean and Koreans' language attitudes toward the name: Focused on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1(3).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name and language attitudes towards name of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is thesis carried out a nationwide survey and as a result drew out several important conclusions.
First, the percentage of Sino-Korean name was the highest; the rate of the native name of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i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ir parents, and more male students had Sino-Korean name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 percentage of parents taking part in the naming process was 60% in parents generation, whereas the percentage of parents and grandparents respectively taking part in the naming process were similar in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grandparents became to play a bigger role in the naming process due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Third, the percentage of using the generation character(hangryeol) decreased in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indicating that people are not bound to traditions. Fourth, the rate of female parent who were unsatisfied with their names was the highest. It suggests that there was a social preference of a son to a daughter.
Fifth, the parents replied that the most desirable namer is father, followed by naming specialist, and students replied father followed by grandparents. Sixth,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fetus names are necessary was two times bigger than their parents, and it seems likely that fetus names will be popular in the future as well. Hereafter, by carrying out nationwide surveys of different age groups(their late teens and 40's or 50's), this paper intends to study how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me and Koreans' language attitudes towards it changed through different age groups. (279 word)
직업이란 자신에 대한 정의 및 자신의 적성 및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일로 인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시대에서 대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에 따른 교육이나 미래의 직업에 대한 희망적인 생각도 하기 전에 취업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다시금 느끼는 시대이기도 하다. 사회복지는 인간과 환경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 현장의 경험과 봉사활동 및 인성 부분의 준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취업 준비는 스트레스로 다가오고 있고, 이는 곧 미래의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봉사영역과 자신의 능력향상을 위해 이에 대한 연구와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학교환경, 성격, 가족환경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 환경스트레스는 고학년이 높았으며 학교지명도가 개인의지보다 높은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수준이 높고 취업준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은 학업스트레스와 성격스트레스, 가족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낮아진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에 대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인성교육관련 프로그램을 학교와 학과에서 실시하여 자존감과 취업준비 모두 높일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