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uid jigging fishery is very important in that there are about 1,000 jigging vessels more than 10 tonnage and about 5,000 ones less than 10 tonnage in Korea. But the cost of oil which is used to light fishing lamps, goes significantly up to almost one hundred million won for 50 tonnage vessels and forty million won in case of vessels less than 10 tonnage. This cost has almost taken 40% of total fishing costs. That is, the fishing business condition of squid jigging fishery is recently in the very difficult situation. As oil price increases, the business condition of the fishery gets worse and worse. Therefore it is very urgent to develop an economical fishing lamp, to solve this problem of fishery's business difficulty.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a fishing lamp for squid jigging fishery using the light emitting diode which has very excellent efficiency and durability. We made a water tank with 20 meters width which is a shape of raceway to research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flying squid to LED light, and made an experiment to investigate optimum wave of LED light to lure squid. The method is to establish LED lamps on both ends of water tank and to observe squid's behavior. Colors and wave lengths of LED lamps, used in experiment, are red(634nm), yellow(596nm), green(523nm), blue(454nm) and white(454nm+560nm). In experiment for attractive capability of LED lamp to squids, Japanese flying squid are highly attracted to blue lamp and white lamp. However, they are dispersed to red and yellow lamps. In addition, Japanese flying squid have moved and stayed in both dark ends of water tank. When compared intermittent lamp with continuous lamp, Japanese flying squid are highly attracted to intermittent lamp when intermittent interval is 0.25 second.
The importance of perceived quality and brand loyalty is increasing recently both domestic and foreign. So many papers perform research on service quality and brand loyalty. Today, there is the rapid growth in the Korean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market. But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companies don't pay full attention to customers' attitude and brand loyalty. This paper shows why Korean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companies have to focus on Brand Loyal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quality, attitude and brand loyalty in the area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 the effective cooking activit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as well as the food intake and menu accept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oking activity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nsisted of 128 students of 3rd & 5th grader each. Both cooking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took the same 1-hour nutritional theory based class for 10 sessions. Only Cooking activity (CA) group took additional 10 sessions of 1-hour cooking class. Programs for cooking activity were developed and 10 cooking activity sessions were taken place for 4 months. The questionnair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cooking activities over the intake of food group, unbalanced dietary behavior, eating attitudes, menu acceptance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all the cooking activities. Cooking activities affect the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and the intake of food groups. Fish, cereals, milk products, fruits, potatoes, vegetables were more eaten by CA group than control group. Eating attitudes and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of CA group are also improved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cooking activitie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ver vegetables, cereals, fish, milk product and fruits as well as the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우리나라, 일본, 대만에 발생하는 유해 해충인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Paradacus) depressa] (Shiraki)의 짝짓기 전 행동을 사육실내에서 관찰하였다. 실험용 성충은 40일 지난 호박과실파리 암, 수이며 조도는 200lux - 0lux이었다.
호박과실파리의 짝짓기 전 행동은 wing vibration, mounting과 copulation 단계로 이루어진다. 성충 수컷의 Wing vibration의 광 조건은 200lux - 30lux었고, 30lux에서 활발하였다. Wing vibration 후 성충 암, 수의 mounting은 150lux - 30lux 사이에서 관찰되었으며, mounting도 30lux가 가장 적합하였다. Copulation의 경우 mounting 광 조건과 비슷한 150lux - 20lux에서 관찰되었다. Wing vibration을 한 수컷은 암컷과 copulation 성공률이 약 50%로 wing vibration 행동을 통해 이끌려 날아온 암컷이 수컷의 앞쪽에 있을 때 대부분 copulation이 이루어졌다. Wing vibration을 하지 않은 경우 앞쪽, 옆쪽, 그리고 다른쪽에 암컷이 있어도 copulation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주인 화랑곡나방 유충의 수직분산이 가능한 상황하에서 기생봉인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의 탐색 행동과 이에 따른 기주의 회피 반응을 살펴보았다. 수직으로 층(5mm 간격으로 7개 층)을 나눌 수 있는 직경 150mm의 원형 아크릴케이지 내에 현미를 채우고 기주인 화랑곡나방의 5령 유충을 여러 처리밀도(2, 4, 8, 16, 32, 64, 128)로 각각 투입한 후 3시간동안 자유분산을 유도하였다. 여기에 보리나방살이고치벌 1쌍을 각각의 처리에 접종하여 24시간동안 산란을 유도한 후 기생봉을 제거하였다.
기주의 수직분포는 밀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주로 최상위층에 집중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기생률도 밀도에 관계없이 최상위층에 집중되어 수직분포의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수직분포가 가능한 처리와 가능하지 않은 처리에서의 기생봉에 의한 기주탐색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직분포가 가능한 처리가 그렇지 않은 처리보다 더 낮은 기생률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기생봉이 기주를 탐색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의 산란생태와 소나무재선충 이동과의 관계 및 솔수염하늘소내 소나무재선충 보유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발생지역내 매년 고사목이 발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초 건전한 소나무를 벌채하여 임내에 존치시켜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산란을 유인하였다. 또한 야외 사육상(4×2×2.5m)내에 산란목을 설치하고 매개충의 산란을 유도하였다.
피해지내 임내에서 매월 벌채하여 솔수염하늘소 산란을 유도한 해송 공시목에서 이듬해 우화탈출한 솔수염하늘소를 채집(n=60)하여 소나무재선충 보유율을 조사한 결과 18.3%(n=11)였다. 솔수염하늘소 한 마리당 소나무재선충 보유수는 5,713마리(최대 24,533, 최소 13)였다.
야외 사육상에서 산란을 유도하여 이듬해 채집한 솔수염하늘소(n=64) 중 15.6%가 소나무재선충을 보유한 채로 우화탈출 하였다. 솔수염하늘소 한 마리당 선충 보유수는 2,034마리(최대 16,160, 최소 51)였다. 또한 매개충은 서식하고 있으나 소나무재선충이 없는 공시목에 인위적으로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이듬해 우화탈출하는 솔수염하늘소(n=81)에서는 38.3%가 소나무재선충을 보유하였고, 솔수염하늘소 한 마리당 선충 보유수는 20,083마리(최대 128,700, 최소 56)였다.
벼의 관다발, 특히 체관부 흡즙성 곤충으로 알려진 애멸구의 벼 조직 내 흡즙행동을 규명하기 위해서 DC-electrical penegtraion graph(EPG) 파형을 분석하였다. 4엽기 벼 유묘에서 애멸구 암컷 성충의 EPG파형은 그 형태, 크기, 주파수에 따라 np, P, path, X, S, sPh, Ph파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파형은 대체적으로 P, path, S, sPh, Ph파형 순서로 진행되었다. 각 파형들에서 애멸구 구침의 실제 위치는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구침을 절단한 후 조직의 미세절편을 통해 관찰하였는데, 구침의 선단부가 X파형에서는 물관부에, S, sPh, Ph파형에서는 체관부에 도달돼 있었다. 한편 Ph파형일 때 절단된 구침으로부터 식물액이 배출되었고 그 식물액에서 설탕이 유일한 당으로 검출되었으며, 애멸구가 감로를 주기적으로 배설하는 것이 관찰되어, Ph 파형을 체관부 흡즙파형으로 판단하였다. 위 파형들, 특히 Ph파형의 의미는 저항성과 감수성 벼 품종들 위에서의 EPG 측정으로 증명하였다. 저항성 품종은 IR8과 Muthumanikam을 사용하였는데, 먼저 생존성과 선호성 검정을 통해 이 품종들의 저항성을 확인하였고, EPG 측정 결과는 감수성 품종인 오대벼와 일미벼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6시간 동안 EPG 측정하였을 때, 감수성 품종들에 비해 저항성 품종들에서 np와 X파형기간이 길었고, sPh와 Ph파형기간은 짧았다. 한편 감수성 품종들에서 90% 이상의 애멸구가 Ph파형을 보였으나 저항성 품종인 IR8에서는 약 21%, Muthumanikam에서 약 11%만이 Ph파형을 보였다. 그러나 애멸구는 품종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곤충이 Ph파형의 이전 단계인 sPh파형을 나타내었다. 위 결과로부터 애멸구는 저항성 품종에서는 체관부까지 구침을 도달시킬 수 있으나 체관부를 흡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EPG파형으로 애멸구 흡즙행동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조종사의 비행수행능력과 자존감이 비행비교 상황에서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행교육과정 조종사 48명을 대상으로 시뮬레이터 상황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간 변인으로서 비행수행능력(비행등수)과 자존감 척도로 각각의 높고 낮은 그룹으로 나누어 안전규칙상 착륙이 허가되지 않는 활주로 접근 시뮬레이션 상황을 수행하게 하였다. 접근 상황은 피험자 내 설계로 세 번에 걸쳐 측정하였고, 동일한 각각의 상황실험 수행 직전에 실험참가자에게 다른 사람들의 수행결과를 조작(긍정비교, 부정비교, 통제)하여 제시하였다. 실험참가자의 위험행동은 접근한 고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각 제시 조건에 따라 위험행동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고, 각 비교조건에서의 위험행동 경향은 비행수행능력과 자존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비행수행능력이 낮은 집단은 비교조건들에서 통제조건과 달리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행수행능력이 높은 집단은 부정비교조건에서 다른 조건들과 달리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존감이 높은 집단은 통제조건에 비해 비교조건들에서 유의미한 위험행동을 보인 반면, 자존감이 낮은 집단은 다른 조건들에 비해 부정적 비교조건에서 유의미한 위험회피행동을 보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signs and duration of estrous in Hanwoo and Holstein cattle for the prediction of optical insemination. Fifty two of 58 and 71 of 89 in Hanwoo and Holstein cows or heifers showed estrous exhibition within 72 h after 2 days following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 number of mounting and standing heat were 54.2 and 57.6, 59.4 and 53.5, 42.0 and 30.8 and 16.2 and 10.7 times in Hanwoo cows, Hanwoo heifers, Holstein cows and Holstein heifers, respectively. Duration of mounting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for Hanwoo cows (), Hanwoo heifers (), Holstein cows () and Holstein heifers (). Duration of standing heat were significantly (p<0.05) shorter for Holstein cows () than for Hanwoo cows (), Hanwoo heifers () and Holstein heifers (). Time until mounting after injection of were significantly (p<0.05) longer for Holstein cows () than for Hanwoo cows (), Hanwoo heifers () and Holstein heifers (). Time until standing heat after injection of were significantly (p<0.05) longer for Holstein cows () than for Hanwoo cows (), Hanwoo heifers () and Holstein heifers ().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duration of standing heat was the shortest in Holstein cows (). The estimation of estrous with Holstein cows has more difficulty because to significantly shorter duration of standing heat than for Hanwoo cows, Hanwoo heifers and Holstein heifers. The standing heat can be a good predictor for time of ovulation but it is concluded that mounting behavior could be the best predictor for time of ovulation.
2004년 10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 7개체를 무선추적하여 연간 행동권 크기를 분석한 결과, 95% MCP에서 반달가슴곰 암컷은 71.66km2, 수컷은 90.20km2로 분석되었다. 계절별 행동권 크기는 암컷곰이 봄 19.8km2, 여름 30.48km2, 가을 22.63km2, 겨울 0.22km2이었고, 수컷곰은 봄 33.47km2, 여름 20.26km2, 가을 23.23km2, 겨울 0.78km2이었다(F=4.193, P〈0.05). 반달가슴곰의 행동권역중 약 38% 정도가 중첩되었고, 암컷간 12.5%, 수컷간 22.4% 정도가 중첩되었다. 서식지 평균 해발고도는 봄 744±236m, 여름 682±253m, 가을 937±218m, 겨울 975±137m로 분석되었다(F=8.526, P〈0.001). 반달가슴곰의 행동권 크기와 위치는 주로 먹이의 분포와 생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계절별 서식 환경특성, 연령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 knowledge and perception on diet practice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and April of 2005 from 523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Chungbuk,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included 217 male students (41.5%) and 306 female students (58.5%), and 52.0% of the subjects were 21-23 years old. With regard to residence type, 42.6% of the subjects lived in the dormitory, home (29.1%) self-boarding (19.5%) and meal (8.8) were in the order. The average weights and height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70.9±9.0 kg and 174.3±4.4 cm in the male students and 53.9±5.9 kg and 161.3±4.5 cm in the female students. The average BMI value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23.4±2.5 and 20.8±2.1, respectively. The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were as follows: 1.96 out of 3.0, dietary habit (2.13), nutrition (2.0), exercise (1.98), preferred food (1.90), and chronic disease (1.79). We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ubjects in terms of scored points. Nutritional knowledge by gender and residence typ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the male subjects had higher scores for exercise than did the female subjects. The self-boarding subject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with regard to nutritional knowledge and chronic disease. The experience and duration of previous diet practic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gender and residence type. The male subjects tended to conduct diet practice for longer periods than females. The self-boarding students reported more attempts at diet behavior, but for shorter dur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 practice behavior of the subjects were influenced by gender and residence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