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1

        12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 근현대고등교육의 형성 초기가 되는 시기의 흐름과 특성을 살펴보고, 과거 근현대교육의 식민성에 따른 고찰을 중심으로 미래 고등교육의 방향성을 교육사회학적 논의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근현대교육은 일제 강점기, 미군정 시대의 교육적 식민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래 고등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 식민 통치하의 민족주의 교육이 우리의 언어와 문화를 지켜왔는지 살펴보는 것과 동시에, 식민지 교육의 잔재가 남아있는지 살펴보는 것, 이 시기의 교육사에 밝혀지지 않은 것은 무엇인지 연구해 보는 것도 고등교육의 미래를 위함이다. 둘째, 학습자들은 고등교육의 과정에서 대학의 사회화 기능 역할을 인지함과 동시에 특정 이데올로기 재생산, 상징적 폭력을 알아차리고 구분하는 것, 여러 분야에서 재생산되는 불평등함을 인지하는 것, 사회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관점의 존재, 더불어 자신의 생각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행위에 그 가능성이 있다. 셋째, 평준화를 가장한 차별·역차별구조,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관행과 교육, 인종적·민족적·성적·지역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고등교육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체하고 배울 필요가 있다.
        4,000원
        122.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대 신문·잡지의 데이터베이스 축적은 연구자의 원서에 대한 손쉬운 접근과 용이한 데이터 추출을 가능하게 해주었고, 더불어 인문학과 문화예술을 포함한 다양한 전공분야의 연구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성과가 연구 쪽으로만 한정되며, 대학교육과는 별도의 학문영역에서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은 분명 아쉬운 부분이다. 대학한문교육에서 근대 신문매체를 활용한다면, 실생활의 한자어뿐만 아니라 관련 한자들이 출 현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학습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준다. 또한 『황성신문』을 비롯한 당시의 근대 신문·잡지들이 통합검색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로 제공되고 있어 자료의 접근성면에서도 편리함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근대 신문을 활용한 수업모형(TBL)을 소개했으며, 교육방법론과 더불어 활용적 가치 및 효용성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같은 신문매체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교육설계는 현대학교육의 효용성이나 방법론적 고민을 조금이나마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비록 본 논문은 대학 한문교육을 중심으로 수업모형을 제시했지만, 그 교육적 가치는 인문학 전반을 아우를 수 있다.
        5,700원
        123.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1961, the Republic of Korea’s first newly-constructed government building was completed. The government building, as ROK office, was erected as a twin with the USOM office in Sejong-ro. The reason why the ROK office and the USOM office were erected as a twin building is that the two offices were part of Foreign Operation Administration’s Seoul Buildings Project in 1954. Within the project, the FOA office and the ROK office were rarely separated, and naturally, the ROK office was built according to the US standards. Th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which led by the US government were involved in the US architecture, engineering-construction companies. Because those AEC companies were familiar with the US technology and standards. In the phase of construction, Korean companies took part in the process under the supervise of Vinnell Corporation. The US expected to transfer its ‘modern’ and ‘developed’ technology through this process. The completed ROK office was widely known as the ‘modern style (hyundae-sik)’ building, which was body forth as glasses and new facilities. These factors were what the US emphasized for exporting architecture. The modifier, ‘modern style (hyundae-sik)’, given to the ROK office in the 1950s was a synonym for any new feeling that had never been seen hitherto. The newness of the ROK office, the ‘modern style (hyundae-sik)’ building, was specified as materials and facilities that indicates modern technology while in the absence of adequate knowledge.
        4,000원
        12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사학은 훌륭한 말에 관한 재주이거나 학문이다. 어느 경우에나 수사학을 활용하는 목적은 말과 행동 등으로 남을 이해시키고 설득시키기 위한 것인데 연설뿐만 아니라 연극과 같은 각종 매체에서도 자주 쓰인다. 본고가 수사학적 각도로 탐구하려는 중국가수 薛之谦(설지겸)의 노래 <演员>(연기자)은 출시된 지 몇 년이 흘렀지만 아직도 많은 중국인들과 외국인들의 뇌리 속에 남아있는데 과연 어떤 요인들로 인하여 청자들과 깊은 공감대를 형성했는지에 대해 착상, 배열, 표현, 발표 등 서양 수사학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국내에서 중국 가수의 노래에 대해 수사학적으로 분석한 논문은 현재 전무한데 새로운 분석틀을 적용하여 현대중국 대중문화의 트렌드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시도하였다.
        5,700원
        125.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920~30년대 한국의 근대 연극 수용의 특징과 의미를 아일랜드 연극의 영향에 초점을 두고 역사적 배경과 극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한국 근대 연극의 발전 과정에서 아일랜드 연극의 영향력을 검토함으로써 서구 근대 연극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한국 지식인과 다른 아시아 지식인들의 태도 사이에 매우 중요한 차이가 있음을 이야기 할 것이다. 또한, 당시 대표적인 극작가였던 유치진과 함세덕의 작품에서 아일랜드 극장의 영향을 확인해 볼 것이다. 그들은 아일랜드극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존 밀링턴 싱과 션 오케이시와 같은 아일랜드 작가의 극적 특징과 배경을 적극 활용하여 작품을 창작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은 아일랜드 극작가에 대한 한국 극작가의 수용이 단순하고 고립된 하나의 연극적 현상이기보다는 당시의 정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그들의 반응이었음을 주장하고 있다.
        7,700원
        126.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dern Chinese Dictionary, one of the most popular language reference books in Mainland China, has been published in seven editions by the end of 2016. As the most important and comprehensive revision was published in 2012, the 6th edition laid the foundation of the next version. The article makes a comparison between the fourth (supplement edition in 2002), fifth and sixth edition of Modern Chinese Dictionary in the changes of entries, phonetic notations, meanings and styles of standard revision in order to reveal the difficulties of the dictionary compilation.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evolution of the theory and practice, Modern Chinese Dictionary still needs to be modified constantly.
        4,800원
        127.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With most consumers in developed countries actively using Internet in their daily lives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7), and billions of monthly active social media users (Facebook, 2017; Instagram, 2017), businesses across the globe work to ensure their efficient representation in the online environment. For luxury brands, digitalization poses unique challenges. While some luxury brands fully embrace the digital environment, whether through designing memes for their social media campaigns (Gucci, 2018), or through selling their luxury products via online channels (Vacheron Constantin, 2018), other luxury brands avoid digitalization. Some marketers suggest that “digitalization of luxury brands” is somewhat paradoxical, since customers of luxury brands expect exclusive access, insider knowledge, and more personalized, intimate service than online environment can offer (Deloitte Touche Tohmatsu Limited, 2015; Hennings, Wiedmann, and Klarmann, 2012; Popomaronis, 2017). Considering that “one size” does not fit all in marketing, could it be the case that digital presence has favorable impact on some luxury brands, but not on others? Brand personality, culture and values of luxury brands can work to create a traditional, or a more modern, brand image (Azoulay & Kapferer, 2003; Madhavaram, Badrinarayanan, & McDonald, 2005).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more modern luxury brands are expected to modernize, even in a digital capacity, while traditional luxury brands are expected to be resilient to change. In other words, digitalization might be perceived differently by customers of traditional luxury brands versus modern luxury brands. However, luxury brand literature is silent as to how these brands should engage audiences online.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whether digital presence leads to differential consumer outcomes depending on the luxury brand identity. Theoretical Development It is universally accepted that the online environment is one of the key factors impacting consumer outcomes in our digital age (Darley, Blankson, & Luethge, 2010). Specifically, brand website quality, interface, experience and website satisfaction all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consumer decision process, and determine how consumers engage with and obtain knowledge of a brand (see Darley et al., 2010 for a review). Moreover, navigation and convenience of the brand website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important predictors of consumers’ attitudes (Childers, Carr, Peck, & Carson, 2001). In fact, when it comes to evaluating brands and their websites, consumers are driven by three factors: website functionality (e.g., navigation), psychological factors (e.g., trust and feelings of reliability/professionalism), and content (e.g., website design) (Constantinides, 2004). At the same time, these three driving factors in website evaluation (i.e., functionality, psychological factors, and content) help build the brand identity, and create a specific brand image through brand presentation style, and the relationships created with customers (Nandan, 2005). A strong component of brand identity is brand personality. Using Aaker’s (1997) brand personality dimensions as a starting point, Heine (2009) developed a luxury brand personality scale, identifying the following traits: modernity, eccentricity, opulence, elitism, and strength. The first trait, modernity, refers to the temporal perspective of the brand, ranging from modern to traditional. ”Traditional” can mean conservative, classic, and old-fashioned, yet luxury brand positioning is often based on tradition, which results in low modernity (Esteve and Hieu-Dess, 2005; Mutscheller, 1992; Vernier and Ghewy, 2006; Vickers and Renand, 2003; Vigneron and Johnson, 2004). The concept of a “modern brand,” on the other hand, elicits associations such as contemporary, trendy, and progressive. For luxury brands, while Donna Karan New York would identify as a modern brand, Hermes provides an example of the traditional brand. Past research indicates that modern brands are more symbolic, embody conspicuousness, and do not require luxury knowledge. Furthermore, modern brands are often deemed more exciting (Aaker, 1997) and creative (Roux, Tafani, and Vigneron, 2017). In contrast, a traditional brand requires craftsmanship, represents aesthetic possession, and requires knowledge (Pitt, Berthon, Parent, and Berthon, 2001). While Kapferer (1998) considers that tradition and modernity are part of luxury brand identity, and thus strategy, only recent evidence demonstrates that luxury brand image can influence consumer evaluations and decision making (Roux et al., 2017). We suggest that luxury brand identity should impact the digitalization strategy of the luxury brands. First, even though past research suggests that e-commerce and use of social media bodes well for luxury brand strategy (Godey et al, 2016; Lee and Walkins, 2016), we argue that for modern (vs. traditional) luxury brands, digitalization and social media presence is viewed more negativel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modern brands are more symbolic, that is a sign of affluence (Pitt et al., 2001), and linked more closely to the trait of exclusivity (Roux et al., 2017). When negative attitudes of the modern luxury brand consumers arise, they will result in lower evaluations of the brand digitalization efforts (e.g., brand website). Formally, H1: Exposure (vs. no exposure) to the brand’s social media page will lead to lower (vs. higher) brand website evaluations for the consumers of a modern (vs. traditional) luxury brand. Given that consumers can express love for brands and designate status to brands, their overall relationships with a brand can influence brand website evaluations. However, consumers could attribute higher or lower value to a brand’s identity in the online environment, thereby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luxury brand digital strategy (Quach and Thaichon, 2017). More specifically, consumers might perceive brand website to be an integral part of a modern brand’s image, and might not see a website as a critical component of a traditional brand’s image. In other words, a website of a modern brand might be subject of higher scrutiny than that of a traditional brand, and thus might be more dependent on the overall consumer attitudes towards the brand. Therefore, we propose that brand love can attenuate the negative influence of digitalization on website evaluations for a modern brand. As such, H2: For a modern luxury brand, high (vs. low) brand love will increase (vs. decrease) website evaluations. No such relationship exists for a traditional luxury brand. Study 1 One hundred and forty-six Fren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on social media (Mage = 28; 71.9% female) to participate in a survey conducted in French about luxury brand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conditions in a 2 (Luxury brand: modern vs. traditional) x 2 (Social media page: shown vs. not)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After viewing the website for either the brand identified during the pretests as traditional (Hermes) or modern (Celine), participants in the “social media page: shown” condition viewed the target brand’s Instagram page. Participants in “social media page: not shown” condition immediately proceeded to the study questionnaire. Following this, all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measuring the dependent variable, Website evaluations, on a 3-item 7-point scale (“How would you rate this website on the following features: design, navigation, and professionalism”, 1 - very negative and 7 - very positive; α = .94; Constantinides, 2004). Next, participants responded to two covariates, including two 7-point Likert-type items to capture Luxury brand knowledge (e.g., “I know more about luxury brands than most other people”; r = .96; p < .001; Mueller, Francis, & Lockshin, 2008), and one item measuring Luxury shopping habits (“How often do you buy luxury goods?”, 1 - more than once a month and 7 - never). Social media usage, as it pertains to this study in particular, was measured as a covariate on a one-item scale (“How often do you use social media?”, 1 - several times a day, 4 - at least once per month). Lastly, demographics were captured. An ANCOVA with the Luxury brand (0 - traditional brand, 1 - modern brand) and the Social media page (0 - not shown, 1 - shown)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Luxury brand knowledge, Luxury shopping habits, and Social media usage as covariates, and Website evaluations as the dependent variable yielded a significant 2-way interaction (F(1, 144) = 3.91; p = .05), driven by main effects of Luxury shopping habits (F(1, 144) = 5.28; p = .02) and Social media usage (F(1, 144) = 6.75; p = .01). The means revealed directional support that the traditional brand website was evaluated more favorably (M = 5.59) than that of the modern luxury brand (M = 5.38). Planned contrasts revealed that for those who saw the social media page, the Website evaluations were higher for the traditional brand (M = 5.56, SD = 1.48) than the modern brand (M = 5.10, SD = 1.88; F(1, 144) = 1.76; p = .06). For those who did not see the social media page, Website evaluations did not differ for the modern (M = 5.68, SD = 1.52) or traditional luxury brand (M = 5.63, SD = 1.53; F(1, 144) < 1). Moreover, for the traditional brand, the social media page did not influence Website evaluations (M = 5.56, SD = 1.48 vs. M = 5.63, SD = 1.53 for shown vs. not shown; F(1, 144) < 1). On the other hand, for the modern brand, Website evaluations were lower for those who saw the social media page (M = 5.10, SD = 1.88) versus did not see the social media page (M = 5.68, SD = 1.52 F(1, 144) = 2.61; p = .02). Thus, the modern brand was more influenced by digital strategies than the traditional brand, such that for the traditional brand, viewing the social media page did not influence the website evaluations. In contrast, viewing the Instagram page of the modern luxury brand had a negative influence on luxury website evaluations. The modern brand website, specifically, was viewed as less aesthetically pleasing, and less professional, after viewing the brand’s Instagram page. We speculate that this is because the luxury brand was seen as less rare, and special, after viewing its social media page, and these negative associations affected downstream consumer judgments when evaluating the brand website. Study 2 To formally test hypothesis two, European consumers speaking English were recruited via social media to participate in a study on luxury brands. An experiment using a 2 (Luxury brand: modern vs. traditional) x (Brand love, continuous) between-subjects design was undertaken. The Luxury brand variable was manipulated by exposing participants (N=128; Mage = 21; 60% female; 63% German) to one of the two brands recognized as either more modern (Chanel) or more traditional (Hermes). The dependent variable, Website evaluations, was measured as in study 1 (α = .77). Participants also responded to two 7-point Likert items measuring Brand love (e.g., “I love the brand whose website I just visited”; r = .75; p < .001; Bagozzi, Batra, and Ahuvia, 2014), and two covariates of Luxury brand knowledge (r = .9; p < .001) and Luxury shopping habits. Lastly, demographics were captured. A regression using PROCESS Model 1 with the Luxury brand (0 – traditional brand, 1 – modern brand) and mean-centered Brand lov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Luxury brand knowledge and Luxury shopping habits as covariates, and Website evaluations as the dependent variable yielded a significant 2-way interaction (β = .38; t = 1.82; p = .07) driven by a main effect of the Luxury brand, so that the website of the traditional brand was evaluated more favorably (M = 5.85) than that of the modern brand (M = 4.88; β = - .98; t = -3.13; p = .002). Planned contrasts revealed that when Brand love was low, Website evaluations were greater for the traditional brand (M = 5.84) than the modern brand (M = 4.28; β = -1.56; t = -3.86; p = .0002).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Website evaluations when Brand love was high (M = 5.87 vs. M = 5.47 for traditional vs. modern, respectively; β = -.40; t = -.82; p > .4). Moreover, for the traditional brand, Brand love did not influence Website evaluations (M = 5.85 vs. M = 5.87 for low vs. high brand love; β = .01; t = .08; p >.9). On the other hand, for the modern brand, Brand love had a positive impact on Website evaluations, such that evaluations were higher when Brand love was higher (M = 5.47) versus lower (M = 4.28; β = .39; t = 2.40; p = .018). Thus, luxury brand websites emanating from traditional brands are more widely accepted than those from modern brands. Additionally, these results support hypothesis two that brand love attenuates lower website evaluations for the modern luxury brand while not influential of evaluation of the luxury brand website for traditional brands. Important for the modern luxury brand, brand love should be high for brands pursuing digital strategies. Conclusion In sum, the findings from the two experiments indicate that digital techniques employed by traditional luxury brands are more widely accepted than those of modern brands. Specifically, the findings reveal that while social media pages can detract from the evaluations of the modern luxury site, they do not influence the evaluations of the traditional luxury site (study 1). Given that one of the benefits of luxury brands’ sharing of content in a digital environment involves facilitating brand love, it is imperative for modern luxury brands to garner high brand love. After all, brand love increases site evaluations for modern luxury brands (study 2). Using appropriate brand identity interface to communicate brand identity to the brand contacts is important in building brand equity (Madhavaram et al., 2005), especially in the domain of luxury brands, where brand equities amount to billions of dollars (Quach and Thaicon, 2017). Therefore, understanding how best to use digital interfaces is paramount to luxury brand strategy.
        4,000원
        12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국 도농관계의 역사적 변화궤적을 근대전환기, 중화민국시대, 마오쩌둥 치하 사회주의시대로 구분해서 추적함으로써 오늘날 중국 도농관계의 역사적 맥락을 조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근대전환기는 전근대 중국의 도농관계를 특징지었던 사회문화적 연속체가 해체 되고 근대적 도농이분법과 도농불평등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단초가 마련되는 시기였다. 중화 민국시대에는 중국경제가 세계 자본주의 체제로 본격적으로 편입되고, 서구로부터 사회진화론의 개념적 프레임이 도입되면서 도농관계가 문화적으로 급격하게 재구성되는 시기였다. 이에 따라 중국의 도시는 진보의 상징이자 모더니티의 소재지로, 농촌은 봉건적 낙후성과 무지 몽매의 장으로 정의되고 재현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시대 중국의 도농관계는 표면적으로 양립 불가능할 것 같은 이념적 양가성을 통해 구성되었고, 이는 문화혁명기에 절정에 이른 상산하향운동을 통해 극적인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조명한 중국 도농관계 변화의 역사적 궤적은 오늘날 중국 도농관계의 문화적 구성과 그것이 중국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지형에서 갖는 중층적 함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적 발판을 제공해줄 것이다.
        6,900원
        12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現代漢語詞典』의 해석을 중심으로 ‘快’와 ‘快要’의 의미, 품사, 어법단위를 논의한 결과 ‘快’ 는 어떠한 문맥에 쓰일지라도 ‘움직이는 동작이나 일의 정황이 시간적으로 빠르다’를 의미하는 형용사로 관통되어 주로 술어, 보어, 부사어로 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명사로서 ‘성씨’를 의미하기도 한다. 고대에는 ‘捕快’와 ‘馬快’와 같이 명사로서 ‘옛날에 체포하는 부역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고대중국어의 단음절어 ‘快[기쁘다]’의 형태가 현대중국어에서는 비자립형태소로 쓰임도 확인하였다. 『現代漢語詞典』에 부사로 등재된 ‘快要’는 실제 언어 환경에서는 ‘속도가 빠르거나 길을 걷거나 시간이 짧음’을 의미하는 형용사 ‘快 [빠르다]’와 ‘~하기를 원하다’를 의미하는 동사 ‘要’가 연접되어 ‘빨리(곧) ~하려고 하다’의 문맥 의미를 형성한다. ‘快’는 동사나 형용사 술어 이외에도 수량사 술어 앞에도 쓰여 문맥상 ‘빨리(곧)~하려고 하다’라는 문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현대중국어의 실제 언어 환경에서는 수량사 앞에는 ‘快’, 동사술어나 형용사술어 앞에는 ‘快要’가 주로 쓰임도 확인하였다. ‘快 要’는 ‘快[빠르다]’와 ‘要[~하기를 원하다]’ 두 단어의 연접으로 쓰인다고 여긴다.
        4,900원
        130.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of the literature on modern-day slavery focuses on women and children as victims of the sex industry. This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sexual exploitation has resulted in conflation of the term trafficking with prostitution, which has led to an understanding of human trafficking issues as separate from other workplace abuses that amount to slavery. By exploring modern-day slavery in the Southeast Asian fishing industry, this paper may fill a research gap within the study of human trafficking as well as sharpen our awareness of slavery practices, not only in the sex industry, but also in workplaces like fishing vessels and seafood processing factories.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proximity of modern slavery to sexual exploitation and the lack of differentiation between smuggling and trafficking crime has led to the ignorance of contemporary slavery practices in other sectors.
        13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eign Reception Hall in Gyeongungung Palace was constructed during 1899-1902 according to Yesigjangjeong (禮式章程), Korean Empire's modern diplomatic protocol. This bulilding is a case worthy of notice, because its construction process was written in Jubon(奏本), Korean Empire's official document. Yesigjangjeong(禮式章程) regulates the process of diplomat's audience with Emperor Gojong. The process suggested that Foreign Reception Hall was designed as the place of the end as well as the beginning for audience. According to the process, diplomat came through main gate, Daehanmun and outer gate of main hall(Junghwajeon Hall, Audience Hall), then arrived at the stair to Foreign Reception Hall. After waiting time in the hall, he was going to be granted an audience with Emperor. And he exited through Foreign Reception Hall as the reverse way. This hall was constructed as western-style. Subcontracted carpenters and wood sculptors and laborers from China represents that chinese workers were prevailed in the government construction at that time. And modern building materials, such as glass, colored brick, sanitary wares and lightings were applied, which showed the new landscape in the middle of Gyeongungung Palace. Above all, official documents related with this hall reveals Korean Empire supervised this construction for diplomatic protocol. That is the identity of western-style buildings in Gyeongungung Palace.
        4,000원
        136.
        2018.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 진출한 신사는 일본의 민중 신앙에 기반한 거류민봉제신사부터 일본 천황의 제사기관인 관폐사(官幣社)․국폐사(國幣社)에 이르기까지 신사의 성격과 사격(社格)이 다양하며, 시기별로 신사신도의 진출양상이 차별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① 한일병합(1910년) 이전, ② 1911년∼1929년의 거류 민봉제신사의 관공립화 및 국가제사시설의 완비, ③ 1930년대 이후 황민화 정책기(1931-1942년)로 그 시기를 구별하여 한국으로의 신사신도의 진출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시기별․지역별 신사신도의 통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조선총독부통계연보(朝鮮總督府統計年報, 이하 통계연보로 표기)』를 그 연구대상으로, 위 일제강점기 종교정책의 전환기에 따른 지역별 신사신도의 진출양상을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분석․정리할 것이다. 또한 통계자료의 해석 자료로서 일제강점기 지역 신사와 관련된 자료들을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범 위로는 그 시기를 1678년부터 『통계연보』가 간행된 1942년까지로 한정하고자 하며, 지역은 『통계연보』에 기록되어 있는 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남도․전라 북도/남도․경상북도/남도․황해도․평안북도/남도․함경북도/남도로 구분하여 정리 하고자 한다.
        7,800원
        137.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houses in Heung Yang-islands and the Ulleung-island Folk Houses in Modern Age. Fork houses reflect cultural and geographical features synthetically and concretely. Fork houses contain the thoughts of residents and have been built rationally and economically, therefore studying fork houses is a very meaningful task. This study has a focus on the elements which influenced fork houses of Ulleungdo at the time when fork houses were constructed officially. There have been studies on fork houses of Ulleungdo limited in embrasive characteristics, spac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the element and background of Ulleung-island Folk Houses in Modern Age.
        4,300원
        13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배경이론을 통해 근대건축물에 관한 일반적 사항을 고 찰하고 근대건축물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연구자료를 분석하여 조사대상 을 선정하고 분석요소를 도출하였다. 조사대상은 수도권에 분포한 근대 건축물 가운데 문화재로 등록되고 원형보존이 되어 2010년대 이후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공간의 재생을 통한 근대 건축물의 보존에 초점을 두어 당시 근대건축물의 건축적 특성과 디자인 요소들을 파악하고 특성 보존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근대건축물의 보존은 외관은 당시의 원형 그대로 보존하거나 복원하 는데 비해 내부는 건립당시의 모습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당시 실내디 자인 요소를 부분 보존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공간구성이 변한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간의 내부적 요소가 현대적 기능을 수 용하기에는 구조의 노후화, 사용목적 및 환경의 변화 등의 문제점이 있 기 때문에 공간을 원형보존 한다는 것은 어려움이 따르나. 근대건축물의 보존은 쇠락한 건축물을 새로운 공간의 장으로 변화시켰다는 의미를 지 닌다. 현대건축물의 다양화, 고층화의 경향 속에서 새로운 문화적 공간 을 창출하였고 근대건축물 재이용의 다양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갖고 있다. 종합해 보면 건축물을 다시 짓고 새로운 공간을 조성 하는 것보다 기존의 건축물을 재이용 하는 것이 더 큰 효용가치를 지닐 수 있고 문화적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기 때문에 근대건축물의 보존을 위 한 다양한 재이용의 방안과 가치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6,100원
        13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전통인 ‘웃음’이 한국 근현대 예술음악에서 어떻게 현전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 연구의 중심 대상을 한국 창작 희극오페라로 제한하였다. 고찰의 대상이 된 작품은 한국 오페라 수용사에서 성공적인 수용을 기록한 희극오페라들인 《춘향전》, 《결혼》, 《시집가는 날》, 《천생연분》, 《봄봄》이다. 또한 비극오페라에 내재된 한국적 웃음문화의 특성을 배제하지 않았으며, 그 대표적인 예시로 비극적인 전쟁 오페라 《산불》에 나타난 전통 웃음의 특성인 ‘웃음으로 눈물 닦기’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크게 두 가지 유형의 성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첫째는 한국특유의 해학과 풍자이다. 고전을 음악화한 오페라 《춘향전》이 여러 작곡가들에 의해 각각 다른 희극적인 어법으로 작곡되어 있었으며, 대표적인 해학 예술인 『맹진사댁 경사』 또한 홍연택의 《시집가는 날》과 임준희의 《천생연분》에서 각각 날카로운 풍자와 밝은 해학과 같은 다른 성격을 가진 오페라로 작곡되는 등 시대적 감성에 따라 차별화된 수용이 나타난다. 두 번째 유형은 청중을 자기성찰적인 비평적 인식으로 유도하는 웃음이다. 실내 오페라인 공석 준의 《결혼》과 이건용의 《봄봄》에서 이러한 웃음이 추구되었으며, 각각 유머적, 해학적 웃음을 통해 물질적인 삶의 우스꽝스러움을 조명하거나, 부조리한 상황에 대한 자기성찰로 청중을 유도하고 있다.
        8,100원
        14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최근의 시인들이 농민과 농업, 그리고 농촌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작품에 표현하는가 에 대한 경향을 탐구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농촌은 갈수록 점점 심각한 상황에 처 하고 있다. 사회적 상황이 악화되면, 제일 먼저 시인의 감각에 포착된다고 말해왔다. 그래서 시인을 두 고 ‘시대의 안테나’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시인들의 작품을 보면 농촌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작품들이 충분하지 않다. 농촌을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곳으로만 생각하면 안 될 일이다. 도시인들의 정 서회복의 장소는 결국 농촌이 될 것인데, 농촌의 환경마저도 결코 건강하지 않은 상황이다. 시인들까지 도 제가 먹고 있는 것들의 근원이 어디이고, 근본이 어떠한가에 대한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사람들을 절 실하게 각성시킬 방법이 없다. 현대시의 논의에서 비평가들은 농민이 직접 쓰는 시를 적극적으로 옹호 하고, 농촌을 소재로 한 시들을 평범한 것으로 취급한다. 이데올로기가 들어있지 않은 ‘농민시’는 강력한 힘을 가지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농촌시’를 평범한 것으로 평가하지 말아야 한다. 소재주의에 빠질 염려가 있다고 해서 ‘농촌시’를 배격해왔는데, 이제는 그런 부류의 시마저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농민시’를 고집하지 말고, 농촌의 현실을 절실하게 각성시킬 수 있는 작품들은 어떤 것이든 소중히 여겨야 할 것이다. 농촌시의 본보기가 될 시인들, 예컨대 신경림, 김용택 등이 있다. 이들의 시를 ‘농민시’ 또는 ‘농촌시’로 한정지을 수는 없다. 이들의 시는 농촌에 대한 관심과 성찰을 갖게 한다. 이들의 시는 ‘농민시’와 ‘농촌시’를 차별하는 않아야 한다는 것을 터득하게 한다. 소외된 농촌에 필요한 이데올로기를 담은 ‘농민시’도 필요하지만, 문학적으로 봤을 때 다양한 시대정신을 가진 ‘농촌시’도 더욱 풍성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