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on 200 food handlers employed at restaurants with open-kitchens in Seoul to evaluate their food sanitation knowledge levels and practices. A majority of participants (88%) replied that open-kitchens are more hygienic than common kitchens due to the sanitary cooking process. The correct answer rate was 94.3% for sanitation of instruments and utensils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whereas food handling sanitation (66.8%) was ranked at the bottom among food sanitation knowledge. Total scores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ducation level and ages of food handlers (p<0.001). Personal hygiene knowledge level of food handlers regarding institutional food service was higher than that of food handlers at restaurants and bakeries (p<0.001). Food sanitation practices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hygiene (p<0.001)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p<0.05) according to certificate possession.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ractices, there was no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knowledge of food handling and personal hygiene practices (p<0.05). The results show need for improvement in both knowledge and practice levels of open-kitchen food handlers. Consistent and customized food sanita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protect against food poisoning at open-kitchen restaurants.
주민등록 인구가 현저히 감소되고 있음에도 지역여건을 고려하지 않는 운영보조금의 배정 및 획일적 프로그램 운영 등에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현재 청소년들이 처한 환경은 입시 위주의 성적 제일주의로 학교 부적응과 학교중단 사유 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가족구조가 변화하고 있어 조손, 다 문화, 소년소녀 가장 등이 늘고 있고 청소년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이들에게 상담과 치유를 동반하는 청 소년수련관은 건전한 육성과 균형 있는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터전이고 수련 거리를 갖춘 시설로서의 목 적 수행과 청소년수련관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체험활 동과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 발전과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해 청소년수련관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재정이 열악하고 전문 청소년지도사의 인력 부족 및 고용의 불안정, 청소년의 욕구에 부합 한 프로그램의 미흡하며, 청소년 이용 시 불편과 인지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수련 관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로,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욕구조사와 이를 토대로 창의적 이고 혁신적인 지역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고, 둘째로, 청소년 지도사 들의 직업적 전문적 안정을 위해서는 신분보장과 더불어 급여체계를 복시시설 종사자와 동일하게 하되 호봉체계를 3호 봉~15호봉으로 조정하여 현실화가 필요하다. 이는 직업의 안정과 고용불안을 줄여 생동감 있는 직장으 로 변화되어야 만 한다. 셋째로, 재정운영에 관한 사항으로 법인 전입금의 철저한 지도감독과 수련관 수탁 운영 시 운영계획 안을 실행 여부를 준수할 수 있도록 정기적 지도감독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자립형과 지원형 의 목적 사업 비율을 철저하게 준용함과 동시 평가에서도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보조금 차등 지 급 등으로 경쟁력을 제고 할 필요가 있다.
For earthquake loss estimation of building structures in Gangnam-Gu district in Seoul, three scenario earthquakes were selected by comparison of the response spectra of these scenario earthquakes with the design spectrum in Korean Building Code (KBC 2009), and then direct losses of the building structures in the Gangnam-Gu district under each scenario earthquake are estima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results of damage and loss in the second scenario earthquake, which has a magnitude = 6.5 and epicentral distance =15 km: (1) The ratio of building stocks undergoing the extensive and complete damage level is 40.0% of the total. (2) The amount of direct economic losses appears approximately 19 trillion won, which is 1.2% of the national GDP of Korea. (3) About 25% of high-rise (over 10-story) RC building wall structures, were inflicted with the damage exceeding moderate level, when compared to 60% of low-rise building structures. (4) From the economical view point, the main loss, approximately 50%, was caused by the damage in the high-rise RC wall building structures.
Sense of place (SOP)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an effective strategy through which to pursue sustainable place development. However, many urban spaces have not usually considered the contribution of built-environment factors to SOP and SOP’s contribution to people’s willingness to revisit for sustainable place.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SOP at Daehak-ro, one of the most famous cultural district and tourism sites in Seoul, Korea. Through this study, the sociocultural factor was found to mak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Daehak-ro’s SOP, and SOP was itself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willingness to revis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n-physical factors could be most important to developing an SOP in urban environments. This study will eventually lead to better understanding of developing SOP, and will contribute to Daehak-ro becoming more sustainable than at present.
A garden festival is characterized by its nature as a garden exhibition event. The Seoul Garden Festival was held to expand garden culture, increasing citizens’ quality of life, and also to achieve urban regeneration through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features of various gardens in Seoul. Mother’s Garden of Memory is based on the motif of the gardens tended by mothers in the past, and inspires recollection of related memories and stories. Gardens tended by mothers in the past can be encountered today in everyday life as practical living gardens. Facilities and suitable space sizes for a living garden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exhibition garden was designed to include a fruit tree hill, medicinal plant/herb garden, and butterfly garden in its planting space; a vegetable garden in its multi-purpose space and production space; a pond in its waterscape space; and a seating wall in its resting space. Additionally, the garden’s plants consisted primarily of species that wer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could be tended practically, and could be accessed easily. Finally, a garden management plan was established to provide a model for living gardens, ensuring that these gardens could be continuously sustained.
This article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Chinese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First of all, we surveyed Chines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by dividing the types of Chinese curriculum into two categories: the regular and after-school course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education by surveying Chinese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collecting qualitative data of the curriculum time, objectives, and quantity of the Chinese education, class types, and the ratio of native Chinese speaking teachers.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really want to learn Chinese, b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lacks sufficient capacity and quality needed to meet the student demands. A lack of resources is demonstrated by a lack of class time and multimedia materials. The typical teaching method suffers from an absence of native Chinese speaking teachers. The frustration that comes with insufficient resources eventually leads students to lose interest in studying Chinese as their satisfaction levels become low. This lack of dedicated resources tends to discourage future Chinese languag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ELF-MF emissions from underground cable lines near day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Seoul. We investigated 143 daycare centers from June to September of 2015. In addition, the rate of reduction of ELF-MF level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line was calculated using simulations. The ELF-MF emission level of 143 daycare centers at boundary point was 1.37 ± 1.75 mG (GM: 0.75 mG) and at direct point was 11.14 ± 17.99 mG (GM:6.05 mG). ELF-MF levels at direct point were 8.13 (arithmetic mean) and 8.06 (geometric mean) times higher, respectively, than that at the boundary poin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F-MF and electricity current (A) and operating depth (m),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LF-MF and current (A) and depth (m), at 0.360 (p<0.01) and -0.303 (p<0.0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howed that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s showing below 4 mG was 8m and 14m, adjusted mean current (A) and maximum current (A),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 plan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management of ELF-MF in High voltage power-line and Underground cable line areas, through a broad and detailed survey and risk communication.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가 인식한 전문성, 조직특성, 조직 몰입의 수준을 조사하고, 평생교육사 의 조직몰입에 대한 조직특성 및 전문성인식수준의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 양하고 복잡한 평생교육 현장에서 전문성을 요구받고 있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그들이 속한 평생교육기관의 업무효과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 울 및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기관에서 평생교육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평생교육사 2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과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 for windows 18.0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기초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평생교육사의 조직특성과 조직몰입에 관련된 국내외에 발표된 논문과 저서들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최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가설을 중심으로 볼 때,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결혼여부, 근무형태, 연령, 최종학력근무경력에 따라 조직특성, 전문성인식, 조직몰입은 집단 간 유의한 차 이를 나타냈으며, 또한 평생교육사의 직업전문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는데, 하위영역 별로는 프로그램 운영능력, 마케팅능력, 행정업무능력, 교수업무능력에 대해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생교육사의 조직특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영역 별로는 보상공정성, 상사관계, 고용보장성에 대해서 영향을 갖는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경성의 공업 분포를 업종별로 나누어 분석한다. 경성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중심 도시로, 당시 공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일제강점기 공업의 이해를 위해 경성 공업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경성 공업을 분석한 기존 연구는 공업 분포에 대한 정량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정성적・기술적인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근대 경성 공업의 정량적 분석을 클러스터 기법의 하나인 AMOEBA (A Multidirectional Optimal Ecotope-Based Algorithm) 기법을 통해 진행한다. 클러스 터 분석 결과 금속과 기계 공업은 용산 일대와 청계천 이남, 방직 공업은 창신동, 청계천 이북에서 클러스터가 나타났으며, 제재업은 청계천 이남, 화학 공업은 용산 일대에서 클러스터가 탐색되었다. 금속과 기계 공업, 제재업 등은 일본인 공장이 우세하였으며, 방직 공업은 조선인 공장이 우세하여 민족별로 업종 집중의 차이가 있었다. 민족별 주거지 차이 외 도심 및 철도 접근성 등 다른 요소 역시 공업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
In Korea, Cryptotympana atrata and Hyalessa fuscata are the most abundant cicada species, and their population densities were 2.8-9.5 times higher in urban areas than in rural area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UHI), which is higher temperatures in urban areas than in surrounding areas due to human activities, underlied the population density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HI and cicada population density, we compared cicada population densities in three groups: areas of high and low UHI in metropolitan Seoul as well as areas in the vicinity of Seoul. C. atrata and H. fuscata constituted almost 30% and 70% of the exuviae, respectively, collected across all sampling localities. Moreover, no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was observed among groups. The densities of C. atrata and H. fuscata were 14 and 41 times higher in high UHI areas than in low UHI areas. Furthermore, the degree of UH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nsities of both C. atrata and H. fuscata. In summary, these results support that higher temperatures during the development may cause population increases of C. atrata and H. fuscata.
월드컵공원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해 있으 며, 지리적으로는 서울시계 한강 이북 서쪽 끝에 해당된다. 2002년 월드컵과 새 천년을 기원하기 위해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을 안정화시키면서 약 340 m2의 면적으로 대규모의 생태공원을 조성하였다. 월드컵 공원의 관리방향은 시민의 이용과 함께 쓰레기 매립지 내 생물다양성의 증가를 위한 생태적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생태공원은 하늘공원, 노을공원, 난지천 공원, 평화의 공원, 난지한강공원 등 총 5개의 테마파크로 조성되어 있다. 이 중 평화의 공원은 면적 약 45만 m2로 한강으로부터 용수를 공급 받는 난지연못과 평화의 정원, 유니세프 광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난지천공 원은 면적 약 30만 m2로 난지도의 북단을 돌아 한강으로 흐르는 작은 지류인 난지천과 오리연못이 포함되어 조성되 어 있다. 쓰레기 매립지 당시에는 침출수의 유출로 인해서 하천으로서의 기능은 거의 상실하였지만 공원이 조성된 이 후, 기존의 물길을 따라 하천을 인공적으로 복원시켜 자연 하천과는 전혀 다른 생태계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마침내 쓰레기 더미로 뒤덮인 난지도에 한국과 서울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월드컵경기장이 세워짐으로써 난지도의 부 정적인 이미지를 씻고, 세계인의 관심이 모아지는 명소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계 재생 지역인 서울시 난지도 월드컵공원을 대상으로 어류상에 기초하여 선행 연 구들과의 비교를 통한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변동을 파악하 고자 하며, 다양한 분석을 통한 수생태계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지점은 서울 월드컵공원 내에 위치한 평화의 공원의 난지연못(St.1)과 난지천공원의 난지천(St.2)을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여름철과 가을철에 2 회~3회 실시하였다. 물리 화학적 수환경 평가는 가장 최근 조사인 2015년에 실시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지역의 수환경은 난지연못(St.1)의 유폭은 2~60 m, 수심은 퇴수 시 0.5~2 m, 하상구조는 Boulder, Cobble, Pebble, Gravel, Silt/Sand의 비율이 1:4:3:1:1로 이루어져 있었다. 난지천 (St.2)의 유폭은 1~10 m, 수심은 0.5~1.5 m 정도였으며, 하상구조는 Boulder, Cobble, Pebble, Gravel, Silt/Sand의 비율이 0:3:1:4:2로 이루어져 있었다. 용수공급 전·후를 비 교하기 위해 4월과 7월에 실시한 수질분석 결과, 난지연못 은 COD (Chemical Oxygen Demand)를 제외하고 전체적 으로 4월의 수질에 비해 7월의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난지천은 COD와 T-P (Total Phosphorus), CG (Coliform Group)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4월에 비해 7월 의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2년에 월드컵공 원이 개원한 후 현재까지 난지천과 난지연못에서 실시한 어류상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월드컵공원 어류상의 장기변 동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3, 2004, 2011, 2014, 2015년도를 제외하고는 출현 종수만을 파악하여 연도별 체 계적인 분석은 불가능 하였으며, 전반적인 분석은 출현 종 에 대한 개체수가 파악되는 연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2002년부터 2015년도까지 총 10과 36종의 어류가 확인되 었다. 과별 종수는 잉어과가 21종으로 전체 어종의 58.3% 를 차지하였으며, 망둑어과 5종(13.9%), 미꾸리과와 동사 리과 2종(5.6%), 동자개과, 메기과, 송사리과, 꺽지과, 검정 우럭과, 가물치과는 각각 1종(2.8%)씩 출현하였다. 법적보 호종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한국 고유종은 각시붕어, 긴몰 개, 몰개, 참몰개, 왜매치, 참갈겨니등 총 6종(16.7%)이 출 현하였다. 본 조사구역에서 대두어, 쏘가리와 생태계교란종 인 배스가 출현 하였지만 2006년 이후에 출현한 기록이 없 어 안정적인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위적인 방류 또는 한강 용수공급 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국내 정 수역에서 블루길과 배스와 같은 교란어종의 출현율 및 우점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 하천을 통한 교란종의 유입 이 비교적 쉬운 시스템임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요구된다. 연도별 출현 종수는 2015년에 19종으 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2004년에 8종으로 가장 적 게 출현하였으며, 2006년 이후 어종수가 감소하다가 2014 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7회 이상 출현한 종은 버들매치, 미꾸리, 잉어 등 총 12종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종은 비교적 환경변화에 대한 내성 범위가 넓은 종으로 월 드컵공원에 적응하여 안정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 단된다. 개체수가 파악된 2003년과 2004년, 2011년, 2014 년, 2015년도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의 연도별 변화는 2003 년과 2011년, 2015년에는 피라미가 우점하였으며, 2004년 에는 몰개, 2014년에는 붕어가 우점하였다. 2003년과 2015 년에는 붕어가 아우점하였으며, 2004년에는 참붕어, 2011 년에는 긴몰개, 2014년에는 피라미가 아우점하였다. 2004 년에 몰개의 개체수가 일시적으로 급증하여 나타났으며, 붕 어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염에 대한 내성이 강한 어종들이 우점한 것으로 보아 일반적인 정수생태계의 어류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군집구조 분석 을 위해 우점도지수,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 를 산출하였다. 우점도지수는 0.67 (2003년) ~ 0.90 (2004 년), 다양도지수는 0.81 (2004년) ~ 1.86 (2014년), 균등도 지수는 0.39 (2004년) ~ 0.64 (2014, 2015년), 풍부도지수는 0.94 (2004년) ~ 3.5 (2014년)의 범위로 분석되었다. 상대적 으로 2014년이 가장 안정적인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04년의 군집이 가장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과 2015년에 우점했던 붕어와 피 라미의 생육상태를 파악하고자 전장-체중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2014년의 우점종인 붕어의 전장범위는 22~206 mm, 아우점종인 피라미는 72~122 mm로 다양한 연령군이 채집되었다. 붕어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은 2.91, 피라미는 3.37로 분석되었다. 비만도 지수 분석 결과 붕어는 기울기가 음의 값인 -0.0018, 피라미는 양의 값인 0.036으로 분석되었다. 2015년의 우점종인 피라미의 전장 범위는 28~117 mm, 아우점종인 붕어는 23~233 mm로 다 양한 연령군이 채집되었다. 피라미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은 2.87, 붕어는 2.93으로 분석되었다. 비만도 지수 분석 결과 피라미는 기울기가 음의 값인 -0.0018, 붕어 는 -0.0014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다양한 전장범위가 나타나 안정된 번식을 통한 생활사가 유지되고 있지만 매년 반복되는 용수공급과 퇴수로 인해 생육상태가 비교적 불안 정적인 개체군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를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 지수(FAI) 분석결과 2003년과 2003 년엔 보통인 C등급으로 분석되었으며 2011년, 2014년, 2015년은 양호한 B등급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carbon budget of two urban parks and one natural park and to prepare the plan for improving the ecological functions of the park including carbon sink. Net Ecosystem Production (NEP) of those study sites was calcul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Net Primary Production (NPP) and soil respiration of each study site. To understand carbon budget of the whole area designated as the park, carbon budget of the urban park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 vegetated and the non-vegetated zones. NEP of the Nohae and the Sanggye parks calculated by reflecting areal size that the non-vegetated zones occupy were shown in - 1.0 and 0.6 ton C ha-1 yr-1,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NEP of Mt. Bulam natural park as a reference site was in 2.3 ton C ha-1 yr-1. Based on the result, the Nohae park was assessed as carbon source rather than carbon sink. On the other hand, the Sanggye park was classified as carbon sink but the role was poor compared with natural park. The result is, first of all, due to lower NPP of the vegetation introduced for the parks compared with natural vegetation. The other reason is due to wide arrangement of non-vegetated zone. To solve those problems and thereby to create the urban park with high ecological quality, selection of plant species suitable for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park, their arrangement imitated natural vegetation, and ecological zoning were recommended.
In this study, we compared diet related attributes such as food taste preference, food consumption frequency and nutrition intake between elderly residents in their 80’s of areas in Jeollanam-do that are well known for longevity and those of a part of Seoul. 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trained interviewers on 125 consented subjects (67 Jeonnam and 58 Seoul). Differences of groups were tested using Chi-square tests for nominal or ordinal data and t-tests and ANOVA tests for ratio data. The elderly from Jeonnam tended to sleep longer, express emotion more freely, and interact with others more often than those from Seoul. The elderly tended to prefer sweet or salty tastes, which might be highly related to serious health problems.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foods were napa cabbage kimchi (2.19 times/day) and multigrain rice (1.99 times/day). Elderly from Jeonnam tended to consume garlic, milk, beans and roasted barley/corn teas less often; whereas, they consumed porridge, dried radish greens, potato, fermented fish, dried fish, pork rib, pork belly, soybean paste soup, soybean paste/Ssamjang, other kimchis, pickled vegetables, snacks, cookies, and green/black teas more often than elderly residents from Seoul. Differences in nutrition intake between the regions were greater than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ived levels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NAR and INQ for folate were lower among elderly from Jeonnam than those from Seoul, while those for protein, vitamin C, niacin, vitamin B6 were higher.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elderly from Jeonnam engaged in a more diverse diet than the elderly from Seoul.
울시 가로수의 79%를 차지하는 은행나무, 메타세콰이어, 느티나무, 양버즘나무를 대상으로 흉고직경 을 이용하여 4개의 상대생장식을 비교하였다. 최적의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이용된 통계량은 결정계수, 잔차 평균, 절대평균 잔차제곱이다. 이를 통하여 추정된 수종별 상대생장식은 양버즘나무에 서 , 은행나무, 메타세콰이어, 느티나무에서 식이고 결정계수는 0.873이상의 수치를 나타내 어 가로수 탄소저장량 추정에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재적식을 이용하여 추정된 서울시 가로수의 주요 4종에 저장된 탄소량은 약 33,760tC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서울 시 가로수의 재적식과 탄소저장량은 가로수의 수종별 생장 및 재적정보를 제시하고 도시녹지의 탄소저 장량 평가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 preferences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among 400 married women. Using the K-average clustering method, food-related lifestyles of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lusters: rational and diversity-oriented group, convenience-oriented group, and health-oriented group.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and food preferences among three cluster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using ANOVA test.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or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health-oriented group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whereas the lowest score was detected in the convenience-oriented group. The convenienceoriented group showed higher preferences for fish, meat, eggs, fruits, milk/dairy products, seaweed, grains, etc. among natural food than the other groups. Meanwhile, the rational and diversity-oriented group preferred legumes, and green vegetables, whereas the health-oriented group showed preferences for other vegetables. However, the convenience-oriented group reported more preferences for breads, noodles, pancakes, fried/stir-fried food, and processed food such as sausage, ham, and fast food, This study found that nutritional knowledge level and food preferen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s of married women living in Seoul and Gyonggie areas. Thus, it is suggested that nutritional education targeting married women needs to be carefully designed by considering their food-related lifestyle.
복지생태계사업은 주민의 참여, 관계, 연대, 협력을 통하여 복지공동체를 구축해가는 전통적인 지역사회조직사업이다. 복지생태계사업의 성과는 주민들간의 응집력 형성과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확대로 이를 통해 마을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다. S복지재단 에서 지원한 복지생태계 구축 사업 중 3개 지역의 마을살이를 대상으로 주민들을 조직하는 비공식 조직들과의 네트워크 형성 정도를 2013년 및 2014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3개 지역 모두 주민 중심의 비공식 네트워크의 성장이 나타났으며, 그 유형은 초기 성장의 모습이었다. 앞으로 마을의 강점을 토대로 주민들의 지역사회조직의 수준을 성장시키고, 협력적 관계 구축을 통한 공식적인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as parents’ educational levels increased (p<0.001), as family monthly income level increased (p<0.001), and when father’s job was professional or managing work (p<0.001).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was meaningfully higher when parents’ educational levels were higher (p<0.01), and family income level was higher (p<0.01).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showed a correlation with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p<0.001). All factors comprising parenting self-efficacy, such as ‘general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healthy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communication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educational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and ‘control parenting self-efficacy’ (p<0.001) showed correlation with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must put forth a concerted effort. By complementing existing nutritional programs focusing on nutritional knowledge, one can develop a education program and social support to enhance children’s dietary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