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6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쌀 재고량 증가 및 생산성 향상으로 증산된 잉여량의 인위적 조정에 의해 벼 재배면적이 줄어들고 있어 식량안보나 논의 공익적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세계 곡물가격의 잦은 변동으로 축산농가의 경영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녹우’는 출수기가 중부 및 호남평야지에서 각각 8월 22일과 8월 21일로 ‘녹양’보다 13일, 8일 늦고 영남평야지에서는 8월 23일로 ‘녹양’보다 9일 늦은 만생종이다. 보통기 다비재배로 4개소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평균 총체건물수량이 16.5 MT/ha으로 기존 품종인 ‘녹양’ 보다 14% 증수되었다. 또한 직파재배 시 중요한 저온발아성이 좋고 파종 후 30일째 묘의 길이가 21.8 ㎝로 양호한 편이며 간장이 122㎝로 길지만 좌절중이 높아 포장 도복에도 강한 편이다.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결과 14지역 중 3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중정도 이상의 저항성 반응을 보였고 목도열병은 포장검정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및 충에는 모두 약한 반응을 보였다. 현미 장폭비는 2.01로 ‘녹양’과 비슷하며 아밀로스 함량이 26.3%로 높은 편이다. 사료적성은 ‘녹양’에 비해 조회분 및 조지방의 함량은 높으나 조단백질은 5.3%로 낮고 가소화양분총량(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이 68.8%로 양호한 편이다. 열대자포니카 벼를 이용하여 육성된 ‘녹우’는 차후에 논 농업다양화 및 조사료 자급률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6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이아미'는 필수 아미노산 함량 및 조성이 우수한 신소재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8년 하계에 EMS를 처리한 진미벼에 5-methyltryptophan (5MT)을 처리하여 단백질 내성 후대 계통을 육성하고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고 다수성인 계화벼를 인공교배하여 SR24568을 부여하였다. 1999년 F1 18개체를 양성하여 꽃가루 배양을 실시하여 2001년 AC1 75개체를 육성하였다. AC2 세대부터 계통 선발법에 의해 주요 병해충 및 미질검정을
        63.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형강판 구조물은 기존의 단지간 구조물에 비하여 더 큰 압축력과 활하중에 유연한 휨거동을 나타내며, 시공중에는 활하중에 의한 비대칭 토압분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 및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고 휨변형에 탁월한 대골형 파형강판의 볼트 이음부의 극한강도 및 모멘트강도 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트 이음부의 보강량 증가에 따른 강도 증가와 시험체의 파괴양상을 비교함으로서 대골형 파형강판 시험체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64.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홍수가 소유역 부근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는데 소유역의 홍수 발생 여부를 선재적으로 파악하여 비상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수위관측망의 설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중에 낙동강에 위치한 임하댐 유역을 대상으로 실제 수위관측소와 임시 홍수범람지구를 출구점으로 하는 단위도를 유도하였으며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하여 엔트로피 이론을 적용, 정보전달량을 산정하여 각 지점의 특성을 서로 비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적용 결과 홍수범람지구와 기존 수위관측소의 정보전달량으로 홍수범람지구의 유출 특성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론은 소유역의 수위관측망을 구성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5.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solate and characterize a novel feather-degrading bacterium producing keratinase activity. A strain K9 was isolated from soil at poultry farm and identified as Xanthomonas sp. K9 by phenotypic characters and 16S rRNA gene analysis. The cultural conditions for the keratinase production were 0.3% fructose, 0.1% gelatin, 0.04% K2HPO4, 0.06% KH2PO4, 0.05% NaCl and 0.01% FeSO4 with an initial pH 8.0 at 30℃ and 200 rpm. In an optimized medium containing 0.1% chicken feather, production yield of keratinase was approximately 8-fold higher than the yield in basal medium. The strain K9 effectively degraded chicken feather meal (67%) and duck feather (54%), whereas human nail and human hair showed relatively low degradation rates (13-22%). Total free amino acid concentration in the cell-free supernatant was about 25.799 mg/l. Feather hydrolysate produced by the strain K9 stimulated growth of red pepper, indicating Xanthomonas sp. K9 could be not only used to increase the nutritional value of chicken feather but also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fertilizer applicable to crop plant soil.
        6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청진미는 중부평야지 및 중서부해안지 적응 소비료적성 고품질 벼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3년 하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품종개발연구팀에서 이리401호와 일품벼를 인공교배하여 SR19633의 교배번호를 부여하고, 1993/1994년 동계에 수원에서 F1 수식 이미지 18개체를 양성하였다. 1995년 하계에 F2 수식 이미지 936개체를 포장에 전개하여 우량개체를 선발하여 집단으로 F3 수식 이미지 및 FF4 수식 이미지 세대를 진
        68.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우의 지역별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간의 유연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그리고 경북 8개 지역에서 비교적 지역간의 이동이 적은 번식우를 대상으로 공시축을 선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microsatellite marker의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7.5개로 검출되었다. 관측된 대립유전자의 이형접합율을 보면 전북(CEB)과 전남(CEN)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기대되는 이형접합율은 전체 평균보다
        69.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n animals, identification system has been widely used by ear tag with dummy code and blood typing for parernity. Also, genotyping methods were using for useful mean of individual identification for live animals. In the case of genotyping estimation of gene in population of korean native chicken. In this study, we tested for development of genetic markers used it possible to determination of individual identification system. The candidate genetic markers were used already know 10 of microstalite DNA sequence information in chromosome No. 1 and 14. Result of analysis for genotyping, the number of alleles of those microstatelites DNA was shown minimal 3 to 12 and the heterozygote expression frequency range was shown from 0.617 to 0.862. In our result, effective number of allele for each microsatellites DNA was shown 3~7, and the accuracy of individual identification was shown nearly 100%, when used with 6 genetic marker. This study was about genotyping method for identification used specific genetic marker form microsatellite DNA in the brand marketing of korean native chicken. Our results suggest that genotyping method used specific genetic marker from microsatellite DNA might be very useful for determination of individual identification.
        70.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dentification of animals has been used with an ear tag with dummy code and blood typing has been used for paternity and individual identification in live animals. Various genetic markers are different for breeds of pig and hence, it is necessary to identity the discrete genetic marker in korean native pig. A total of 240 pigs were used to find korean native pig population specific markers that expressed in population of korean native pigs. To identify the individual traceability, 20 animals were randomly chosen and tested for a whole process from being live to slaughter stages. The candidate genetic marker used in the study were 18 DNA microsatellites which were identified in pig genome. The number of alleles of those DNA microsatellites ranged form a minimum of 3 to maximum of 6. The heterozygote frequency ranged from 0.44 to 0.69. Effective number of alleles for each DNA microsatellotes were 2 to 4. By choosing 6 candidate genetic markers among all, the traceability of individual identification was estimated as accurate as 99.99%(p>0.0014), nearly.
        73.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organisms capable of degrading trichloroethylene(TCE) using phenol as a induction substrate were isolated from industrial effluents and soil. The strain MS-64K which had the highest biodegradability was identified as the genus Micrococcus. The optimal conditions of medium for the growth and bio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were observed as follows; the initial pH 7.0, trichloroethylene 1,000ppm as the carbon source, 0.2% (NH_4)_2SO_4 as the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Lag period and degradation time on optimal medium were shorter than those on isolation medium. Growth on the optimal medium was increased. Addition of 0.1% Triton X-100 increased the growth rate of Micrococcus sp. MS-64K, but degradation was equal to optimal medium.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by Micrococcus sp. MS-64K was shown to fit logarithmic model when the compound was added at initial concentration of 1,000ppm.
        74.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iodegradable characteristics of poly-β-hydroxybutyrate(PHB) film by fungi and soil burial are investigated. As the results of the American Standards for Testing and Materials(ASTM) method, the growth of Aspergillus niger was apparent on the PHB containing plate. This suggests that PHB was utilized as the sole carbon source by Aspergillus niger and ASTM method may have applications as measuring means of biodegradability of polyhydroxyalkanoic acid(PHA). PHB film was studied by monitoring the time-dependant changes in weight loss of PHB film under 30℃ and relative humidity 80 % during pot-test. As the results of pot-test, PHB film was decomposed about 87 % in 30 days by soil microorganisms. PHB film was more slowly degraded than PHB/HV film.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