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2

        103.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연안의 수질개선과 오염제어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수질관리의 원리와 기법,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및 선진사례를 검토하였고, 현재 오염총량 산정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지적하였다. 또한, 오염총량제와 환경용량과의 관계, 해양환경 예측 모델로 활용되고 있는 생태계모델의 연구접근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사항을 토의하고, 나아가서 연안수질 관련 제도와 정책에서 반영하고 흡수해야 할 수질관리 내용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안오염총량제의 대상이 되는 연안에서는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에서 해당하는 개발사업이나 계획 중 신규 오염원에 대해서는 오염부하삭감량과 할당량을 산정해서 평가서에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고, 연안관리지역계획에서는 환경관리계획에 좀 더 중심을 옮겨 기본적으로 관할 해역으로 유입하는 오염원과 오염부하량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별관리해역 등 향후 연안오염총량제 적용대상이 되는 지자체에서는 하수도관리계획 등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이러할 점을 고려해서 장기적이고 일관성있는 하수도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연안오염총량제도는 다른 환경관리해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되어야 할 것이로, 그 외의 지역은 지자체장이 주부장관과의 협의를 통해 자발적으로 시행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생태계모델링에 의한 환경용량(수질적 차원의 총허용오염부하량) 산정이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한 적용모델의 신뢰성과 과학적 타당성 확보는 환경영향평가 관련 협의시 매우 중요한 검토항목으로 고려되고 있다 연안 육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에 대해서는 연안환경을 관리하는 주무부처가 주도적으로 감시 감독하고 관리체제에 환한 법적 거를 마련하거나 관련 법률을 정비해서 통합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104.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wo-month-old male calf weighing 70 kg with congenital metacarpophalangeal flexural deformity was referred to the Veterinary Medical Center of Chugbuk National University. The calf could not stand and walk normally that walked with the dorsal surface of the hoof with contraction of fetlock joint. The both forelimbs had been casted two times during 45 days before presentation. Midline of the palmar surface of the feltlock joint was incised to cut superficial flexor tendon, deep flexor tendon and interosseus muscle. Both forelimbs are healed well returned to normal function after tenotomy.
        4,000원
        108.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OAS (Differential Optical Absorbance Spectrometry) has been designated as one of the instrumental analyses for the continuous and real time measurement of ammonia and styrene under the newly established Korean Offensive Odor Prevention Law. However, cases of odor monitoring using DOAS are very limited, as questions have been raised relating to its reliability, mainly for ambient monitoring. This paper primarily focused on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DOAS for the measurements of ammonia and styrene, with a review of the theoretical and field intercomparison studies, to address its suitability, particularly for odor monitoring purposes. However, this instrumental technique was found to be useful for real time continuous measurements of concentrations over a few ppbv, for both ammonia and styrene, and was also found to be sensitive enough for odor monitoring purposes over vast multi industrial complex regions.
        4,000원
        10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일 동안 15 psu에서 순화 사육한 양식 넙치(평균전장: 20.8cm,평균체중: 96.1g)를 사용하여 염분변화에 따른 혈액 학적 변화 (cortisol, glucose, Na+, Cl-, K+, AST, ALT, hematocrit, RBC, hemoglobin) 및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사육수를 실험개시시 15 psu로부터 0 psu(group I, G I)와 35 psu(group II, G II)로 30분 이내에 교환하였다.
        4,000원
        116.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육수의 담수화시 수용밀도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비교하고자, 30마리와 60마리씩 실험수조에 수용하여 30분이내에 사육수를 담수로 교환하였다. 혈장의 Cortisol 농도는 실험개시시 30SW에서 2.8 ng mL-1,60SW는 2.7 ng mL-1로부터 30FW와 60FW는 24시간째 각각 66.9 ng mL-1, 314.1 ng mL-1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혈장의 Glucose농도는 60SW는 개
        4,000원
        117.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에 처리된 살충제의 아치사농도( 및 )가 용발육, 성충수명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용기간은 무처리의 암컷과 수컷에서 각각 6.9일과 8.0일, 살충제 처리에서 각각 7.2-7.6일과 8.3-8.6일로 무처리보다 살충제 처리에서 길었으나 살충제의 종류 및 아치사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우화율은 무처리에서 88%, 살충제 처리에서 약 79-95%로 약제처리유무 및 아치사농도 처리에간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특히 chlo.fenapyr-bifenthrin 및 ethofenprox처리에서 91.0% 이상의 높은 우화율을 나타내었다. 성충수명은 무처리의 암컷과 수컷에서 각각 7.7일과 7.9일, 살충제 처리에서 각각 7.1-8.4일과 7.7-9.0일로 hexaflumuron-chlorpyrifos의 처리에서 가장 길었던 것을 제외하면, 살충제 처리유무 및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총 산란수는 무처리에서 1,010개, 살충제 처리에서 778-948개로 살충제 처리유무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살충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담배거세미나방의 용기간 및 산란은 유충에 처리된 살충제의 아치사농도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4,000원
        120.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krests of varying degrees (, , ) on three abdominal muscles (upper rectus abdominis,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back extensor activation during lower extremity exercise. The three different conditions during bilateral knee extention exercise were: (1) leaning on a chair with a backrest, (2) leaning on a chair with a backrest, (3) leaning on a chair with a backrest. Fifteen healthy muscle subjects (mean age=24.2 years [SD=2.96], mean height=175.6 cm [SD=7.46], mean weight=69.1 kg [SD=7.36]) with no history of neuromusculoskeletal diseas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collect muscle activation, and the muscle activation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Repe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upper rectus abdominis,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ctivation measured significantly lower. (2) measured significantly lower when lower degre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