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estimating ground motion intensity measures on the surface from seismic sensors installed in structures, it is crucial to correct structural response effects embedded in the recorded signal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amplification based on VS30, derived from multi-degree-of-freedom analysis. PGA amplification factor (AFPGA) is defined as the ratio of peak floor acceleration (PFA) of structures to PGA. The model includes three key input parameters: the natural period of the structures (Tn), the ratio of stories to the total number of stories in the structures, and the time-averaged shear wave velocity down to a depth of 30 meters. It is developed using 78 ground motion record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arthquakes. A LOESS smoothing technique is applied using 3 span values, with the optimal span of 0.1 is determined based on RMSE performance and an analysis of local trend characteristics in the dataset. The model is verified using empirical data from the CESMD global strong motion database, which includes classification by Tn into short, intermediate, and long periods. The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model tends to predict higher AFPGA values than those observed in real structures, it effectively reflects the overall amplification trends. This approach enables the pre-earthquake estimation of structural amplification, allowing for the use of seismic sensors installed in structures as a complementary monitoring network for seismic response.
『빈자의 성경』(Biblia Pauperum)은 중세 유럽의 문맹자와 평신도를 위한 도상 중심 성경 요약서로 알려져 있다. ‘Biblia Pauperum’이라는 제목은 라틴어 ‘Biblia’(성경)와 ‘Pauperum’(가난한 자들의, 貧者)의 결합으로, 문자 그대로 “가난한 자들(貧者)의 성경”을 뜻한다. 여기서 ‘가난함’이라는 표현은 단순히 경제적인 결핍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 해독 능력의 부족, 교육받을 기회의 제한, 신학적・지식적으로 주변에 머무는 상태까지 아우르는 넓은 의미의 결핍을 지칭한다. 본 연구는 이 책을 중세 선교 신학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이 책이 단순한 교육 자료를 넘어, 복음 선포와 선교 교육을 위한 신학적 매체였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도상의 삼면화 구조와 모형론에 주목하여, 구약과 신약 사건의 시각적 배열이 신학적 의미 전달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그리스도의 옆구리’ 도상을 중심으로 모형론의 선교적 기능을 고찰하고, 이미지-신학의 실천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빈자의 성경』이 전례, 설교, 묵상 등 다양한 교회 현장에서 통합적 선교 매체로 기능했음을 논증하며, 영상 디지털 시대에도 적용 가능한 선교 신학의 고전적 모델로 재조명하였다.
The 5-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 (EPSPS) gene derived from Agrobacterium sp. strain CP4 is known to confer herbicide resistance. It has been extensively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living modified organism (LMO) over the past 25 years. With increasing importation of LMO agricultural product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rapid and reliable detection methods for detecting the CP4 EPSPS protein. In this study, a rapid immunoassay kit based on the lateral flow assay (LFA) principle was developed to detect herbicide-resistant crops. Using recombinant CP4 EPSPS protein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two in-house antibodies were produced and evaluated alongside two commercially available antibodies. The optimized antibody combination demonstrated a detection limit of 1%, exhibiting superior sensitivity and accuracy to an existing commercial rapid kit. Furthermore, the developed kit showed shorter analysis time and higher cost efficiency, significantly improving its applicability in field settings. These advancements highlight the potential of this rapid immunoassay kit not only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penetration, but also as a critical tool for advancing GMO detection technologies.
상수도 분야에서 자산관리의 주요 목표는 운영 목표를 유지하고 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원하는 LoS(Level of Service, 서비스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자산관리 기법은 전세계 상하수도 분야에 적용되어 왔으며, 한국에서도 2014년 이후 관련 연구개발(R&D)과 시범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LoS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부족,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한 데이터, 과중한 업무 부담 등의 문제로 인해 효과적인 도입에 한계가 있었다. 미국 EPA의 지침에 따르면, 자산관리의 핵심은 예측정비(predictive maintenance)와 운영ㆍ유지관리 데이터를 활용한 체계적 의사결정을 통해 자산의 기능을 최소 생애주기비용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자산관리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LoS를 중심에 두어야 하며, 이는 투자계획 수립과 성과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디지털화, 데이터 기반 분석, 지속적인 시스템 개선이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다. 성공적인 자산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자산관리의 개념과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고,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및 시스템을 구축하며, 리더십과 조기 투자계획, 핵심 원리 및 기법에 대한 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산관리는 과학적 데이터와 논리에 기반한 합리적 의사결정체계로 발전해야 하며, 이는 4차 산업혁명의 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LoS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없다면, 자산관리 시스템은 실효성을 상실할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LoS 개념을 강화하는 것이야말로 고객 서비스를 극대화하고 비용 효율적인 구조를 구현하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는 핵심 열쇠이다.
과불화화합물(PFAS)은 높은 화학적⋅열적 안정성으로 인해 환경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축적되며, 생식 독성, 내분비계 장애 등 다양한 유해성을 나타내 글로벌 규제의 중심에 있다. 특히 반도체 제조 산업은 PFAS 계열 화학물질을 공정 중 직접 사용하거나 부산물 형태로 배출하고 있어, 이들 물질의 배출 현황과 특성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 가능한 PFAS의 배출 경로를 공정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도체 공정 중 PFAS의 사용 및 유출 가능성이 높은 포토 공정, 습식 화학 공정, 건식 화학 공정을 구분하여 각 단계에서 PFAS가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고 어떤 경로로 배출되는지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포토 공정에서는 포토레지스트에 포함된 광산발생제를 통해 PFAS가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식 공정에서는 식각 및 세정 단계에서 PFAS 계면활성제가 폐수로 유입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건식 공정에서는 불소계 가스 및 리간드(Ligand) 물질이 간접적인 PFAS 발생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공정 내 화학적 분해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PFAS 유사물질의 배출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PFAS 배출 특성을 공정 구조와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PFAS 저감 기술 개발 및 규제 대응을 위한 기술적⋅제도적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direct-fed microbials (DFMs) during the growing and finishing period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DFMs were administered only during the first 3 months after arrival and the final 3 months before slaughter, and the feeding trial lasted for 740 days. During the growing phase,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daily gain (ADG) of 0.89 kg compared to 0.80 kg in the control group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during the fattening phase. In the finishing phase, AD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0.59 kg vs. 0.53 kg; p<0.05), although concentrate intake increased by 6.17%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At the end of the entire feeding period, the treatment group had a higher final body weight (803.05 kg vs. 763.51 kg), and overall ADG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5). For carcass traits, cold carcass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p<0.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backfat thickness, loin eye area, or marbling score. However, the proportion of carcasses graded 1++ was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50.0%) than in the control group (30.0%).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direct-fed microbials during the growing and finishing periods improved average daily gain and increased the proportion of carcasses with higher quality grades in Hanwoo steers.
본 논문의 목적은 재일동포 사회의 세대 변화가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 서 김희수 회장의 모국 육영사업 사례를 통해 재일동포 기업의 세대 간 기업계승 전략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각종 신문 보도 자료와 현지 인터뷰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일동포 1세는 모국 지향의 ‘금의환향’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으로 이끄는 원동력으로 작동했다. 이는 명확한 성공의 지표가 되어 핸디캡을 극복하 고 기업 성공의 동인이 되었다. 둘째, 일본 태생의 재일동포 2세~3세들 은 일본 정주지향의 기업가정신 발현으로 1세들이 가지고 있는 탁월성과 도전성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셋째, 김희수 회장의 기업 계승자의 발탁 배경에는 경영 철학을 공유하고 한일 가교역할의 가능성에서 비롯된 것 으로 보인다. 넷째, 김희수 회장의 모국 투자의 성찰과 교훈은 일본에서 대학 교육사업과 금융 기업의 한계, 특히 모국 중앙대학교 인수와 매각 과정에서의 한일 육영사업의 차이점 등을 간과했다는 점이다. 결론적으 로 김희수 회장은 그의 경영철학과 한·일 육영사업의 가교로서 세대 간 의 구조적 공백(Structural Hole)을 연결할 수 있는 통로로서 신경호 이 사장을 발탁한 것이다. 이러한 정신을 바탕으로 수림문화재단을 설립하 여 오늘날까지 한·일 육영사업과 문화 사업으로 계승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intensity of typhoons is increasing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These typhoons pass through the coast of Korea on an average of two to three times a year, causing a lot of damages. The harbor shelters for avoiding typhoons are congested with large and small vessels, so the distance between vessels is short, the veered out anchor chain is long, and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due to dragging anchor caused by powerful win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 degree of influence of external force factors on the experimental vessel during anchor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etting the critical point of tension that can cause dragging anchor. The range of outlier of tension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vessel was -0.90 to 4.60 tons, and the ratio of outlier was approximately 5.07%. As a result of analyzing 184,008 samples of external force corresponding to this, a weak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was shown in the correlation between tension and external force for the current and wind direction whereas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for wind speed and current veloci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external force during anchoring on tension were in the order of wind speed, current velocity, current direction, and wind direction, and the ratios were 85.46%, 6.28%, 4.79%, and 3.47%, respectively. In future studies, we plan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olding power and tension indicated by the tension meter to determine the tension value that becomes the critical point of the dragging anchor.
TiO2/Ag/TiO2 (TAT) tri-layer films were deposited using radio frequency (RF) magnetron sputtering and direct current (DC) magnetron sputtering on a glass substrate, and then rapid thermal annealed at 150 and 300 °C for 10 minutes. The influence of annealing temperature on th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films was investigated. As annealing temperature was rapidly increased from room temperature to 300 °C, the grain size of the TiO2 (004), (204) and Ag (200) increased from 36.8, 14.3, 22.1 nm to 43.2, 16.6, 23.4 nm, respectively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decreased from 4.64 × 10-5 Ω cm to 2.79 × 10-5 Ω cm. Also, the average visible transmittance increased from 82.7 % to 84.9 %.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effectiveness of TAT films was also increased to 31.7 db after annealing at 300 °C.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ost-deposition rapid thermal annealing is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AT films.
남극 로스해 보퍼트 섬 인근에서 획득한 코어퇴적물로부터 고환경변화를 복원하기위해 규조를 분석하였다. RS19-GC09코어로부터 총 27속 5 7종의 규조를 감정하였으며, 규조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개체수 농도는 0.01-28.75×107/g 범위에 해당하였다. 규조의 수직분포 변화를 토대로 4개의 군집대를 설정하였다. 해빙종(Sea-ice species: TC); Fragilariopsis curta, Fragilariopsis linearis, Fragilariopsis obliquecostata, Fragilariopsis ritscheri와 Pseudo-nitzschia turgiduloides)와 공해종(Open water species: TW); Fragilariopsis kerguelensis, Thalassiosira lentiginosa, Thalassiosira antarctica와 Rhizosolenia styliformis)의 산출을 대자율(Magnetic Susceptibility; MS)과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e; TOC)값과 비교하였다. 군집대 I은 낮은 TC, TW와 TOC를 보이고, 반대로 높은 MS 곡선을 나타내어 두꺼운 해빙 또는 빙붕 하부 환경에 해당하였다. 군집대 II는 높은 TC, 증가하는 TW와 TOC, 반대로 낮아지는 대자율을 나타내어 계절적인 해빙의 지속기간이 길고 분포가 확장되었다. 군집대 III은 감소된 TC, 높은 TW과 TOC, 가장 낮은 곡선의 MS를 보 이는 구간으로 공해환경의 지속기간이 길었던 시기이다. 군집대 IV에서는 TC의 증가와 반대로 TW가 감소 하며, TOC 값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고, MS가 약간 상승하는 시기로서 다시 해빙의 지속기간이 길어 졌음을 나타낸다.
A hybrid energy harvester that consisted of thermoelectric (TE) composite film and electrospun piezoelectric (PE) polymeric membranes was constructed. TE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dispersing inorganic TE powders inside polyvinylidene fluoride elastomer using a drop-casting technique. The 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 which was chosen due to it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mechanical stability, and biocompatibility, was electrospun onto an aluminum foil to fabricate the ultra-flexible PE membranes. To create a hybrid energy harvester that can simultaneously convert heat and mechanical energy resources into electricity, the TE composite films attached to the PE membrane were encapsulated with protective polydimethylsiloxane. The fabricated energy harvester converted the outputs with a maximum voltage of 4 V (PE performance) and current signals of 0.2 μA (TE performance) under periodical heat input and mechanical bending in hybrid mod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the hybrid energy harvester for powering flexible and wearable electronics, offering a sustainable and reliable power source.
과불화화합물(PFAS)은 우수한 내열성, 발수성, 내유성을 지닌 합성 화학물질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무분별한 사용은 PFAS의 높은 화학적 안정성과 생물학적 축적성을 초래하며, 반도체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활동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통해 생태계와 인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PFAS 중 대표적인 과불화옥탄산(PFOA)와 과불화옥탄설폰산(PFOS)를 중심으로 다양한 수처리 기술을 검토⋅분류하고, 각 기술의 메커니즘, 최신 연구 사례, 한계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물리적 처리 기술로는 입상 및 분말 형태의 활성탄을 활용한 흡착법과, 나노여과(NF) 및 역삼투(RO)를 기반으로 한 막여과 기술이 포함되며, 화학적 처리 기술로는 고도 산화⋅환원 공정, 특히 붕소 도핑 다이아몬드(BDD)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산화 기술에 중점을 두었다. 이외에도 생물학적 처리 기술, Feammox 반응, 이온 교환 수지, 플라즈마 처리 등의 최신 기술의 적용사례와 PFAS 제거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개별 기술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상호보완적 융합 방식의 복합 공정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다양한 수처리 기술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PFAS 제거를 위한 수처리 기술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실질적인 적용 가능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 기반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SfM(Structure from Motion), 그리고 수치지형도 기반 DEM(Digital Elevation Model) 데이터를 동일 지역에 적용하여 지형 데이터의 정밀도와 표현 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경기도 시흥시 범배산 일대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평지, 완사면, 급사면의 세 구역으로 나누어 고도 및 경사 통계, 경사 방향, 경사도 재분류에 따른 면적 분포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UAV LiDAR 기반 DEM은 모든 지형에서 가장 높은 정밀도와 해상도를 보여주었으며, SfM 기반 데이터는 비용과 접근성 면에서 유리하나 식생 및 지형 복잡도에 따라 정확도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수치지형도 기반 DEM은 해상도는 낮지만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며 일반적인 지형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형 조건과 분석 목적에 따른 공간데이터 선택 기준을 제시하고, UAV 기반 지형 정보 활용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29 asphalt concrete (ascon) manufacturing facilities in South Korea. VOC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side industrial stacks and storage silos and during and after the truck loading process. Based on these measurements, emission factor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facility type and fuel consumption rate. Afterward, they were compared with emission factors set by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The major VOCs emitted from ascon manufacturing facilities were identified as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the xylene isomers (o-xylene, m-xylene, and p-xylene). The emission concentrations of the VOC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inside industrial stacks and storage silos. Emission factors varied depending on the facility type, with lower values observed in manufacturing facilities using recycled ascon compared to conventional ascon facilities. The emission factors derived in this research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reported by the U.S. EPA. This difference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emission factors in this study were calculated based on VOC concentrations after treatment by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As the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 also sets emission factors based on post-treatment concentrations, this study’s findings can serve as fundamental data to enhance the accuracy of VOC emission estimations.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the discharge concent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odor substances emitted from the discharge outlets of asphalt manufacturing facilities in South Korea. Measured factors included flow rate, composite odors, and 22 designated odor substances. After applying the dilution factor of composite odors emitted from 33 asphalt manufacturing facilities located in various regions to the composite odor emission standard of 500 times,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se facilities exceeded the emission standard. The contribution rate of the designated odor substances from the discharge outlets was the highest for acetaldehyde at over 50%, followed by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The correlation between composite odors and the concentration of major designated odor substances was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methyl mercaptan and acetaldehyde showed some correlation with the composite odor dilution factor. The methyl mercaptan odor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odor intensity of 4.5 to 5 ppb, which is the allowable odor dilution multiple emission standard of the odor emission source outlet,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6 to 2.2 ppb, and the corresponding methyl mercaptan emission concentration range was estimated to be 0.98 to 2.02 ppb. The composite odor emission coefficient of asphalt concrete manufacturing facilities was estimated to be higher for general asphalt concrete than for asphalt concrete recycling facilities, and the composite odor emission coefficient of newly produced general asphalt concrete was estimated to be greater than that of recycled asphalt concrete. In terms of fuel usage, the composite odor emission coefficient of facilities that used Bunker C fuel oil wa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facilities powered by LPG and LNG fuel. It was deemed necessary to select 2 to 3 major designated odor substances that are correlated with the composite odor dilution factor for each major odor emission source, set the designated odor substance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e odor dilution factor emission allowance standard, and review a plan to monitor the designated odor substances at the emission point.
광릉숲은 생물권보전지역 중 하나로써 생물다양성이 높은곳이며, 낙엽활엽수림으로써 550년 동안 관리되어 왔다. 이 연구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생물권보전지역(포천)과 비생물권보전지역(울진, 영주)에서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의 딱정벌레 군집구조와 다양성을 비교하는것이 목적이다. 이 조사에서 딱정벌레과에 속하는 9아과 25속 73종을 채집하였다. 생물권보전지역 소나무림에서 25종 11속 6아과 그리고 신갈나무림에 서 22종 9속 4아과를 채집하였다. 비생물권보전지역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23종 10속 5아과 그리고 59종 21속 9아과를 채집하였다. 생물권 보전지역의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우점종은 윤납작먼지벌레(77.2%, 78.7%)이며, 비생물권보전지역의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우점종 은 각각 Synuchus sp. 3(47.9%)와 Synuchus sp. 2(17.6%)이다. 종 다양도, 종 풍부도, 종 균등도는 도로와 가장 가까운 비생물권지역의 신갈나무림 에서 가장 높았으며, 산림에서 종 다양성은 채집지에서 도로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생물권보전 지역에서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analyze the causes of mortality to be used as basic data to fine ways to reduced the mortality rate of stocked Holstein calves. This study was used on 917 Holstein calves stocked at a fattening farm. Of the 917 stocked calves, the head of mortality was the 33 and a calf mortality rate was 3.6 %. A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caused of mortality by disease, respiratory disease was 17 heads (51.52%), digestive disease was 12 heads (36.36%), other diseases was 3 heads (9.09%), and accidental death was 1 head (3.03%), major caused of calf mortality was resporatory and digestive disease acoounted for 87.9% of all. A head of mortality was 30 (90.91%) when the number of transports until stocking 2 times over compared with 1 time. Seas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lf mortality, with calves in winter experiencing the highest (13 heads, 39.39%) mortality compared to other seasons. Comparing mortality rates based on stocking age, the highest (13 heads, 39.39%) mortality rate was observed in calves stocked at under 90 days of ag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Comparing mortality rates based on the feeding age, the highest (18 heads, 54.54%) mortality rate was observed in calves fed for under 60 days, compared to those fed for over 60 days and other feeding ag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