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취해소용 음료로 개발된 건강음료를 각각 알코올(5 g/kg B.W, 40%) 투여 30분 전과 후에 경구적으로 섭취시키고(10 mL/kg) 시간(1, 3 및 5)에 따라 미동맥으로 채혈하여 혈액 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간 조직 중 알코올 대사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활성과 간기능 지표 효소(ALT, AST)의 활성 변동을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알코올 투여 30분 전에 건강음료를 공급하였을 때 혈액 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투여 1시간 후부터 모든 군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투여 5시간째에 알코올 대조군(EC)에 비해 건강음료 투여군(BE)은 48.4%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EC)에 비해 건강음료 투여군(BE)은 15.6%, 타사제품 투여군(P)은 20.3% 낮았다. 알코올 투여 30분 후 숙취해소 음료를 공급하고 5시간 경과 후 건강음료 투여군(AE)의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EC)에 비해 65.2%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해 건강음료 투여군(AE)은 36.4% 낮은 0.21 mg/dL 타사제품투여군(P)은 24.2% 낮은 0.25 mg/dL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 중 ADH 활성은 정상군과 알코올을 섭취 한 모든 실험군 사이에 별다른 변동을 관찰할 수 없었다. 숙취해소 음료의 1회 섭취와 체중 1 kg당 5 g의 알코올 1회 투여가 알코올 대사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시사하고 있다. 혈청 ALT, AST 활성은 정상군과 알코올 투여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 건강음료의 음용이 정상적인 간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를 볼 때 안전성이 인정된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dietary intake and quality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between Korean-Chinese in Yanbian, China(Korean-Chinese) and Koreans in Kuri, Korea(Koreans). The subjects consisted of 730 Korean-Chinese and 696 Koreans. Mean daily energy intake of Korean-Chinese was 1,788kcal and that of Korean was 1,844kcal. Proportions of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were 62.6: 16.9: 14.2 for Korean-Chinese and 65.4: 16.3: 14.4 for Koreans. Nutrient intake levels of Korean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chinese in most nutrients. Calcium and vitamin B2 intakes as percent of Korean RDA were less than 60% in Korean-Chinese. Koreans consumed calcium and vitamin A in the level less than 80% of Korean RDA. Iron intake level of Korean females was less than 75% of Korean RDA. Korean-Chinese consumed 90.4% of food from plant origin, and Koreans consumed 82.5% of food from plant origin. Mean dietary diversity score(DDS) of Korean-Chinese, 3.00±0.3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oreans, 3.73±0.76(p<0.05). Mean dietary variety score(DVS) of Korean-Chinese, 13.6,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oreans, 20.1(p〈0.001). According to these results, some adults in the both Korean-Chinese and Koreans did not consume enough nutrients, especially calcium and vitamin B2 intake for Korean-Chinese and calcium and vitamin A intake for Koreans. Dietary qualities of Korean-Chinese subjects and Korean females were not adequate.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to promote dietary quality of Koreans including Korean-Chinese must consi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Brevibactericum속 균주로 부터 N.T.G. 처리하여 1차로 140개의 변이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로 부터 2차 확인후 50균주를 선택 생성량을 보았다. 그 중 가장 생성량이 많은 균주 APT-104(phe-) 균주를 다시 N.T.G. 처리하여 PFP 내성 균주 13균주를 분리하여 그 중 가장 생성량 높은 균주를 다시 N.T.G. 처리하여 PFP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내성이 강한 균주를 5균주 선택 하였다. 이상 선택한 균주의 L-tyrosine 생성량을 비교 검토한 결과 PFP-106 균주에서 가장 높은 생성을 보였다. (50mg/l) 따라서 이 균주의 배지조건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탄소원에서의 영향은 Sucrose 나 glucose 첨가시 76mg/l, 50mg/l 로서 효과적이었으며 그 농도는 10% 농도가 가장 효과적 이었다. 질소원에서는 (NH_4)_2SO_4첨가시가 50mg/l 로 높았고 다른 질소원은 오히려 낮은 생성을 보였다. 그 농도는 3%가 적당하였다. 아미노산의 영향은 glutamic acid와 L-tryptophane 생성에서 각각 106mg/l, 108mg/l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L-phenylalanine 의 농도는 100mg/l 첨가시 L-tyrosine 생성량이 50mg/l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우리나라 화장품의 살균⋅보존제 성분은 포지티브 리스트로 관리되고 있다. 포지티브 리스트는 적절한 정량분석법이 필요하지만 아직 분석법 개발이 미비한 상황이다. 본 실험에서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불꽃이 온화검출기(GC/FID)를 이용하여 살균⋅보존제 성분 14종을 동시분석 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석법의 validation 결과 특이성을 확인하였고, 검량선의 직선성은 dehydroacetic acid (0.9891)를 제외한 14종에서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검출한계(LOD)와 검량한계(LOQ)는 각각 0.0001 mg/mL ∼ 0.0039 mg/mL와 0.0003 mg/mL ∼ 0.0118 mg/mL로 나타났으나, dehydroacetic acid는 각각 0.0204 mg/mL, 0.0617 mg/mL로 나타났다. 반복성은 1.0% 이하로 나왔으나 dehydroacetic acid는 7.1%로 나왔다. 회수률은 96.9% ∼ 109.2% 나타났다. 본 실험방법으로 유통 중인 화장품 50건을 검사한 결과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살균⋅보존제는 chlorophene, phenoxyethanol, benzyl alcohol, parabens 이고, 모두 배합한도 이내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