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1.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용도별 품종의 다양화를 위해 답리작 적응 과자용 밀 품종 ‘고소’를 개발하였다. 고소밀은 1998년도에 연질인 고분밀을 모본으로 하고, 숙기가 빠른 올밀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SW98148 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과 수형이 양호하며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8148-YB-9-2-4-1-3-1을 2006년부터 2개년간 생산력 검정을 거쳐 ‘익산 320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그 후 2008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숙기가 빠르며 수량성이 높고, 과자적성이 우수하여 2010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심의회에서 ‘고소’로 명명하였다. 고소밀의 파성은 Ⅱ형으로 춘파형이고, 엽색은 녹색이며 이삭은 방추형이고, 종자는 중간 크기로 적색이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밭상태 조건에서 각각 4월 28일과 6월 7일, 논상태에서는 각각 4월 25일과 6월 4일로 비슷하다. 고소밀의 리터중(799 g/L)과 천립중(42.5 g) 은 금강밀(804 g/L과 46.7 g)보다 낮고, 내한성(4.4%)과 수발아(4.0%) 저항성이 강하고, 내도복성이 높다. 고소밀의 제분율(63.77%), 단백질(9.8%), 침전가(30.0 ml)과 글루텐(7.2%) 함량은 금강밀(73.6%, 12.6%, 50.0 ml과 10.8%)보다 낮고, 과자적성이 우수하였다. ‘고소밀’의 HMW-GS 조성은 Glu-A1에서 2*, Glu-B1에서 7+8을 나타내 금강밀과 조성이 같았으나, Glu-D1에서 2.2+12가 발현되었다. GBSS 조성은 금강밀과 같은 야생형이고, Pinb-D1은 야생형으로 금강밀과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지역적응시험에서 밭상태 수량은 657 kg/10a, 논상태 수량은 561 kg/10a로 금강밀보다 21%와 7% 증수하였다.
        2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간척지에서 사료용벼를 재배하여 조사료를 생 산함으로써 간척지 이용률 증진과 조사료생산의 두가지 가 능성을 검토해보고자 일반답과 간척답에서 사료용벼를 재 배하여 생육특성, 총체수량 및 사료가치 등을 조사하였다. 1. 출수기는 일반답에서 8월15일에서 8월30일, 간척답에 서 8월14일에서 8월 29일이었으며, 간척답이 일반답 보다 1~2일 빨랐으며, 목우는 일반답에서 8월 26일, 간 척답에서 8월 27일로 수원 544호를 제외하고는 가장 늦었다. 2. 초장은 일반답에서 105~135 cm범위이었고, 간척답에 서 97~126 cm범위였으며 일반답에서는 목양이 간척 답에서는 수원544호가 가장 컸다. 주당경수는 일반답 과 간척답 모두 녹양이 16개로 가장 많았고 총체수량 은 일반답은 15.26~23.24 MT ha-1, 간척답은 11.94~18.89 MT ha-1범위이었으며 목우벼가 두지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각품종별 수량은 일반답에 비하여 78~84% 수준이었다. 3. 단백질 함량은 일반답에서는 녹양벼가 높았으나 간척 답에서는 6.7~8.7%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 고 목양벼가 8.7%로 가장 높았다. 각 품종별 NDF는 31.2~55.5% 수준을 나타냈으며 ADF는 일반답에 비 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소화 양분총량을 계산해본 결과 일반답에서 목우벼가 71.2%로 가장 높 았고 전체적으로 60%이상의 함량을 보여 간척지에서 재배하여도 사료로서의 가치는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 었다. 4. TDN수량을 비교해본 결과 일반답에서 TDN수량은 목우벼가 16.54 MT ha-1로 가장 높았으며 간척답에서 도 12.69 MT ha-1 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 5. 이상의 결과로 간척지에서 사료용벼를 재배할 경우 일 반답에 비하여 80%정도의 수량을 보여 간척지에서 재 배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목우를 재배할 경우 수량 및 사료가치면에서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2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미’는 답리작 적응 내재해 다수성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1999년 내재해성으로 총체적성이 우수한 ‘수원337호’를 모본으로 하고, 도복에 강한 ‘수원355호’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 선발된 ‘익산438호’로 전국 7개소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0년에 육성되었다. ‘조미’는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Ⅰ정도이고, 잎은 녹색이며, 잎귀가 없는 무엽이 품종으로 가축기호성이 높다. 초장은 90㎝이고, m2당 경수는 846개로 표준품종인 ‘영양’보다 194개 많은 다얼성이며, 엽신 비율이 높다.답리작에서 출수기는 4월 23일로 ‘영양’보다 3일 빠르고, 황숙기는 5월 25일로 1일 빠른 조숙종이다. 내한성은 ‘영양’보다 다소 강하였으며, 흰가루병에는 감수성을 보였지만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5.7톤/ha ‘영양’과 같았으나 답리작에서 10.3톤/ha으로 ‘영양보다 5% 적었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8.3%로 ‘영양’에 비해 높았으며, ADF는 26.2%, NDF는 48.3%로 ‘영양’보다 낮았으나 TDN이 68.2%로 ‘영양’보다 다소 높고, 사일리지 등급은 II 등급으로 양호하였다.
        2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품종 ‘보석찰’쌀보리는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자색 찰성 쌀보리 신품종으로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도복과 내한성이 강하고 찰성으로 립백도와 정맥율이 높으며 취반특성이 우수한 특성을 지닌 ‘찰쌀보리’와 ‘함안군북찰쌀보리’를 인공교배한 후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하였다. 전작 및 답리작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답리작 적응성이 높으며, 도복 등 내재해성에 강한 특성과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자색영을 가진 계통임이 입증되었다. 출수기는 전작에서 새찰쌀보리보다 1일 빨랐으며, 답리작은 새찰쌀보리와 같았고, 성숙기는 전작과 답리작에서 새찰쌀보리와 같았다. 간장은 87 cm, 수장 5.0 cm, m2당 수수는 601개로 새찰쌀보리보다 많았고, 천립중은 29.0 g으로 소립종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표준품종인 새찰쌀보리와 비슷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180.1 ㎍/g이었으며, β-glucan과 아밀로스는 새찰쌀보리와 비슷하였으며, 흡수율과 퍼짐성은 다소 높았다. 수량성은 전작에서 3.44 MT/ha, 답리작에서 3.56 MT/ha이었다.
        25.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안찰’은 답리작 적응성이 높은 조숙 내한 내도복 유색 찰성 겉보리로 육성된 품종으로 파성은 Ⅲ이며, 이삭의 밀도는 밀수형으로 까락 긴 장망형이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각 2일 빠른 조숙종이다. 흰가루병과 보리호위축병은 서둔찰보리와 비슷하였다. 내한성과 내도복성은 서둔찰보리보다 다소 강하였다. 간장(79 cm)은 작고, 수장은 서둔찰보리보다 약간 작다. m2당 수수는 854개로 서둔찰보리보다 많고, 1수립수는 43개로 적다. 천립중은 서둔찰보리보다 작은 중소립종이며, 1ℓ중은 다소 가벼웠다. 단백질 함량, β-glucan 함량과 정맥률은 비슷하였고, 입백도는 낮았다. 취반특성 중 흡수율과 퍼짐성은 비슷하였고, 안토시아닌 함량은 181.1 ㎍/g으로 높았다. 수량은 전작에서 2.96 MT/ha, 답리작에서 3.91 MT/ha 있었다.
        2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양’은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가능한 조숙 양질 다수성 쌀귀리 품종을 육성하고자 1996년에 조숙성인 ‘식용귀리’를 모본으로, 조숙 대립 겉귀리 계통인 ‘귀리23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하여 계통 및 집단육종법에 의해 선발된 ‘SO96025-B-303-44-2-4’ 계통이다. 이 계통은 2003년부터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계통명이 ‘귀리56호’로 명명되었고, 2005년부터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0년에 육성된 품종이다. ‘수양’의 잎은 담녹색이고 폭과 길이는 좁고 짧으며, 종실은 길고 황갈색이다. ‘수양’의 출수기는 재배지 평균 4월 28일로서, 기존에 육성된 ‘선양’에 비해 11일 빨랐으며, 성숙기 또한 6월 7일로서 ‘선양’에 비해 6일 빨랐다. ‘수양’의 내한성은 표준품종인 ‘선양’ 보다 강하였고, 도복도 ‘선양’과 같은 수준이었다. ‘수양’은 m2당수수가 568개로 51개 적었으나, 1수립수는 73개로서 7개 많았고, ℓ중은 646 g으로서 596 g인 ‘선양’에 비해 50 g, 천립중은 29.2 g으로 4.2 g 무거운 편이었다. 지역적응시험에서 ‘수양’의 평균 종실 수량은 4.35 톤/ha으로 표준품종인 ‘선양’보다 29% 많았다. ‘수양’은 ‘선양’에 비해 탈부율이 100%로 높고, 조단백질 함량이 11.3%, 베타글루칸 함량이 4.7%로 표준품종인 ‘선양’과 비슷하였다.
        27.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논 조건 적응 국수용 품종의 제분율 증가와 붉은곰팡이병 저항성 증진을 목적으로 1996년도에 백립계 춘파 다수성인 Bacanora88을 모본으로 하고, 현재 국내 최대 재배되고 있는 금강밀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YW2948 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과 수형이 양호하며 숙기가 빠르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YW2948-B-B-1-1-1-1-1-1을 2005년과 2006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20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7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숙기가 빠르며 백립계이고, 붉은곰팡이병에 중도 저항성을 나타냈다. 제분율이 높으며 밀가루와 국수 색택이 밝고, 식미감이 우수하여 2009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심의회에서 ‘중모2004’로 명명하였다. 그 후 국립종자원의 재배심사를 거쳐 2013년 종자산업법제55조에 따라 품종보호 등록 원부에 등록되었다. 중모2004의 파성은 III형으로 양절형이고, 엽색은 녹색이며 이삭은 방추형이고, 종자는 중간크기로 백색이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밭 조건 조건에서 각각 4월 24일과 6월 4일로 금강밀보다 1~2일 빠르고, 논 조건에서는 각각 4월 21일과 6월 2일로 2일 빠르다. 내한성은 금강밀보다 약하지만 수발아 저항성은 금강밀보다 강하고, 흰가루병과 붉은곰팡이병은 감수성이다. 중모2004의 제분율은 금강밀보다 약간 낮지만, 밀가루의 품질과 국수 가공특성이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천립중은 42.5 g으로 금강밀보다 약간 적은 소립이며, 지역적응성 시험에서 밭 조건 수량은 517 kg/10a으로 11% 감소하였고, 논 조건 수량은 534 kg/10a로 금강밀보다 3% 증수하였다.
        28.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수확시기가 빠른 국수용밀 품종 개발을 목적으로 1997년도에 조숙 계통인 SW86054 를 모본으로 하고 현재 국내 최대 재배되고 있는 금강밀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SW97031 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과 수형이 양호하며 숙기가 빠르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7031-B-47-4-1-5-1-1을 2005년과 2006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18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7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숙기가 빠르며 내한성이 강하고, 백립계이면서 수발아 중도저항성으로 생산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밀가루와 국수 색택이 좋고 식미감이 우수하지만 단위면적당 수량 개선이 요구되어 2009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심의회에서 ‘중모2003’으로 명명하였다. 그 후 국립종자원의 재배심사를 거쳐 2013년 종자산업법제55조에 따라 품종보호등록 원부에 등록되었다. 중모2003의 파성은 III형으로 양절형이고, 엽색은 녹색이며 이삭은 방추형이고, 종자는 중간크기로 백색이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밭 조건 조건에서 각각 4월 24일과 6월 4일로 금강밀보다 1~2일 빠르고, 논 조건에서는 각각 4월 21일과 6월 2일로 2일 빠르다. 추위와 수발아저항성이 강하고, 흰가루병과 붉은곰팡이병은 감수성이다. ‘중모2003’의 제분율은 금강밀보다 약간 낮지만, 밀가루의 품질과 국수 가공특성이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천립중은 42.5g으로 금강밀보다 약간 적은 소립이며, 지역적응성 시험에서 밭 조건 수량은 555 kg/10a, 논 조건 수량은 485 kg/10a로 금강밀보다 4%와 7% 감수하였다.
        2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수발아와 붉은곰팡이병 등에 대한 내재해성이 강한 국수용 밀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1997년도에 금강밀과 은파밀을 인공교배 한 F1을 모본으로 하고 다시 금강밀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SW97005 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에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과 수형이 양호하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7005-B-26-5-4-1-1-1을 2005년과 2006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19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7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내한성이 강하고, 수발아 저항성이며 붉은곰팡이병에 중도저항성이고, 수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국수가공적성이 우수하여 2009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심의회에서 ‘수안밀’로 명명하였다. 그 후 국립종자원의 재배심사를 거쳐 2013년 종자산업법제55조에 따라 품종보호 등록 원부에 등록되었다. 수안밀의 파성은 III형으로 양절형이고, 엽색은 녹색이며 이삭은 방추형이고, 종자는 중간크기로 적색이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밭상태 조건에서 각각 4월 25일과 6월 4일로 금강밀보다 1일 빠르고, 논상태에서는 각각 4월 23일과 6월 4일로 동일하다. 내한성과 수발아 저항성이 강하고 붉은곰팡이병은 중도저항성이다. 수안밀의 제분율은 금강밀보다 약간 낮고, 단백질 함량과 회분함량이 낮아 밀가루 색이 밝고 단백질적 특성은 국수용에 적합하다. 천립중은 43.7 g으로 금강밀보다 약간 적은 소립이며, 지역적응성 시험에서 밭상태 수량은 594 kg/10a, 논상태 수량은 563 kg/10a로 금강밀보다 3%와 8% 증수하였다.
        3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han’ (Hordeum vulgare L.), a new ruminant-palatability forage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3.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SB921011-3B-16-2/IT0188556 and ‘Suwon 365’. Among the cross made in 2002, a promising line, SB02T2097-B-B-B-18, showed good characteristics in potential forage yield in the yield trial tested at Iksan in 2009 to 2010 designated as Iksan 465. The lin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RYT) tested in eight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1 to 2013, and was released as the name of ‘Muhan’. It has the growth habit of group Ⅳ, erect plant type, green leaf and awnless spike. Its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were on May 4, and June 4, respectively, with similar to check cultivar ‘Youngyang’. The cultivar had 102cm of culm length, 711 spikes per m2 and it showed better rate of leaf, winter hardiness, and resistance to BaYMV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The average forage yield of ‘Muhan’ was about 12.4 ton ha-1 in dry matter in paddy field. ‘Muhan’ also showed 6.6% of crude protein content, 28.6% of ADF (Acid Detergent Fiber), 50.1%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66.3%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grade of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3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ungmo2506’ (Hordeum vulgare L.), a new ruminant-palatability forage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3.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Sunwoo’ and ‘Milyang 34’. Among the cross made in 2002, a promising line, SB02T2020-B-BB- 64, showed good characteristics in potential forage yield in the yield trial tested at Iksan in 2009 to 2010 designated as Iksan 463. The lin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RYT) tested in eight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1 to 2013, and was released as the name of ‘Jungmo2506’. It has the growth habit of group Ⅳ, erect plant type, green leaf and short awn spike. Its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were on May 3, and June 2, respectively, with similar to check cultivar ‘Youngyang’. The cultivar had 99cm of culm length, 692 spikes per m2 and it showed better rate of leaf, winter hardiness, and resistance to BaYMV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The average forage yield of ‘Jungmo2506’ was about 11.8 ton ha-1 in dry matter in paddy field. ‘Jungmo2506’ also showed 6.6% of crude protein content, 27.4% of ADF (Acid Detergent Fiber), 49.2%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67.2%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grade of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32.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ouhan’ (Hordeum vulgare L.), a new whole crop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2. ‘Youhan’ has the growth habit of III, light green and middle size leaf, hooded and lax-type spikes. The cultivar showed 107 cm of culm length, 641 spikes per m2. Heading date of ‘Youhan’ was May 1, one day later than that of check cultivar ‘Yuyeon’ in upland, and 2 days earlier than that of check in paddy field. Maturing time was similar to check cultivar ‘Yuyeon’ as June 4 in upland and May 31 in paddy field. ‘Youhan’ also showed better winter hardiness, the resistance to lodging and disease than those of check cultivar. The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about 12.6 and 12.0 ton ha-1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which were 6%, 5%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It also showed 7.3% of crude protein, 26.8% of ADF(Acid Detergent Fiber), 47.8% of NDF(Neutral Detergent Fiber), and 67.7% of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grade of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Fall sowing cropping of ‘Youhan’ is recommended only in areas where average daily minimum mean temperatures in January are higher than -8°C, and it should not be cultivated in mountain areas of Korea.
        33.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ungmo2503’ (Hordeum vulgare L.), a new ruminant-palatability forage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1.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Dongsanpi81’ and ‘Kangbori’. Among the cross made in 1999, a promising line, SB992028-B-B-B-B-B-2, showed good characteristics in potential forage yield in the yield Trial tested at Iksan in 2007 to 2008 designated as Iksan 449. The lin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tested in eight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and was released as the name of ‘Jungmo2503’. It has the growth habit of group Ⅰ, erect plant type, green leaf and hood spike. Its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were on May 2, and May 29, respectively, with are similar to check cultivar ‘Yuyeon’. The cultivar had 102cm of culm length, 691 spikes per m2 and it showed better rate of leaf, winter hardiness, and resistance to BaYMV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The average forage yield of ‘Jungmo2503’ was about 10.9 ton ha-1 in dry matter in paddy field. ‘Jungmo2503’ also showed 9.4% of crude protein content, 27.3% of ADF (Acid Detergent Fiber), 49.0%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67.3%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grade of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34.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bo’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by a cross breeding between HR21124-B-59 and HR19567-B-70-3 having a good Phenotype with a multi-resistance and high yield elite line. The new variety developed for direct seeding by the rice breeding team in Rice Breeding and Cultivation Research Division,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12. The heading date of this variety is August 13 and earlier than that of check variety, Nampyeongbyeo, by two days. ‘Subo’ has 72cm of culm length and 104 spikelets per panicle in direct seeding cultivation. This variety showed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and rice stripe virus and have germinating ability in sumerged soil conditions. The milled rice of this variety exhibits translucent and ver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Subo’ has much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an that of Nampyeongbyeo. The whole grain rate of milled rice are 86.9% and milled rice recovery of are 74.6%. The yield of ‘Subo’ in direct seeding cultivation is 5.55MT/ha in milled rice. ‘Subo’ could be adaptable to the southern part plain area of Pyeongtaek and southwestern in Korea.
        35.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yeonpum’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by a cross breeding between Iksan469 having a good canopy architecture and Sindongjin and Musashino 7 having a good eating-quality with a view to develop a new variety having high quality of grain and palatability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Rice Breeding and Cultivation Research Division,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12. The heading date of this variety is August 18 and later than that of check variety, Nampyeongbyeo, by four days. ‘Hyeonpum’ has 74cm of culm length and 101 spikelets per panicle. This variety showed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and rice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leaf blast and planthoppers. The milled rice of this variety exhibits translucent and ver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Hyeonpum’ has much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an that of Nampyeongbyeo. The whole grain rate of milled rice and milled rice recovery of ‘Hyeonpum’ a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Nampyeongbyeo as 91.8% and 75.2% respectively. The yield of ‘Hyeonpum’ is 5.6 MT/ha in milled rice. ‘Hyeonpum’ could be adaptable to the southern part plain area of Pyeongtaek and southwestern costal areas in Korea.
        36.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ungmo2502’ (Hordeum vulgare L.), a new ruminant-palatability forage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1.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Samheung/Suwon 300’ and ‘Milyang 100’. Among the cross made in 2000, a promising line, SB00T2018-B-B-B-B-3, showed good characteristics in potential forage yield in the yield Trial tested at Iksan in 2007 to 2008 designated as Iksan 448. The lin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RYT) tested in eight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and was released as the name of ‘Jungmo2502’. It has the growth habit of group Ⅵ, erect plant type, green leaf and awnless spike. Its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were on May 4, and May 30, respectively, with are similar to check cultivar ‘Youngyang’. The cultivar had 98cm of culm length, 607 spikes per m2 and it showed better rate of leaf, winter hardiness, and resistance to BaYMV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The average forage yield of ‘Jungmo2502’ was about 11.0 ton ha-1 in dry matter in paddy field. ‘Jungmo2502’ also showed 8.7% of crude protein content, 21.9% of ADF (Acid Detergent Fiber), 40.7%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71.6%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grade of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37.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질소 추비 시용수준을 달리한 비배관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금강밀과 조경밀을 공시하여 질소 추비 처리 수준별로 출수기, 생육, 종실특성 및 수발아 관련 형질을 비교하였다. 질수수준 증가에 따라 간장,수장, 경수 및 영화수가 증가했으나, 임실율은 2010년에는질소 50% 증비(108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2011년에는 100% 증비(144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밀 종실 특성 중 천립중, 리터중 및 수분함량은 질소수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 수량은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50% 증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였다. 종실의 단백질 함량을 살펴보면 질소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 증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금강이 조경보다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밀 종자의 수발아 관련 형질간 비교에서는 질수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 Germination index 및 ABA sensitivity가점차 감소했는데, 이는 종자의 수발아율을 낮추는 결과를가져왔다. 밀 종자의 Germination index는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조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밀 종자의 수발아율은 조경의 경우 50% 감비에서24.7%,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19.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질소 처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수발아율은 점차 감소하였다. ABA sensitivity와 수발아율 간에는 정의상관을 나타내어 ABA sensitivity를 간이 수발아 검정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3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provement of winter hardiness, diseases resistance and good quality have been recently received more attention by covered barley(Hordeum vulgare L.) breeders than ever in Korea. “Hyegang”, a new covered barley cultivar with similar maturing and high yield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1.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87/NWX-GB-G 2” and “Milyang87/Chalbori” with good quality. The initial cross was done in 2000 and the selected line, “Iksan445” (YB4625-B-B-6-2), showed high yield and good quality characteristics under yield trial test in 2008. It was cultivated three times for three years (2009~2011) in the four locations of regional yield trial (RYT) in korea and was investigated about agronomic an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eleased as “Hyegang”. The heading date was May 4 in upland and April 26 in paddy field which was 1 and 0 day lateness respectively than that of check cultivar, “Olbori”. The culm length was 77 cm which was 6 cm shorter than that with check cultivar. It showed the spike length of 4.7 cm, 800 spikes / m2, 64 grains / spike and 25.1g for 1,000 grains weight. It showed similar maturing and stronger resistance to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compare to check cultivar. It showed higher diastatic power 216DP than that of check cultivar, ‘Olbori’. Average yield of “Hyegang” in the RYT was 4.61 MT/ha in upland and 4.38 MT/ha in paddy field, espectively.
        39.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ungmo2502’ awnless barley line (Hordeum vulgare L.)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1. The Jungmo2502 derived from three-way cross between Millyang100 and F1 (Samheung/Suwon300) in 2000. Subsequent generation were handled by the bulk method in a pedigree selection program. A promising line showed high yield as well as lodging resistance in the yield trial tested at Iksan in 2007 to 2008, designated as Iksan 448. The lin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RYT) tested in seven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The Jungmo2502 is carrying the growth habit of Ⅳ, green leaf and stem similar to the check cultivar ′Youngyang′. Its heading date was May 3, and maturing time was May 30 in paddy field, which was 3 days later respectively than check cultivar. It was 98 cm of culm length, 607 spikes per m2 and showed more rate of leaf blade, winter hardiness, and resistance to BaYMV than the check cultivar. Average dry matter yield was similar with the check cultivar in paddy field (about 11 ton ha-1). It also showed good qualities as 8.7% of crude protein, 21.9% of ADF (acid detergent fiber), 40.7%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71.6%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 grade of silage for whole crop barley.
        4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ecialty barley extracts were prepared and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biological activity. Hunter L* values of the Iksan 86 extracts had higher than that of the Iksan 87 and Zasoojeongchal extracts. The extraction yields of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was 8.08, 6.62, and 7.30%,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of the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extracts were 16.24, 15.51, and 13.95 GAE mg/g of sample,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extracts were 50.00, 33.27, and 7.56% at a 500 ppm, respectively. The samples showed an inhibition of xanthin oxidase. ACE inhibition effect of specialty barley extracts,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was 39.81, 41.06, and 27.78%,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ion rates (%) of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extracts were 26.21, 24.57, and 20.00%, respectively. Results indicated that specialty barley extracts possesse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tive capacity, xanthin oxidase inhibition activit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