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9

        18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storian Eric J. Hobsbawm once said “the task that historians have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past within the context of society and to track the changes and implementation.” It would not be too far of a stretch to apply Hobsbawm's quote to art historian since art history, although quite specific, is still history. In addition, Hobsbaum also asserted that, “a mold called the past continuously forms the present or at least thought to be.” It is my recognition that the major westernization of the last century took place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which served as the channel to usher in western art; however, the current 20th- century Korean art history fails to recognize that the mold of the past, namely western art in this case, has formed the modern art of the present. Based on this recognition, attention was given to what lacked i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20th-century Korean art history in terms of “Informel” which was identifed as the turning point towards “modern art” in the Korean art history as well as the following “experimental art.” My belief is that the art history of Korea has to be reassessed from , a socio-cultural perspective as well as adopting multi-level and diachronic understanding. However, the existing Korean art, especially the one between the end of 1950s to the 1970s w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everance”; thus, raising the needs for the starting point of a new perspective. It is my conviction that meta perspective on writing is most essential in order to lay a solid basis for the Korean art scene to have a productive discussion. I feel the utmost necessity to reinterpret the typifed history analysis and criticism which stemmed from the trauma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The most urgent task is to avoid academic closeness and to share the research. Painting is an individual expression of the artist, but the act of expression is not free from the cultural and societal infuence to which the artist belongs.
        8,100원
        18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llele variability and frequencies of six microsatellite markers (BM861, INRA124, INRA189, UMN0103, UMN0307 and UMN0504) specific to the Y-chromosome. DNA samples from 147 males of three Korean native and seven exotic cattle breeds were tested. Three (Chikso, Heugu, and Jeju black cattle) Korean native cattle (KNC) breeds showed Bos taurus genotype. In the neighbor-joining tree, based on Nei’s DA genetic distance, ten breeds represented main group. In addition, Bayesian clustering result showed that 3 main clusters are for individual allele variability and frequencies. Moreover, KNC breeds showed differences in genotype with B. taurus type whe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molecular information of paternal lineage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ree KNC breeds as genetic resources.
        4,000원
        18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예는 문자의 조형미를 표현하는 예술이며, 문자의 뜻과 자형을 통하여 작가의 성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문자를 표현하는 도구는 상당히 많다. 그러나 서예가 다른 예술과 구별되는 점은 사용하는 도 구가 부드럽고 탄력성이 풍부한 붓을 사용하는 데에 있다. 붓은 일반 적 필기도구와 다르고, 사용 방법도 다르기 때문에 단기간에 장악하 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서예가의 예술미에 맞도록 붓을 적절하게 운용하는 방법이 바로 필법이다. 필법은 서예의 기본 규율이며, 장기 간에 걸쳐 발견한 서예가들의 공인된 규율이기도 하다. 필법은 서예의 삼요소인 필법ㆍ필세ㆍ필의 중에 하나이다. 필법과 필세는 서예의 방법론에 속하고, 필의는 서예가의 성정을 나타내는 방법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필법은 글씨의 점과 획을 긋는 방 법이고, 필세는 점과 획, 글자와 글자, 행과 행 사이의 호응관계를 구 성하는 것이며, 필의는 서예가의 정취ㆍ기개ㆍ인품을 표현하는 것이 다. 본 연구에서는 서예의 기본 규율인 필법에 대한 가치를 연구하고, 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필법의 형성과정, 필법 의 변천, 필법의 종류 등으로 나누어 분석한 다음 필법의 가치를 분 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필법의 가치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 다. 첫째, 규율장악이다. 필법은 결구에 속하는 점ㆍ필획ㆍ결자ㆍ장법 을 표현하고, 이를 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결구를 결정한다. 따라서 규율장악은 다양한 형태의 결구와 작가가 뜻하는 바를 정확하게 표현 하며, 동시에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에 있다. 둘째, 변화모색이다. 이는 창작 이전에 의재필선을 통하여 충분히 의식적으로 구상하여야 하고, 이를 능숙한 필법의 규율장악을 통하여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장기간 능숙한 필법의 규율장악을 통하여 무의식적 작용에서 나타나 는 의외의 효과를 꾀하는 데에 있다. 셋째, 학양표현이다. 학양이란 서예뿐만 아니라 서예 이외의 모든 방면에서 필요한 것이고, 이를 작 품에서 승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작품이 곧 학양표현이라고 하였다. 종합하면, 좋은 서예작품은 필법ㆍ필세ㆍ필의라는 삼요소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를 다른 말로 풀이하면 규율장악ㆍ변화모색ㆍ학 양표현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필법의 기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법의 가치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었다. 사실 서예는 먼저 필법 장악이 우선이고, 다음은 이것의 기초 위에 서 변화를 모색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작가의 학양과 성정을 나타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필법은 서예에서 가장 중요 한 관건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필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은 비록 필법의 형성과 변천 과정 및 필법의 종류와 가치에 대한 초보적 이고 개략적 연구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필법에 대한 연구는 서예 의 기초를 탄실하게 하는 관건이기 때문에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 다. 이를 바탕으로 삼아 변화를 모색하고 성정을 나타낼 수 있는 새 로운 서예 창작의 길잡이가 될 수 있다면, 분명히 이 글은 현실적 가 치가 있을 것이다.
        8,400원
        18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185.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정부는 완도부근에 특별히 항로를 지정하였다. 규정에 따르면 선박은 항로의 지정된 방향을 따라 항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완도지정항로에는 서로 횡단하는 두 개의 항로가 설정되어있다. 한국의 해양안전심판원은 선박충돌이 발생한 원인에 대한 판단을 하였다. 항로지정방식에 적용되는 항법이외에도 횡단항법이 추가로 적용되는지가 쟁점이 되었다. 지방해양안전심판원은 횡단항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였지만,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은 항로지정방식의 항법을 우선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양 기관에 의한 원인제공비율은 서로 달랐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에 대하여 연구하여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제10조 제1항에 의거하여 항로지정방식이 우선 적용되고 횡단항법이 추가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5,500원
        188.
        201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父母山城출토기와는 크게 두 시기로 나누어진다. 즉 三國중, 百濟및 新羅기와이다. 기와의 종류는 수막새와 평기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 발굴조사는 전체 城과 성벽 및 至近거리에 있는 堡壘성격으로 보는 유적 중, 制限的이고 選別的인 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부모산성의 築城시기나 補築시기, 마지막 存續시기를 모두 말해줄 수 있다고 판단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父母山城의 주요부인 城壁과 門址, 내부시설 遺蹟과 동 유적에서 출토된 적지 않은 기와등의 유물을 통하여 성벽의 축성시기와 보축 시기, 마지막 존속 시기의 단면을 알 수 있는 자료로서는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백제의 기와 중, 수막새는 아직 발견할 수 없었지만, 백제 평기와의 대부분에 관찰되는 통쪽와통(模骨瓦桶) 흔적 기와, 銘文瓦(印章瓦; 前, 後, 北등)는 적지 않게 출토되었다. 특히 西門址에 접한 城壁內側에 접한 보축 층에서 출토된 평기와는 대부분의 이 통쪽와통에 의한 제작기법을 보여주었다. 백제기와는 제작 기법을 통하여 늦어도 6세기 중반경에는 이곳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신라기와는 수막새와 평기와가 함께 출토되었다. 수막새는 單一한 1종의 문양이 출토된 점으로 보아 그 존속이 짧거나, 성벽의 사용기간이 짧았을 가능성을 말해준다고 판단된다. 그 시기는 古新羅말경에서 신라가 통일한 極初期경을 下限으로 한다. 특히 수막새는 제작기법에서 分離式기법을 이용하였는데, 방법이 稚拙하고 숙달된 솜씨라고 보기 어려웠다. 이러한 신라기와의 등장과 존속으로 보면, 부모산성은 신라가 통일이후, 확고한 基盤을 잡은 후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그 존재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았을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이는 이곳 출토 신라기와가 통일이후, 아직 삼국시대의 기와 제작기법과 문양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루어 볼 수 있다. 따라서 신라가 통일 이후 신라만이 갖는 기와 (예컨대 경제성과 제작기법에서의 변화 등)제작을 하기 전에 부모산성의 폐쇄와 연계되었을 가능성을 읽게 한다.
        9,800원
        189.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창의적 아이디어를 지식으로 변환하고 이를 활용하여 부를 축적하는 창조경제의 구현은 세계적 화두이자 우리나라의 핵심국정목표이다. 우리나라는 지식재산의 창출역량은 높은 수준에 다다랐으나 그 지식재산의 활용/관리 역량은 부족하며 특히 국경 없는 전쟁이라 불리는 지식재산분쟁에 대한 체계적 대응과 전략적 관리 역량은 개별 기업 차원에서도 그리고 국가 관리시스템 차원에서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어 이 부분에 대한 역량강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지식재산분쟁에 대한 전략적 관리 역량강화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ICT 융합의 실용특허인 스마트폰/태블릿PC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삼성과 미국의 애플 간에 9개국에 걸쳐 동시다발적으로 진행 중인 글로벌 지식재산소송을 분석하였다. 특히 소송결과에 따른 구제수단 중 즉각적인 시장봉쇄효과가 있고 개별 기업뿐만 아니라 산업의 지형도와 국가경쟁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침해금지청구(제품의 판매금지명령)소송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과 글로벌 지식재산 분쟁이 가장 빈번한 미국에서의 소송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애플이 제기한 영구적 침해금지청구소송에 관한 미국의 1심 판결문을 중심으로 미국에서 침해금지청구가 인용되기 위한 요건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에 관한 법률적 쟁점이 기업 전략적 측면에서는 어떠한 시사점을 가지는지를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아직 소송이 진행 중인 1심의 판결 결과에 대한 분석이고 미국의 소송을 중심으로 법률적 쟁점과 기술경영전략적 쟁점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찾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여러 국가를 비교한 종합적 분석이 요구되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창조경제시대는 기술경영의 시대에서 한 단계 진화하여 기술경영과 법률경영을 하나로 융합하는 기업의 역량과 자국 기업을 위해 최적의 게임의 룰을 제공하는 국가의 역량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8,400원
        190.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on embryo survival rates by blastomere isolation methods, and establish the optimal PCR procedure for perform the sexing of bovine blastocysts produced by IVF. IVF embryos used in the study was used the Bisected or Sliced methods for blastomere isolation, and the survival rates of blastocyst with rapid way of sexing PCR was assessed. In the present study for survival rates in blastocyst was the total cleavage rate was 75% and a blastocyst development among cleaved embryos was 40%. Survival rate of embryos treated with intact, bisected or sliced method was 100, 63.3 or 81.3%, respectively. Therefore, survival rate of embryos treated with sliced method was higher compared to that of embryos treated with bisected method. The sexing rate of female or ma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4BFBR primer and BSY + BSP primer (1.75 : 1 vs. 1.43 : 1), respectively. Because of the PCR amplification using the S4BFBR primer was simpler method than multiplex PCR amplification method. Furthermore, the accuracy of sexing rate and reduction of PCR work time between 2-step and 3-step of PCR methods was 98.0% / 1.5 hr and 97.0% / 3.5 hr,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sliced and PCR methods we developed was very effective method to reduce time consuming and procedure of PCR amplification for sexing with the increase of survival rate on the blastocyst.
        4,000원
        19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of vitrified-thawed transgenic bovine embryos. Transgenic bovine embryos were produced by injection of FIV-GFP lentiviral vector into perivitelline space of in vitro matured MІІ stage oocytes, and then in vitro fertilization. EGFP-expressing transgenic bovine blastocysts were cultured in serum-containing and serum–free medium. These blsatocysts were vitrified by pull and cut (PNC) container made with 0.25 cm plastic straw. Results indicate that total developmental rates of normal IVF embryo cultured in serumcontaining and–free medium into blastocys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22.3 vs 21.5%) and those of GFPexpressing transgenic bovine embryo into blastocy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rum-containing (13.9%) and–free medium (13.1%). However, developmental rate of GFP transgenic embryo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its of normal IVF embryos. In additional study, we vitrified GFP transgenic normal bovine blastocysts using PNC vitrification method. Survival rate of vitrified-thawed GFP transgenic blastocyst (23.1%)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its of normal blastocysts (68.9%). Although, survival rate of vitrified-thawed GFP transgenic blastocyst was lower than its of normal blastocyst, our result may suggested that PNC vitrification method is feasible to cryopreserve transgenic embryos. Our next plan will be the production of GFP express transgenic bovine derived from vitrified-thawed embryos using PNC method.
        4,000원
        19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transgenic animal production technique is very important for the production of bio-parmaceutical as animal bio-reactor system. However, the absence of survival evaluation in vitro produced transgenic embryos has been a problem of the low productivity of transgenic animal because of absent of pre-estimate of pregnancy after transgenic embryos transferred into recipient.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to improve efficiency of transgenic cattle production by improving the non-surgical embryo transfer (ET) method. Transgenic bovine embryos were produced by injection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FIV-EGFP) lentiviral vector into perivitelline space of in vitro matured MІІ stage oocytes, and then in vitro fertilization (IVF) was occured. Normal IVF and EGFP expressing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into recipients. Results indicated that 2 expanded blastocysts (34.7%) transferr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pregnancy rate than 1 expanded blastocyst (26.8%) transferred group. In case of parity of recipient, ET to heifer (34.9%)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pregnancy rate than ET to multiparous recipient (21.2%).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egnancy rate between natural induced estrus and artificial induced estrus groups. Significantly (P<0.05) higher pregnancy rate was obtained from recipient group which have normal corpus luteum with crown group (34.8%) than normal corpus luteum without crown (13.6%). Additionally, treatment of 100 μg Gn-RH injection to recipient group (38.6%) 1 day before ET significantly (P<0.05) increase pregnancy rate than non- Gn-RH injection to recipient group (38.6%). We also transferred 2 EGFP expressing expanded blastocysts to each 19 recipients, 7 recipients were pregnant and finally 5 EGFP transgenic cattle were produced under described ET condition. Therefore, our result suggested that transfer of 2 good-quality expanded blastocysts to 100 μg of Gn-RH injected recipient which have normal corpus luteum with crown is feasible to produce transgenic cattle.
        4,000원
        193.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protein patterns in granulosa cells and corpus luteum in ovaries during the estrus cycle in cows. The estrus cycle was devided into five steps of follicular, ovulatory, early-luteal, mid-luteal and late-luteal phases. In results, 61 spots of total 85 spots were repeated on follicular phase and 51 spots of total 114 spots were repeated on ovulatory phase. The 40 spots of total 129 spots were repeated on early-luteal phase and 49 spots of total 104 spots were repeated on mid-luteal phase. Also 41 spots of total 60 spots were repeated on late-luteal phase. On the other hands, the 16 spots were indicated difference in follicular phase and ovulation phase had a difference 10 spots. It was showed difference No. 103 spot in ovulation phase, No. 135 spot in early-luteal phase and No. 175 and 176 spots in mid-luteal phase. Also, the 11 spots were expressed specifically in mid-luteal phase and No. 178 and 179 spots were difference of expression in late-luteal phase. We confirmed that there were 7 spots for ovulation, 4 spots for luteinization and 2 spots for luteolysis. Spot No. 89~93 in ovulation phase were transferrin, and spot No.94~98 were HSP60. Spot No. 103 was Dusty PK, spot No. 135 was OGDC- E2, and spot No. 175 and 176 were Rab GDI beta from luteinization. Spot No. 178 and 179 in luteolysis were vimentin. This results suggest that will be help to basic data about infertility.
        4,000원
        194.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f semen transport system for cryopreservation and fertility in bull sperm. The ejaculated semen were diluted with Triladyl containing 20% egg-yolk for transportation. Diluted semen was transported by three methods that there were wrapping tissue (Tissue), sinking under 30℃ water (Water) and sinking between warm water and air (Air) methods. Semen was transported within 2 hours in 0.3℃. For this study, the freezing of diluted semen were added with Triladyl containing 20% egg-yolk. And frozen-thawed sperm were estimated with SYBR14/PI double stain for viability, FITC-PNA/PI double stain for acrosome reaction analysis and Rhodamine123 double stain for mitochondrial intact assessment. In results, live sperm (SYBR+/PI-) in Air treatment group (43.3±4.7%)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Tissue: 16.3±2.7% and Water: 27.5± 3.1%), dying sperm (SYBR+/PI+) in Air treatment group (55.6±4.7%)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Tissue: 77.6±3.2% and Water: 67.6±3.3%) (p<0.05). Acrosome reaction in Air treatment group (0.2±0.1%) within live sperm (PI negative reg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Tissue: 0.7±0.2% and Water: 0.5±0.1%), the acrosome reaction in Air treatment group (28.6±2.8%) within all sperm also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Tissue: 44.2±1.8% and Water: 36.2±2.0%) (p<0.05). And mitochondrial intact in Air treatment group within live (97.1±0.4%) and all (61.9±3.3%) sper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Tissue: 85.2±3.3%, Water: 87.8±2.9% within live sperm and Tissue: 49.28±3.7%, Water: 42.0±3.1% within all sperm) (p<0.05). Therefore, we suggest that transportation by sinking method between warm water and air was beneficial to improvement of fertility in frozen-thawed in bull semen.
        4,000원
        19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는 2013년 헤이그 국제아동입양협약에 서명하여 이제 비준의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1993년에 헤이그 국제사법회의에서 채택된 헤이그 국제아동입양협약은 국제입양에 있어서 아동이 가족적 환경에서 건전하게 성장할 인권을 보호하고 아동을 납치, 매매, 밀거래, 아동세탁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어진 국제적 규범이다. 헤이그 국제아동입양협약은 입양이 아동의 최선의 이익에 합치하게 이루어질 의무, 국제입양의 보충성, 아동의 납치, 매매, 밀거래 등에 대한 안전장치, 국가간의 협력의무, 입양결정의 자동적 승인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협약에 가입한 이상 협약상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인데, 현재 우리나라의 입양특례법은 외국인의 국내에서의 입양과 외국인의 국외로부터의 입양만을 규정하고 있어 협약과 우리법제가 일치하도록 이행법률의 제정이 시급하다. 이러한 이행법률을 제정함에 있어 우리 민법의 입양의 규정, 외국에서의 입양의 효력, 준거법과 관할의 문제 등 많은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나, 그 중에서도 국제입양의 과정에서의 아동의 매매, 밀거래, 아동세탁의 아동학대적 관행의 방지는 우리의 입법과정에서도 주요한 고려 사항이 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의 입양특례법 등은 아동의 국제입양과정에서 금품이 제공되거나 양친 등에 대한 잘못된 정보에 의거한 하자있는 동의에 의하여 국제입양이 진행되는 경우 등에 관하여 적절한 제재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협약 역시 이러한 아동의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한 제재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하지 않은 채, 단지 국가가 지정한 중앙기관이 국제입양을 통제하고 감독하여야 할 의무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켜져야 할 입양의 절차 등에 대해서만 기술하고 있을 뿐이다. 국가는 우리 국민인 아동 또는 국제입양을 통하여 우리 국민이 될 수 있는 아동을 국제입양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불법적인 행위로부터 지켜야 할 책무가 있다. 따라서 협약의 이행법률의 제정에 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제재수단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입양과정에 있어 알선기관의 금품제공, 허위 정보 제공, 기망 등의 위법행위에 대하여 과징금은 물론 형벌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한 미국 국제입양법의 입법태도는 우리의 이행법률 제정과정에서 하나의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9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된 주요 동계 사료작물인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거세 한우의 비육후기(25~30개월 령) 용으로 조제된 TMR의 소 체내 이용성을배합사료 및 볏짚으로 구성된 관행 사료와 비교하고자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소 3두를 이용하여 3 × 3 Latin squaredesign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시험동물에는 비육 후기용 배합사료 및 볏짚을 분리 급여하였거나 (대조구) 청보리 사일리지 TMR (BS-TMR) 또는 청호밀 사일리지 TMR (RSTMR)을 급여하였다. 전체 채취시간에 걸쳐 반추위액의pH, 암모니아 농도 및 총 휘발성지방산 농도는 시험사료간 차이가 없었다. Acetate (C2)의 조성 비율은 사료 급여후 1시간에서 청보리 사일리지를 섭취한 처리구 (BS-TMR)에서 낮은 (p<0.033) 값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채취시간에서 시험사료 간 차이가 없었다. Propionate (C3) 및 butyrate조성비율과 C2/C3 비율 역시 모든 채취시간에서 시험사료간 차이가 없었다. 사료 내 주요 성분의 반추위 유효분해율과 전장소화율은 전체 시험사료 간은 물론 BS-TMR과RS-TMR 간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대사시험 결과로 미루어보아 청보리 및 청호밀로 제조된 TMR의급여 가치가 배합사료 및 볏짚의 분리급여와 차이가 없는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97.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개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를 대상으로 ‘介詞’에 대 한 서술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고찰하여 학교 문법에서의 개사에 대한 정의와 문법의미범주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介詞는 단독으로 문장성분을 이룰 수 없고 명사나 명사에 상당하는 단어나 구, 절의 앞이나 뒤에 놓여 介詞句(介詞構造)를 구성하여 중심서술어의 앞 또는 뒤에 서 수식하거나 보충해주는 부사어나 보어의 기능을 하며, 서술어와의 관계에 따라 時間, 場所, 原因, 方式(道具방식, 身分방식, 手段방식), 對象(處置대상, 人物대 상, 比較대상), 行爲者(共同행위자, 被動文행위자) 등을 나타내는 동사 혹은 접속 사와는 구별되는 虛詞 중 독립된 品詞라 할 수 있다. 개사의 정의와 문법의미 분류는 한문독해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문장 구조 관 계를 통한 의미파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문법용어에 치중하거나 자세히 분류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예시문은 명시적이고 규범적인 것을 제시하 여 해석을 위한 방편으로 삼아야지 문법학습을 위한 문법교수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7,700원
        198.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related to excavation from ruins the memorial structure within the Jeongreung royal tomb. There are experimental assertion on the basis of results of the excavation, historical records. The location of the memorial structure is identified in picture of Sunwonbogam(선원보감), records of Chunkwantongho(春官通考). The memorial structure have 6 rooms where lay in 250 steps(步) from the south of Hongjeonmun gate, lotus pond lay in southeast of the structure recorded on Chunkwantongho that's guide book to manners. It's matched in the location as result of excavation. The building site consists of main house(윗채), outhouse(아래채) that's stationed in stepped. It seems that main house as the memorial structure have 6 rooms. It's used as outhouse for facilities attached to the main. It's characterized the memorial structure within the Jeongreung royal tomb that's stationed main house, outhouse in stepped it using natural ground. It's estimated that it's tried to conservation for building site, fence etc. in next several time. With regard to constructing time of the structure, traces involved to first construction is simple: 2 chimneys in flower bed, fence, a part of stone elevation, drains by using rectangular stone. It shows that the building site had been reconstructed or renovated during Gho-jong King 37s year of the Choson dynasty(A.D.1900). It seems that the memorial structure during approximately 300 years in existence from Hyeon-jong King 10s year of the Choson dynasty(A.D.1669) to the late 1960s.
        4,000원
        20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우리 사회는 성범죄가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지난 10여년간 특히 강력한 법과 제도의 시행이 논의되어 왔다. 이는 여러 제도를 탄생시켰고 2010년에는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게 된다.성충동 약물치료는 법원의 명령으로 성폭력 범죄자에게 약물을 주입하여 성폭력 범죄의 충동을 억제하는 제도이며 그 요건으로는 비정상적 성적 충동이나 욕구를 완화하기 위해 의학적으로 알려진 것이어야 하고 과도한 신체적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그러나 제도가 논의되던 시점부터 헌법상 인권침해와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반대하는 견해가 적지 않았고 제도가 시작되자마자 위헌법률심판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이유는 최근 몇 년간 국민들을 분노하게 만든 아동에 대한 잔인한 성폭력 범죄가 발생할 때마다 성폭력 범죄로부터 아동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여론을 무마하기 위하여 외국의 제도를 급하게 도입하였고 성충동 약물치료가 그 대표적인 제도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성범죄에 대한 합리적인 대책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성범죄가 우리사회의 가장 큰 문제인 것처럼 특정 사건이 발생했을 때마다 새로운 제도의 도입을 고려하며 특히 검증되지 않은 외국의 제도를 무분별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문제가 있다. 성충동 약물치료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실효성에 대한 비판 뿐만 아니라 치료결정에 대한 문제와 이중처벌과 소급효, 그리고 기타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따라서 성충동 약물치료는 현행처럼 시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합리적인 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여러 문제의 해결과 함께 의학적으로 또한 심리적으로 매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위헌법률심판 이후 계속 시행이 되더라도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실험군을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시행하며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는 등 전면적인 수정이 있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폐지까지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