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2

        18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 개의 형질 사이에 유전상관이 존재하면 제 1의 형질을 선발함으로써 다른 중요한 형질의 간접선발도 가능해 진다. 따라서 부분육 형질 중 선호도가 높은 안심과 등심에 대한 생산량 증대를 위해서 생체 상태에서 부분육과 상관도가 높은 체형형질을 발굴하여 개량함으로써 고가이며 선호도가 높은 안심과 등심 등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분석에 이용한 데이터는 1998~2012년도에(23~53차) 후대검정한 5,001두의 후대검정우 자료이며 조사형질로는 대분할육 10개의 형질과 18개월령 체형형질을 이용하였다. 유전모수 추정은 WOMBAT 6.0 software package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모형은 부분육 중량의 경우 도축일을 범주형 변량으로 도축 전 생체중을 공변량으로 하였으며 체형형질의 경우에는 차수, 출생지 및 검정소를 범주형 변량으로 측정일령을 공변량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안심, 등심 및 갈비중량의 유전력은 각각 0.53, 0.50 및 0.14로 나타났다. 등심과 안심은 체고, 십자부고 및 곤폭과 유전상관이(0.34~0.53)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체형형질을 간접선발 함으로써 선호되는 부위의 생산량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18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on farm animal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progesterone-releasing intravaginal device (Cue-Mate® 1.56 g) and injection of prostaglandin F2α (PGF2α) for synchronization estrus in Hanwoo cattle. The cattle were at random stage of the estrus cycle. The cow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at day 7 after Cue-Mate withdrawal, using commercial semen from Korean native bulls. There was a season effect on the estrus synchronization rate. It was higher in spring (94.3%) followed by winter (93.3%), autumn (90.4%) and summer (67.2%).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eason has influences on estrus behavior of cattle with no significant effect on pregnancy rate. In summary, we suggest summer reproductive management to alleviate the effects of heat stress. It should be based on intensive cooling combined with hormonal treatment. Given that different subgroups of cows benefit differently from the treatments, selective hormonal administration should be considered.
        4,000원
        18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ws may suffer impaired ovarian function, often accompanied by reduced conception rates and increased embryonic loss. Cystic ovarian disease (COD)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diagnosed gynecological findings in dairy cattle. It causes temporary infertility and is likely to affect reproduction as well as production parameters in catt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pression patterns of apoptosis (Bcl-2, Bax), implantation (E-cadherin) and immune related proteins (TNF-α, IL-10) in uterine endometrium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with ovarian cyst and normal ovarian follicles. In the West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 of anti-apoptotic Bcl-2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ndometrium with normal ovarian follicles, whereas expression of pro-apoptotic Bax protein was significantly lower. Also, the expressions of E-cadherin and TNF-α protei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uterine endometrium with normal ovarian follicles.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f IL-10 prote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uterine endometrium with normal ovarian follicles. Taken together, our results provided that the expressions of apoptosis, adhesion and immune related proteins in uterine endometrium with ovarian cyst were showed the aberrant patterns, and we suggest that different expression changes of these proteins may be affect to pregnancy ability of cattle.
        4,000원
        18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양한 사료들을 유지수준에서 섭취한 한우 암소 경산우의 에너지 대사 시험의 결과로 부터 섭취에너지 균형과 메탄배출계수를 구하였다.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위주의 혼합목건초 섭취 7두, 혼합목건초의 30~50% 를 볏짚으로 대체한 12두, 혼합목건초와 볏짚에 밀기울 (wheat bran) 1 kg 추가급여한 6두, 총 25 개체의 대사실험 성적을 분석하였다. 실험축은 10일간 대사틀에서 개체별로 각각의 실험사료 적응 및 7일간 분 뇨 시료채취 후, indirect respiratory chamber 1대에 교대로 수용되어 1일간 호흡대사 실험이 이루어졌다. 혼합목건초 단독 급여구와 비교하여 나머지 두 처리구의 평균 건물섭취량은 약 11%, 15%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gross energy (GE) 섭취량도 차이가 없었다. 총 섭취에너지 중 메탄으로 손실된 에너지 비율인 메탄전변율(methane conversion rate, Ym)과 메탄배출계수(emission factor, kg/head/year)도 각각 0.055~0.062 (평균 0.058)와 33.6~38.6(평균 35.2) 범위로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본 실험에서는 혼합목건초를 볏짚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밀기울 추가급여에 의한 메탄발생량 차이가 없었으나, 메탄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양질 조사료 급여효과 연구는 축산현장의 온실가스 감축 사업 참여가 가능한 분야이기 때문에 추가 연구들을 통해 시급히 증명되어져야 된다고 판단된다.
        4,000원
        18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09~5.21, 0.48~0.51 및 3.19~3.21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28, 0.38 및 2.8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청보리의 평균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무비구(3.97, 0.37 및 2.56 톤/ha)에 비해 100~150 kg N/ha (5.23~5.76, 0.49~0.54 및 3.28~3.5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콩과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조단백질과 ADF 함량은 헤어리베치 혼파구(각각 9.7과 34.5%) >사료용 완구 혼파구(각각 9.3과 33.0%) >청보리의 단파구(각각 8.7과 30.5%)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우분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처리수준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2.62~2.72두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질소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 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고품질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186.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국 생균제가 비육후기 거세한우의 성장율과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실시하였다. 거세한우 15두(565±17kg)를 시험구별 개시체중이 유사하도록 산국 생균제 무첨가구(CON), 농후사료의 0.2% 첨가구(LCB) 및 0.4% 첨가구(HCB)에 각 5두씩을 배치하고 15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농후사료와 조사료를 8:2의 비율로 설정하고 생체중의 약 2.5%를 오전(8시)과 오후(5시)로 나누어 급여하였다. 미네랄 블록과 음수는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양시험 종료 후에는 모든 공시동물은 도축하여 도체특성을 조사하고 등심육을 채취하여 육질분석에 이용하였다. 개시체중과 종료체중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산국 생균제를 급여한 모든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분 중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가스는 시험구간 차이가 없었다. 신선육 관능평가에서 등심육의 육색은 산국 생균제를 급여한 시험구가 개선되었으나(p<0.05), 등심육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기타 신선육 관능평가는 시험구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육의 지방산 조성은 산국 생균제를 급여한 시험구에서 C14:0과 C18:0 함량이 증가하였으며(p<0.05), HCB 시험구에서 C18:2n-6와 polyunsaturated fatty acid 함량은 HCB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비육후기 거세한우에 산국 생균제를 0.4% 수준으로 급여하는 것은 사료효율 개선, 육색 및 등심육 지방산 품질개선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8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several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measure the oxygen consumption rates of individual embryos, but relationship between oxygen consumption and pregnancy rates of Hanwoo following embryo transfer has not ye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oxygen consumption rate and pregnancy rates of Hanwoo embryo using a SECM. In addition to,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was determined using real-time PCR by extracting RNA according to the oxygen consumption of in vivo embryo. First, we found that the oxygen consump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blastocyst-stage embryos (blastocyst) compared to early blastocyst stage embryos, indicating that oxygen consumption reflects the embryo quality (Grade I). The oxygen consumption or GI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II blastocysts (10.2x1014/mol s-1 versus 6.4x1014/mol s-1, p<0.05). Pregnant rate in recipient cow was 0, 60 and 80% in the transplantation of embryo with the oxygen consumption of below 10.0, 10.0~12.0 and over 12.0x1014/mol s-1, respectively. Apoptosis regulatory genes, Hsp-7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ver-10.0 group than below 10.0 group but in Caspase-3, Bax and P53 ge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asurement of oxygen consumption maybe help increase the pregnant rate of Hanwoo embryos.
        4,000원
        18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xed semen is common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calves of the desired gender. Gender selection is important in animal production industries. For example, female cattle are required for the dairy industry while males are preferred in the beef cattle industry.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in vivo embryo production efficiency using the semen separated according to sex during superovulation in Hanwoo. Seventy Hanwoo donor cows were flushed on day 7 of estrus cycle with same FSH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the same technicians. Embryos were recovered on 7 days after the third insemination by flushing the uterus with embryo collection medium. KPN semen straws used artificial insemination contained 20 million sperm (total number 60 million per donor). Sex-sorted semen straws contained 4 million sperm (total number 12 million per dono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superovulation rates on KPN semen 87%, and sexed semen 100%, respectively. The mean numbers of total embryos are each 12.58±8.31 and 13.25±7.86. The mean numbers of transferable embryos, sexed sem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KPN semen (3.75±1.98 vs. 8.23±6.07, P<0.05). The rates of unfertilized embryos from superovulation using sexed se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KPN semen (50% vs. 15%, P<0.05). The rate of degenerated 2-cell embryos from sexed and KPN semen was 60.87% and 11.11%, respectively (p<0.0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erovulation using sexed semen was useful, but efficient embryo production was important to reducing the damage caused by the Flowcytometer-based sperm sorting procedure.
        4,000원
        18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system of OPU derived embryo production, management of recipients as well as offspring production. OPU derived embryo production system was carried out of aspiration of immature oocytes 2 times per week, total 24 times for 3 months by an ultrasonographic guided follicular aspiration system and then produced in vitro-produced blastocysts by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culture system. This work was collected total 13,866 oocytes, average 8.2±4.5 oocytes per session and 8,170 G1 + G2 grade oocytes, average 4.8 oocytes per session by 1,692 times session of total 71 donors for 4 years from 2010 to 2013. The rate of cleavage and blastocyst developmental competence were obtained 11,825 (85.3%) and 5,032 (36.3%) that was 7.0±3.8 cleaved embryos and 3.0±2.5 blastocysts per session. OPU derived embryo transfer were taken place in 2, 4, 6 and 7 local governments at 2010, 2011, 2012 and 2013 for 4 years and pregnancy rate were obtained 41.2, 43.9, 46.5 and 49.7% in each years. It means that pregnancy rate was continuously improved according of every year for 4 years. Pregnancy rat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local government in which was 62.7% in B, but 24.2% in F at 2012. Paternity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total 26 offspring in C local government of 2012 and then confirmed 100% agreement of its analysis.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the possibility of mass production of elite cow embryos as well as offspring by OPU derived embryo production system, of which could be decreased the required time of genetic improvement.
        4,000원
        190.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한우를 공란우로 사용하여 OPU 방법으로 가장 더운 계절의 hot season과 선선한 cool season의 두 계절의 차이에 따른 생성된 난포의 수, 난자 회수율, 난자 등급율, 수정율 및 배반포 발달 능력을 분석하여, 두 계절이 공란우의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1. 계절의 영향이 OPU 공란우의 난포 생성 수에 미치는 결과는 난포 생성 개수는 1154개(18.32±2.26), 971개(15.41±3.34)로 hot season 그룹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2. 계절에 따른 난자 수 및 난자 회수율은 hot season 그룹의 475개(7.54±3.14), 41.16%로 cool season 그룹 448개(7.11±3.42), 46.14%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3. OPU를 통하여 회수된 두 계절별 난자 등급은 Grade A는 Hot season 그룹 110개(1.75±1.86), Cool season 그룹 63개(1.00±1.46)로 hot season 그룹이 cool season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하지만 다른 등급인 Grade B는 87개(1.38±1.60) vs. 97개(1.54±1.39), Grade C는 166개(2.63±2.43) vs. 170개(2.70±2.04), Grade D는 112개(1.78±2.65) vs. 118개(1.87±1.86)로 hot season과 cool season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계절에 따른 체외 수정 후의 수정률은 hot season과 cool season 각각 242(66.67%)와 209(63.3%), 배반포 발달율 214(58.95%) vs. 188(56.97%)로 수정률과 배반포 발달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로 계절에 따른 영향에 의해 공란우의 난포생성수와 A등급의 난자 출현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나머지 등급의 난자 출현율, 수정률 및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계절의 차이로 인한 한우 공란우의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191.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무항생제 사육방식이 한우육내 코티졸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무항생제 및 관행 축산으로 생산된 한우육 1등급 등심(M. longissimus)부위를 3가지의 브랜드별로 각각 3회씩 구매하여 시료로 공시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우육 등심내 코티졸 함량은 무항생제 처리구에서 관행사육 처리구 대비 유의적(p=0.0176)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 함량에서는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관행사육 처리구에서는 포화지방산이, 무항생제 처리구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이 각각 높은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 중 n-3과 n-9 지방산을 제외한 n-6 지방산(linoleic acid, γ-lino-lenic acid)에서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한우육내 코티졸 농도와 n-6 지방산 농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히 linoleic acid와 유의적(p=0.0140)으로 부(—)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결과적으로, 무항생제 인증으로 사육된 한우육은 관행적으로 사육된 한우육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코티졸 함량이 낮았으며, 건강에 유익한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으로 분석됨으로써 육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92.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NPs in the 5'-regions of estrogen receptor-α(ESR-α), and association with calving interval (CI), service per conception (SPC) and 305 days milk yield in Hanwoo and Holstein dairy cattle. The genet-ic improvement was incurred low reproduction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nec-tions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 of Estrogen receptor-α (ESR-α) with reproduction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service per conception, and 305 d milk yield) in Hanwoo and Holstein dairy cattle. Hanwoo and Holstei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83 and 124 dam of breeding farms and DNA was extracted. Primer design was based on NCBI GenBank (Accession No. AY340579). The PCR-RFLP method with Bgl I was used to ge-notype the cattle. The result showed two variants of the ESR-α gene. The Bgl I cut the 492 bp amplification pro- duct into 322 bp and 170 bp fragments for allele G, while allele A remained uncut, resulting in two restriction frag-ments for homozygote G/G and three fragments for heterozygote A/G. We found two of different genotypes in the-se breeds, A/G and G/G. In Hanwoo, the A/G genotype frequency was 0.13, and G/G was 0.87. The CI of A/G was 382.18±10.03 days, and G/G was 381.69±5.22 days. The SPC of A/G was 1.62±0.16, and G/G was 1.32±0.04. While CI showed no significance difference, SPC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Holstein cattle, the frequency of genotype A/G was 0.02 and G/G was 0.98. The 305 days milk yield of A/G was 7,253.00±936.00 kg and of G/G was 8,747.51±204.88 kg,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4,000원
        19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anwoo usage in restaurants and to develop menus of lean cut Hanwoo. Restaurant served customers Hanwoo menus, with the exception of broiled or roasted meat, mainly to provide various menus to customers (4.14), due to customer needs (3.87) and utilizing stocks (3.59).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for not providing Hanwoo menus, with the exception of broiled or roasted meat was manpower shortage (3.63), lack of popularity (3.58), low profit (3.29), preservation of Hanwoos’ original flavors (3.28) and complex cooking methods (3.22). Concomitantly, the restaurant owners’ intentions to apply new menus with lean cut Hanwoo was 73.4%, showing an interest in developing new menus and recipes using lean cut Hanwoo suitable to the changing owner awareness of customer health and trends.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standard for developing cooking methods and developed menus according to classified recipes for lean cut Hanwoo, based on the survey of restaurants' current status of using Hanwoo and the owners' opinions. 20 menus using lean cut Hanwoo (rump or shank) were developed by 1st and 2nd cooking experiments, and in-depth interview of experts-groups. Of these, 12 menus suitable for the restaurant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consumer's evaluation using JARS. Structured recipe flow diagram and recipe instructions were developed for future semi-processed or processing foods. Diverse recipe methods using lean cut Hanwoo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however aggressive public relations work is required for promoting the developed menus.
        4,000원
        194.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고유 품종인 한우는 표현형 중 외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한우라 불리는 황갈색 한우, 칡소, 흑우로 구분되어 있다. 한우 집단 중, 칡소는 한우의 원형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제주흑우와 비슷하게 국내 희소품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현재 본 연구에서는 황갈색 한우와 칡소의 50K 고밀도 칩을 활용하여 선발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Rsb 분석에 따라 인위적 선발에 의해 진화적으로 선택된 유전체 영역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37개의 후보유전체 영역이 한우와 비교하였을 때 칡소에서 유의적으로 다름을 알수 있었다. 후보 유전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군을 대상으로 유전자 기능에 대한 주석 달기를 진행하였을 때, 불포화지방산 대사 과정, 면역 반응 등의 기능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영역들이 진화적 관점에서 칡소의 적응과정에 있어서 칡소만의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가지는데 기여하였다고 사료된다. 또한, 황갈색 한우의 선발신호와 칡소의 선발신호를 비교한 결과, 염색체 1번 2-2.5Mb 영역이 진화적 관점에서 공통적으로 선발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해당 영역의 유전자를 살펴본 결과, 각 발달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우라는 공통적 특성을 가지며 진화적으로 유지, 보존하고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칡소와 황갈색 한우가 가지는 선발신호는 거의 대부분이 다르다는 것을 Rsb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집단 내 고정된 단일염기서열변이 및 이형접합율을 비교한 결과 소수 집단에서 가지고 있는 유전적 변이 감소, 유전적 흐름의 급격한 변화 등의 유전적 특성이 칡소 집단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칡소의 선발신호 분석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칡소를 비롯한 국내 한우에 대한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되며, 국내 한우 집단 차이의 정확한 원인에 대한 연구는 추가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19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암소검정사업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한우 집단의 근교계수 및 혈통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한우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암소 데이터는 9개 도에서 2000년부터 2012년에 출생한 228,177두에 대한 정보 및 이들과 혈연관계가 있는 440,429두에 대한 혈통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지역별 평균 근교계수는 강원도 0.63%, 경기도 0.46%, 경상남도 0.49%, 경상북도 0.48%, 전라남도 0.71%, 전라북도 0.51%, 충청남도 0.40%, 충청북도 0.61%, 제주도 0.55%로 나타났으며, 선조 3세대까지의 조상을 알고 있는 개체의 비율은 동일한 지역에서 각각 80.0%, 79.3%, 75.5%, 76.8%, 77.3%, 71.6%, 75.4%, 79.3% 및 73.3%였다. 또한 아비에서 딸소까지 평균 세대간격은 7.63년으로 나타났으며, 어미에서 딸소까지 평균세대간격은 4.11년으로 나타났다. 근교계수 및 세대간격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효집단의 크기를 추정한 결과 2000년생부터 2005년생까지가 215두, 2006년생부터 2010년생까지가 140두, 2011년생부터 2012년생까지가 77두로 추정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효집단의 크기가 감소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한우 집단의 근교율을 감소시키면서 유전적 개량량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한우 암소 맞춤형 교배 전략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9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유소분해 효소제를 공급수준에 따라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에 적용하였을 때 성장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동물은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거세우로 각각 54두씩 총 108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험 개시 시 공시된 비육전기 및 후기 거세우의 평균체중은 각각 397.4±27.2(평균 17개월령), 525.2±47.4kg(23개월령) 이었다. 시험사료는 비육전기사료와 비육후기 사료를 구분하여 대조구 사료에 섬유소분해 효소제 0.05(E0.05, L0.05), 0.15% (E0.05, L0.15)를 첨가한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각각 3처리구에 각 처리당 6마리씩 3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하여 실시하였다.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에서 농후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와 L0.15구에서 L0.05와비교하여 증가하였으며, 총 건물섭취량 역시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p<0.001). 반면, 비육전기 및 후기 한우 거세우 모두 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비육후기 거세우의 도체특성은 L0.05와 L0.15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지방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1). 등심조직의 지방산 분석은 대조구와 처리구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본 시험에 사용된 섬유소 분해효소의 비육기 한우 거세우에 대한 첨가효과는 등심의 지방색이 짙어진 것을 제외하고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볏짚 위주의 조사료 급여체계에서 효소제 첨가수준 및 효소역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19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사료 내 아마씨앗의 급여가 등심 내 오메가 6와 3 지방산 비율(n-6/n-3) 감소효과 및 n-6/n-3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사람의 혈액 중 LDL-C 감소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단계별로 거세한우 20마리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아마씨앗을 함유하는 n-3 처리구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n-3 사료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액 및 등심 내 n-6/n-3가 4:1이하로 감소하였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으로써 올레인산은 52.79%까지 증가하였다. 임상실험자의 70% 이상에서 나타난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그룹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C은 각각 25.35, 5.22, 17.59% 감소하였고 수입 쇠고기는 9.05, 8.21, 21.70% 증가하였으나 일반한우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그룹의 HDL-C는 6.07% 증가하였으나 수입 쇠고기와 일반한우는 각각 14.46, 11.46% 감소하였다. 혈당은 균형 한우고기와 일반 한우고기가 각각 6.42, 11.82% 감소하였으나 수입 쇠고기는 15.19% 증가하였다.
        4,300원
        19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효소제 및 효모추출물 급여가 사양성적, in vitro 반추위 발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3개월령의 한우 거세우 48두를 공시하여 사료용 첨가제로 농후사료의 0.1% 수준으로 급여하여 출하시까지 대조구(무첨가), 처리구 1(효소제), 처리구 2(효모추출물), 처리구 3(효소제+효모추출물)으로 구분하여 급여하였다. 사양성적에서는 급여 4개월과 8개월의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처리구 1에서 가장 향상되었고 (p<0.05),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도축성적에서는 육량지수를 포함하여 처리구 1>처리구 3>처리구 2>대조구 순으로 나타났다. in vitro 배양액에 따른 처리구별 pH는 대조구>처리구 2>처리구 3>처리구 1 순으로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냈고, VFA와 사료소화율은 처리구 1과 3에서 높았고 (p<0.05), 대조구에서는 낮았다(p<0.05). 혈액성상에서는 면역 첨가제 급여군인 처리구 2와 3에서 급여기간에 따른 백혈구 수치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면역글로블린 G의 유의적(p<0.05)인증가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한우 비육후기 거세우의 사료첨가제 급여 시험에서 처리구 1은 급여 4개월부터 대조구 대비 사양성적 및 도체성적을 향상시켰고, 처리구 2는 급여 2개월부터 면역에 관련된 면역글로블린 G의 혈액성상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200원
        19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의 14번 염색체에 위치한 2,4-Dienoyl CoA reductase1(DECR1) 유전자는 polyunsaturated fatty enoyl-CoA의 β-oxidation과 연관된 호르몬으로 지질대사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의 경제형질 관련 DNA 마커 개발을 목적으로 DECR1 유전자 내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s)를 탐색하고,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부모가 서로 다른 한우 종모우에서 DECR1 유전자 내의 SNP를 탐색한 결과 총 13개의 SNPs를 확인하였고, 이 중 G20788A는 valine(Val)에서 methionine(Met)으로, A23262G는 isoleucine(Ile)에서 valine(Val)으로 바뀌는 missense mutation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도체 성적을 보유한 200두의 한우를 대상으로 missense mutation으로 확인된 G20788A와 A23262G의 유전자형과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G20788A는 근내지방도와 도체중에서 A23262G는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와 도체중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 할 수 있었고(P<0.05), 이를 통해 missence mutation인 G20788A와 A23262G는 각 경제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탐색된 한우 DECR1 유전자의 SNP 유전자형은 한우 선발 및 개량을 위한 DNA 마커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0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thawing methods including; refrigerated at 4℃ for 6 hr, soaked in 15℃ water for 40 min, exposed to room temperature (25℃) for 4 hr, and microwaved (600 W) for 2 min on the water-soluble nutritional component and meat quality trait of Hanwoo beef. The thawing beef by the refrigerated method resulted in significantly lower cooking loss, drip loss and loss of water-soluble vitamin B group, whereas the water-soaked method had higher loss of vitamin B group (p<0.05). Furthermore, total aerobic counts and coliform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eat samples thawed by the refrigerated method than that in the samples thawed by the other methods when stored for 6 days at 4℃. However,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tent was foun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microwaved method than that in the other thawing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thawing methods had remarkable impact on the water-soluble nutritional components, quality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y of mea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recommends that the thawed meat needs to be consumed and should not be stored for long time due to the acceleration of its quality deteriorati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