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4

        281.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기도 안성, 포천지역 인삼재배지의 이화학적 성질 및 인삼의 엽 분석을 실시하여 인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 및 엽중 적정 양분 농도를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인삼 생근중은 우량포지가 불량포지에 비하여 안성지역이 2-5배, 포천지역이 1.5-2배 차이를 보여 동일 지역내에서도 큰 생육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인삼 생육에 관여하는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적정 범위는 안성지역에서 공극률(〉50%), 전질소(2.0-2.8 g/kg), 유효인산(500-900 mg/kg), 치환성 Ca(2.3-3.5 cmolc kg-1)이었으며, 포천지역에서는 액상(13%〈), 유효인산(400-650 mg/kg), 치환성 Ca(4.0-4.7 cmolc kg-1), 치환성 Mg(〈0.8 cmolc kg-1), 치환성 K(〈0.5 cmolc kg-1)로 나타났다. 특히, 안성지역에 있어서는 치환성 염기 성분비(Exch Ca:Mg:K)도 인삼생육에 관여하고 있었는데 우량포지에서 6:2:1, 불량포지에서 4:2:1의 값을 보였다. 엽중 무기양분 함량 적정 범위는 안성지역에서 P(〈0.25%), Mg(0.22%〈), 포천지역에서 N(1.8%〈), P(0.18%〈), K(1.5-3.0%)의 값을 보였으며 그 이외의 일부 엽중 무기양분 성분비에서도 적정 범위가 설정되었다.
        282.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mand of packaged baby leaves has been increased for its convenient use as fresh-cut produce.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different sanitizers on the quality parameters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baby leaves. Thirteen days old baby leaves were harvested and washed in tap water (TW), 100 ppm chlorine solution (Cl), 2 ppm ozonated water (), 15 ppm chlorine dioxide solution () and washing with 0.2% citric acid solution followed by 50% ethanol spray (CA+Et). The samples were then packaged in 50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at for 10 days. Off-odor of packaged baby leaves was not detected during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or parameters among the treatments. Samples treated with showed substantially higher electrolyte leakage throughout the storage. This treatment also rendered a higher accumulation of in the packages. Samples treated with Cl and CA+Et maintained good overall visual quality with higher scores compared to that of and . Although Cl treatment showed lower number of total aerobic count at the beginning of storage, citric acid in combination with ethanol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until the end of storage. The combined treatment also showed comparatively lower coliform plate cou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citric acid wash followed by ethanol spray could be an alternative to chlorine for environment friendly sanitization of baby leaves.
        28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V 곡선을 적용하여 참취와 수리취의 수분특성인자를 측정한 결과 최대포수시의 삼투포텐셜 ψsato과 초기원형질 분리점의 삼투포텐셜 ψtlpo은 참취가 수리취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최대팽압 ψP,max는 참취가 수리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탄성계수 Emax는 참취가 수리취에 비해 약 2.4배 정도 높은 값을 나타냈다. 초기원형질분리점에서의 상대함수율 RWCtlp은 참취와 수리취 모두 90% 이상의 함수율을 보여 비교적 삼투 조절기능이 좋은 것을 알 수 있었고, apoplastic water의 비율은 참취가 더 크며, Vo/DW, Vt/DW, Ns/DW은 수리취가 참취에 비해 약 1.5~2.0배 정도 큰 경향을 보였다. 위 결과를 통해 참취와 수리취 모두 초기원형질분리점과 최대포수시의 삼투포텐셜이 높은 편으로 내건성은 비교적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윤한 지역이 생육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취와 수리취를 비교할 때 참취가 수리취에 비해 건성잎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최대탄성계수와 삼투포텐셜이 높아 내건성이 약간 더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8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eaves of Hippophae rhamnoide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n further fractioned with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in order to investigate biological activity. Two flavonol glycosid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which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RC50 = 4.33 μg/ml). Isolated two compounds have shown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specially, quercetin 3-O-glucoside (RC50 = 2.60 μg/ml) was more active than α-tocopherol (RC50 = 4.67 μg/ml).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to 4.17 and 1.14 mg/ml in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In addition,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was shown to the stronges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C50 = 137.88 μg/ml) among the frac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leaves of H. rhamnoides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285.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궁화 잎과 보스톤고사리 잎의 보존화 가공기술 개발 측면에서 탈수를 위한 에탄올(95%)의 적정 침지시간 및 보존을 위한 글리콜의 적정농도와 침지처리 시간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탈수처리는 무궁화 잎의 경우 72시간, 보스톤고사리 잎은 60시간이 적정하였다. 적색염료를 혼합한 글리콜에 무궁화 잎을 침지한 결과 색상은 모두 적색계열로 나타났으며, 색차값과 관능평가치는 15mL·L-1 농도에서 24시간동안 침지처리한 것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적색염료를 혼합한 글리콜에 보스톤고사리 잎을 침지한 결과 색상은 모두 R 및 YR 계열로 나타났으며, 색차값은 20mL·L-1 농도에서 36시간 동안처리한 것에서, 관능평가치는 20mL·L-1 농도에서 48시간 동안 처리한 것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무궁화 잎과 보스톤고사리 잎을 보존화로 가공시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 활용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286.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꾸지뽕잎의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세포의 독성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DNJ 함량과 rutin 함량을 측정하였다. Cell viability test에서 꾸지뽕잎 추출물 0.5-5 mg/mL의 농도일 때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세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동일한 농도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축적
        287.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뽕잎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품종별 채취시기별로 뽕잎을 채취하여 기능성물질인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디에 비해 상당히 낮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레스베라트롤의 주요 공급원으로 알려진 포도 품종과 비교했을 때에는 추기의 뽕잎은 오히려 평균 함량이 4배 높았다. 채취시기별 뽕잎의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에 있어서는 추기의 뽕잎이 춘기보다 함량이 높았으며, 춘기의 뽕잎은 어린잎보다 성숙잎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높았다. 즉 춘기 5개엽기 어린잎의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102ug/100g 이었으며 뽕잎의 성숙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165, 209, 359ug/100g 으로 증가하였다. 하벌 후 새로 자란 뽕잎을 8윌 중순에 채취한 것은 466ug/100g 이었으며, 10월 중순의 뽕잎은 483ug/100g 이었다. 특히 10월 중순에 채취한 뽕잎은 엽질이 매우 거칠기 때문에 직접 식용으로의 이용 가능성은 매우 적으나 '개량뽕', '수계뽕' 및 '청일뽕' 품종의 경우 뽕잎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각각 838ug/100g , 803ug/100g , 800ug/100g 으로 매우 높으므로 기능성 화장품 등에 첨가하여 사용하기 위한 레스베라트롤 추출물 등을 위한 시료로서 이용한다면 그 활용 가능성은 매우 클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신일뽕', '수성뽕' 및 '상일뽕'의 레스베라트롤 함량도 각각 794ug/100g , 606ug/100g , 583ug/100g 으로 높았다. '청일뽕' 품종의 뽕잎에 대한 수확 후 관리방법에 따른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뽕잎 채취 후 -70℃ 에서 냉동, 동결건조하는 방법보다는 수세 후 바로 실온에서 음건하는 경우 뽕잎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높았다.
        28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nitric oxide (NO) on antioxidant system and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oxidative stress under UV-B radiation was investigated in leaves of maize (Zea mays L.) seedlings during 3 days growth period. UV-B irradiation caused a decrease of leaf biomass including leaf length, width and weight during growth. Application of NO donor, sodium nitroprusside (SNP), significantly alleviated UV-B stress induced growth suppression. NO donor permitted the survival of more green leaf tissue preventing chlorophyll content reduction and of higher quantum yield for photosystem Ⅱ than in non-treated controls under UV-B stress, suggesting that NO has protective effect on chloroplast membrane in maize leaves. Flavonoids and anthocyanin, UV-B absorbing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accumulated in the maize leaves upon UV-B exposure. Moreover, the increase of these compounds was intensified in the NO treated seedlings. UV-B treatment resulted in lipid peroxidation and induced accumulation of hydrogen peroxide (H2O2) in maize leaves, while NO donor prevented UV-B induced increase in the contents of malondialdehyde (MDA) and H2O2.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NO serves as antioxidant agent able to scavenge H2O2 to protect plant cells from oxidative damage. The activities of two antioxidant enzymes that scavenge reactive oxygen species, catalase (CAT) and ascorbate peroxidase (APX) in maize leaves in the presence of NO donor under UV-B stress were higher than those under UV-B stress alone. Application of 2-(4-carboxyphenyl)-4, 4, 5, 5-tetramethylimidazoline-1-oxyl-3- oxide (PTIO), a specific NO scavenger, to the maize leaves arrested NO donor mediated protective effect on leaf growth, photosynthetic pigme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PTIO had little effect on maize leaves under UV-B stress compared with that of UV-B stress alone. Nω -nitro-L-arginine (LNNA),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NOS), significantly increased H2O2 and MDA accumulation and decrease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maize leaves under UV-B stress. This demonstrates that NOS inhibitor LNNA has opposite effects on oxidative resistance.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NO might act as a signal in activating active oxygen scavenging system that protects plants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by UV-B radiation and thus confer UV-B tolerance.
        28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항성원이 다른 7개이 근동질 저항성 계통과 감수성 품종인 Toyonishiki에서 X. oryzae pv. oryzae의 증식과 이동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접종 10일 후, NIL의 접종부위 잎의 세균밀도는 약 105~106cfu/cm2 이었으나 감수성 품종인 Toyonishiki에서는 약 107cfu/cm2 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감수성 품종에서의 세균 수는 급속히 증가하였으나 NIL에서는 점차적으로 증식하였다. IRBB 103과 Toyonishiki는 접종 25일 후에 접종부위로부터 20cm 위쪽에서 세균이 검출되었으나 다른 NIL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같이 Xa1, Xa4, xa5, Xa7 저항성 유전자는 세균의 이동을 크게 억제하였다.
        290.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시잎 분말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5.42%, 조단백질 28.15%, 조지방 6.95%, 조회분 15.27% 및 탄수화물 54.79%를 함유하였다. 총식이섬유소 함량은 39.66 g/100 g이며, 그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와 수용성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20.32 g/100 g와 19.34 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g
        291.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으로 사용되는 산채의 일종인 어수리의 지상부로부터 peroxynitrite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분리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hyperoside와 astragalin이 분리되었다. 특히, 높은 활성을 보였던 hyperoside는 이 식물재료 중 함량도 높아 어수리 잎은 peroxynitrite 과잉생산시 유발될 수 있는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심장질환 등의 예방과 치료에 유익한 식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92.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한 산양삼 잎을 Et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분획에 대해 silica 및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3개의 flavonoid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kaempferol-3-O-s
        293.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체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 분석에 필요한 적정 가수분해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은행잎을 이용하여 중심합성법으로 설계한 산 가수분해 시간과 HCl 농도에 따라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함량을 HPLC로 분석하고, SAS의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산 가수분해 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HCl 0.5~2.5 M, 0.5~2.5시간 범위 내에서 10개의 구간을 잡아서 최적화한 결과 1.5~1.9 M의 HCl 농도와 1
        29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 울릉미역취와 톱풀 어린잎의 항산화활성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가압열처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월 초순에 충북청원군 노지에서 어린잎을 채취한 직후 가압열처리(121℃, 1.2기압, 15분) 또는 무처리하여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80% 에탄올 용매로 환류냉각추출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및 ferrou ion chelating 정도를 측정 하였다. 톱풀과 울릉미역취의 추출수율은 가압열처리한 울릉미역취에서 가장 높았고(39.55%), 가압열처리한 톱풀 어린잎에서 가장 낮았다(28.15%). 톱풀과 울릉미역취 어린잎은 가압열처리 후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각각 1.506 mg·mL-1, 0.669 mg·mL-1씩 RC50값이 증가하였다. ABTS radical 소거활성 또한 각각 0.704 mg·mL-1, 0.421 mg·mL-1 씩 RC50값이 증가하였다. 반면 ferrous ion chelate 효과는 가압열처리에 의하여 향상되었으며, 톱풀의 어린잎에서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가압열처리는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감소시켰는데, 특히 톱풀 어린잎에서 감소폭이 컸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가압열처리는 울릉미 역취와 톱풀 어린잎의 Ferrous ion clelate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톱풀의 어린잎은 울릉미역취에 비하여 열안정성이 낮아 열처리에 의한 활성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95.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년 포도재배 농가에서 순따주기로 생산되나 버려지는 포도 잎의 이용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조건을 달리하여 분말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도 잎의 건조에 따른 중량 감소율은 방법에 따른 차이 없이 76~80%로 나타났다. 색도는 진공 동결건조방법으로 건조한 포도 잎 분말이 열풍건조 시료보다 포도 고유의 색을 더 유지되었다. 포도의 기능성 성분인 레스베라트롤, 쿼세틴, 카테킨, 에피카테킨은 모든 품종의 잎에서 검출되었으며, 열풍건조에 비하여
        296.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rts of leaves, flowers and stems in ginseng were obtained for analyzing the component of saponin on 15th April, 25th April, 5th May, 25th May, which were considered as ginseng foliation stage. The total saponin content of the leaves were 97.29, 66.42, 67.61, 36.24 mg/g, respectively, in which the content of Re, Rb1 and Rd were more than 2/3 amount of total saponin. Especially, the saponin content of leaves decrease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collection days, in which the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from the flowers and stems of ginseng. The total saponin content of the flowers and stems were 141.09,143.84,139.25,133.47 and 13.32, 9.85, 8.00, 4.65 mg/g, respectively. Among them, the content of Re, Rd and Rb2 in flowers were more than 2/3 while the content of Re, Rg1 and Rd in stems showed more than 9/10 amount of total saponin. The total saponin content of individual leaf were 19.46, 28.56, 58.82 and 169.24 mg/plant, 2.53, 2.76, 5.20 and 12.32 mg/plant in stems, and 14.11, 30.21, 37.60 and 73.41 mg/plant in flowers. Therefore, the total saponin content of aboveground parts in ginseng were leaves 〉 flowers 〉 stems.
        29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trichomes and acorns were investigated in 6-year-old artificial hybrids of Q. aliena × Q. mongolica var. crispula and Q. serrata × Q. mongolica var. crispula. Leaf shapes of Q. aliena × Q. mongolica var. crispula F1 were obovate and resembled to that of Q. aliena. But several characters including the size of leaf and petiole and the shape of leaf bas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In F1 hybrid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on the abaxial surface and their lay length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characters of nuts and cupules between both parents and F1 hybrids. Leaf shapes of Q. serrata × Q. mongolica var. crispula F1 were obovate-elliptic, and the leaf shape and leaf base and the length of petiol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but leaf size and serration resembled to those of Q. serrata. The number of serration in a leaf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and large single hairs were mixed on the reverse side of leave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the number and size of stellate hairs between F1 hybrid and Q. serrata. It is able to distinguish F1 hybrids from both parents by the size leaf size and shapes, leaf base and serration, petiole length and trichome type in the leaf.
        300.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lumbo nucifera (lotus) is known to be a useful medicinal plant and leaf extract contains several flavonoids and alkaloids. To analyze the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NNL) on the HBsAg production, we treated NNL on HepG2.2.15 cells which contain the hepatitis B viral genome and secrete surface antigen into media. NNL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s a dose-dependent manner. To analyze the effect of NNL on HBV DNA replication, PCR analysis was performed. NNL was not affected the HBV DNA replication and HBsAg mRNA expression. To understand the effect of NNL on the production of HBsAg, we carried out the analysis of lipid-metabolizing gene expression using one-step RT-PCR. NNL reduced the gene expression of FASN and SREBP2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LDLR. Triglyceride content of HepG2.2.15 cells was not decreased by treatment of NNL. This result suggests a possibility that NNL may have an effect for the inhibition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by modulation of lipid and cholesterol metabo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