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70

        32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ammulina velutipes is an edible mushroom and contains a lot of fiber, vitamin B1, B2, niacin and folic aci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Flammulina velutipes mushroom on immune cells and immunity. Th1 cytokine productions as IFN-γ, TNF-α, and IL-2 were measured in an activated macrophage by Flammulina velutipes water extract in seven concentrations (0, 5, 10, 50, 100, 250, 500, and 1,000 μg/mL). Also,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index was measured at 48 hours after treatment of the Flammulina velutipes water extract in seven concentrations or mitogen, LPS and ConA. The IFN-γ and TNF-α productions were increased by treatment of the Flammulina velutipes water extract. The TNF-α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50~1,000 μg/mL Flammulina velutipes water extract treated macrophages. The IFN-γ production of macrophages treated with the Flammulina velutipes water extract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groups, and the highest 1000 μg/mL concentration.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index was enhanced when the 10~1,000 μg/mL Flammulina velutipes water extracts were treated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primary results suggest that Flammulina velutipes may enhance the immune function by activation of the macrophage and spleen cell.
        4,000원
        32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에 식생활이 다양화되고 수산가공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도에 맞는 새로운 어묵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웰빙 시대에 부응하고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저칼로리, 저지방 어묵이 개발되어 단순한 식품의 부재료가 아닌 건강 및 기능성 식품으로 개선되고 있다. 더불어, 어묵은 다른 단백질 식품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 서민들이 많이 애용 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의 단순한 간식용 먹거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유통 및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아직도 어묵에 솔빈산염 등 합성보존료를 사용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식품의 안전에 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합성보존료의 인체 유해성이 논란되고 있다. 소비자 단체, 방송 등에서 합성 보존료의 부정적 이미지를 부각하여 어묵 소비의 감소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튀김 어묵은 저장, 유통 중 지방산패 등 품질 저하를 야기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식성 또는 분해성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하거나 합성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는 가시여지 또는 구아나바나로 알려져 있는 식물로 원산지는 아메리카의 열대지방으로 미국, 아프리카, 아시아, 브라질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단엽이며 상부는 광택이 있는 진녹색, 아래는 연녹식으로 열대지방에서는 잎을 전통적으로 암 및 다양한 질병을 치유하는데 사용하여왔는데 최근 많은 연구에 의해 많은 천연성분에 의해 다양한 암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잎의 천연성분으로 akkaloids, terpenoids, anthraquinones, tannins, phenols, phytosterol 등이 분리되어 항산화능 또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 잎을 ethanol과 증류수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을 어묵에 첨가하여(1.0, 3.0%, w/w) 저장기간 동안 산화적 휘발성 물질의 저감효과를 평가하였다. 그라비올라 추출물은 총페놀등 항산화능을 비교하였으며 그라비올라를 첨가한 어묵을 제조하여 15℃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와 GC-MS를 이용하여 산패취의 주요 물질인 hexanal, (E)-2-hexenal, (E)-2-heptenal, (E)-2-pentenal, heptenal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32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UPLC를 이용한 밀크씨슬추출물의 지표 물질인 실리마린의 신규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공전의 HPLC 분석법과 비교하여 UPLC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UPLC를 이용한 신규 분석법을 검증은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실험실 내 정밀성, 완건성 등 6개의 검증 항목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HPLC 및 UPLC 분석법 모두에서 6가지 실리마린 표준물질이 선택적이며 특이적으로 정확하게 검출됨을 확인하였으며, 실리마린 25-400 μg/mL의 농도에서 결정계수 값이 0.9999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갖음을 확인하였다. 정확성에서 UPLC를 이용한 신규 분석법의 회수율은 평균 99%이상으로 HPLC분석법보다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UPLC 분석법의 회수율편차가 HPLC 분석의 회수율편차의 절반 이하임을 확인하였다. UPLC 분석법에서 얻어진 피크 면적의 상대표준편차가 HPLC 분석법의 그것과 비교하여 절반 이하였으며, UPLC 분석법의 정밀성 및 실험실 내 정밀성이 HPLC 분석법의 정밀성 및 실험실 내 정밀성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 분석법 검증 결과, 모든 검증 항목에서 HPLC와 UPLC 분석법 모두 적합하게 검증되었으며, 검증 항목 중 정확성, 정밀성, 실험실 내 정밀성 및 완건성 항목에서 UPLC 분석법의 검증값이 HPLC 분석법보다 뛰어났다. HPLC 분석법으로 검체 100개를 분석할 경우, 총 분석시간은 95시간 30분 (기기 안정화 시간 포함한 분석시간은 약 96 시간), 총 이동상 소모량은 6,215 mL이고 이동상 소모량 중 methanol 함량은 2,450 mL이었으나, UPLC 분석법의 총 분석시간은 약 13시간 (기기 안정화 시간 포함한 분석시간은 약 14시간), 총 이동상 소모량은 168 mL이며 이동상 소모량 중 methanol 함량은 74 mL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UPLC를 이용한 실리마린 신규 분석법은 건강기능식품의 실리마린을 분석하는데 적합하며, 건강기능식품공전의 HPLC 분석법과 비교하여 효율적인 분석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32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육계(Cinnamomum cassia Presl)의 물 추출물이 알코올대사 효소인 alcohol dehydrogenase (ADH)와 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육계 추출물은 100 μg/ml의 농도에서 ADH의 활성을 98.8% 저해하였고, ALDH의 활성은 32.5% 저해함으로써 ALDH에 비해 ADH에 대한 저해효과가 탁월하였다. 육계를 80℃의 물로 2시간 이상 추출하였을 때 ADH의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다. 육계 추출물은 37℃, pH 2의 조건에서 4시간 이상 방치하여도 ADH의 저해 효과가 거의 100% 유지되어 ADH 활성 저해 물질은 산에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0℃의 물에서 2시간 끓여도 ADH 저해활성이 92.8% 유지되어 육계 추출물의 ADH 활성 저해 물질은 열에도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계 추출물을 열풍건조 및 감압농축 과정을 거치고 나면 ADH 저해활성이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육계 추출물의 ADH 활성 저해 물질은 쉽게 증발하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판단된다. 향후 육계 추출물의 ADH 활성 저해물질의 구조와 활성저해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육계 추출물의 숙취해소 천연소재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32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 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갈참나무 잎을 본 연구 에서 사용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갈참나무 잎을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 25, 50 및 100 μg/mL의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는 세포를 보호하여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50 μM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하기위해 사용한 H2-DCFDA assay에서는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 저감 활성을 확인하였고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100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50 μM ascorbic acid와 비슷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A- β-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노화활성은 ROS 생성 억제 효과 와 유사한 경향으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 노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 합하여 볼 때 갈참나무 잎 추출물이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세포 보호효과, 항산화 효 과 및 항노화 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2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의 목적은 미꾸라지 진액 속의 용매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mucin의 함량을 확인하고 이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진액을 ethanol, acetone 및 aluminum sulfate 3종류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결과 ethanol에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Ethanol의 농도를 60-100%로 하여 침전시켰을 때 침전물에 대한 mucin의 함량이 90%에서 가장 높았다. 증류수로 희석하여 제조한 다양한 농도(1.25%, 2.5%, 5%, 10%)의 mucin수용액 시료의 열 안정성을 측정했을 때 onset 온도, peak 온도 그리고 엔탈피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Mucin 침전물의 농도에 따라 다른 mucin 수용액을 제조하여 동적 점탄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mucin 용액이 탄성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특성은 점도가 높아짐에 따라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ucin 침전물을 이용한 항균능력에서는 gram-negative균과 gram-positive균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gram-negative균에서 더 강한 항균능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미꾸라지 mucin의 항균능력, 점탄성 그리고 열안정성의 성질 등과 같은 이화학적 특징들을 이용하여 앞으로의 비 식품소재개발에 기초 데이터로 사용하고자 한다.
        32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물김치의 저장 기간 중 품질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추출물 분말을 0~0.1%(w/w) 첨가한 물김치를 제조하여 물김치의 숙성 적기에 이르도록 10℃에서 6일간 발효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최적으로 숙성시킨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 물김치를 4℃에서 보관하면서 pH, 적정산도 및 젖산균 수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저장 15일까지 대조구와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 물김치의 pH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적정산도는 모든 물김치에서 동일하게 서서히 증가하여 저장 15일에는 저장 첫날에 비하여 약 2배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저장 중 젖산균 수는 모든 물김치에서 저장 2일 후에 107CFU/g수준으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저장 15일까지 107CFU/g이상으로 유지되었다. 전체적으로 4℃에서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물김치의 저장 중 품질 안정성은 15일까지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328.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검정하고자 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을 평가 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분화억제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되었다.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결과,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100, 500, 1,000 μg/mL 농 도처리구에서 양성대조군인 orlistat 보다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배양하여 색소 1 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추출물은 모든 처리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 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화된 3T3-L1 지방전구세포 에서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 시킨 대조군은 lipid droplet의 형성이 활발하게 유발되었으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lipid droplet의 형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l-time PCR과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PARγ와 C/EBPα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대조군에서는 PPARγ와 C/ EBPα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추출물 처리에 의해 PPARγ와 C/EBPα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pancreatic lipase 활성 및 지방전구 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킴으로써 항비만 활성 기능성 물질 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4,000원
        329.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a willow tree (Salix Koreensis andersson) extrac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investigating its: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SOD-like activity, DPPH vitality. the willow tree was induced with LPS to determine its active anti-inflammatory effects. as a result, the willow methanol extract showed a high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than those of willow distilled water extract, but the willow distilled water extract showed a higher SOD than that of willow methanol extract. in its DPPH scavenging ability, the willow methanol extract’s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illow distilled water extract. the willow extract’s measurements such as the production of NO, inflammatory cytokine (TNF-α, IL-6 measurement)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its concentration level went down. according to the research outcomes, when induced, he will extract’s macrophage produces mediator-like substances such as NO and inflammatory cytokine that can be used to allevi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therefore, the willow tree proved to be a useful raw plant material for the products designed to combat inflammatory activities due to its natur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response substances such as NO and cytokine.
        4,000원
        33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및 NO 생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각 126.4 mg/g, 223.17 mg/g으로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인 264.7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1차 첩포 테스트를 실시하여 피부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첩포 24 시간 후와 첩포 제거 24 시간 후에도 피부에 대한 자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높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으로 인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에 대한 피부 독성이 적고 NO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331.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 세포 독성, 항염증을 확인하고, 삼칠화 함유 화장품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하여 수분, 홍반, 모공, 블랙헤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ial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었고,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주간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이 3% 함유된 스킨 토너와 스팟 솔루션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한 결과, 수분 증가와 홍반지수, 눈에 띄는 모공수, 블랙헤드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사용 후 만족도 조사에서 피지량 감소, 붉음증 완화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칠화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여드름 관리용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332.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소엽(perilla frutescens)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며 널리 알려져 있는 약용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소엽을 물, 열수,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 가장 효과적인 추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물, 열수, 초음파 처리를 통해 각각의 자소엽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DPPH 라디 칼 소거능 및 총 페놀 함량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고, 인간 간세포인 HepG2에 대한 세포 독성효과와 hydrogen peroxide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간세포 보호효과를 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로 확인하였다. 자소엽 초음파 추출물은 5000 ㎍/mL농도에서 69.07%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며 물, 열수 추출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총 페놀 함량 측정 결과 51.60±1.06 mg GAE/g extract 로서 물, 열수 추출물 보다 높은 총 페놀 함량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보호효과는 미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자소엽 초음파 추출물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33.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alad dressing using Prunella vulgaris L. (PV) extracts. In addition, the study was also aimed at evalua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lad dressi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V extracts. Salad dressing was prepared by adding 0% (PD-0), 9.4% (PD-20), 18.8% (PD-40), 28.2% (PD-60), 37.6% (PD-80), 47.0% (PD-100) of PV extra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sugar contents, salinity, color value, total 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sensory acceptability) of the dress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gar contents and salinity of salad dressing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ed amount of PV extract (p<0.001). The color values of lightness and yellowness of salad dressing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ed amount of PV extract, whereas color value of redness decreased (p<0.001).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mprov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PV extracts (p<0.001). The sensory acceptability (flavor, medicinal flavor, saltiness, sourness, bitterness and viscos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ressing added with 18.8% PV extracts than in the other samples. Based on this result, a storag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comparing PD-40 and PD-C. After 4 weeks of storage at 4℃ and 24℃,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nd the pH was increased in the later stages of storage (p<0.05). The depicted that, viscosity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t 4℃ (p<0.001). General bacteria and coliform were not detected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alad dressing with the addition of 18.8% PV extracts has the best quality.
        4,000원
        334.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valerenic acid as a marker compound for the standardization of ethanol extract of Valerinan officinalis (valerian) root as a functional health food. We established valerenic acid as a marker compound using HPLC. HPLC was used to quantify the marker compound in the valerian extract after validation of methods with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specificity for retention time was met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alerian extract and standard compound using HPLC. The method showed high linearity of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9.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10 μg/mL. The accuracy of measurement was 99.88~ 00.68%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 was 0.59%. In addition, our analytical method yielded a 29% mean content of valerenic acid in the valerian ethanol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ablished HPLC method facilitated th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in the valerian extract for the standardiz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Key words: Valerinan officinalis, valerenic acid, HPLC, validation, functional health food
        4,000원
        335.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파의 이용 다변화를 위하여 껍질과 육질을 각각 100∼300℃의 조건에서 아임계수로 추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껍질과 육질 모두 추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아임계수 추출물의 페놀 함량이 증가하였다. 양파 껍질 추출물은 250℃에서 quercetin, quercetin 3,4'-diglycoside, quercetin-3- glucosid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육질 추출물은 quercetin 3,4'-diglycoside 의 함량이 200℃에서 가 장 높았으나 quercetin 및 quercetin-3-glucoside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양파 껍질과 육질 추출물의 quercetin및 그 배당체 함량은 300℃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양파 껍질과 육질 모두 추출 온도가 증가할수록 아임계수 추출물들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을 향상시 켰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아임계수 조건이 양파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4,200원
        336.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ffles made with coconut extract. Waffles were prepared with the substitution of 25, 50, 75, 100, and 125% of coconut extract. The viscosity of the batter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atio of coconut extract, whereas the spreadability measures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baking loss rate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atio of coconut extract while the moisture contents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L-value and b-value decreased but the a-value increased. TPA showed that the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te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amount of coconut extract while the resilience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waffles made with 100% coconut extract were the most preferable in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4,000원
        33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Ligularia stenocephala (L. stenocephala) extract.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55.950 mg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 stenocephala were evaluated by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 reducing power test.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approximately 90% and 70%, respectively.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 was 258.833 mg TE/g residue. The anti-adipogenic activity of L. stenocephala extract was examined in 3T3-L1 cell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3T3-L1 cells were treated both with and without the extract. L. stenocephala extract suppressed the lipid accumul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3T3-L1 cells. The L. stenocephala extrac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γ) and adipocyte protein 2 (aP2) proteins, compared with control adipocy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stenocephala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natural antioxidant and an anti-obesity agent.
        4,000원
        33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Pyracantha angustifolia (Franch.) C. K. Schneid was extracted with 70% methanol at room temperature for 48 hrs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measure its total polyphenol contents; furthermore, the effect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examined.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and methanol were used to fractionate the extract to testify total polyphenol contents, electron donating abilities, the removal abilities of superoxide radical as well as hydrogen peroxid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2007.30±109.28 μg GAE/mL in 70% methanol extract, 273.39±10.19 μg GAE/mL in methylene chloride fraction, 80.57±0.64 μg GAE/mL in ethyl acetate fraction, and 1,160.87±44.71 μg GAE/mL in methanol fracti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etween the solvent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79.07±7.31% for 70% methanol extract, 22.34±0.64% for methylene chloride fraction, 5.33±0.28% for ethyl acetate fraction, and 32.26±1.10% for methanol fraction.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etween the solvents. The removal ability of superoxide radical was 0.018±0.003 for 70% methanol extract, 0.007±0.002 for methylene chloride fraction, 0.0147±0.003 for ethyl acetate fraction, and nothing for methanol fraction. The measurement of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was 0.022±0.0046 for 70% methanol extract, 0.0027±0.0015 for methylene chloride fraction, 0.0037±0.0012 for ethyl acetate fraction, and 0.0009±0.0001 for methanol fraction.
        4,000원
        33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ew immunomodulatory agents from broccoli, ethanol extract (BCEE), hot water extract (BCHW), and crude polysaccharide (BCCP) were isolated from broccoli, and their immunomodulatory activities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In the in vitro cytotoxicity analysis, BCHW and BCCP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tumor cells and normal cells.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BCCP showed higher production of IL-6, IL-12, and TNF- α cytokines than those stimulated with BCHW. Also, BCHW and BCCP did not show proliferation of splenic lymphocytes. In the in vitro assay for intestinal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nly BCCP enhanced GM-CSF secretion and the bone marrow cell-proliferating activity via cells in Peyer’s patches at 1,000 μg/mL. Also, BCHW mainly contained 33.7% neutral sugars, such as arabinose, glucose, and galactose, and 30.7% uronic acid, and BCCP consisted of 42.6% neutral sugars, including arabinose, galactose, and glucose, and 50.5% uronic acid. The above results lead us to conclude that crude polysaccharide (BCCP) isolated from broccoli causes considerably high cytokine production in peritoneal macrophages and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nd the polysaccharide extraction process is indispensable for separation of new immunomodulatory agents from broccoli.
        4,000원
        34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various parts of the pine tree, which is known as a good source of functional food material. While ethanol extraction yields of pine bud and cone were higher than water extraction yields of pine bud and cone, water extraction yield of pine needle was higher than ethanol extraction yield of the pine needle. The content of polyphenols in the pine cone ethanol extract was 5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pine bud and needle. Further, the content of flavonoids in the pine cone ethanol extract was 8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pine bud and needl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 pine cone ethanol extract was 3~5 times higher that of the pine bud and needle extract. Regardless of the extraction solvents,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of the pine cone were stronger than those of the other parts of the pine tree. Taken together,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ine cone can be practically used as an antioxidant substance in food and beauty industri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