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초급 GIS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에 미흡하므로 이 점을 보완할 교육내용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GIS 초급 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IS 전문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GIS 업체와 GIS 기술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과 그들의 업무, 전문계 고등학교출신 기술자에게 요구되는 업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현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GIS 이론, 기술, 응용과 관련된 과목이외에도 'CAD 실습', '프로그램 개발', '수치지도 실습', ‘컴퓨터 기초 실습’등과 같은 독립적인 과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들이 GIS 관련 업체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전 학년에 걸친 대대적인 과목의 재구성이 필요하며, GIS 업체와의 긴밀한 협동 체제를 구축하여 산학협동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IS 업체의 수요에 맞추어 정규 교육기관인 전문계 고등학교의 GIS 관련학과에서 현장의 요구에 입각한 GIS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5,400원
        23.
        200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business is rapidly prevailing in our society by increasing of the use of the internet. Therefore the education system of e-business should contain requirements of customers, i.e. various industries. College curriculum should be related to tasks of e-business. This paper deals with e-business tasks that make college curriculum. It surveys the situation of college education and topics in the field of e-business. This research analyzes the needs and opinions of the local area companies. The acknowledgement and realization of e-business implements are surveyed and the education contents for college are researched.
        4,000원
        24.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dietitians and cooks in contracted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The instrument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extensive literatures on education programs and by interviewing with dietitians and cooks who were working in contracted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hand delivered at the fourteen contracted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by designated coordinators. A total of 286 questionnaires were usable; resulting in a 70.0% response rate. Statistic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mean value,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etitians wanted to take a management course. The cooks wanted to take a culinary education. The dietitians and cooks took an emphasis on service education, foodborne illness & HACCP and sanitation & safety. Service as well as the taste of food and sanitation was emphasized according to the flow of customer satisfaction. 2. Contracted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should provide dietitians and cooks with an education for the job to accomplish customer satisfactions.
        4,200원
        25.
        2023.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개설된 한국문화교 육 관련 교과목과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의 요구조사를 통해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 는 데 있다. 그 결과,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교 육을 부족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어학과 재 학 중인 학습자들은 모두 한국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측면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를 바탕 으로 본 연구에서는 1) 교육 내용의 풍부성, 2) 교수 학습의 다양성, 3) 교재 내용의 실제성, 4) 학습활동의 실천성이라는 네 가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에게 보다 더 적합한 한국문 화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토대를 다루었다는 데 의의를 둔다.
        26.
        2022.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 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 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 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 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 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 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 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코로나 상황(Covid-19)의 장기화로 인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던 많은 교육과정들이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필수 과정인 교육실습 역시 온라인 교육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초점은 비대면 교육시대의 온라인 교육실습을 위한 실습지도교사와 예비교사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2019년 충청권 교사연구회를 통해 드러난 실습지도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플랫폼에 요구되는 콘텐츠와 세부 기능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2020년 5개의 충청권 실습학교들이 실시한 온라인 교육실습의 내용을 살펴보아 현장의 요구가 어떻게 실천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2020년 온라인 교육실습을 경험한 각기 다른 대학교 소속 4명의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살펴 기억해야 할 가치와 교육실습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실습지도교사는 실습의 전 과정의 흐름을 드러내는 콘텐츠의 중요성, 학생들은 실제실습의 과정에 초점이 맞춰진 콘텐츠들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실습지도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소통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교육실습의 가치를 드러냈다.
        28.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인식과 그들이 지각하는 시민성의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도를 도출하여 그 우선순위를 파악함으로써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증진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 교육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수집된 714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t검증, χ2 분석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시민성의 하위영역 및 문항별 중요수준과 현재 수준 간에는 모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급별 분석에서도 고등학생의 경우 18개 문항 중 2개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중요수준이 현재 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전체와 학교급별로 우선순위가 높게 도출된 영역은 ‘디지털 보안’, ‘디지털 자아정체성’의 영역이었으며, 이는 1사분면에 위치하여 교육요구도 우선순위가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배운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교육에서 이런 교육이 반영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및 인식을 분석한 본 연구는 현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시민성을 교육하기 위한 지침 및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한계점을 제시 하였다.
        29.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과업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연수의 교육내용으로 우선 요구되는 과업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18학년 도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에 진로전담교사로 배치된 583명의 교사이다. 연구자료는 Jeong et al.(2017)이 제시한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과업에 근거하여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수집되었 다. 수집된 자료는 교육요구도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를 위한 교육연수의 교육내용으로 우선 요구되는 과업은 진로교육 관련 시 수 편성 및 학년 진로교육과정 방법 안내, 진로교육 수업자료 또는 정보 제공, 진로심리검사 결과 해석 방법 연수, 학생 진로상담 지원, 진로체험 예산 확보, 지역사회 네트워크 관리, 지역사회 진로 체험처 선정, 지역사회 진로체험처 프로그램 협의 방법 등이다. 둘째, 진로전담교사가 교육연수의 교육내용으로 다루기를 희망하는 과업은 여타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해결할 수 있는 과업과는 달 랐다. 연구결론에 따른 시사점도 제시되었다.
        30.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역량기반의 교육요구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예비교사와 같이 아직 현장 경험이 충분하지 못한 대상자에게까지 연구대상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교육요구 파악을 위 한 우선순위결정방안은 기존의 경험이 풍부한 대상자에게 적용했던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에 배경지식과 경험의 정도에 따라 보다 타당한 교 육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학습자라고 할 수 있는 현직교사와 아직 교직경험이 없는 미경험학습자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스마트교원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순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 13개 역량 중 10개 의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기존에 교육요구분석에서 사 용되었던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 교원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의 경우 창의적 문제해결, 내용전문성, 대외협력관계 형성의 순으로 나타났고, 현직교사들은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 계 및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역량에 대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큰 인식차이 가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결과로, 이는 역량에 대한 중요도 판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요구분석에서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이 결과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 과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에 보다 적합한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3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사선 이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고, 방사선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올바른 이해와 방사선 노출로 인한 유아안전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8월 C시와 G시의 유치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에 대한 이해수준 낮았으며, 방사선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을수록 방사선의 일반적인 유해성과 피폭유해성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 이해교육 정도는 낮았으나,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 이해교육의 필요성 및 요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교사교육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32.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교원의 역량을 진단하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교사 1,066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에 사용된 역량진단 도구는 총 13개 역량, 61개 문항으 로 구성되었다. 보유도-중요도 차이 분석과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마트교 육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계 및 개발, 내용전문성, 테 크놀로지 리터러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별 비교 및 지역별 비교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외협력관계 형성, 수업설계 및 개발, 평가 및 성찰이 상위 5위의 교육요구도 안에 공통으로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요구 수준과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33.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육변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스마트교육 구현에 요구되는 학교 관리자의 역량을 탐색하고 논의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 시범학교 관리자의 심층면담 분석결과와 선행연구의 논의를 토대로 스마트교육 구현을 위한 학교 관리자 역량군으로 ‘지식·이해’ 역량군, ‘가치·태도’역량군, ‘관리·지원’ 역량군, ‘기타’역량군 4개군 49개 역량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량 요소는 조사도구로 구안하였고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에 재직 중인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역량군 요소에 대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우선순위 및 필수 역량 요소를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이해’ 역량군에서는 4개(스마트교육 개념적 이해, 협동학습의 이해, 스마트교육 운영 방법 지식, 스마트교육과 창의성 교육 관계), ‘관리·지원’ 역량군에서는 2개(의사소통, 행·재정적 지원), ‘가치·태도’ 역량군에서는 3개(학교문화의 변화 이해, 새로운 변화에 대한 적응력, 민주적 마인드), ‘기타’ 역량군에서는 3개(스마트교육과 학생 생활지도, 고등사고력 신장,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이 도출되었다.
        34.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의 대학 내 평생교육원 한국어 교육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교육배경 및 한국어 학습 목적을 조사하고, 이들의 수업내용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의 교수 요목 설계 방안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한다.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 교수요목은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회화 중심의 수업보다는 한국어학에 집중되어있다. 그러나 대학 내 설치된 평생교육원의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의사소통 중심 수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 중국 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의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으나, 대학 본과생을 제외한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과정은 제대로 개발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그들의 학습시간과 요구에 맞는 교수요목 개발이 요구된다. 본고는 텐진 외국어대학교의 평생교육원 한국어 과정의 현황을 정리하고, 학생들의 요구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원의 한국어 교수요목 내용 설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학습 목표가 한국어로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나타나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을 요구하고 있음을 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학이 중심이 되는 일반대학의 한국어과정 교수요목으로는 이들의 요구를 달성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학습자의 요구분석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본고의 요구조사는 설문 대상자가 비교적 적었고, 텐진외국어대학교 평생교육원만을 대상으로했기 때문에 전국의 평생교육원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표할 만한 지표는 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원의 한국어 교육 교수요목의 설계 필요성이 드러난 만큼, 이제 다양한 평생교육원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많은 설문과 조사를 거쳐 데이터를 쌓고, 이를 분석하여 이들에게 맞는 교수요목이 재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3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할 때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가 어떠하며, 어떤 지원 방안들이 요구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였다. 조사는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최종 3단계의 결과에서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와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지원으로는 한국어교육 자격 연수를 통한 전문가 양성, 한국어교육 전문가 및 다문화 전문가 활용, 멘토링 제도 운영, 한국어 학습 도우미 제도 운영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물적 지원으로는 교재/자료 개발 및 보급, 다문화(한국어) 교육 센터 등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물적 지원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연구 결과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프로그램 제작 보급보다는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KSL 강의실에 치중되어 있어, 내용보다는 형식적인 지원이 앞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심리적 지원으로는 다문화 인식에 대한 제고와 다문화 가정 학생을 일반학생과 동일하게 취급하고 그들의 자신감, 정체성 의식 향상과 공동체 의식 향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매우 미흡한 수준이지만 비슷한 순위로 실천되고 있었다. 끝으로, 행·재정적 지원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교사(한국어/이중언어)의 대우, 저소득층 자녀 대상 교육비 지원,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비로 나타났으나, 이 역시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특히, KSL 교사의 지위 보장과 교재 및 교수·학습자료비 지원은 요구에 비해 행·재정적 지원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6.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들의 세부적 요구사항의 이해를 근거로 하여, 중국인에 대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신라대학교 한국어 연구소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생들에 대한 설문지를 조사했다. 설문지는 다섯 부분 즉, 학습자 요인, 교수방법 요인, 학습방법 요인, 학습내용 요인과 학습의 효과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여 우리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정하는 방향을 결정했다. 첫째, 기초 한국어 학습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외국인들은 그들의 높은 지적능력을 한국어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그들은 실생활 내에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넷째, 목적 이 의사소통 능력의 확장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문화를 받아들이는 방법은 다양한 수준에서 달라야만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