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2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69~2007년간 한국 전체의 어업생산통계자료에서 멸치 및 미역 생산량 중 1990~2007년간 동해남부해역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다. 이를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의 같은 기간의 207선 수온자료를 이용하였다. 표층수온의 저온화 시기가 4월이면 미역 생장에 호영향을 주어 미역의 생산량이 많고, 그 시기가 6월이면 멸치에 악영향을 주어 멸치의 생산량이 적게 나타났다. 반대로 표층수온의 고온화 시기가 4월이면 미역 생장에 악영향을 주어 미역의 생산량은 적었고, 그 시기가 6월이면 멸치에 호영향을 주어 멸치의 생산량이 많았다. 표층 수온이 고온화 되면 멸치 생산량은 증가하고, 표층수온이 저온화 되면 미역 생산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25.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crude fucoidans extracted from brown algae and brown seaweed powder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bacterial count on feed additives of early broiler chicks. A total 180 broiler chicks were assigned to 4 treatments. Each treatment had 15 chicks with 3 replications. The supplementation levels of fucoidan and brown seaweed powder i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0.5% (fucoidan), 3.0% (brown seaweed). The results obtained summarized as follows: The body weight gain and weight of chicks fed fucoidan (0.5%) was heavy compared with control. Feed efficiency of chicks fed fucoidan (0.5%) slightly improved compare with control. But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Gizzard weight, length of small intestine and weight of small intestin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villi height of chicks fed fucoidan (0.5%) was long compared with control. According to these data, this trial proves the fucoidan could be successfully used as the dietary supplement.
        4,000원
        26.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얻은 추출물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은 비열처리-효소 추출구보다 열처리-효소 추출구가 다소 높았으며, 조회분과 조펙틴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상등액 추출율은 celluclast와 pectinex의 효소처리 했을때 무열처리-효소 추출구보다 열처리-효소 추출구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젤리의 adhesiveness 값은 열처리-효소 추출구 일수록 그리고 Celluclast 효소만 처리했을 때 높게 나타났다. Celluclast 효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에서만 값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나머지 Pectinex 효소나 혼합효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에서는 값들이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비열처리-효소 추출구에서는 Celluclast효소와 Pectinex효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혼합효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에서는 L값이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a값은 녹색도를 나타내는 (-)값이 더 증가하였다. 열처리-효소 추출구 젤리가 비열처리-효소 추출구 젤리보다 맛과 조직감 면에서는 약간 우수하였으나 다른 항목들에서는 보편적으로 비열처리-효소 추출구 젤리가 더 나은 결과를 나타냈다.
        4,000원
        2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역을 엽상부, 줄기, 포자엽의 3부위로 구분하여 부위별 일반성분, 알긴산 함량 및 무기질 함량(다량 무기질. 미량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엽상부(10.5%)에. 탄수화물과 조지방은 포자엽(탄수화물 45.3%. 조지방 4.2%)에. 조회분은 줄기(39.0%)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긴산 함량은 25.9-32.2%이었고 불용성 알긴산이 수용성 알긴산에 비해 악 2~3배 많았다. 부위별로는 총알긴산은 포자엽(32.2%)에, 수용성알긴산은 엽상부(10.1%)에, 불용성 알긴산은 포자엽(27.7%)에 가장 많았다. 다량 무기질중 칼슘과 마그네슘은 엽상부(Ca 883.6 mg, Mg 1269.8 mg/100g D.W)에, 인, 칼륨, 황은 포자엽(P 680.5 mg. K 4508.0 mg. S 1287.4 mg/100 g D.W.)에, 나트륨은 줄기(6507.2 mg/100 g D.W.)에 가장 많았다. 미량 무기질중 철분, 아연, 망간은 엽상부(Fe 10.45 mg, Zn ,1.53 mg, Mn 0.71 mg/100 g D.W.)에, 크롬은 포자엽(0.14 mg/100 g D.W.)에, 알루미늄은 줄기(16.91 mg/100 g D.W.)에 가장 많았다. 칼슘:인의 비율은 엽상부와 줄기가 1.7~1.8:1이었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존재형태는 소금물 가용성 분획인 단백질 펙틴과 결합한 것(Ca 62.1~68.9%, Mg 89.6~92.1%)이 가장 많았고 물에 가용성인 분회(F-I)은 엽상부〉줄기〉포자엽의 순으로 많았으며, 칼슘섭취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수산과 결합한 염산 가용성 분획(F-IV)은 포자엽〉줄기〉엽상부의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4,000원
        2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30.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sulfites in 1,063 dried seaweeds in Seoul Chung-Bu market from March in 1999 to August in 2000. Sulfites of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Zn powder reduction method and Monnier-Williams's modified method. Two samples of 1063 (0.19%) were detected over 30ppm in SO₂ contents by Monnier-Williams's modified method. In samples detected over 30ppm, 2 brown algaes were 171.4ppm and 295.7ppm. By Zn powder reduction method, 54 dried seaweeds (54/1063 = 5.08%) were positive reaction (1-30ppm). These were 28 dried layers, 27 dried brown seaweeds and 2 sea cabbages. According to results, the quality test for the dried seaweeds must be reinforced to supply safety food for the citizens.
        3,000원
        3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역 (Undaria pinnatifida)의 엽상부, 줄기 및 포자엽 부위별 지방산을 분석하여 n-3 폴리엔산, n-6 폴리엔산. γ-linolenic acid (18:3, n-6) 및 α-linolenic acid (18:3, n-3)의 영양학적 의의를 규명코자 하였다. 총지방질 함량은 엽상부 3.37%, 포자엽 4.59% 및 줄기 2.50%였으나, 지방산 조성을 볼 때 엽상부는 총 폴리엔산 44.18% 중 α-linolenic acid (18:3, n-3) stearidonic acid(18:4, n-3), eicosapentaenoic acid (20:5, n-3) 및 docosahexaenoic acid (22:6, n-3) 와 같은 n-3계열의 폴리엔산은 29.69%였으나 γ-linolenic acid (18:3, n-6) 0.90%로 매우 낮았다. 총 폴리엔산과n-3계열의 폴리엔산 조성비율을 볼 때 엽상부는 44.18% 및 29.69%였으나. 포자엽은 23.63% 및 5.58%였고 줄기는 26.66% 및 7.37%였다. 한편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n-3 폴리엔산의 함량을 볼 때 엽상부는 22.40%, 35.82% 및 3.53%로 현저하게 높았으나 줄기는 5.26%, 9.51% 및 2.37%였고, 포자엽은 4.49%, 8.01% 및 2.1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미역 엽상부의 총 폴리에산과 n-3 폴리엔산은 기능성 식품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시사된다
        4,000원
        32.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역 추출액의 식품가공 적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Brookfield digital viscometer(SPDL21)를 사용하여 전단속도를 달리하면서 정상유통특성을 조사하였다. 100℃, 2시간 열수 추출한 미역 추출액의 유통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항복응력을 가진 pseudoplastic 거동을 나타내었다, 유동특성과 온도의 관계를 알기 위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서 겉보기점도와 1/ T의 관계를 도시한 결과 겉보기 점도는 회전속도 10rpm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1.15 kcal/mole로서 온도의 의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3.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nalyzing the impacts of seawater surface temperature rise on sea mustard yields of Goheung and Wando coast in Korea, with employing a panel data regression model. Our results show that there has been a negative impacts on sea mustard yields as seawater surface temperature continuously has been rising. Especially if the upward trend in seawater surface temperature since 2005 will be maintained in future, sea mustard yield is expected to decrease by 2.6% per year.
        34.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적 유산균 배양의 가격대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질소원, 탄소원 및 무기염물을 기본량으로 기본배지를 제조하고, 효율적인 고농도 유산균체를 수득하기 위하여 pH조절제로서 따로 첨가되어지는 합성 화학물질을 대신하여 미역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미역의 최적의 첨가 방법을 찾고자 추출, 착즙, 분말의 형태로 배지를 제조하여 유산균증식능 평가한 결과, 착즙의 형태에서 유산균 증식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폐기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가식부 외 미역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착즙형태로 첨가함으로서 종래 pH 조절을 위해 완충액으로 첨가되는 합성 화학물질을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역첨가 기본배지 선정에 따른 배지 단가를 절감하면서 높은 균체 수율을 얻는 등 충분한 경제적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역을 이용함
        35.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와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억제활성 증진을 위해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해조류 첨가된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과 미네랄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3가지 해조류의 첨가량은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톳과 미역귀 5% 첨가에 의해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철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톳 20% 첨가한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환원능력이 야채추출물보다 각각 47.08와 16.8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3가지 해조류 첨가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큰 변화가 없었다. 톳, 매생이, 미역귀 20% 첨가에 의해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27.47, 22.25, 17.2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해조류 첨가된 혼합 야채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약한 α-amylase 억제활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강한 α-glucosidase 억제활성이 나타냈다. 특별히 미역귀 5% 첨가한 경우 α-glucosidase을 98.26%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전반적으로 해조류 첨가를 통해 야채추출물의 미네랄 함량이 증가하였고 항산화와 2형 당뇨병 관련 효소 억제활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37.
        2012.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granule tea variants (WSM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mustard hot water extract; ASM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mustard autoclave extract; WST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tangle hot water extract; and AST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tangle autoclave extract) from sea tangle and sea mustard powder. The Color of WSTGT showed the highest L*, b* values, and the lowest a* value. The water absorption binding agents in ASMGT were higher than those in WSMGT, WSTGT. and ASTGT. Binding agents on water absorption in ASMGT were higher than those of WSMGT, WSTGT, and ASTGT. The alginic acid content of ASMGT was highest.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ASMGT and ASTGT were highes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in WSTGT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other granules tea vari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ssure extraction can be used in functional foods.
        40.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torage stability of Undaria pinnatifida was investigated. A three-log reduction in total aerobic bacteria in U. pinnatifida samples was obtained by irradiation with 3 kGy. During storage for 2 weeks, the viable counts of microorganisms in non-irradiated U. pinnatifida increased to 6 log CFU/g. However, irradiation of U. pinnatifida by 5 kGy eliminated microorganisms. The Hunter of U. pinnatifida was slightly increased after 5 kGy of irradiation. The hardness properties of U. pinnatifida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were not changed by irradiation with up to 3 kG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dose irradiation (3 kGy) could be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the storage stability of U. pinnatifida.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