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를 통해 안경원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안경원의 물리적 환경(즉, 서비스스케이프)의 점검이라는 근본적인 진단을 통해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고취할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고객의 다양성 요구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서비스 스케이프의 5개 요인(심미성, 편리성, 청결성, 공간배치, 주변환경)이 각각 소비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검안법의 차이가 조절할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검안법 차이에 대해서는 아이세이버 안경체인이 적용하는 검안법과 일반안경원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연구모형과 4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일반안 경원 고객 100명과 아이세이버안경원의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작성 후 배포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24와 아모스 24를 활용하였다.
결과: 서비스스케이프의 5가지 요인 중 편리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안경원 서비스스케이프와 소비자 만족도 및 충성도 각각의 관계에서 검안법 차이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각기 다른 검안법 서비스를 받는 고객들이 인지하는 안경원의 서비스스케이프 하위요인들에 대해서는 모든 요인에서 아이세이버안경원의 검안법을 제공받는 고객들이 더 높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미성과 주변환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편리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안경원 경영자와 안경사들은 고객의 관점에서 이동 동선과 위치적 접근성, 안내 자료의 위치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후 기타 요인에 대한 투자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다. 서비스스케이프가 물리적 환경에 초점을 둔 것이며, 검안법은 비록 안경원의 경쟁력과 직결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인과관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검안법의 차이가 안경원이 제공하는 물리적 환경을 좀 더 나은 것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research on measuring customers' service satisfaction is far insufficient. Therefore, ways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accurately need to be established due to the ambiguous types of service business. This research classifies the types of service business into service factory, service shop, mass service, professional service by using Schmenner's Service Process Matrix and conducts research on domestic literature that measured service satisfaction with Servqual and ServPerf.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guidelines to measure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ypes of service business by researching ways to measure servic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ervice business and analysing the actual application methods based on a table that summarizes previous research on Servqual and Servperf.
Both employee satisfaction and loyalt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business performances of organizations in the service industry. However, the influence of TQM practices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has not been examined in the ICT service supply chai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ive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practices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in Korean ICT customer service and retail distribution organizations. Based on an empirical study of 578 respondents in a Korean ICT service company, the study examined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mong TQM practices,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it is found that TQM practic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employee satisfaction, whereas the latter in turn influences employee loyalty.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that the ICT customer service and retail distribution organizations should concentrate on enhancing employee satisfaction of their TQM practices and creating a people-satisfied job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직무, 감독, 임금, 승진, 동료요인이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 밝히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가출청소년에 대한 서비스 질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감독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임금은 낮을수록 서비스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임금과 서비스 질은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승진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를 잘 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육이 적절한 시기에 제공되어져야 하며 능력에 맞는 근무량과 근무시간이 주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감독에 대한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적인 지지나 소통, 개인적인 관심사, 공정한 평가 등 감독과 종사자와의 관계개선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임금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데도 서비스 질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쉼터종사자는 임금은 낮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자를 위한 서비스 질은 높게 나타났으므로 향후 이들의 임금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쉼터종사자들은 동료와의 관계를 신뢰하고 존중할수록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나 동료애를 제고할 수 있는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hildren from 10 community children centers located in northern Seoul. The quality factors of the food services of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s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including sanitation, food, environment, subsidiary service and staff.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the food service quality indicated satisfaction to be higher than importance for in all the factors except 'environment'. In particular, of the food service qualit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attributes of 'food' and 'environment'. As a result of IPA of the food service qualities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sanitation' was found to be in the maintenance area, 'environment' to be in the area of concentration, and the quality attributes of 'staff' and 'subsidiary service' were found to be in the low priority area. In contrast, the 'food' quality corresponded to the area of oversupply.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rvice and the product evaluation factors of Korea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and to suggest marketing implications for Korea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wanting to expand into the Chinese market.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college female students in Qingdao, China, who have shopped at Korean internet shopping malls, and 310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found the Korea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most purchased item was outer clothing. Second, the system stability and web site structure excellence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shopping mall 'S', while the system satisfaction, service efficiency, interactivity and web site structure excellence facto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shopping mall 'P', and the system satisfaction, service efficiency, interactivity facto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shopping mall 'N'. Third,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 satisfaction for the shopping mall 'S', 'P', and 'N' with fashion product evaluation factors showed that, design factors and quality excellence factors of the three shopping malls had positive influences on produc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forming an efficient operating system and improving marketing strategies for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planning to enter or having already entered the Chinese market.
Recently,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has skyrocketed because of a plenty of useful services that smartphone applications provide. In the Information Systems (IS) literature,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of smatphone applications on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reby, this study examined 1) th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of smartphone applications on users belief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iness and 2) the effects of the user beliefs as mediating variables on users' attitude, satisfaction, and loyalty. A survey was conducted and SE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smartphone applications affect users' attitude, satisfaction, and loyalty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목적: 수도권지역의 10대 이상의 고객을 대상으로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의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원 이용 경험이 있는 수도권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고객이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을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 확신성, 그리고 전문성의 6가지 기준으로 조정하였다. 기준에 맞는 예제들을 수집하여 설문 조사하고 통계처리를 하였다. 결과: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은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신뢰성, 대응성 그리고 확신성에 해당하는 설문 중 제품의 품질, 충실한 A/S, 그리고 렌즈의 관리법과 사용법을 묻는 질문에는 프렌차이즈 안경원이 선호되었고 유형성과 공감성 설문에는 친밀함과 편안함을 주는 일반 안경원이 선호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소비자의 선호도를 분석했을 때 각각의 장점을 강조하여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의 특색에 맞는 서비스를 강화한 차별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Assessing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s the essential part of service science. In this study, for G2B electronic commerce service composed of information systems and human resources, a composite research model for exploring factors of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s proposed. The proposed model uses SERVQUAL’s five quality dimensions as independent antecedent factors and usefulness and ease-of-use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s mediating factors. A case of a G2B purchase service is empirically studied using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composite model is good and appropriate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2B services.
The two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service encounters in Korean restaurants by foreigners living in Korea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ice encounters on the customer's emotion feelings,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e reactions of a total of 614 foreigners obtained by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s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s a total of 4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χ2 683.466 (df=216), CMIN/df 3.164, RMR 0.095, GFI 0.911, AGFI 0.886, NFI 0.933, CFI 0.953, and RMSEA 0.059.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physical environment, interactions with employees, and interactions with other customers were quantified as service encounter factors in Korean restaurants. These factors were indicated to have an influence on customer's emotion feelings. Also, customer's emotion feeling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In service science, it is critical to measure service satisfaction for innovating service processes, which is challenging for service sectors oriented to the usage of IT systems. For that purpose, in this study, a model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목적 : 노인장기요양보험 중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과정에서 작업치료 중재 유무에 따른 대상자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체계 내에서 작업치료사의 전문적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과정에서 작업치료 중재를 받은 5명과 작업치료 중재를 받지 않은 5명을 대상으로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작업치료사가 면담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9년 9월부터 12월까지였다. 대상자의 만족도 측정을 위해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2.0을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중재 집단이 작업치료 비중재 집단 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복지용구 기기에 대한 항목 중 효과성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1). 복지용구 서비스에 대한 항목에서는‘수리와 유지관리 서비스’항목(p=.02)과‘전문가 서비스의 질’항목(p=.01)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복지용구급여 서비스에서 작업치료 중재가 대상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 본 연구 결과는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기초로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체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s' perception of service encounter elements,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 family restaurant. Based on a total of 408 samples,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4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of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χ2=821.151 (df=333), CMIN/df 2.466, GFI .878, NFI .927, IFI .955, TLI .949, CFI .955, RMSEA .060. The results showed that human factor (β=.426) and physical factor (β=.266) as service encounter elements in family restaurants were indicate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customers' positive emotion. For influence of customers' negative emotion, human factor (β=-.157) was surveyed to have a negative (-) influence. Also, customers' positive emotion (β=.716) and negative emotion (β=-.081) had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Due to fierce competition, many domestic fashion businesse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securing and maintaining customers. Accordingly, fashion companies are devoting all their energy to secure customers by using high quality and diverse strategies for distribution and promotion, and to secure loyalty by satisfying customers with the offer of excellent service.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systematic service recovery strategy available for handling service failure effectiv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rehensively analyzing influences of expectation dis-confirmation and perceived justice for service recovery upon consu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ervice failure that customers experienced, the more consumers who expect it to be recovered led to the higher formation of expectation-compensation dis-confirmation. Second,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er seriousness in service failure that customers experienced led to the lower satisfaction and loyalty to service recover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influence of expectation-compensation dis-confirmation for servicefailure recovery upon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customers who showed more positive dis-confirmation to expectation-compensation were indicated to form the more satisfaction and loyalt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justice in the process of service-failure recovery upon customer satisfaction, all in 3 dimensions of justice had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전공하고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기반을 둔 치료지원 서비스 전문가의 근무환경 과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향후 교육기반 작업치료사의 복지향상과 최적의 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1월 4일부터 2010년 1월 20일까지 전국에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작 업치료 전공자를 대상으로 전화, 우편,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6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고용형태는 계약직 전일제, 직책은 작업치료사, 급여는 150~200만원 미만, 순회 근무지 수는 1곳, 대상 아동 의 장애유형은 지적장애, 치료 기구 및 장비의 구비 상태는‘그저 그렇다’로, 관련서비스 팀원으로 특수교사로 대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학교에 근무할 때 전체만족도가 높았고, 정규직이고, 급여가 많을수록, 1일 치료 아동 수가 적을수록 보상체계 만족도는 높았으며 근무처와 직책에 따라 자율성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기 구 및 장비 구비 여부에 따라 업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일 치료 아동 수에 따라 인정지위와 자율성, 만족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 요인 중 업무체계와 보상체계, 업무체계와 자율성, 인간관계 와 인정지위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특수교육지원센터 및 학교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비롯한 치료지원 전문가들의 근무환경 개선과 직무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과 방안이 필요하며 학교기반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미나 및 보 수교육, 학교 기반 작업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