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

        2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슬로라이프 에 기반을 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실제 적용 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ADDIE 교수체제개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 쳐 체계적인 5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의 Y초등학교 교육군 130명을 대상으로 프로 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같은 소재의 J초등학교의 같은 학년 100명을 대조군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여부를 평 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생활의 주 체적인 실천을 도모하기 위하여 슬로라이프에 기반을 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아동 개인의 건강한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건강한 식생활 실천, 가정에서 의 가족식사를 통해 배려하고 감사하는 식생활 실천, 지역사 회의 농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환경을 사랑하는 식생활 실천,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깨닫고 전통음식을 즐기는 식생활의 실 천을 목표로 그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야기하기 활동, 시각적 자료 등을 이용한 이론 학습 활동, 식재료를 이용한 감각체험 활동, 조리·조 형 활동 등 체험활동 위주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에서 개발된 슬로라이프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활용 가능성여부 파악을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 램을 적용하였다. 2)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판정을 위하여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TPB)의 변수를 이용하여 교육군과 대조군의 교육 전· 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교육 전, 동질성 검증을 통해 지식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 있어서 두 그룹은 유의적으로 다 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교육 후 교육군은 모든 계 획행동이론(TPB) 변수에 있어서 유의적 변화(p< .01)가 나타난 반면, 대조군은 지식 및 행동 의도에 있어서만 약간의 유의적 차이(p< .05)가 나타나 교육에 의한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다. 3)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 모형의 적합도 검정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슬로라이프 식생활 실천 행동에 미 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행동 변화를 예측한 결과, 태도와 지 각된 행동통제, 행동 중요도 변수는 행동 의도의 선행 요인 이 되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행동 중요도, 행동 의도는 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식과 주관적 규범이 행동 의도의 독립 변수가 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교육의 목적이 지식 향상과 더불 어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임을 고려하였을 때 5주 간의 교육은 아동의 식생활 습관 전반에 걸쳐 행동의 변화 를 유도하기에는 짧은 기간으로 생각되어 연구의 한계를 나타낸다. 연구에서 보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의 행동 변 수의 변화는 일시적일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긍정적인 효과의 지속 여부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추후 반복적인 교육 과 유사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확장된 개념의 계획행동이론 (TPB)을 적용하였으나 교육 내용과의 일치 및 변수에의 적용 등을 고려하여 검증되지 못한 측정도구를 사용한 데에 있어서 연구의 한계를 나타냈다. 추후 개발되는 식생활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 및 이론을 적용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연구에서 개발된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교 고학년 아동의 식생활의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으므로, 향후 초등학생 대상의 바람직한 식생활 함양을 위한 교육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지역의 특색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활발한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아동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4,000원
        2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방과후돌봄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방과후돌봄은 가족돌봄과 사회적 돌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돌봄과 사회적 돌봄의 한 형태인 방과후교육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영향 여부와, 또래애착 및 공동체의식의 매개역할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가족돌봄의 질은 부모의 친구관심으로 대표된 다. 방과후교육은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다양한 돌봄서비스 이용 경험으로 측정한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KCYPS) 2011년도 초등 5학년 아동과 보호자 2,200명의 데이터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방임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다. 둘째, 방과후방임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부적인 영향은 일부 공동체의식을 통해 매개된다. 셋째, 가족돌봄의 질 제고는 공동체의식과 또래애착을 증진시켜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인다. 넷째, 방과후 교육은 공동체 의식과 또래애착을 증진시킴으로써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인다.
        8,400원
        23.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등 자녀의 자기주도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조력자로서 어머니의 영향과 역할이 중요하다. 아동이 이미 갖고 태어난 인성적 특성으로서의 자기주도성이 발현되도록 도와주는 어머니 역할이 어느 시기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 자아개념을 관련변인으로 하여 자녀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어머니 삶의 만족도가 자녀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초등자녀를 둔 어머니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자녀의 주도성을 높일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어머니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어머니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대상자의 직업, 수입, 학력, 가족구성, 자녀수, 자녀성별 중 대상자 자녀의 성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삶의 만족도 관련변인 중 부모역할만족도와 배우자지지도는 자녀주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어머니의 자아개념은 자녀주도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와 자녀주도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자아개념은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 자녀의 주도성 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에 따라 자녀주도성에 영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 자녀주도성 등에 부적 영향을 미친 어머니 자아개념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500원
        2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tudy the importance of family meals in adolescents, 251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on their family meal patterns, dietary behaviors,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The family meals were defined as "meals with all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by 62.2% of the students. For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42.2% of the students replied having family meals "More than once a day". A common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having a family meal was a "lack of time" (73.3% of the students). Students tended to respond that they would be most fond in having meals with entire family members with traditional Korean food. Having more frequent family meals was found to benefit both individual and familial dietary behavior. In terms of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the group having frequent family meals consumed significantly more rice, tofu, legumes, meats, fishes, eggs, green vegetables, seaweeds, fruits, milk, and milk products. This indicates that students can achieve a balanced diet through family meals. In terms of emotional status, the group having more frequent family meals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daily life, health, nutritional status, and care from their relatives. In terms of personal mental status, the group having more frequent family meals was also found to be more effective at controlling undesirable emotions such as loneliness, indignation, and lethargy.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in the group having more frequent family meal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dietary behavior, a balanced nutrition, a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a more stable mental status. This result is useful as nutritional and educational information in schools to impress upon the public the importance of family meals for adolescents.
        4,000원
        25.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uide students by presenting an efficient operational direction of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that could satisfy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an accurate i
        4,200원
        26.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their satisfaction for school life, and thereb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during adolescent period and t
        6,100원
        27.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Saturday Sports Day and subsequent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establish the base to activate Saturday Sports Day with which both teachers
        7,800원
        28.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student athletes' school life in high and middle school. It will study and analyze the school life condition of soccer players in middle and high school, after the "Weekend-only League" system was implem
        8,400원
        3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 수준이 부모가 보고하는 뇌성마비 아동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령기(8~18세) 뇌성마비 환자들 중 강직성 양하지 마비 형태를 보이는 29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삶의 질 평가는 부모에 의해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은 기능 수준에 따라 세 집단(계단 보행 가능 집단, 일반 보행 가능 집단, 그리고 보행 불가능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삶의 질 평가는 한국어판 KIDSCREEN 52-HRQOL을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결과 : 기능 수준에 따라 삶의 질 영역들 중 ‘신체활동과 건강’, ‘심리적 건강’, 그리고 ‘자유시간’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이외의 영역들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높은 기능 수준을 보인 집단에서 전체 삶의 질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기능 수준이 뇌성마비 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신체 기능과의 관계가 삶의 질 평가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인 것으로 이해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향후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35.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의 여가생활 경험을 통해 시각장애 학생에게 여가는 어떠한 의미인지, 여가를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그리고 보다 나은 여가생활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에 재학 중인 청소년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학생은 주어진 상황과 여건에 맞추어 여가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삶에서 여가가 필요한 이유나 여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시각장애 고등학생은 반복적인 단조로운 여가생활을 하면서, 때로는 주변 사람과 함께하는 여가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보다 많은 경험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시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시력의 한계로 인해 여가생활에 참여 하면서 다양한 어려움도 존재하였다. 또한, 시각장애학생은 자신이 좋아하는 여가활동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고민해보기도 하고, 여가시간을 자신의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시간으로 보내기도 하였다.
        36.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그릿, 스트레스,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52명의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 그릿 척도,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둘째, 그릿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셋 째, 스트레스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넷째, 그릿과 스트레스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삶의 만족을 높이려면 교사들이 긍정정서를 많이 경험하고 부정정서를 적게 경험하도록 하며, 그릿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낮추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37.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자율체육활동 체험교실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교생활 만족도로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G시 자율체육 체험교실을 운영하고 있는 4개 학교의 4개의 자율체육 체험교실 5,6학년 학생 2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학교에서 자율체육 체험교실에 참여하는 학생 65명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 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2.0을 사용, 집단 간 및 집단 내의 차이 및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했다. 이러한 연구 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체육활동 체험교실 참여 전후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하위 요인인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의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여부에 따른 학교 생활 만족도를 분석해 보면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 났다. 셋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학생의 주변 환경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하면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38.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외국인노동자 부모를 따라 한국에 입국한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출신 고려인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 학교생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그들이 경험을 이해하고 시 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1년 이상 한국에서 학교생활을 경험한 3명의 고 려인 중도입국청소년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해 그들의 학교생활 경험을 탐색하였고, 그 경험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업성취 영역으 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한국어 구사 한계로 인한 의사소통의 문제가 학교생 활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둘째, 또래와의 관계에서 한국어 부족과 문화적 차이는 상호 친 밀감 형성에 어려움을 갖게 하였다. 욕설을 듣고 왕따를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곧 학교부적응으로 이어졌다. 셋째, 교사와의 관계에서 교사들은 친절히 대해주는 편이었으나,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어 이해 부족과 부진한 학습 활동으로 인해 교내 활동에서 제외될 때에는 배려라기보다는 교사의 무관심과 무시로 여기고 있었다. 넷째, 학업성취면에서 출신 국의 우수한 학교성적과 한국에서의 낮은 학업성취 결과는 이들로 하여금 어려움을 겪게 했는데, 특히 교과과정, 진도수준 차이가 수업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하였다.
        39.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교와 학교 밖의 공간에 내재된 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아존중감, 그 리고 개인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자서전적 방법과 생애사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라 자신 이 겪은 에피소드를 내러티브로 구체화하면서 학교와 교회, 그리고 일터에서의 자아가 형성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시공간의 변화 속에서 관계의 양상을 분석하여 연 구자의 경험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생애기술은 ‘공간 #1. 가정과 학교: 낮은 자존감과 무기력한 시절을 보낸 곳’, ‘공간 #2. 집 앞의 교회: 가정과 학교 경험의 연장선’, ‘공간 #3. 새로운 교회, 공간’ ‘#4. 다시 학교로: 갈등과 통합’, ‘공간 #5. 일터: 내면적, 외면적 성장’으로 공간의 변화에 따라 구 성되었다.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무기력 했던 어린 시절, 청소년기에 맞이한 새로운 공 간에서의 경험을 성찰하고 삶을 살아가는 태도 변화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또한 인정, 소속감, 봉사정신을 학교와 일터에서 통합하기 위하여 결정한 진학과 진로, 그리고 이 과정에서 겪은 현실의 갈등을 기술하였다.
        40.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오케스트라활동을 통한 음악활동 경험이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는 구체적 요인들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D도시의 초등학교에서 관현악 오케스트라가 있는 세 개의 학교를 선정하고, 총 2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58명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을 사용하여 t-test, one-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 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오케스트라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은 참여유무, 참여기간, 참여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은 전체자아개념과 성격자아개념, 신체자아개념, 오케 스트라활동에의 참여, 성별(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초등학생들은 오케스트라활동 경험에 따라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으며, 오케스트라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성격에 영향을 미 침으로써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의미한 예측요인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학교 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