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6

        44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gricultural waste,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eel is known to be rich in total phenolics, which are flavonoids having strong antioxidant effects. In this study, pomegranate peel sponge cakes were prepared with varying ratios of freeze dried pomegranate peel powder (0, 1, 3, 5, 7% (w/w)) to examine their effe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retrograd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specific gravity and moisture contents of 3, 5, and 7% pomegranate peel powder showed higher values than the control and 1% group. Addition of pomegranate peel powder increased the batter yield,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baking loss. Increasing pomegranate peel powder cont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ightness (L) (from 75.03 to 57.04) and pH values, whereas redness (a), yellowness (b) and ΔE were increased.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peel powder also increased the hardness and chewiness, while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Considering the Avrami equation, Avrami exponene (n) decreased from 1.8055 (control) to 0.9199 (7% pomegranate peel powder). Time constant (1/k) was lowest in control (at 17.64) and highest in the 7% group (39.84).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ments in the content of pomegranate peel powder. A sensory evaluation by the 7-point scaling method showed that the sponge cake containing 7% pomegranate peel powder had the highest scores in color, flavor, swee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Hence, it is considered that sponge cake supplemented with 7% pomegranate peel powder is the most appropriate for quality characteristics, retrograd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4,500원
        44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luten-free cookies containing teff flour. By substituting 0% (control), 25% (TF25), 50% (TF50), 75% (TF75), and 100% (TF100) of wheat flour with teff flour, five samples were produced. Baking loss rate was the highest in TF25 at 13.76% and the lowest in TF75 at 4.03%. Spread fact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okies made with teff flour (83.00~85.00) than in the control (81.33)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nsity among the samples at 1.17~1.25 g/mL (p<0.05); however, pH significantly decreased at 6.42~6.04 (p<0.05). While the L-value and b-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amount of teff flour, the a-valu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ΔE value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at 31.31 and the lowest in TF100 at 58.69. Hardness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at 42.04 N than in cookies containing teff flour. The content of polyphenols was the highest in TF100 at 3.37 μg GAE/mg and the lowest in the control at 1.32 μg GAE/mg. The content of flavonoids was the highest in TF100 at 3.66 μg QE/mg and the lowest in controls at 0.45 μg QE/mg. The value of DPPH IC50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at 3,723.00 μg/mL and the lowest in TF 100 at 405.27 μg/mL. The value of ABTS IC50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at 1,822.32 μg/mL and the lowest in TF100 at 529.30 μg/mL. In sensory evaluation, while control, TF75, and TF100 had a higher score in appearance at 5.52~5.60, all sampl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avor, sweetness, savory taste,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5).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gluten-free cookies containing teff flour can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 cookie. We concluded that gluten-free cookies containing 100% teff flour are desirable.
        4,000원
        44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ast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oked mixed grains consisting of germinated millet and rice with varying addition rates and cooking methods. In this study, we chose two foxtail millets: glutinous (‘Samdachal’) and non-glutinous (‘Samdame’), along with a glutinous proso millet (‘Ibaekchal’). Cooked mixed grain rice-added germinated millet was cooked by general and high pressure cooking methods, with and without fermented alcohol. The peak and trough viscosity of germinated millet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germinated millet. The phenolic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ed rice-added germinated millet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germinated millet (p<0.05).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cooked rice-added germinated Samdachal, Samdame, and Ibaekchal were 127.74~194.11, 128.20~192.56, and 128.88~171.28 μg GAE/g,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13.79~30.23, 14.77~25.99, and 15.28~29.56 μg CE/g, respectivel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3.31~5.73 and 6.31~9.69 mg TE/100 g for cooked rice-added germinated Samdachal; 3.14~8.58 and 6.05~10.19 mg TE/100 g for Samdame; and 3.37~7.45 and 6.27~9.27 mg TE/100 g for Ibaekchal, respectively. In this study, phenolic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ed mixed grain rice-added germinated millet with different addition rates and cooking method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anufacturing processed products.
        4,000원
        44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noderma lucidum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medicine for treatment of bronchitis, arthritis, and high blood pressure, and it has been reported to display many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ancer and immune activities. Since mushroom mycelium is known to have excellent biological activities together with mushroom fruiting body,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mushroom mycelium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u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biological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cultivation of Ganoderma lucidum mycelium on Atractylodes rhizoma. Whe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ssessed by the DPPH assay, ARGL (ethanol extract of Atractylodes rhizoma mycelium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showe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5.58~82.56% at concentrations of 10~500 μg/assay, while AR (ethanol extract of Atractylodes rhizoma) showe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5.27~72.08% at the same concentrations. When measured by using the ABTS assay, ARGL showed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R,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 obtained by the DPPH assay. In the MTT assay, the cytotoxicity of ARGL against all cell lines was higher than that of AR. In particular, the cytotoxicities of AR and ARGL against Hep3B at a concentration of 400 μg/assay were 71.81% and 86.4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sult obtained by the SRB assay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 obtained by the MTT assay. According to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medicinal herb cultures using mycelium can be used as sources of functional foods since the cytotoxicities against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creased when the mycelium was fermented with Atractylodes rhizoma.
        4,000원
        44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GJE) 씨에서의 70% 에탄올, CM (chloroform: methanol, 부피 비 2:1(CM)) 및 노르말 부탄올 추출 용매별 flavonoid 함량 및 항산화 능, 금속 킬레이 트 능력 측정을 통하여 치자 씨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한 결과, 치자 씨의 proanthocyanidin 함량은 건조 무게(g) 중 카테킨(catechin) 당량으로 계산하여 70.035±0.772 mg으로 나타났으며, 추출 수율은 CM (36.39%), 70% 에탄올(27.32%), 노르말 부탄올(26.23%) 순으로 나타났 다. 추출 용매별 항산화 능은 농도(0.2, 0.4, 0.6 mg/mL)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ethylenediamnetetraacetic acid (EDTA) 보다는 낮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Flavonoid 함량(mg)은 시료 g 당 케르세틴(quercetin) 당량으로 계산하여 70% 에탄올(0.830), CM (0.752), 노르말 부탄올(0.105) 순 으로 확인되었으며, 항산화 능 분석 실험과 금속 킬레이트 능력 실험에서도 이와 유사한 양상으로 동정 되어 모든 분석에서 70% 에탄올과 CM 추출물이 강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치자 씨의 용매 별 flavonoid 함량에 따라 항산화 능 및 금속 킬레이트 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치자 씨는 proanthocyanidin과 flavonoid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항산화 능 과 생리활성을 가 지고 있어 기능성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44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 및 동물성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형태의 단백질 가수분해물들은 항산화, 고혈압 완화, 면역조절,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건조 해삼으로부터 해삼육 슬러리를 제조하고 flavourzyme 프로티아제를 이용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최적공정을 수행하였 다. 이어서 생산된 펩타이드의 항산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효소반응 최적공정은 표면반응 분석법을 이 용하여 수행을 하였고 공정의 범위는 반응온도 40-60 ℃, 반응 pH 6-8, 효소의 농도 0.5-1.5%(w/v) 이었다. 해삼의 단백질 최적 효소가수분해 공정조건은 효소 반응온도 48–50 ℃, 반응 pH 7.0–7.2, 효소 의 양은 1.0-1.1%(w/v)에서 결정 되었다. 이때 단백질 가수분해 수율은 43-45%에 도달하였다. 생산된 대부분 가수분해물의 분자량들은 전형적인 펩타이드인 분자량 500-3,500Da로 분포되었다. 펩타이드들 은 항산화 능력은 금속 킬레이션 능력(IC50, 1.25 mg/mL), DPPH 소거능(IC50, 3.40 mg/mL), 슈퍼옥사 이드 라디칼 소거능(IC50, 10.3 mg/mL),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IC50, 22.11 mg/mL) 순서로 저해농 도가 낮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해삼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건강 기능 식품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높 을 것으로 기대를 한다.
        4,200원
        44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아바 잎 추출물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세포 내 ROS 측정, B16F10 melanoma cell 에서의 세포 독성 및 자외선A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 시험관 내 tyrosinase 억제 효과,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세포 내 ROS 활성 억제 측정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확 인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 에서의 세포 생존율이 모든 농도에서 98%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으 며, UVA로부터의 세포 보호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0%의 시험관 내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와 20%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되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cell에 대한 독성이 적고, 높은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합 성 억제 효과를 통해 안전하고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진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44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 록된 국내 산림지역 자생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국내 자생식물 45종을 선별하였고, 본 연구팀의 선행연구 에서 45종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다른 종들과 비 교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밤나무 잎을 본 연구 에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 밤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관찰 하였다. 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밤나무 잎 추출물 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특히 100 μg/mL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항산화 물질인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H2-DCFDA 염색을 통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밤나무 잎 추출물이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를 저감을 확인하였고, 세포 보호효과와 마찬가지로 농도 100 μg/mL 에서는 ascorbic acid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SA-β- galactosidase 염색을 통하여 관찰한 세포노화 억제 효과는 RO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밤나무 잎 추출 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노화 억제를 관찰되었다. 이상 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밤나무 잎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노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으며, 이는 천연물에서 유래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 첨가제로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4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건조된 유자씨박 7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유자씨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수율은 각각 5.1 및 0.9%로 나타났다.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시험법에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FSC50)은 7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각각 512.1 및 514.0 μg/mL를 나타냈다. 라디칼 소거활성은 (+)- α-tocopherol(9.0 μg/mL)보다는 비교적 낮았다. Fe3+-EDTA계를 이용한 총 항산화능 평가에서 유자 씨박 7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OSC50은 242.9 및 86.5 μg/mL이었다. 유자씨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70%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은 총 항산화능을 보였지만, 대조군인 L-ascorbic acid (1.7 μg/mL)보다 낮게 나타났다. 1O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τ50)에서, 70% 에탄 올 추출물은 5, 10, 25, 50 μg/mL 에서 농도 의존적인 세포 보호 효과를 보였다. 유자씨박 에틸아세테 이트 분획은 5 μg/mL 에서 39.8 min으로 (+)-α-tocopherol (36.1 min)과 유사한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났다. 그러나 10 μg/mL 이상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결과적 으로, 유자씨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라디칼 소거활성이 아닌 총 항산화 활성을 통해 낮은 농도에서 는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나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 보호 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45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고려엉겅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수확시기에 따른 고려엉 겅퀴의 항산화활성 및 항비만 활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2016년 6월, 7월 그리고 8월에 수확한 고려 엉겅퀴를 이용하여 지표성분 분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활성, ORAC assay 및 지방축적과 ROS 생성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지표성분 pectolinarin 함량은 수확시기별로 43.13 ± 0.22 ~ 95.65 ± 0.34 mg/g 로 수확 시기 가운데 2016년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2016 년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에서 40.43 ± 0.35 mg RE/g로 수확시기 가운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수확시기에 따른 활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ORAC 지수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및 지표성분 함량의 결과와 유사하게 2016년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에서 6월 수확시기보다 2.4배가량 높은 ORAC 지수를 나타내었다. 수확시기별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은 50~200 μg/mL의 농도에서 지방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수확시기별 고 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적 량과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고려엉겅퀴는 비만 등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4,000원
        45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콜라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콜라비는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조추출한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용매 극성에 따라 순 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총폴리페놀 함량 측정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평 가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총폴리페놀 함량(27.33±0.26 mg GAE/g)과 ABTS 라디칼 소거활 성(IC50 172.9±1.6 ㎍/mL)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항염 활성은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에 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염 활성을 보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전염증성 매개인자들에 대한 저해효과를 농도별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콜라비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NO, PGE2 생성과 iNOS와 COX-2 및 TNF-α, IL-6, IL-1β와 같은 전염증 성 사이토카인들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콜라비가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가지는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600원
        45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NaCl 및 jasmonic acid(JA) 처리 시 스피아민트(Mentha spicata)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 변화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조구, JA(20μM JA 전처리), JA+NaCl(20μM JA 전처리+ 50mM NaCl), NaCl(50mM NaCl) 처리 등 4처리구로 구분하여 0.5배 Hoagland 용 액에서 3주간 수경 재배한 후 생장반응과 엽록소, 비타민 C, 프롤린, 무기물, DPPH 라디칼 소거 항산화 활성등을 측정하였다. 스피아민트의 초장, 엽장, 엽폭 및 생 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NaCl 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건물중 은 JA+NaCl 혼용처리구를 비롯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엽록소 a와 b 함량은 JA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비타민 C와 항산화 활성 및 지상부의 프롤린 함량은 염 스트레스로 생육이 가장 낮았던 NaCl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온 흡수의 균형 정도를 알 수 있는 K/Na 비율은 JA 단독 처리 시 증가하였고, NaCl 처리 및 JA+NaCl 혼용 처리구에서는 Na+ 흡수 증가로 인하여 K/Na 비율이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염 스트레스나 JA처리 같은 적절한 스트레스 처리가 항산화 활성과 정유를 포함하는 이차대사물질의 축적을 유도 함으로써 스피아민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4,000원
        45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분자, 갈근 및 녹차 추출분말이 각각 1%(w/w)로 첨가된 조미액으로 제조된 한우 육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복분자, 갈근 및 녹차 추출분말이 첨가된 조미액의 항산화 활성은 무첨 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물류 추출분말이 첨가된 육포의 전단가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색차(ΔE)는 시료 간에 미미하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녹차 추출분말이 첨가된 육포 (G-BJ)에서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육포의 저장과정 중 수분활성도는 저장 2주째에 대조구에서 유의적 으로 증가되었으나, 식물 추출분말이 첨가된 육포는 저장 1주에 비해 유의적인 증감을 보이지 않았다. 저장 4주 경과 후에는 모든 시료에서 수분활성도가 다소간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식물 추출분말이 첨가 된 육포를 4주간 실온에 저장하는 동안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G-BJ는 4주간 저장되었을 때 2주간 저장된 시료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식물 추출분말이 첨가 된 육포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G-BJ에서 가장 높았다. 한우 육포 의 제조 시 식물 추출분말의 첨가는 육포의 전단가 감소와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육포의 품질 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4,600원
        45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숙취해소 음료가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추출물의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ALDH(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측정하였고,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숙취해소 음료의 복용이 음주 후 호흡 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은 빼빼목 추출물 에서 높은 수치(total phenolic compound 97.5.6mg/g, total flavonoid 306.5mg/g, DPPH radical 소거능 80.1%)를 나타냈으며 Acetaldehyde(ALDH)에 대한 활성은 헛개 및 울금 추출물에서 306% 및 29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헛개 및 울금 추출물이 ALDH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헛개 및 울금 추출물이 함유된 숙취해소 음료를 이용하여, 임상실험을 실시한 결과, 시간경과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숙취해소음료 섭취군에서 알코올 농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흡연자에 비해 비 흡연자가,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숙취해소 음료의 섭취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455.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from fruiting bodies and mycelia of two Phellinus linteus strains and P. baumii. The Phellinus strains have cultivated on oak and mulberry logs. The fruiting bodies species were harvested from each Phellinus strain and used in this study. The tested items include: 2, 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s contents (TPC),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FRAP), and DPPH (1, 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Different extractions with 60% Ethyl alcohol, 70% methyl alcohol and heat water were done on the mycellial and fruiting bodies samples of the mushroom species. The methyl alcohol extraction from fruiting body of P. linteus KACC93057P display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on ABTS, FRAP, and DPPH assays.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concentrated and subjected to an ODS column chromatography, followed b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Finally six compounds 1-6 were detected by preparative reversed-phase HPLC.
        457.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식품과 마시는 물에 대한 관심은 어느 때 보다 높다. 과거에는 수분공급이라는 본연의 목적으로만 물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물들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4 주 동안 정수와 수소수 섭취가 체내 항산화 능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 메카니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충분한 양의 수분 섭취는 체지방 감소 및 항산화력 증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수소수는 연령, 성별, 흡연 유무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체내 항산화능을 개선시키고 활성산소를 억제하며, 면역세포 조절 및 유전자발현 조절을 통해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5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available mixed grains in Korea.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 grain products studied were the mixing ratio, water binding capacity, water solubility, swelling power, and pasting characteristics. The antioxidant characteristics assessed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mixing ratio of commercially available mixed grain products consisted of 5~25 kinds of grains, with maximum products containing 15-grain products. The water binding capacity, water solubility, and swelling power in commercially available mixed grain products were 99.83~122.83%, 6.91~39.26% and 7.76~86.92%, respectively. The peak, trough, breakdown, final and setback viscosity were 31.53±20.17 RVU, 25.24±13.22 RVU, 6.29±7.43 RVU, 50.27±25.84 RVU and 18.74±8.68 RVU,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817.14~2,524.29 μg GAE/g and 06.36~1,099.09 μg CE/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31.91~151.70 mg TE/100 g and 28.09~119.92 mg TE/100 g, respectively. Products with high phenol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found to contain greater proportion of brown rice, colored rice, barley and soybean.
        459.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 is a shrub which grows well in a tropical climate. There are large amounts of anthocyanins, organic acids and other compounds in roselle. Mostly, roselle is cultivated to use its red calyx. Its calyx is used as a natural food colorant and commonly consumed as a tea. This qualit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ulgidduck with roselle calyx powder. Four samples and a control were made with different ratios of added roselle calyx powder (0.5%, 1%, 1.5%, 2%). The moisture content of the 0.5%-sample was the highest as 40.60%, and that of the 2%-sample was the lowest as 37.37%. The pH of sample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26 to 3.65 as the amount of roselle calyx powder increased (p<0.05). The L-value of sample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contrast, a-value and △E of sampl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elevated amounts of roselle calyx powder (p<0.05). The b-value of roselle calyx added Sulgidduck sample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Hardness and chewiness of Sulgidduck samples with added roselle calyx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Cohesiveness of Sulgidduck samples with roselle calyx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p<0.05), with the exception of the 1% samp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ringiness among samples. Total phenolic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roselle calyx powder was added above a level of 1.5% (p<0.05). The flavonoid content of the control was the lowest as 0.73.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roselle calyx powder (p<0.05). The 2%-sample got the lowest sensory preference scores in swee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contrast, the control and 1%-sample got the highest sensory preference scores.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addition of 1% roselle calyx powder optimized the preparation of Sulgidduck and roselle calyx is therefore a useful natural colorant and antioxidant.
        4,000원
        460.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ooked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with of cooked mixed grain rice with an addition rate (0, 5, 10, 15 and 20%) of proso millet and various cooking methods. Mixed grain rice with added proso millet was cooked by general and high pressure cooking methods with and without fermented alcohol. All pasting characteristics, except for breakdown viscos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s of proso millet. Water binding capacity and swelling power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increasing the amounts of proso millet, however the water solubility index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latabi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th added proso millet showed similar results to rice without proso millet.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rice with 20% proso millet and fermented alcohol added, cooked by general and high pressure cooking methods, were 184.33±2.69 and 179.80±5.22 μg GAE/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increased as amounts of proso millet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and without proso millet added were 4.20~7.50 and 2.97~5.19 mg TE/100 g, respectivel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and without proso millet added were 14.36~27.92 and 14.07~15.83 mg TE/100 g, respectively. In this study, cooked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oked mixed grain rice with added proso millet we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manufactured processed product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