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42.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several years, keyboard and mouse have been used as the main interacting devices between users and computer games, but they are becoming outdated. Gesture-based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s are becoming more popular owing to the emergence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Therefore research on these systems has attracted a significant attention. The researches focus on designing the interactive interfaces between users and computers. Human-computer inter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computer games because it affects not only the experience of the users, but also the design of the entire game. In this research, we develop an particle filter-based face tracking method using color distributions as features,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o gesture-based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s for computer games. The experimental results proved the efficiency of particle filter and color features in face tracking, showing its potential in designing human-computer interactive games.
        4,000원
        44.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based pigments have attracted much interest owing to their eco-friendliness. In particular, the color of nanosized pigments can be tuned by controlling their size and morphology. This study reports on the effect of length on the coloration of β-FeOOH pigments prepared using an NH4OH solution. First, rod-type β-FeOOH is prepared by the hydrolysis of FeCl3·6H2O and NH4OH. When the amount of NH4OH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rods decreases. Thus, the length of the nanorods can be adjusted from 10 nm to 300 nm. The color of β-FeOOH changes from orangered to yellow depending on the length of β-FeOOH. The color and phase structure of β-FeOOH is characterized by UVvis spectroscopy, CIE Lab color parameter measurement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powder X-ray diffraction (XRD).
        4,000원
        4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는 종내에서 초시색상패턴이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색상패턴의 무당벌레를 대상 으로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을 실시하여 무당벌레의 초시색상 패턴간 유전형질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28 개의 프라이머 조합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총 2,741 개의 밴드가 검출되었다. 그 중 20 개의 밴드(S1-S20)만이 특정 색상패턴에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9 개의 밴드를 색상에 연관된 AFLP 후보 지표로 선발하였다. 밴드 가운데 S1과 S2, S20은 Succinea 1, 2 변이형에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S3와 S5는 Conspicua 변이형에 특이적이었다. 또한 S13는 Spectabilis 변이형에, S15와 S18, S19는 Succinea 2 변이형에 특이적이었다. 특정 색상패턴에만 나타나는 9 개의 AFLP 지표들은 cloning을 통해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고, GenBank를 이용해 다른 염기 서열과 비교를 해보았지만 아무런 상동성도 찾을 수가 없었다. 무당벌레 종 내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한 결과, Spectabilis가 Conspicua보다 Succinea 변이형에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색상에 연관된 AFLP 후보 지표를 기준으로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지표로 변환하여 9 개의 AFLP 분자지표들 가운데에서 5 개만이 SCAR 지표로 전환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AFLP 지표가 무당벌레의 색상과 연관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4,300원
        46.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마독스로드의 색상에 의해 수평사위도과 조절성폭주의 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기능에 이상이 없는 대학생 45명(22.40±2.3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동굴절검사 (KR-7100P, Topcon Co, Japan)와 포롭터(Huvitz HRT-7000, korea), 시력표투영기(Huvitz HDC-7000PF, Korea)를 이용하여 원거리 굴절이상도를 교정한 후 적색 마독스로드와 백색 마 독스로드 그리고 Imbalance Measure card를 사용하여 원∙근거리사위도와 조절성폭주의 비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원거리 사위도는 적색 마독스로드(2.19±3.62△ exo)와 백색 마독스로드(1.79±3.72△ exo) 중 적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한 외사위도가 더 높았다(0.40±1.14△ exo, t=2.35, p=0.023). 근거리 사위도는 적색 마독스로드(4.94±5.21△ exo)와 백색 마독스로드(3.66±5.66 △ exo) 중 적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한 외사위도가 더 높았다(1.29±2.80△ exo, t=3.09, p=0.003). 원∙근거리 사위도 모두 적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한 외사위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경사 조절성폭주의 비와 계산 조절성폭주의 비는 각각 적색 마독스로드(2.46±2.13△/D, 5.23±1.54△/D)와 백색 마독스로드(2.68±2.46△/D, 5.57±1.75△/D) 중 백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한 조절성폭주의 비가 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0.22±1.67△ /D, t=-0.89, p=0.376), (-0.36±1.26△/D, t=-1.89, p=0.065)). 결론: 마독스로드의 색상에 따라 검사결과가 약간 차이가 있었으며, 적색 마독스로드로 측정했 을 때 외사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7.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s of kiwi of three different colors (gold, green and red) by measuring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metal chelating effect, reducing power,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gold kiwi, 3.09 mg GAE/g, green kiwi 2.71 mg GAE/g, and red kiwi 4.59 mg GAE/g, respectively. Red kiwi showed higher antioxdidant activity than gold and green kiwi.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red kiwi exhibited 94.83, 99.57, and 97.88%,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20 mg/mL, which were equal to those of ascorbic acid (positive control). Metal chelating effect of red kiwi was superior to that of ascorbic acid. Therefore, the availability of red kiwi will be increased in the field of functional material for food additives and value added products.
        4,000원
        4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원에서 쉽게 구입 할 수 있는 15%, 30% 착색 렌즈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오류수정작업과 읽기 속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 법: 남녀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Blue, Green, Yellow, Red렌즈를 각각 15%, 30% 농도에 따라 오류수정작업과 분당 단어 수 읽기 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분당 단어 수 읽기 속도를 측정한 결과 N-0(110.607 word/min)을 기준으로 G-15에서 125.928(word/min), B-30에서 126.464(word/min), G-30에서 127.428(word/min)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오류수정작업 소요시간은 N-0의 1.331(sec)을 기준으로 B-30과 R-15의 착색렌즈에서 각각 1.3261(sec)과 1.3282(sec)로 감소하였다. 오류수정작업의 정확도는 G-15에서 95.357(%)로 가장 높았고 G-30(90.357%)과 Y-30(90.357)에서는 동일한 낮은 정도를 보였으나 기준 N-0의 77.857(%)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착색 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라 오류수정작업의 정확도와 읽기 속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특히, R-15에 비해 B-30에서 오류수정작업 소요시간은 감소하였고, 정확도는 같고, 읽기 속도가 증가하므로 근거리 시작업 시 착색 렌즈 B-30의 착용을 권장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4,000원
        4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 건축과 조각에 남겨진 색상에 관한 역사를 다루고, 고대 채색 전통에 관한 연구에서 도출된 최근의 고고학적, 미술사학적 결과를 조명하고 그 미술사적 의의를 다루고자 한다. 고대 조형물에서 채색은 사실적인 표현을 구현하고 입체감을 강화해 조형물의 가시성을 높여 관람자에게 편의를 도모하도록 기능했다. 지난 몇 세기 간 백색의 그리스와 로마의 조형물은 서유럽의 문화적 우월성의 상징이자, 고전미의 정수로 간주되어 왔었다. 하지만, 이제 고전 미술의 채색 연구는 이러한 패러다임에 도전하고 있다. 이 도전은 국내 연구자들에게 유럽적 미술사관의 한계를 넘어서 고전 미술을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100원
        50.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work describes the coloration, chemical stability of SiO2 and SnO2-coated blue CoAl2O4 pigment. The CoAl2O4, raw materials, were synthesized by a co-precipitation method and coated with silica (SiO2) and tin oxide (SnO2) using sol-gel method, respectively. To study phase and coloration of CoAl2O4, we prepared nano sized CoAl2O4 pigments which were coated SiO2 and SnO2 using tetraethylorthosilicate, Na2SiO3 and Na2SiO3 as a coating material.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the coated samples and their colloidal solutions under acidic and basic conditions, colloidal nanoparticle solutions with various pH values were prepared and monitored over time. Blue CoAl2O4 solutions were tuned yellow color under all acidic/basic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 chemical stability of SiO2 and SnO2-coated CoAl2O4 solution were improved when all samples pH values, respectively. Phase stability under acidic/basic condition of the core-shell type CoAl2O4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X-ray diffraction, CIE L*a*b* color parameter measurements.
        4,000원
        51.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잉크 프린터로 출력된 화상의 질은 사용한 종이와 잉크의 질에 크게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종이 위에 동일한 질감의 잉크를 사용하더라도 출력에 사용한 잉크의 색상에 따라 화질이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잉크의 대표적인 사용색상인 C, M, Y, K의 잉크를 이용하여 동일한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용 광택기를 이용하여 출력물의 광택값을 측정하였다. 사용하는 잉크의 양에 따른 화질변화를 고려하기위하여 잉크의 도포율을 세 가지로 달리하여 광택값을 측정 비교하였다. 잉크사용량이 적을 경우 색상차이에 따른 효과보다는 무광택지의 거친표면 효과 때문에 매우 낮은 광택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잉크사용량이 도포율 100% 에 못미칠 경우에도 많은 잉크사용량에도 불구하고 낮은 광택값 때문에 의미있는 색상차이를 보기 어려웠다. 그러나 100% 도포율에서는 C, K색상의 광택이 다른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이것은 화상을 잉크로 나타낼 때 색상에 따라 화질의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4,000원
        52.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N0-Wearing lens(Non-Lens), Wearing tinted lenses(Blue, Green, Yellow, Red)를 각각 15%, 30%농도에서 근거리에서의 시작업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법: 남녀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N0-Wearing lens(Non-Lens), Wearing tinted lenses(Blue, Green, Yellow, Red)를 각각 15%, 30%농도를 달리하여 색상과 농도에 따라 분당 단어수로 읽기 속도를 측정 하였다. 결과: 분당 단어수로 읽기 속도 측정결과 G-30에서 6명(21%), Y-15에서 8명(29%), G-15에서 5명(18%), B-15에서 5명(18%), B-30에서 4명(14%)으로 분당 많은 단어수를 읽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Y-15(29%)가장 많이 읽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분당 읽기 속도 결과 N0-Wearing lens에 비해 색상과 농도에 관계없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착색렌즈가 근거리 시작업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53.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안경렌즈의 색상과 농도가 오류수정작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양안시 이상이 없는 양안 교정시력 1.0 이상인 대학생 남녀 28명을 대상으로, 착색안경 렌즈 착용 전과 후 오류수정작업을 통해 오류수정작업의 정확도 및 오류수정작업의 소요시간 을 측정하였다. 착색안경렌즈는 연구의 편의를 위해 플리퍼로 제작하였고, 색상은 Yellow, Green, Blue, Magenta 이며 농도는 15%와 30% 이었다. 오류수정 작업은 A4 1장에 표 A와 표B를 구분하여 각 칸에 10개의 서로 다른 숫자가 기입된 오류수정 평가지를 제작하였고 착색안경렌즈를 착용 전과 후 표A 와 표B 중 서로 틀린 숫자를 찾아내는 시간과 개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오류수정 작업의 정확도는 착색안경렌즈의 모든 색상과 농도에서 착용 전에 비해 유의하 게 증가하였고(p<0.05), 오류수정작업의 소요시간은 착용 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 었다. 결론: 착색안경렌즈의 착용이 오류수정작업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색안경렌즈의 착용이 정밀한 근거리 시작업 시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착색안경렌즈 착용시 눈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겠다.
        54.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스포츠용 선글라스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른 동적시력(KVA: Kinetic Visual Acuity)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안과적 질환이 없고 나안시력 또는 교정시력이 1.0 이상이며, 양안시에 이상이 없는 20~30대 남녀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KS-4A(KOWA 社, Japan)를 이용하여 동적시력을 측 정하였다. 실험의 편의를 위하여 렌즈를 플리퍼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색상은 Yellow, Brown, Gray 이었으며, 농도는 30%, 70%로 하였다. 결과: 30% 농도의 경우 Yellow(0.506±0.215) > Brown(0.496±0.237) > Gray(0.487±0.226)의 순으로 동적시력이 측정되었으며, 70%의 농도에서도 Yellow(0.470±0.229) > Brown(0.466±0.224) > Gray(0.441±0.205)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결론: 스포츠선글라스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색상의 선택이 요구되며, 동적시력이 요구되는 스포츠 활동 시 낮은 농도의 Yellow 색상이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5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ttern cases for Korean traditional socks are named “beoseonbongip” which means a pouch to keep patterns for making “beoseon”. “Beoseon” is Korean traditional socks.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cases an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cases. One hundred fifty one photos of “beosonbongip” were collected an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Seventy percent of them were made between Joseon Dynasty and 1960s. As a result, most of the collected pattern cases are rectangular and square shapes, red color, and silk fabrics, and sizes of them are from 9cm to 15cm. A few pattern cases with different sizes and colors were also observed. Most pattern cases were made by fixing two among four triangle pieces which made by folding four tips of a rectangular or square cloth and then puting a not or a loop on the remaining triangle pieces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pattern cases. In a small number of the pattern cases, three of the four pieces were fixed and a button, a bead, a broach, or two nots or two loops were put on the other piece for opening and closing. Products such as apparels, bags, pouches, frames, and key holders were made using “beoseonbongip”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is shows that “beoseonbongip” is a useful motive for creative product development.
        5,100원
        5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착색안경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른 입체시의 변화를 통해 착색안경렌즈가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세에서 45세 사이의 성인 남녀 49명을 대상으로, 검사거리 40cm에서 200Lux의 조명하에 편광렌즈를 착용하고 입체시 검사를 한 후, 편광렌즈 위에 착색안경렌즈를 착용하게 하여 각각 색상, 농도별로 입체시를 다시 검사하였다. 결 과: 착색안경렌즈의 농도에 따른 입체시의 변화를 보면 농도 20%에서 갈색의 입체시가 2.04±32.1 1″로 유의(p
        4,000원
        5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크로마젠 렌즈의 색상별 시감투과율과 색상에 따른 근거리 시력과 선명도를 측정하여 비교 연구하기 위함이다. 방 법: 8가지 색상을 가진 크로마젠 렌즈의 분광투과율을 Shimadzu사의 UV-VIS Spectrophotometer(UV-2450)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380~780nm의 가시광선 전 영역에 대한 시감투과율을 구하였다. 대전 소재 K대학교 대학생 중에서 원거리 양안 교정시력이 1.0이상이 나오는 학생 총 30명 대상으로 800lux의 조명에서 40cm 근거리용 스넬렌 E시표를 이용하여 색상별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고 가장 선명도가 좋은 색상과 가장 선명도가 떨어지는 색상을 선택하여 색상별 분포를 알아보았다. 결 과: 시감투과율은 Yellow 69.9%, Blue 69.1%, Violet 68.4%, Pink 63.5%, Aqua Blue 63.2%, Orange 61.5%, Magenta 52.2%, Green 46.2% 로 나타났다. 크로마젠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Yellow와 Blue에서 가장 높은 시력이 측정되었고, Green과 Magenta에서 가장 낮은 시력이 측정되었다. 선명도가 가장 높은 색상으로는 Blue(30%)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고, 선명도가 가장 낮은 색상으로는 Magenta(26.7%)로 많이 선택되었다. 결 론: 시감투과율이 높은 색상일수록 근거리 시력과 선명도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렌즈의 색상 선택 시시감투과율이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색상의 비교 분석에 따라 적절한 색상을 선택해야 한다.
        4,000원
        5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stract This manuscript reports on compared color evolution about phase transformation of α-FeOOH@SiO2 and β-FeOOH@SiO2 pigments. Prepared α-FeOOH and β-FeOOH were coated with silica for enhancing thermal properties and coloration of both samples. To study phase and color of α-FeOOH and β-FeOOH, we prepared nano sized iron oxide hydroxide pigments which were coated with SiO2 using tetraethylorthosilicate and cetyltrimethyl-ammonium bro- mide as a surface modifier. The silica-coated both samples were calcined at high temperatures (300, 700 and 1000°C) and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IE L*a*b* color parameter measurement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UV-vis spectroscopy. The yellow α-FeOOH and β-FeOOH was transformed to α-Fe2O3 with red, brown at 300, 700°C, respectively.
        4,000원
        5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manuscript reports on compared color evolution about phase transformation of α-FeOOH@SiO2 and β-FeOOH@SiO2 pigments. Prepared α-FeOOH and β-FeOOH were coated with silica for enhancing thermal properties and coloration of both samples. To study phase and color of α-FeOOH and β-FeOOH, we prepared nano sized iron oxide hydroxide pigments which were coated with SiO2 using tetraethylorthosilicate and cetyltrimethyl-ammonium bro- mide as a surface modifier. The silica-coated both samples were calcined at high temperatures (300, 700 and 1000°C) and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IE L*a*b* color parameter measurement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UV-vis spectroscopy. The yellow α-FeOOH and β-FeOOH was transformed to α-Fe2O3 with red, brown at 300, 700°C, respectivel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