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4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련성과 근의 활성도에 재활승마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12세 미만의 경련성 뇌성마비 아동 9명이었으며, 8주 동안 16회의 재활승마를 실시하였다. 재활승마 적용전, 2주, 4주, 8주 때에 주관절과 슬관절 굴곡근의 경련성 정도와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경련성은 Ashworth 척도, 근 활성도는 무선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련성과 근활성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 :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주관절 굴곡의 경련성은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고, 슬관절 굴곡의 경련성은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5). 상완이두근의 근활성도는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대퇴이두근의 근활성도는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5). 결론 : 재활승마 후에 뇌성마비 아동의 경련성 감소와 근활성도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의 경련성과 근 활성도를 개선을 위해 재활승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4,000원
        4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조작능력 분류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이용한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능력과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이용한 기능적 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 16개의 장애인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는 186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사는 MACS를 통하여 아동을 분류하였으며, 부모들은 PEDI 설문지를 통하여 아동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였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기위하여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MACS 각 단계별 기능적 점수의 차이는 ANOVA 분석과 Bonferroni의 사후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186명의 아동 중 남자는 105명, 여자는 8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세 5개월(4세~13세 7개월)이었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MACS 단계별로 신변처리 영역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r=-.79),이동하기 영역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77). MACS 각 단계별 신변처리 능력의 차이를 보면, 1단계와 2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동 능력은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MACS에 의한 분류는 뇌성마비의 기능적 기술 중 신변처리와 이동하기 기능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MACS 단계를 통하여 뇌성마비아의 대략적인 기능적 기술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4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의도적인 다감각환경(스노즐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세 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12주간 의도적인 스노즐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젭슨 손 기능 평가로 7가지 하위검사의 수행시간을 우세손과 비우세손을 구별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의도적인 스노즐렌 프로그램 실시 후 3명의 뇌성마비 아동의 젭슨 손 기능 평가 항목의 수행시간이 모두 23.4%이상 감소하였고, 작은 물건집기를 제외한 모든 평가 항목에서 스노즐렌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우세손 뿐만 아니라 비우세손도 중재 후에 카드뒤집기, 작은 물건 집기와 먹기 흉내내기, 장기말 쌓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도적인 다감각환경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국내에서도 다감각환경(스노즐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는 보다 많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4,500원
        4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신경발달치료에 기초한 일상생활활동 훈련이 아동의 작업(occupations)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 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은 만 2~6세의 뇌성마비 아동 11명이었으며, 단순 맹검(single-blind) 법으로 실험군 5명과 대 조군 6명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설계는 이질성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신경 발달치료원리에 기초한 일상생활활동 훈련을 주 2회씩 6주간 총12회 실시하였고(30분/1회기), 대조군은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았다. 아동의 작업은 중재 전∙후 목표성취척도 (GAS),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COPM), 아동용 일상생활활동평가(WeeFIM) 도구로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은 중재 전∙후 두 그룹 간의 비교를 위해 맨-위트니 검정을 사용하였고, 실험군의 중재 전∙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윌 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후 비교에서는 목표성취척도(GAS)의 측정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COPM)의 작업 수행도 측정결과와 일상생활활동측정(WeeFIM)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실험군의 실험 전∙후 비교에서는 목표성취척도(GAS)의 측정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캐 나다 작업수행 평가(COPM)의 작업 수행도 측정결과와 일상생활활동측정(WeeFIM)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긍정적 변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신경발달치료원리에 기초하여 아동에게 일상생활활동 훈련을 적용함으로써 뇌성마비 아동의 작 업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 및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4,500원
        45.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이 짧은뇌성마비 아동 한명을 대상으로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뇌파 훈련이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2010년 8월 2일부터 9월 3일까지 대전광역시 S 아동연구소에서 작업치료를 받은 아동 1명을 5주간에 걸쳐 주 3회씩 총 15회기로 뉴로피드백을 이용하여 훈련을 하였고, 훈련 전과 후의 주의력의 변화를 학습능력검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 결과: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뇌파 훈련 후 참가자의 집중력은 43.1%에서 51.0%로 증가되었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stress 및 심리적인 요인들을 포함하는 작업부하도는 64.7%에서 58.8%로 감소하였다. ◉ 결론: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아니지만, 주의가 산만하여 과제에 집중이 어려운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게임을 포함한 뉴로피드백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여 집중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46.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이 연구는 휠체어 이너가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3월에서 동년 9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에 내원한 뇌성마비 아동 7명을 대상으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을 사용하여 휠체어 이너를 사용하기 전과 사용 후의 아동의 수행도와 보호자의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보호자와의 인터뷰 결과 아동의 작업 수행 문제는 자조활동 48.2%, 놀이/일 34.4%, 여가활동 17.2% 순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이너를 사용한 결과 수행도의 변화는 자조활동은 1.43점에서 5.79점으로, 놀이/일은 2.18점에서 4.55점으로, 여가활동은 1.60점에서 7.40점으로 증가하였고, 만족도의 변화는 자조활동은 1.57점에서 6.50점으로, 놀이/일은 2.73점에서 5.36점으로, 여가활동은 2.80점에서 8.00점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 가정과 학교에서 뇌성마비 아동에게 휠체어 이너를 적용한 결과 자조활동, 놀이/일, 여가활동 등 일상생활에서 아동의 참여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7.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translation of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K) in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e PEDI-K,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IFCS) were completed in 104 school-aged children with CP by therapis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PEDI-K was calculated by Cronbach's alpha () for assessing reliability. Concurr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correlation with the subsets of WeeFIM. Discriminant validity was assessed by comparing GMFCS levels with tests of the PEDI-K.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nal consistency was good (Cronbach's ranged from .97~.98). Concurrent validity was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with WeeFIM was high in the Functional Skills (self-care, r=.74~.94; mobility, r=.59~.91; social function, r=.65~.93) and in the Caregiver Assistance (self-care, r=.75~.94; mobility, r=.63~.90; social function, r=.78~.96). Discriminant validity was demonstrated on significant decreases in domain scores with increasing GMFCS levels.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been demonstrated on the PEDI-K. This study extends usage of PEDI-K in clinical activities and research.
        4,000원
        48.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eeFIM is an outcome measure used worldwide to evaluate the functional abilities of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WeeFIM in Korea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using the Rasch model.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92 boys and 53 girls) was 10.6 years (SD=2.3, range 5~15 years). The Winsteps software was used for analyzing the internal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WeeFIM. For analyzing the internal validity the motor and cognitive area items of the WeeFIM were analyzed both together and separately. When all 18 items were analyzed 4 were considered to be misfits; upper extremity dressing, lower extremity dressing, toileting, and comprehension. When only the 13 motor items were analyzed, toileting, bladder management, and bowel management were considered misfits. In addition, only comprehension was considered as a misfit among the 5 cognitive items. The most difficult motor items were stair climbing, and bathing. The simple ones were eating, bowel management, and bladder management. The most difficult cognitive item was problem solving, and the simplest one was comprehension. The person separation indexes and reliability for combined and divided instruments were reported as excelle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applicability of WeeFIM to Korean CP children with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Further studies should include young children with CP and compare item difficulty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CP. In addition, the Korean normative data of nondisabled children should be used to compare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4,000원
        4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와 아동의 장애유형과 자세보조도구의 종류에 따른 부모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09년 7월 27일부터 동년 10월 9일까지 부산, 울산, 경남에 거주하는 뇌성마비 아동의 부모 19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 2.0의 항목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결과 : 뇌성마비 아동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세보조도구는 휠체어, 자세조절용 의자, 피 더 시트, 프론 스탠드의 순이었다. 휠체어 사용 아동 중 75%의 아동들은 자세지지를 위한 이너(inner)를 사용하였다.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유형별 자세보조도구 기기 만족도에서는 내구성과 편안함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서비스의 만족도에서는 수리 및 유지관리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세보조도구 종류별 만족도에서는 내구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서비스의 만족도에서는 서비스 전달 프로그램을 제 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기기 영역에서 편안함 항목은 아동의 장애 유형과 자세보조도구에 따라 모두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뇌성마비 아동들의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와 사용 만족도 조사를 통해 자세보조도구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향후 적합한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자세보조도구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세보조도구와 아동, 환경 간에 적합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한국형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5,500원
        5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88-item versi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88) and a 66-item version of GMFM (GMFM-66)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e GMFM was completed in 154 children with CP (age range = 6~12).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GMFM was calculated by Cronbach's for judging reliability. The reliability of GMFM-88 and GMFM-66 were both above .99. The validity of measurement obtained by the GMFM was assessed by examining the unidimensionality of items and by comparing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levels with tests of the GMFM. Both the GMFM-88 and GMFM-66 were satisfied with unidimensionality. Discriminant validity was demonstrated on significant decreases in scores with increasing GMFCS levels in both measurements. However, GMFM-66 was a more sensitive discriminant in GMFCS level 1 and level 2 and in level 2 and level 4. This study reported a comparis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MFM-88 and GMFM-66.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the information on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wo versions of GMFCS.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tools in clinics.
        4,000원
        5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 및 지상에서 시행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수중에서 시행된 강제 유도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연구 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한 교차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편마비를 가 진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 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의 평가는 Box and Block Test(BBT)와 Pediatric Motor Activity Log(PMAL)를 사용하여 시행되 었다. 결과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BBT 점수는 각각 27%(21.5점에서 27.3점으 로), 14%(33점에서 37.5점으로), 7.6%(46점에서 49.5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때 각각 16%(21.5점에서 25점으로), 6%(33점에서 35점으로), 0%(46점에서 46점으로)로 증가되거나 유지되었다. 대상 자 1, 2, 3의 PMAL 점수는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38%(0.8점에서 1.1점으로), 31%(1.3점에서 1.7점으 로), 17%(1.8점에서 2.1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25%(0.8점에서 1.0점으로), 15%(1.3점에서 1.5점으로), 11%(1.8점에서 2.0점으로)가 증가되었다. 수중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지상 강제유도 운동치료 후 측정된 BBT와 PMAL의 측정값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결론 : 치료과정 동안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수중과 지상에서 교차 적용한 결과,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시행 될 때 상지운동 기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5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학령기(8􀅭15세) 뇌성마비 아동 6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동들의 일반적인 특성에는 성 별, 나이, 마비유형, 뇌성마비 형태, 지능지수, 대동작기능, 양손소동작기능, 통증상태 등의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아동들의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에 대한 평가는 한국어판 KIDSCREEN 52-HRQOL과 참여빈도 설문지를 사 용하여 아동들의 부모에 의해 시행되었다. 결과 : 삶의 질은 통증이 없는 경우, 지능지수가 높은 경우, 대동작기능이 좋게 나타난 경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p<.05). 일상활동참여도는 대동작기능이 좋게 나타난 경우, 양손소동작기능이 좋은 경우, 통증이 없 는 경우, 지능지수가 높은 경우, 마비유형에서 양하지마비인 경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이러한 결과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가 각 개인의 신체적인 특성에 의해 영향 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뇌성마비 아동들의 독립성과 활동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현실적인 치료방법 들을 계획하기 위해서, 이러한 측면들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53.
        201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등쪽 손목 스프린트(dorsal wrist splint) 적용이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8세 5개월 된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여자 아동이었으며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등쪽 손목 스프린트는 12주 동안 매일 하루 평균 4시간 동안 착용 하도록 하였고, 스프린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1시간씩 주 3회 환측 손으로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손 기능은 기초선 과정(5회)과 치료 과정(12회), 기초선 회귀 과정(3회) 동안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 Block Test)와 수직선 그리기 검사(Vertical Line Drawing Te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손 기능은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 동안 향상되었으며 이 향상은 기초선 회귀 과정 동안에도 계속 지속되었다. 결론 : 등쪽 손목 스프린트는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환측 손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손목의 외부적 지지를 통해 손가락 움직임의 조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4.
        201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를 적용하여 환측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만 7세 2개월인 편마비형 뇌성마비 남자 아동으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를 적용하여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개별실험 연구 방법인 ABA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기초선 자료는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4회기에 걸쳐 연구자가 Grooved Pegboard 검사와 장악력 검사를 사용하여 아동의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치료 시기에는 총 10주 동안 하루 5시간씩 건측 손을 제한하고 주 3회 1시간씩 집중적인 상지 치료를 실시하고, 훈련 후 주 1회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치료 이후 다시 기초선을 4회기 동안 측정하였다. 손 기능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손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 보는 손사용의 빈도와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 보는 손사용 숙련도는 치료를 실시하기 전과 치료가 종료된 이후 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각각 1회 측정하였다. 결과 : Grooved Pegboard 검사 결과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에 수행 시간이 감소되었으며 치료가 종결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하지만 악력 검사에서는 기초선 기간과 치료 기간, 치료가 종결된 이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손사용의 빈도를 보는 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 검사에서는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손사용의 횟수가 증가되었으나 손사용의 숙련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는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저하된 손 기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치료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개별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더 많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시행되어져야 하며, 치료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55.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사용 하여 아동의 사물조작능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측정자가 치료사인 경우와 아동의 부모인 경우에 둘 사이에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16개 장애인 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받고 있는 136명의 뇌성마비 아동 이다. 아동의 부모와 치료사들은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MACS)를 이용하여 아동들의 사물 조작 능력을 평가하였 다. 측정에 대한 측정자간 일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급내 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 참여한 136명의 아동(남 73명, 여 63명)들의 평균나이는 7세 6개월이었으며 나이 범위는 4세 0 개월부터 13세 6개월이었다. 아동의 부모가 측정한 MACS값과 치료사가 측정한 MACS의 값은 좋은 일치도를 보 였다(ICC=.84, 95% 신뢰구간 .77-.88). 결론 : MACS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장애아동을 비롯한 부모들에 의해 평가가 이루 어진다고 하더라도 전문가에 의한 평가와 적절한 일치도를 보임으로써 일반인에 의해 보다 자주 손쉬운 평가가 가 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56.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by children's age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CS and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wenty-six children with CP older than two years participated. Children with CP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CS and the GMFCS by two physical therapists. Inter-rater reliability was analyz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MACS for children aged 2~3 years was .88 and for children aged above 4 years was .98 (p<.05). Children with quadriplegia had a higher level of MACS tha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a and diplegia. A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the MACS and the GMFCS was found in all children (rater 1, r=.631; rater 2, r=.438). The MACS will be used for classification of children with CP according to the manual abilities. Thus, it offers a reliable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rapists about the manual ability of children with CP who are older than 2 years.
        4,000원
        57.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postural changes on respiratory muscles and acoustic parameters of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Nin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ho required assistance when walking were selected. The ages of the children ranged from 6 to 9 years old. The phonation of the sustained vowel /a/ and the voice qualities of each child such as fundamental frequency(F0; Hz), pitch variation (Jitter; %), amplitude variation (Shimmer; %) and noise to harmonic ratio (NHR) were analyzed by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MDVP). The muscle activity of three major respiratory muscles: pectoralis major muscle, upper trapezius muscle and rectus abdorminalis muscle, were measured by examining the root mean square (RMS) of the surface EMG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adjusted sitting posture of each subject. However, the RMS of pectoralis major musc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p<.05). Second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 Jitter and Shimmer between pre and post posture chan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HR (p<.05). The data were collected in each individual; once prior and once after the sitting posture change. The data were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s-test using SPSS version 14.0 for Windo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MS of upper trapezius and rectus abdorminalis muscl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 sitting posture changes. From the result, it is concluded that changes in the adjusted sitting posture decreases the abnormal respiratory patterns in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hyperactivity of the respiratory muscles in breathing. Also, there is increased on the voice qualities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4,000원
        5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 수준이 부모가 보고하는 뇌성마비 아동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령기(8~18세) 뇌성마비 환자들 중 강직성 양하지 마비 형태를 보이는 29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삶의 질 평가는 부모에 의해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은 기능 수준에 따라 세 집단(계단 보행 가능 집단, 일반 보행 가능 집단, 그리고 보행 불가능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삶의 질 평가는 한국어판 KIDSCREEN 52-HRQOL을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결과 : 기능 수준에 따라 삶의 질 영역들 중 ‘신체활동과 건강’, ‘심리적 건강’, 그리고 ‘자유시간’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이외의 영역들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높은 기능 수준을 보인 집단에서 전체 삶의 질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기능 수준이 뇌성마비 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신체 기능과의 관계가 삶의 질 평가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인 것으로 이해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향후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59.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편마비 아동에게 수중에서 시행하는 대칭운동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자는 뇌병변으로 인한 좌측편마비 진단을 받은 8세 아동이었다. 본 연구는 개별사례 실험 연구방법 중 반전연구(ABA)를 사용하였으며, 각각 8회기의 기초선 과정, 치료기간, 그리고 치료 후 관찰기간 동안 상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상지기능의 평가는 Bruininks-Oseretsky 운동기능 발달검사 소항목인 동전 옮기기와 Grooved 페그보드 검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팔뻗기 과제에 대한 동작분석은 치료기간 전과 후에 각각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치료선 과정과 치료 후 관찰기간에는 일반적인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를 받았으며, 치료기간에는 이에 더하여 40분간의 수중 대칭운동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과 : 동전 옮기기와 페그보드 검사로 평가된 상지기능은 기초선과정보다 치료기간 동안에 향상되었으며, 이는 치료 후 관찰기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팔뻗기 과제에 대한 동작분석 결과 치료기간 후에 과제 완료시 체간의 굴곡 보상이 감소되었으며 견관절의 굴곡과 주관절의 신전이 움직임이 증가되었다. 또한 견관절과 주관절의 움직임 형태가 안정적으로 변하였다. 결론 : 수중 대칭운동은 편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및 움직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향후에는 많은 대상자들을 포함하고 장기간 시행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6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many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ve problems with their eye movements available data on its intervention is minima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ostural movement normalization and eye movement program on the oculomotor 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wenty-fou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12 male and 12 female), aged between 10 and 12, were invited to partak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postural movement normalization and eye movement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conventional therapy without the eye movement program. Each subject received intervention three times a week for twelve weeks. The final measurement was the ocular motor computerized test before and after treatment sessions through an independent assessor.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determined by assessing changes in oculomotor ability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he changes of visual fixation (p<.01), saccadic eye movement (p<.01) and pursuit eye movement (p<.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ostural movement normalization and eye movement program may be helpful to treat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lose normal physical and eye movement.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