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7

        6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urface area and velocity of center of pressure (COP) during one leg standing by stimulating the sensory system in normal adults. Thirty subjec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asked to stand on one leg during testing conditions. Testing conditions included 6 different sensory stimulations as follows: eyes opened, eyes closed, eyes opened with vibrator, eyes opened with head-mounted display (HMD), eyes opened with vibrator and HMD, and eyes closed with vibrator. During each testing condition, the surface area and velocity of center of pressure were measur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urface area and the mean velocity of COP between the “eyes opened” condition and the other five testing conditions (p<.05). However,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yes closed” and “eyes opened with HMD” condi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sted parameters. This study shows that closing eyes or keeping eyes opened while using HMD to experience virtual reality has the same effect on one leg standing balance. This finding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r intervention of balance, especially one leg standing balance and balance while standing with a small base of support.
        4,000원
        6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20-50대 초기 및 중기 원발개방각 녹내장 환자의 양안시기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안과에 내원하여 전문의에게 원발개방각 녹내장 진단을 받은 환자 중 단안 또는 양안에 약시, 백 내장, 시력교정술 및 안내수술, 고도의 굴절이상과 부등시를 갖는 환자를 제외한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력검사, 안압검사, 굴절이상도 측정, 시야감도의 평균값(mean deviation), 남아있는 시야(visual field index),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측정, 시야검사, 사시각, 폭주근점, 융합능력, 억제, 입체시, 시생활 만족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상대조군은 안과질환이 없으며 안압이 21 mmHg 이하이고, 녹내장성 시신경 병증이 없는 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검사는 녹내장 환자와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검사결과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녹내장군의 나이, 성별, 등가구면굴절력, 교정시력, 안압은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시야감도의 평균값, 남아있는 시야 및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양안시기능에서는 근거리 사시각, 근거리 양성 전폭주, 원거리와 근거리 폭주여력 및 입체시는 녹내장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녹내장군의 시생활 만족도는 각 항목의 총점, 주변시, 암순응과 명순응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 론: 초기 및 중기 원발개방각 녹내장 환자의 경우 사시각이 외편위 방향으로 증가되고, 폭주근점의 증가, 근거리 양성전폭주량의 감소, 원거리와 근거리 폭주여력의 감소 및 입체시 감소가 나타나며, 주변시와 빛에 대한 순응과 관련된 활동이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6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노루궁뎅이버섯(H. erinaceus)의 다양한 효능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노루궁뎅이버섯의 소비는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노루궁뎅이버섯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발이유도방법에 따른 버섯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수확기간은 표면상처를 낸 처리구가 상면상처를 낸 처리구보다 빨랐으며, 수확량은 생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2주기 수확버섯의 건물중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2주기버섯의 재발생률은 T5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상면처리구보다 표면상처를 낸 처리구에서 재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현재 노루궁뎅이버섯 재배농가에서 느타리버섯 재배방식에 준하여 시행하고 있는 방식인 상면 균긁기 후 발이를 유도하는 방법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노루궁뎅이버섯의 형태적 특징은 T5처리구가 가장 큰 덩어리형태로 생장하여 상품가치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4,000원
        6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곡률이 없는 고 굴절률 안경렌즈위에 발수 막을 코팅하여 발수 막의 성분과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방 법: 전자빔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곡률이 없는 고 굴절률 안경렌즈위에 발수 막을 5 nm, 10 nm, 20nm, 30 nm, 40 nm로 두께로 코팅하였다. 발수 막의 성분을 관찰하기 위해 ATR-FTIR 장비를 사용하였고, 분광 타원 법을 이용하여 발수 막의 굴절률과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발수 발유 성을 알기위해 물과 CH2I2 를 사용하여 접촉각을 구했으며, 비부착성을 알기위해 마찰계수를 구했다. 결 과: FTIR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발수 막의 성분을 관찰한 결과, 유기불소를 포함한 유기화합물이라는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분광 타원 법에 의한 계산한 발수 막의 굴절률은 d선인 587.56 nm에서 1.6026이며 아베수 49이었다. 물에 대한 접촉각은 발수코팅을 안한 고 굴절률렌즈 표면에서 78.1°이고 발수 코팅 막의 두께가 20 nm일 때 109.9°이며, 그 이후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조금씩 증가한다. CH2I2에 대한 접촉각은 코팅을 안 한 고 굴절률렌즈 표면에서 34.1°이고 코팅 막의 두께가 20 nm에서 93.7°이며, 그 이후 코팅 막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접촉각이 포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수 막의 마찰계수는 코팅을 안한 고 굴절률렌즈 표면에서는 0.410이고 코팅 막의 두께가 5 nm에서 0.626으로 커진 후,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점점 작아져 40 nm에서 0.167이었다. 결 론: 고 굴절률렌즈위에 코팅한 발수 막은 유기불소를 포함한 유기화합물이며, 굴절률은 1.6026이었다. 발수 발유 접촉각은 코팅막이 20 nm일 때 각각 109.9°과 93.7°이며, 발수 막의 동마찰계수는 코팅막의 두께가 40 nm에서 0.167이었다.
        8,400원
        6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도와 차광이 참나물 종자의 발아와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온도별(5oC, 10oC, 15oC, 20oC, 25oC, 30oC) 발아 시험과 차광별(무차광, 35% 차광, 50% 차광, 75% 차광) 생육 시험의 두 종류로 실시되었으며, 발아실험 전 종자는 0일, 20일, 40일로 각각 저온습윤 처리를 하였다. 발아율은 20일 저온습윤 처리의 5oC에서 48.3%로 가장 높았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에 따른 초장, 엽면적, 엽장, 엽폭 등은 모두 50% 차광에서 각각 7.3cm, 12.8cm2, 5.4cm, 2.3cm로 가장 컸다. 특히, 뿌리는 35%와 50% 차광에서 생장이 좋았다. 지상부의 생체중은 50% 차광과 75% 차광에서 가장 높았으며, 건물중은 35% 차광과 50% 차광에서 높았다. 본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참나물 유묘는 50% 차광을 유지하여 생육하는 것이 이식용 유묘 생산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업적 가치가 있는 천연 레스베라트롤은 인체에 항산화 작용, 심혈관질환 예방, 항염증 등의 효능이 있다.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익산 526)를 이용하여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높이기 위해 현미의 발아온도(25°C, 30°C)와 처리일수(0, 1, 3 및 5일)의 최적조건을 구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25°C와 30°C에서 발아 5일째 각각 1.7배와 2.1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iceid 함량은 3.5배와 1.4배 증가하였다. 25°C 발아조건과 비교하여 30°C에서 transresveratrol은 20% 이상, piceid는 70% 이상 증가하였다. 레스베라트롤 유전자 발현량도 25°C와 30°C에서 발아 5일째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C에서는 25°C와 비교하여 5.5배 증가하였다. 발아 전과 비교하여 25°C에서는 2.5배, 30°C에서 14배 증가하였다. 하지만, 익산 526의 레스베라트롤 함량 증가는 항산화 활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익산 526 현미를 이용하여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30°C에서 5일 동안 배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향후 이를 산업적 소재로 이용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한다.
        4,000원
        67.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분은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오래전부터 자연 건강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벌이 채취한 꿀벌 화분(bee pollen)에는 꿀과 효소가 혼합되어 있어서 일반 화분보다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꿀벌의 단백질원과 로열젤리의 원료로 이용된다. 화분은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완전식품이지만 sporopollenin으로 된 외피(exine)와 cellulose와 pectin으로 구성된 내피(intine)는 화학적으로 견고하여 강산처리에도 구조가 파괴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동물, 곤충들도 분해하지 못하여 영양성분의 일부만 흡수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은 도토리화분을 대상으로 담자균류인 약용버섯을 이용하여 화분 세포의 발아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꿀벌화분은 알갱이 형태이며, 꿀벌의 분비물을 제거한 순수 화분은 분말형태로 크기는 0.1~0.003 ㎜ 정도이다. 화분의 전자현미경 구조는 도토리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장구형(prolate)이고 극면상은 난형이다. 발아구는 3구형이며 비교적 짧고 곧은 주름이 있다. 표면은 과립상(verrucate) 또는 미립상(scabrate)으로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저온초미분쇄한 화분은 세포벽이 파쇄 또는 절단되었으며, 동결건조한 화분에서는 세포벽이 파열되어 세포질이 나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표고버섯균을 접종한 도토리 화분의 세포 발아 형태는 공구(pore) 주변에 외피가 없는 다량의 발아세포가 형성되었으며, 뽕나무버섯균을 접종한 화분배지에서의 세포 발아 형태는 화분에서 균사속과 유사한 발아관이 형성되고 그 끝에 발아세포가 형성되었다. 도토리화분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화분배지에 뽕나무버섯균(Armillariella mellea) 배양한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버섯균(Lentinus edodes)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뽕나무버섯균을 배양한 발아액 중에서 동결건조 화분의 발아액이 정제화분과 저온초미분쇄화분의 발아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많았다. 또한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균 발아액은 물추출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1.4배 높았다. 도토리화분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뽕나무버섯균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버섯균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균 발아액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물추출보다 2-4배 높았다.
        6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발아 및 초기 생육단계에서 내염성 수준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 조건에서 다양한 염농도 조건에서 그린팜, 플로리다80, 코원어리 및 화산101호 품종을 이용하여 염해에 대한 반응을 발아율과 산화 스트레스 관련 효소들의 활성을 통해 조사하였다. 저농도의 NaCl 처리구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율의 차이가 1~3%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50 mM 이상의 NaCl 처리구에는 화산101호 품종을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50% 이상의 발아율 감소를 보였다. 또한, NaCl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아에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었으며, 350 mM NaCl이 첨가된 처리구에는 화산101호 품종만이 치상 10일후에 발아가 시작하여 12% 정도 발아하였다. NaCl 농도에 따른 shoot과 root의 길이와 생초와 건조 후 무게의 변화도 만생종으로 갈수록 더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타나났다. 품종별간의 잎 조직에서 항산화효소 활성을 분석 결과 고염 조건 (150 mM NaCl)에서 POD 활성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 되었다. 반면 APX 활성은 플로리다80과 코윈어리 품종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화산101 품종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수준에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그린팜 품종에서는 유의적인 수준에서 고염 처리에 의한 APX 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속적으로 in vitro screening을 통해 선발된 계통들은 향후 특성평가와 인공교배를 통해 내염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육종모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9.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녹내장은 전세계 시력상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젊은 연령층에서도 점차 증가추세 에 있다. 가장 흔한 형태인 원발개방각 녹내장의 경우 발병초기의 시야결손 및 신경섬유층의 손상이 양안시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안과에 내원한 녹내장 환자 중 안과 전문의에게 원발개방각 녹내장 진단을 받은 자 중 단안 또는 양안에 시신경장애, 약시, 백내장, 시력교정술 및 안내수술, 고도의 굴절이상과 부등 시를 갖는 환자를 제외한 원발개방각 녹내장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력검사, 안압 검사(NCT, CT-80, TOPCON, JAPAN), 굴절이상도 측정,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측정(OCT, 4000, Carl Zeiss, Germany) 및 시야검사(Perimeter, Humphery AII-750I, Carl Zeiss, Germany)를 시행하고, 사시각, 폭주여력, 폭주근점, 억제, 입체시 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상군 은 안과질환이 없으며 안압이 21mmHg 이하이고, 녹내장성 시신경 병증이 없는 경우를 대상 으로 하였으며 모든 검사는 녹내장 환자와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검사결과는 SPSS (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 < 0.05로 하였 다. 결과: 녹내장 환자의 안압, 시력은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으나(p>0.05), 정상 시야값과 비교한 감도 차이를 나타내는 Mean Deviation과 남은 시야기능을 %로 표시한 Visual Field Index는 녹내장 환자가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38, p=0.044)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녹내장 환자군 86.1±9.73, 정상군 95.85±9.90μm로 녹내장 환자군에서 두께가 유의하게 얇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p=0.002). 녹내장 환자군과 정상군의 원거리 사시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669), 근거리 사시각은 녹내장 환자군에서 −5.30 ± 4.17▵, 정상군에서 −2.10 ± 2.51▵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4). 폭주근점은 녹내장 환자군에서 8.38 ± 3.53cm, 정상군에서 5.25 ± 2.17cm로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6). 녹내장 환자군의 원거리와 근거리 양성 폭주여력은 정상군과 차이가 없지만(p=0.671, p=0.454), 원거리에서 음성폭주여력은 녹내장군 에서 −4.21 ± 3.32, 정상군에서 −9.10 ± 5.42▵, 근거리에서 음성폭주여력은 녹내장군에서 −10.1± 3.07▵, 정상군에서 −16.5 ± 7.1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5와 p=0.023). 입체시는 녹내장군에서 159±121 arc sec, 정상군에서 40±0 arc sec로 두 그룹간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0.004). 결론: 양안에 시야결손 및 시신경섬유층의 손상이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나타나는 원발개방 각 녹내장 환자의 경우 발병초기에도 근거리 사시각의 증가와 폭주근점의 증가, 음성폭주여력 의 감소, 입체시의 감소가 나타나 양안시 기능이 저하될 것으로 사료된다.
        70.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발아된 녹두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 및 화장품 응용에 관한 연구이다. 동일 농도인 250 ㎍/㎖ 에서 산화질소 생성 억제 비교시 발아 녹두 추출물이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수용성 용매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1,3-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고, 5일간 발아시킨 녹두를 추출한 것이 가장 높은 산화질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염증 반응이 많이 일어나는 염모제에 발아 녹두 추출물을 적용한 결과 발아 녹두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가 포함하지 않은 것 보다 높은 산화 질소 억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발아 녹두 추출물은 화장품에 자극 완화제와 항염증 소재로 응용이 기대된다.
        4,000원
        71.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erformance of spray vale using three nozzles has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Experimental apparatus is composed of the steam line and water line. Capacity 20kW electric heaters were used to produce the 1l0oC steam. The 300C water was produced using a water bath. Water outlet temperature is measured for each model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nozzle.
        4,000원
        7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lower extremity joint moment during the take-off phase in high jump and thu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nhancement of highschool students' high jump skills. 2 highschool students - one males and one females -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in which the 3D image analyzer and ground reaction force measuring unit were adop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Similar to the changing patterns from lower extremity joint moment but, moment values it turned out that male were better than female. The flexion and extension moment of lower extremity were most significant, abduction and adduction, medial rotation and lateral rotation were relatively small. The moment value in sagittal plane, frontal plane, transverse plane were appeared larger in the order of hip joint-knee joint-ankle joint. The muscle activity of knee joint and hip joint were acts in conjunction with sequential knee joint-hip joint.
        4,000원
        7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번 연구에서는 피마자박, 미강, 수피, 채종박, 돈분슬럿지 총 5종류의 유기물원의 화학적특성과 안정화 과정중의 특성변 화를 조사한 결과 피마자박과 채종박 그리고 미강의 유기물 및 질소등의 합량이 높은수준이었으며 시험재료의 유기물원들 의 안정화과정에 따른 소요일수에서는 피마자박과 채종박 그 리고 돈분슬럿지가 20일이 경과후에 온도가 하강되면서 안정 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발아지수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나 안정화과정 25일째에 피마자박과 돈분 슬럿지가 70이상의 발아지수를 나타내고 있다. 배추와 상추의 초기생육에서는 수피를 제외한 모든 유기물원들이 비슷한 생 육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피마 자박과 돈분슬럿지를 20일이상 안정화과정을 진행하면 작물에 안정적인 유기물 공급원으로 사용할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nutraceutical lipid components of brown rice oil after germination. Four different high-yielding cultivars (Dasan1, Segyejinmi, Hanareum1 and Hanareum2) of Korean brown rice were selected and brown rice oil was extracted from each cultivar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ree fatty acid, squalene, policosanols, and isomers of phytosterol were analyzed using GC, and isomers of tocols (tocopherol and tocotrienol) and γ-oryzanol were quantified using HPLC from both brown rice oil (BRO) and germinated brown rice oil (GBRO). The contents of phytosterol isomers,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β-sitosterol were increased by 8.3%, 31.6%, 3.3% in GBRO,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squalene content showed the highest increase of up to 2.4 fold in GBRO compared to BRO. In addition,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mposition increased whereas oleic and palmitic acid decreased in the GRBO. However, the contents of tocols (tocopherol and tocotrienol) in GBRO were lower than those in BRO,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icosanol and γ-oryzanol between GBRO and B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GBRO has the potential as a healthy and functional source due to its lipid profile on improved lipid metabolism.
        4,000원
        7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깨 종자를 10일 간 발아시키면서 얻어지는 싹에 대하여 일반성분 및 항산화력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들깨유 산화에 대한 싹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종자의 수분 함량(2.9%)은 발아 10일째 싹에서 9.2%로 증가하였으나 조회분 함량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종자에서 46.8%와 20.7%이었던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발아 10일째 싹에서 각각 18.2%와 18.3%로 감소하였지만, 환원당과 조섬유 함량은 2.2% 및 14.8%에서 각각 12.8%와 22.4%로 증가하였다. 깻잎과 비교하면 10일째 싹은 조지방, 탄수화물, 환원당, 조섬유 함량이 더 높았고 수분, 조회분 및 조단백질 함량은 더 낮았다. 발아동안 항산화력은 증가하여 8일째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는데,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에 기반한 Trolox 당량 항산화력(TEAC)은 각각 133.1과 136.8 Trolox eq. mmol/kg이었으며, 3가 철이온 환원력(FRAP)는 399.3 Fe(II) eq. mmol/kg이었다. 폴리페놀 함량(19.2 g/kg)도 이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깻잎은 발아 8일째의 싹과 유사한 TEAC를 보였으나 FRAP은 더 높았다. 발아 8일째 싹의 메탄올 추출물을 들깨유에 첨가 시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가 억제되었는데, 대조 들깨유에서 1.67 hr이었던 산화유도기간이 2.5%(w/w) 추출물 첨가 들깨유에서는 4.62 hr로 나타나 들깨유의 산화 안정성이 약 2.8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산화유도기간은는 동일농도의 BHT 첨가구와 비교 시 약 38% 수준에 해당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