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9

        61.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다양한 식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약제 저항성 발달이 빠르기 때문에 방제가 어렵다. 이에 야외에서 채집한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Paecilomyces javanicus를 이용해 담배가루이에 대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P. javanicus의 포자를 접종한 경우와 상청액과+tween20을 처리한 처리구가 대조구 및 무처리에 비해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습도 80%로 설정한 방에 20, 25, 30℃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가장 효과가 좋았던 온도는 20℃였으며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살충률이 낮아졌다. 또한 온도 20℃로 설정한 방에 습도 40, 60, 80%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80%에서 가장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냈으며 습도가 낮아짐에 따라 살충률이 낮아졌다. 살포횟수에 따른 효과는 산란 후 31일차에서 3회 이상 살포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41%의 살충 효과를 보였다.
        6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는 온실재배 조건에서 토마토에 커다란 피해를 끼치는 해충으로 가루이 관리를 위해 점착트랩의 직접적인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색깔에 대한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의 유인효과를 확인하였는데 두 종 모두 대부분의 성충이 백색, 청색보다 황색 트랩에 포획되었다.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 성충이 황색점착트랩에 포획된 수와 유의차 없이 천적인 담배가루이좀벌과 온실가루이좀벌 성충 또한 트랩에 포획되었다. 콤비락 안에서 토마토 높이별로 점착트랩을 설치하였을 때 담배가루이가 포획된 마리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온실가루이는 상부에 설치한 트랩에 37.4마리가 포획되어 하부 6.8마리보다 많았다. 토마토 재배 온실에서 가루이 성충은 하단에 설치한 트랩보다 상단에 설치한 트랩에 많이 포획되었다. 온실가루이의 경우 크기가 작은 기주조건에서 트랩에 더 유인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트레이육묘상에서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한 결과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 모두 8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점착트랩의 가루이 방제효과를 포장에서 검정하기 위해서 방제용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한 온실에서 트랩당 일일 포회수가 0.96마리로 무처리온실 3.11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방제용 트랩을 제거한 뒤 5일 동안에도 처리구의 가루이 성충 밀도는 트랩당 1.39마리로 무처리 3.34마리보다 낮게 유지되어 실질적으로 가루이 밀도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토마토 트랩을 설치하고 천적을 사용하여 그 혼합효과를 보았는데, 천적과 점착트랩 처리포장에서 성충의 밀도는 최종 트랩당 14.64마리로 나타났고 천적만 사용한 포장은 21.64마리로 나타났다.
        6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참외 담배가루이에 대한 합리적 약제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 행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접종수준을 0, 0.1, 0.5, 1, 2마리/엽으로 조절하여 충 태별 밀도변화 및 식물체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2마리/엽 처리구의 경우 담배가 루이 증식속도는 접종 30일 후에 7.4마리/엽으로 3.7배 증가하였고, 접종 60일 후 에는 49.8마리/엽으로 초기 접종밀도보다 24.9배 증가하였다. 담배가루이에 의한 피해는 주로 성충의 배설물에 의해서 나타나는 그을음 증상으로 2마리/엽 접종 처 리구는 접종 후 20일째부터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접종 60일째에 피해과율 은 31.5% 발생되었다. 담배가루이 발생밀도에 따른 피해과율과의 관계는 y=0.961X +0.0562(R2=0.976)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농산물 소득자료의 참외 평균수량과 단가, 조수입 및 방제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소득지수 는 95%로 나타났는데, 이 값을 기준으로 요방제수준을 계산한 결과, 경제적 피해 수준의 담배가루이 밀도는 5.1마리/엽이었고, 경제적 피해수준의 80% 수준에서 경제적 방제수준은 참외 1엽에 4.1마리였다.
        6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점착트랩을 이용한 가지 담배가루이 방제 시 최적의 설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가지 정식 후 점착트랩을 1~40개까지 6처리를 설치하고 담배가루이 성충의 유인 채집효과, 가지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점착트랩 설치 수가 증가 할수록 초 장, 경경 등 생육이 양호하였고, 잎에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성충과 약충은 점착트 랩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트랩에 포집된 단위면적당 담배가루이 성충수는 트랩수가 적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총 포집수는 트랩수가 많은 처리가 증 가하였다. 생육 초기의 수량 및 과특성은 점착트랩 수가 증가할수록 과수, 상품률 등이 증가한 경향이었으나 생육후기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점착트 랩에 의한 담배가루이 밀도 억제효과는 생육초기에는 있지만 생육후기에는 없었 다. 생육초기 담배가루이 밀도억제에 적합한 설치수는 가지 10주당 3~5개였다
        6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지 담배가루이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고자, 난황유 등 7종의 천연물질을 가지 정식 후 7일 간격으로 살포하면서 생육을 조사한 결과 관행(디노테퓨란입상 수화제 1,000배), 님제 등이 양호하였고, 님제, 은행잎제, 난황유에서는 약해가 발 생되었다. 담배가루이 발생은 관행과 님제 처리에서 적었다. 수량은 관행에서 가 장 많았고, 친환경 자재에서는 님제, 고추씨유 등이 많았으며, 고삼제 은행과육 등 에서 적었다. 님제 처리의 경우 관행대비 51.5%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담배가루이 방제에 효과가 우수한 님제의 적정 처리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00~2,000배까지 5처리를 두어 가지 생육과 수량, 담배가루이 발생을 조사한 결 과, 정식 48일후 생육조사에서 500배가 초장 등 생육이 양호하였고, 배수가 낮을 수록 약해가 발생과 생육이 저조하였고 배수가 증가 할수록 담배가루이 발생이 많 아져 생육이 저조하였다. 담배가루이 발생은 처리 배액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전체적으로 님제 500배액 처리가 과중, 과수 등이 양호하고 수량이 많아, 가지 담 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적정 님제 처리농도는 500배였다. 또한 님제 처리간격을 구명하고자, 500배 농도로 처리간격(일)을 3~15까지 5처 리를 두어 담배가루이 발생과 가지 생육과 수량 등을 조사한 결과, 처리간격이 넓 은 처리가 담배가루이 발생이 많았고, 생육 또한 처리간격이 넓은 10일과 15일 나 빠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님추출물 7일 간격 처리가 과중, 과수, 상품률 등이 높아 수량이 많았다. 이는 처리간격이 짧을수록 님제의 영향을 받았고, 길어질수록 담 배가루이의 피해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66.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배가루이는 열대성 난방제 해충으로 국내에서는 1998년 장미 재배지에서 처 음 발생하였으며, 시설재배지의 화훼 및 채소류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2008년 9 월 하순경 경북 성주군 대가면 참외 시설 재배지(위도 35° 53‘ 10.96“, 경도 128° 11‘ 64.10“)에서 곤충병원성곰팡이에 자연적으로 집단 감염된 담배가루이 성충이 발견되었다. 채집된 감염성충에서 포자를 순수 분리한 후 분리된 균주에 대하여 형태적 관찰과 유전자 분석한 결과 Isaria fumosorosea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I. fumosorosea-S08은 SDA+Y배지에서 계대 배양(균총 직경 45㎜/14day)하였으며, colony는 회색이었다. 직립한 분생자병은 직경이 1.6㎛로 크기가 5.3×2.1㎛인 long stipe을 지닌 4~6개의 phialide를 가지며, phialide 위의 분생포자는 투명한 타원형의 긴 체인형태로서 크기는 3.0×1.8㎛이었다. 균주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5.8S rDNA와 ITS 염기 서열을 분석하고 NCBI 검색 결과 radial root dentrogram 상에서 I. fumosorosea와 같은 cluster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I. fumosorosea는 1999년 국내 처음 토양에서 분리되었으나 담배가루이로부터 분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ltural characteristics Lecanicillium lecani Btab01 and its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were investigated. On potato dextrose agar, tryptic soy agar and SDA+Y media, mycelial growth of L. lecani Btab01 was best at 20~25℃ and suppressed above 28℃. Both solid culture and liquid culture of L. lecani Btab01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y, 93.9 and 98.3% respectively, against nymph of tobacco whitefly,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ulture of L. lecani Btab01 was treated at the concentration of 10⁵, 10⁶, 10⁷ and 10⁸ cfu/ml, their insecticidal activity were 5.8%, 33.8%, 77.3% and 98.5% respectively, and LT<SUB>50</SUB> values were 16.1 days, 7.3 days, 5.1 days and 3.5 days respectively. When nymphs were treated by the cultures of L. lecani Btab01 and maintained under saturated condition for zero hour, 24 hours and 168 hours, their control activities were 0%, 20.3% and 100% respectively. Spore germination of L. lecani Btab01 was increased about two times by adding edible oil. When L. lecani Btab01 was treated to control nymph with 0.1% edible oil, it showed high control activity (98.6%) compared to single treatment of L. lecani Btab01 (79.9%).
        4,000원
        6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기도 시설재배지역에서 담배가루이를 채집하여 biotype, TYLCV 보독여부 및 Dinotefuran 등 16약제에 대한 3개 지역개체군별 약제감수성을 검정하였다. 11 개 시․군에서 담배가루이가 확인된 가운데 화성, 고양, 안성지역 담배가루이의 16S rRNA와 Mitochondrial cytochome oxidase I (MtCOI)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B. tabaci biotype의 확인한 결과 고양 일부지역(B-biotype)을 제외한 지역개체군은 Q-biotype을 판정되었다. 또한 2차적으로 계통유연관계(phylogenetic tree)를 분 석하였다. 채집곤충 및 기주식물의 Genomic DNA에 대해 TYLCV specific한 Primer를 이용 PCR을 통해 sequencing과 southern blot을 통해 검정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TYLCV는 검정되지 않았다. 채집한 담배가루이를 실내사육하면서 유묘 검정법을 통해 약제감수성을 검정한 결과,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acetamiprid 등 니코티노이드계 약제들에 대해 Q-biotype의 경우 높은 저항성을 보인 반면, B-biotype의 경우 높은 감수성을 보여 대조되는 양상이었다.
        6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9년 5월에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수경재배 비닐하우스에 가지를 정식하고 담 배가루이를 접종하였다. 난황유 200배액, 님제 500배액, 은행과육 발효액 10배, 돈 분침출액 50배액, 제충국제 100배액, 은행잎추출액 200배액, 고추씨기름 200배 액, 고삼추출액 10배액 그리고 대비구로 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1000배액과 증류 수를 7일 간격으로 분무처리 하면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가지 생육과 수량을 조사 하였다. 초기 생육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73일후 생육은 초장, 엽장, 절수 등에 서 디노테퓨란, 님제, 돈분침출액, 난황유, 은행과육 순으로 양호하였고, 고삼추출 액과 증류수 처리가 저조하였다. 성충발생은 디노테퓨란이 3.5마리/4cm2로 가장 적었고, 님제 4.4, 난황유 6.2, 은행잎추출액 7.9마리/4cm2 순 이었으며, 고삼추출 물과 증류수가 각각 10.6, 11.9마리/4cm2로 많았다. 약충발생에 있어서도 디노테 퓨란 0.2, 님제 1.0, 고추씨유 5.0, 난황유 6.0마리/4cm2순으로 적었고, 고삼추출물 과 은행과육이 11.5마리/4cm2, 증류수처리가 12.1/4cm2로 많은 발생을 보였다. 수량은 디노테퓨란이 597.9g/주로 가장 많았고, 님제 308.2g/주, 고추씨유 240.7g/주, 난황유 224.8g/주 순이었으며, 증류수 182.3g/주, 은행과육 161.7g/주, 고삼추출물 130.0g/주로 적었다. 담배가루이 약충의 경우, 증류수 대비 화학농약인 디노테퓨란은 98%의 방제효 율을 나타내었고, 천연물질로는 님제 92%, 고추씨유 59%, 난황유 50%의 방제효 율을 나타내었다.
        7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ur major agricultural insect pests, Bemisia tabaci, Myzus persicae, Plutella xylostella and Tetranychus urticae, were irradiated with 30, 50, 70, or 100 Gy electron-beam. Longevity, egg hatching, emergence, and fecundity of the test insects were measured. Hatchability of B. tabaci, P. xylostella and T. urticae declined with increasing irradiation doses, and all B. tabaci and T. urticae eggs were dead at 100 Gy. When eggs of B. tabaci, P. xylostella and T. urticae were irradiated, hatch was inhibited. B. tabaci adults grown from 70 Gy irradiated eggs did not lay eggs. Fecundity of P. xylostella from the 100 Gy irradiated eggs decreased. When B. tabaci, P. xylostella, M. persicae and T. urticae nymphs/larvae were irradiated, the results were similar as those of the hatched eggs. When P. xylostella pupae were irradiated with 100 Gy, fecundity of emerged adults decreased and no eggs hatched. When B. tabaci, P. xylostella, M. persicae and T. urticae adults were irradiated with 70 and 100 Gy, fecundity decreased and egg hatch of B. tabaci was inhibited. However, the longevity of adults did not change and electron-beam irradiation of all developmental stages had no effect on the longevity of adults.
        4,000원
        71.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9년 5월에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수경재배 비닐하우스에 가지를 정식하고 황색 등 8종의 색상지에 점착액을 도포하여 담배가루이 유인효과를 살펴보았으며, 트랩 점착액에 포도당, 과당, 올리고당, 물엿, 설탕 등을 첨가하여 당류 첨가에 따른 유인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점착트랩을 지제부 30cm 위, 중간부, 정단부, 정단 30cm 위에 설치하고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를 조사한 결과 색상지에 따른 담배가루이 유인효과는 황색이 100cm2 당 87.9마리로 가장 많았고, 연두>주황> 녹색>검정>적색>청색>백색순이었다. 점착액 당류 첨가효과는 포도당과 과당이 100cm2 당 각각 159.3, 159.0마리로 유인량이 가장 많았고, 올리고당>물엿>설탕 순이었으며, 설치위치에 따라서는 정단부가 100㎠ 당 103.3마리로 가장 많고, 지제부 30cm 위 지점이 85.0마리였으며, 정단부 30cm 위와 중간부는 각각 51.9마리, 55.4마리로 가장 적었다. 따라서 담배가루이 유인을 위한 점착트랩은 포도당 또는 과당을 첨가한 점착액을 황색지에 도포하고 정단부와 지제부 30cm 위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7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ymphal development of the B and Q biotypes of Bemisia tabaci was normal on all seven tomato varieties tested. However, their nymphal development was different on red pepper varieties. B biotype was not normally developed on nine red pepper varieties tested. On the contrary, Q biotype was normally developed, but its adult emergence rate was very low in Nokkwang variety than in other eight varieties. The EPG analysis of the feeding behavior of Bemisia tabaci showed that B and Q biotypes had different duration of phloem phases on red pepper. Q biotype showed longer phloem phases than B biotype. On Nokkwang variety, Q biotype had short phloem phases and did not prefer to feed on Nokkwang variety. Interestingly, Q biotype was found to have long duration of phloem phases on eight red pepper varieties, but B biotype did not prefer to feed on red pepper varieties. However, both biotyp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feeding time on tomato varieties.
        4,000원
        7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면적 수출유망작물인 착색단고추를 가해하는 담배가루이에 대한 효과적 인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델타린 유제, 피리다벤 수화제, 에마멕틴벤조 에이트 유제, 클로르페나피르․클로치아니딘 액상수화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액 상수화제, 치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등에 대하여 약효․약해를 평가하여 보 았다. 조사를 위한 착색단고추의 재배는 일반농가의 관행재배법에 준하였고 각각의 약제에 대한 처리는 난괴법 3반복으로 2회 실시하였다. 각각의 경우 조사는 3일차, 7일차 2회 조사하였으며, 약해조사 또한 3일차에 2회 실시하였 다. 먼저 1회 처리(2008년 8월 12일)의 담배가루이의 살충률을 조사한 결과 1 회(2008년 8월 14일) 2회(8월 18일) 조사 모두 델타린 유제의 경우는 방제가가 낮게 나타났으나, 그 이외의 약제의 경우는 대조구에 대비하여 90% 이상으로 약효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회 처리(9월 17일)의 경우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약해는 모든 약제에서 1회 2회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7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 the leaf disc of fruit vegetables (cucumber, sweet pepper, tomato, egg plant, oriental melon), it has been evaluated that the capability of four predatory mites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Neoseiulus barkeri (Hughes), N. cucumeris (Oudemans), N. californicus (McGregor)) to prey on the eggs of Bemisia tabaci (Gennadius) and to lay own eggs. The most aggressive mite was A. swirskii which had consumed about 9~12 eggs in a day. The quantity of eggs consumed by N. barkeri, N. cucumeris and N. californicus was about 6~9, 4~6 and 1~4, respectively. The most productive mite was also A. swirskii which had laid about 1.2~1.9 eggs in a day. The others could not lay more than 0.5 eggs in a day.
        4,000원
        75.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남의 온실(비닐하우스) 내에서 위치에 따른 담배가루이(이하 가루이)의 년중 밀도변동을 조사하였다. 온실은 보통 남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점을 감안하여 남쪽・중앙・북쪽의 밀도변동, 하우스 중앙과 벽 쪽의 밀도변동, 온실의 환풍구와 바깥 사이의 밀도변동 등을 알아보고자 함안의 2곳, 진주 사봉의 1곳을 선정하여 온실 내에서 담배가루이의 밀도를 1년간 조사 하였다. 1년간 온실내의 가루이의 밀도변동은 이식후 부터 환풍구로 가루이가 유입되어 밀도가 일정한 시기(유입 및 감소 시기, 8월~11월), 온실 밖의 온도가 내려가 온실 내에 가루이의 밀도가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시기(정체 및 국지적 발생 시기, 12월~3월), 온실 밖의 온도가 올라가 온실내의 가루이의 밀도가 증가하는 시기(증가시기, 4월~7월) 등 크게 3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3곳의 온실에서 세 시기의 기간은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유입 및 감소 시기에서는 가루이가 환풍구(천장에 설치된 환풍구)로 유입되어 온실 전체적으로 밀도가 일정했고, 정체 및 국지적 발생 시기는 방제를 함에도 불구하고 온실의 일정부분이 아닌 곳곳에서 가루이가 발생했다. 증가 시기는 온실주변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전체적으로 가루이의 밀도도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보아 시기별로 방제 방법을 달리해야 될 것으로 보이며, 이식 초기와 가루이의 밀도가 증가하는 3월~4월경 집중적인 방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76.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남 지방 3곳의 온실에서 가루이의 밀도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하우스는 보통 직사각성으로 남에서 북으로 길게 널어서 있다. 이 점을 감안하여 남쪽∙중앙∙북쪽의 밀도변동, 하우스 중앙과 벽 쪽의 밀도변동, 마지막으로 하우스의 환풍구와 바깥 사이의 밀도변동을 알아 보자가 함안의 2곳, 진주 사봉의 1곳을 조사 하였다. 온실 내에서 담배가루이의 밀도를 작물 말기인 7월 중순부터 시작하여 새로운 작기가 시작되는 8월말부터 11월말까지 1주 간격으로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함안1의 파프리카 농가는 7월 30일에 작기가 끝난 파프리카를 7월 30일에 제거, 8월 30일에 다시 이식, 함안2의 파프리카 농가는 7월 18일에 제거, 8월 13일에 이식 하였으며, 사봉의 고추농가는 8월 2일에 제거, 10월 14일에 이식하였다. 전체 적인 밀도는 사봉에서 가장 낮았는데 이식을 늦게 한 이유라고 보여진다. 3곳 하우스 모두에서 남쪽, 중앙, 북쪽의 밀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하우스의 중앙과 벽 쪽의 가루이 밀도 또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풍구 쪽의 밀도가 증가하면 온실 내의 가루이 밀도도 상승하였는데 이식 초기의 가루이는 대부분 환풍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것으로 생각 된다. 하우스 내의 담배가루이의 밀도는 이식시기와 주변의 하우스 상황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봉과 같이 온실 주위에 잔존하는 가루이 밀도가 내려갔을 때 이식하게 되면 가루이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7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김제시 만경읍에 위치한 5,000㎡ 규모의 토마토 유리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리온실을 66개(11×6)의 구획으로 나누고 구획 별로 토마토 한 주를 임의로 선택한 다음, 각 결과소지 바로 위에 있는 우상복엽에서 한 잎을 절취하여 현미경을 이용하여 검경하였다. 선택된 잎은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번호를 부여하였다. 대체로 1번 잎은 신초 부위, 2번 잎은 한 개 이상의 꽃이 핀 결과소지의 바로 위쪽, 3번 잎은 꽃이 모두 만개하였거나 한 개 이상의 과실이 형성되기 시작한 결과소지 바로 위쪽에서 선택되었으며, 주당 평균 7개의 잎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8년 1월 초부터 4월 초까지이며, 1~2주 간격으로 총 10회에 걸친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기간 동안 담배가루이의 밀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기 때문에, 6회 조사 직후인 3월초에 스피로메시펜을 처리하여 방제하였다. 약제처리 직후 담배가루이 알의 밀도는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약충의 밀도는 일시적인 증가추세를 유지하였다. 담배가루이의 토마토 주내 분포는 잘 분화된 층위구조를 보였는데, 알은 3번 잎에서 가장 많았고, 1령 약충은 4~5번 잎에서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 약충과 번데기ㆍ탈피각은 6~7번 잎에서 가장 많았다. 온실 전체의 담배가루이 밀도 분포 또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였는데, 조사를 시작할 때 담배가루이 밀도가 높았던 곳이 조사 종료시점까지도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한편 담배가루이는 이웃한 열로 확산되어 옮겨가기 보다는 같은 열의 작업경로를 따라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7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eding behaviors of 2 biotypes (type B and Q) of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were monitored using EPG technique on tomato and pepper plants treated 3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whiteflies, for examples, acetamiprid, spinosad and thiamethoxam. After treatment of three insecticides with recommended concentrations to tomato and pepper plants, EPG waveforms were recorded during 6 hours.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feeding behaviors investigated were as follows, time consumed by withdrawal of proboscis, total non-penetration time, total stylet pathway pattern time and total phloem feeding time. There was somewhat difference among 3 insecticides teste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total duration showed the stylet pathway activity due to the reaction against all tested insecticides, the Q biotype showed fewer time than those from the B biotype. The B biotype showed more frequent stylet pathway activity patterns during whole recording time and a shorter phloem ingestion time than those from the Q biotype. In result of prior np (non-penetration) time representing the reaction against the insecticide treated, the time of B biotype was more faster than that of the Q biotype, so it was considered that the B biotype was more sensitive to the tested insecticides. Therefore, our results revealed a clear difference in feeding behaviour between the Band Q biotypes of B. tabaci. Also, it was investigated that B biotype was susceptible to the 3 insecticides.
        4,000원
        79.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5년 5월 충청이남 지역의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상황을 조사한 결과 충남 북, 전남 및 경남에서 착색단고추, 토마토, 오이, 장미 등의 시설 재배지에 담배가루이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전북과 경북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각 지역별로 발생한 담배가루이의 계통(biotype)과 근연관계를 조사할 목적으로 충을 채집하여 16S 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진천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의 16S DNA 염기서열은 일본 및 이스라엘에서 보고된 B 계통의 DNA와 상동성이 높았고 충남 부여, 경남 거제 및 전남 보성 채집 충은 상호간에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여 주었으며 스페인과 이집트의 Q계통의 DNA와 99%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담배가루이 Q 계통이 국내에 유입되었음을 알리는 최초의 보고이다. 이는 1998년부터 진천에서 발생한 담배가루이 B 계통과는 별도로 담배가루이 Q 계통이 최근에 국외의 동일한 지역내지는 국가로부터 이들 지역의 시설재배지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8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의 주요 해충인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spearmint oil의 훈증독성 및 접촉독성을 조사하였으며, gas chromatograph (GC)와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ry(GC/MS)를 이용하여 speamint oil의 주요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훈증독성 시험 결과, 온실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air의 약량처리에서 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와 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air의 약량에서도 각각 100, 의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spearmint oil의 접촉독성은 살충효과가 이하로 낮았다. Spearmint oil을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limonene (), -terpinene(), -cymene(), 3-octanol(), carvone()이 주요 구성성분으로 나타났으며, 주요성분인 carvone 은 air 약량에서 의 높은 훈증독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