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4

        8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색 비닐피복과 재식밀도에 따른 지황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지황 1호를 시험재료로 흑색 비닐피복과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재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현율은 무피복 78.0%에 비하여 흑색 비닐피복에서 3.1%더 높았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생육은 흑색 비닐피복과 소식에서 생육이 왕성하였으나, 단위 면적 당 엽 중, 근경 수는 밀식 할수록 무겁거나 많았다. 건근경중은 무피복 402 kg/10a에 비하여 흑색 비닐피복재배에서 28% 증수되었으며, 개체 당 건근경중은 소식할수록, 단위면적 당 수량은 밀식 할수록 증가하였다.
        82.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pite water direct seeding cultivation of rice has advantages in terms of laborsaving and cost-down, it demonstrates uneven seedling establishment and difficult weed management. To select an applicable mat for mulching system of water seeded rice, weed occurrence, growth and yield performances of rice, and soil temperature were evaluated in several kinds of biodegradable mulching material.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at the experimental farm of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in 1999 and 2000. Among the mats tested in 1999, Safer-m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inhibiting weed occurrence and Lawn-mat demonstrated the least efficacy of weed control (EWC) value. In Safer-mat treatment, Ludwigia prostrata was the dominant weed species but Echinochloa crus-galli was not observed. Different kinds of mulching material from the mats studied in 1999 were tested in 2000. Biodegradable polyester (PES) coated on the recycled paper for newspaper press (RP) treatments showed similar or higher EWC values than non-mulched broadcast seed rice with 2 times of herbicide application (BC-herbicide) and Safer-mat that was the most effective mat on preventing weed appearance in 1999. Immediately after mat mulching on the surface of paddy soil, five pregerminated rice seeds were manually sown in each 3cm-hole formerly punctured at 30~times 14 cm spacing in 2000. All the 3 kinds of mulching material tested in 2000 had better seedling stand than BC-herbicide treatment. Rice yield in PES coated with 10 thickness on RP (PES10 ~mu~textrmm +RP) was a little higher than in BC-herbicide treatment but the former produced less panicles in unit land area than the latter. PES10 ~mu~textrmm +RP demonstrated a great effect on raising soil surface temperature than non-mulching treatment throughout the period of seedling establishment.
        83.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arietal differences on growth characteristics under the conditions of PE film-mulching and non-mulching in sesame. At maturing stage from 76 to 95 days after sowing, Yangbaeckkae, non-branching plant type, under non-mulching showed larger leaf area index (LAI) than that of film-mulching, whil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ere similar to those of film-mulching. LAI of Ahnsankkae, branching plant type, under non-mulching was similar to film-mulching, whil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ere small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Net assimilation rate (NAR) of two varieties under non-mulching was lower at seedling stage from 25 to 35 days after sowing but higher at flowering stage from 45 to 55 days after sowing. At maturing stage from 66 to 77 days after sowing, NAR and crop growth rate (CGR) of Yangbaeckkae under non-mulching were great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whereas those of Ahnsankkae under non-mulching were less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Yield under non-mulching was decreased by 7 % in Yangbaeckkae and 33 % in Ahnsankkae compared with that of film-mulching, therefore Yangbaeckkae was more adaptable for non-mulching than Ahnsankkae. Main factors decreasing yield of Yangbaeckkae under non-mulching were small LAI, NAR, and CGR at the stage of young seedling, and small number of capsules at early maturing stage from first flowering to 20 days after first flowering.
        8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pite of simple and cheap cultivation method, water broadcast-seeded rice demonstrates uneven and un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per unit land area and requires more herbicide and labor-input for weed control.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phytotron at 18~circC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seed-mat mulching cultivation technologies in water seeded rice for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Five different kinds of mat with different mesh sizes and fabric properties were tested. The emergence of rice was the highest in Lawn-mat treatment, being comparable with the control, in which seeds were sown without mat. The Lawn-mat also exhibited the lowest mat tension. Mat tension may influence the emergence of rice. And once it was soaked in water, it didn't maintain its original shape any more. The emergence rate of rice was the lowest in Safer-mat treatment. In Lawn-mat treatment,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for rice emergence in the first study, the differences of emergence and seedling establishment of rice depending on the seeding position (upper, beneath, and between mats) treatments were negligible, while they were higher in dry seeds than in pre-germinated seeds treatment. The emergence as affected by the kinds of mat also showed the same trend when tested using barnyard grass. Depending on the kinds of mat, the inhibition effect of weeds was the greatest in Safer-mat and the poorest in Lawn-mat.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weed management without chemical could be achieved simultaneously by seed-mat mulch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effective mat for the emergence of rice and another efficient mat for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This possibility was also tested in the field.
        85.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육묘한 식방풍을 공시하여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 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육표이식 무피복 처리와 노지직파 무피복처리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아기간은 폿트육묘시 8일이었고 노지직파는 40일이었으며 출아율은 폿트육묘시 74%였으나 노지직파에서는 17%로 크게 저조하였다. 초장, 엽수, 경직경 등 지상부생육량은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육묘이식 무피복〉노지직파 무피복처리구 순으로 많은 경향이었다. 주근의 길이는 육묘이식 무피복구가 유의하게 짧았으나, 피복처리구와 노지직파 무피복구는 비슷하게 긴편이었다. 주근의 굵기는 비닐피복구가 무피복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굵었고 노지직파 무피복구가 가장 가늘었다. 지근의 수는 육묘이식한 것이 직파한 것보다 4.7~7.1개 많았다 건근비율은 노지직파 무피복구에서 30.5%로 가장 높고 육묘이식구에서는 무피복구가 높았으머 비닐피복구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10a당 건근수량은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 542kg, 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506kg, 육묘이식 무피복 419kg으로 노지직파 7kg에 비하여 각각 52, 42, 17%증가하였으며 식방풍의 재배는 육묘이식하되 백색비닐로 피복하여 재배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였다.
        86.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recycled paper mulching in spring-grown potato the changes of soil environments and the growth and yield of potato under non-mulched control and three mulching treatments of recycled paper (RPM),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TPFM), and black polyethylene film (BPFM) were examined over two spring seasons in 1998 and 1999 at Suwon, Korea. The mulching materials were a recycled mulch paper with 110 g/m2 and a thickness of 0.1mm, which was manufactured from old corrugated containers for this experiment and the commercial polyethylene films with a thickness of 0.01mm. RPM lowered the average soil temperature at 5-cm depth during the potato growing period by 03~circC compared with the control, whereas TPFM and BPFM raised it by 2.0~circC , and 1.8~circC , respectively. On a sunny day during sprout emergence, RPM reduced the maximum soil temperature by about 5~circC , while TPFM and BPFM enhanced it by about 11~circC and 6.0~circC ,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mulching treatments de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canopy. All the mulching treatments had an advantage in preserving the soil moisture over the control. RPM and BPFM resulted in the effective control of weed by obstructing light transmission onto soil surface, but TPFM had no control effect of weed. Sprout emergence started two to three days earlier in TPFM and BPFM, but one day later in RPM than in the control due to the altered soil temperature by the mulching treatments. However, the final percentage of emergence was notably lower in TPFM than that in the control because of too high soil temperature during daytime, but was not different among the control, RPM, and BPFM. During the early stage of potato growth, the shoot and root growth under RPM was lower compared with the control, but afterwards, RPM outpaced the control. In 1998 experiment, the tuber yield under RPM and BPF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TPFM. In 1999 experi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uber yield between RPM and the control.
        87.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evaluates wintering ability to maintain green color of lawn grasses during winter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op dressing of fertilizer on improving green color during regrowth. Kentucky blue-grass could maintain green color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better than tall fescue and creeping bentgrass in winter. All three grasses in this experiment have shown the excellent wintering ability. In enhancing the recovery of green color at the early stage of regrowth, the mulching effect with rice straw was highly significant for creeping bentgrass. Green color recovery in grasses during its regrowth was better at the top dressing plots than at the plots without top dressing, but wh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were increased, green color in lawn gras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lthough green color in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and Korean lawngrass could be maintained during summer, the green color of creeping bentgrass is reduced significantly with high temperature. Top dressing after winter and mowing improved leaf chlorophyll content and green color in tail fescue and Kentucky bluegrass significantly. However, Korean lawngrass did not respon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levels of fertilizer.
        88.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최근 중국에서 도입되어 경북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백출재배에서 토양 피복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피복재료별 오전 10 시의 지온은 전 재배기간에 걸쳐 무피복에 비하여 흑색과 투명P.E피복구에서 각각 1.0℃, 1.6℃ 정도 높았고, 오후 2시의 지온은 투명P.E피복구에서 5.5℃ 정도 높았다. 2. 피복재료별 지상부의 생육은 무피복이나 볏짚피복구에 비하여 투명P.E와 흑색P.E피복구에서 경수와 경직경이 증가하였으며 중량도 컸다. 화수도 무피복과 볏짚피복구, 투명P.E피복구, 흑색P.E피복구순으로 많았다. 3. 지하부의 생육은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 구가 높은 경향이고 건근경 수량은 흑색P.E 피복구가 다른 시험구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잡초발생은 투명P.E 피복구와 무피복구에서 많았고 볏짚피복구와 흑색P.E피복구에서 크게 억제 되었다. 4. 역병 발병율은 투명P.E과 흑색P.E피복구에서 감소하였으나 근경의 정유함량은 차이가없었다. 5. 지상부 및 지하부 형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수량인 근경중은 지상부의 중량이 가장 크게 관여하고 지상부 형질 중에서는 경수와 경직경 등의 줄기 형질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89.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지하부 수량성 증대를 위한 천궁(川芎)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재배법을 확립하고, 지하부의 수량증대와 생산성 증대를 도모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토천궁(土川芎)의 근수량은 짚, 백색비닐, 흑색비닐 피복구 순으로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차광처리에 따른 토천궁의 지하부 생육특성에서는 백색차광에서 개체당 근경중, 세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천궁(日川芎) (Cnidium officinale)의 피복처리에 따른 지하부의 건물중은 무처리구에서 20.4 g 으로 가장 낮았고, 흑색비닐 피복구가 27.7 g으로 가장 높았다. 일천궁(日川芎)의 차광처리에 따른 지하부의 건물중은 백색차광 처리구에서 21.1 g으로 가장 높았고, 흑색비닐 처리구에는 16.3 g으로 가장 낮았다. 근경의 직경은 백색차광 처리구 (26. 1mm)가, 근장은 흑색차광 처리 구 (71. 9 mm)가 가장 높았다. 일천궁(日川芎)에 있어서 흑색비닐 피복은 무처리에 비해 36%의 건물중 증가를 가져 왔다.
        90.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의 남부지방에서 고품질의 참당귀를 생산하고자 비가림하우스를 이용하여 차광재배로 하고현상을 방지한 후 멀칭재배을 실시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멀칭 종류별 토양의 습도와 지온은 무멀칭보다 멀칭재배에서 높았고, 특히 멀칭 중에서도 P. E.(polyethylene) 멀칭이 가장 높았다. 2. 잡초의 발생은 멀칭 종류별 투명 P. E. 멀칭재배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었고, 투명 P. E. 멀칭재배에서는 많이 발생되었다. 3. 생육은 P. E. 멀칭재배가 짚멀칭이나 무멀칭보다 엽수가 많고 엽장이 커서 양호하였다. 4. 추대는 2∼5% 정도가 발생되었으며, P. E. 멀칭 재배에서 약간 많이 발생되는 경향이었다. 5. 수량은 P. E. 멀칭재배가 토양의 물리성이 좋아서 근수가 많고, 근장과 묘두직경이 커서 뿌리 생장이 양호하여 증수되었다.
        91.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멀칭처리보다 0.5℃ 낮았고, 기름먹인 멀칭종이의 지온은 20.6℃ 로 무멀칭처리보다 1.2℃ 높았다. 한편, 밝은 날 최고기온은 무멀칭에 비하여 기름먹인 멀칭종이의 경우는 6.6℃ 높아졌으며 일반 멀칭종이는 무멀칭에 비하여 4.6℃ 낮아졌다. 2. 멀칭 후 80일까지 일반 멀칭종이는 약 20% 정도만 분해되었고, 비료를 피복한 멀칭종이의 분해는 이보다 빨랐지만 멀칭 후 80일까지 약 50%정도가 분해되었다. 기름백인 멀종이는 일반 멀칭종이에 비하여 분해가 다소 지연되었다. 모든 멀칭종이 처리에서 감자 전 생육기간에 걸쳐서 잡초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3. 감자의 출아율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기름먹인 종이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다소 낮았으며, 감자의 지상부 및 뿌리건물중도 기름먹인 종이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낮았다. 감자의 수량은 기름먹인 멀칭종이가 다른 처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일반 멀칭종이, 요소피복 멀칭종이 및 무멀칭 처리간에는 감자 수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기름먹인 멀칭종이는 출아기 및 생육초기 고온으로 씨감자의 부패가 많았으며 초기생육도 억제되어 수량이 낮았다. 그러나 본 실험(4월15일 파종)에서보다 조기에 파종하는 경우는 본 연구결과와 다를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9월 30일 파종이 각각 240-290, 200-260, 150-220 및 70-120 kg/ha 나타내어 8월 하순 파종이 9월 파종에 비해 증가하였다.EX>±3.2~90.9± 3.4 106m , 78.0± 3.3~105.0± 4.2 106m , 76.2± 2.8 ~84.4± 3.5 106m , 75.4± 3.3~80.2± 3.3 106m 이었다. 4. Dioxin 30 u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 추출물을 격일로 3주간 투여했을 때 정자활력은 대조군의 119.3± 3.4~120.2± 4.7 106m 와 93.0± 3.5~96.1± 3.5%에 비해 홍삼추출물 투여군에서는 회복이 현저하였고(p<0.05), 녹차는 다음이었으며, 구기자, 오메는 회복이 미미하였다. 5. Dioxin 30 u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 추출물을 각각 격일로 3주간 투석했을 때 정소중량은 대조군의 0
        92.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의 남부지방에서 고품질의 참당귀를 생산하고자 비가림하우스를 이용하여 차광재배로 하고현상을 방지한 후 멀칭재배을 실시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멀칭 종류별 토양의 습도와 지온은 무멀칭보다 멀칭재배에서 높았고, 특히 멀칭 중에서도 P. E.(polyethylene) 멀칭이 가장 높았다. 2 잡초의 발생은 멀칭 종류별 검정 P. E. 멀칭재배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었고, 투명 P E.멀칭재배에서는 많이 발생 되었다. 3. 생육은 P E. 멀칭재배가 짚멀칭이나 무멀칭보다 엽수가 많고 엽장이 커서 양호하였다. 4. 추대는 2∼5% 정도가 발생되었으며, P. E. 멀칭재배에서 약간 많이 발생되는 경향이었다. 5. 수량은 P E. 멀칭재배가 토양의 물리성이 좋아서 근수가 많고, 근장과 묘두직경이 커서 뿌리 생장이 양호하여 증수되었다. 한편, 검정 P E. 멀칭재배는 잡초 발생의 억제 효과가 뚜렷하여 P E. 멀칭재배시 노동력이 부족할 경우 적극 권장할 만한 멀칭재료로 생각되어진다.
        93.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till direct seeding cultivation of rice has major advantages such as saving of labor and cost by eliminating tillage, preparation of seed bed and trans-planting proced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nsplanting cultivation.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raw treatment and nitrogen levels on the rice growth in no-till direct-seeding cultivation. Rice straw, vetch straw, and the mixture of both of the straws were mulched on the surface of soil before seeding while 4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0, 7, 9, and 11 kkg/10a respectively, were applied at 3 split times, 3-weeks after sowing, 5-weeks after sowing and the panicle initiation stage. Mulching of vetch straw significantly reduced seedling establishment of rice which may be attributed to low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soil by vetch mulching treatment. Vetch straw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oil ammonium leading to an extension of the greenish leaf to panicle initiation stage. Agronomic nitrogen use efficiency (AD EN ) in heavy-mixed straw mulching plots was lower than other treatments. Grain yield and AU EN in the vetch treatment were less affected by fertilized N levels. Conclusively, it is suggested that heavy straw mulching was not efficient for rice seedling establishment and nitrogen usage.e.
        94.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피복 재배조건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 그리고 종실의 단백질과 지방함량,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무피복 재배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대광땅콩, 대풍땅콩을 공시하고 흑색 비닐 피복재배와 비교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대광땅콩,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6일정도 지연되었으며 개화기는 각각 9일, 6일 지연되었고 입모율도 각각 3.7%, 16%감소되었다. 2. 분지장은 피복재배보다 대광땅콩 24%(11.2cm), 대풍땅콩 17%(6.9cm) 감소되었으나 분지수는 감소되지 않았다. 3. 성숙협수,100립중, 협실비율, 주당 종실수량등은 피복재배보다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밀식재배로 인한 재식밀도의 증가로 1ha당 종실수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와 비슷하였고 대풍땅콩의 경우는 26% 증수되었다. 4. 단백질함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보다 4% 증가하였으나 대풍땅콩은 3% 감소하였으며 지방함량은 두 품종 모두 각각 7%, 9% 감소되었다. 5.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는 대광,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증가하였으나 linolelc acid는 감소하였으며 O/L비율도 작아졌다.
        96.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本) 연구(硏究)는 1994년(年)부터 1995년(年)까지 전남농촌진흥원(全南農村振興院) 특용작물(特用作物)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지방종(地方種)을 수집(蒐集), 공시(供試)하여 쇠무릎의 파종기(播種期) 및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실시(實施)하였으며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立毛率)은 4월(月) 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았고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은 4월(月) 1일(日) 파종(播種)과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被覆栽培)에서 많았으며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波覆栽培)가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에 비해 경장(莖長)은 14cm 길었고 분기수(分技數)는 2.4개(個) 많아 주근장(主根長) 및 주근경(主根徑)은 각각(各各) 2.8cm, 1.8mm 더 길고 굵었다. 2. 건근수량(乾根收量)은 4월(月) 1일(日) 파종(播種),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被覆栽培)에서 3,190kg/ha로 가장 높았고,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被覆栽培)가 토양적습(土壤適濕) 유지(維持)와 제초(除草) 노력(勞力)의 성력효과(省力效果)가 높아 무피복(無被覆) 재배(栽培)(2,660kg/ha))에 비하여 20% 증수(增收)되었다. 3. 파종기별(潘種期別), 흑색(黑色) P.E. 피복재배하(被覆栽培下)에 따른 생육특성(生育特性),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간(收量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97.
        199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입모중 벼 직파재배에 있어서 콤바인 수확에 따른 보리짚 피복량의 불균일에 의한 표면수의 화학성분 변화와 그 표면수가 벼 품종의 발아율 및 초기 유묘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보리짚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구가 낮았으며, 피복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나 15일 이후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2. 용존산소는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나, 시일이 경과할수록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EC는 용존산소와는 반대로 피복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처리간 차이가 컸고 15 일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N H4 -N는 처리 초기(5일)에 높고 피복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급격히 감소되어 10일 이후에는 처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 O3 -N는 N H4 -N와는 반대로 10일과 15일까지는 증가 경향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그러나 피복량간에는 N H4 -N와 같이 기복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인산(P O4 3- ) 및 양이온( K+,C a2+ Mg2+)함량 들은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양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10일과 15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4. 보리짚 피복량별 논물이 벼 품종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피복량이 많을수록 발아율은 현격히 떨어졌으며, 생태형간에는 중만생종이 가장 높았고 중생종, 조생종 순이었다. 품종별로 보면 전량 환원구에서는 금오벼, 간척벼, 일품벼, 동진벼 및 계화벼가 우수하였던 바, 이러한 경향은 피복량간에도 같았다. 5. 치상 11일의 유묘신장은 무처리 대비 피복량이 많을수록 유묘의 신장률은 떨어졌으며, 전량 환원피복에서는 일품벼가 가장 우수하였고, 농안벼와 신운봉벼 는 50% 이하의 낮은 신장률을 보였으며, 2배 피복에서는 신운봉벼, 운장벼, 농안벼, 동진벼 등이 신장률이 낮게 나타났다.
        98.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입모중 벼 파종에 있어서 보리짚 시용에 따른 경운방법과 질소시용량별 관개수중에 용출된 각 성분함량 변화를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무경운재배에서는 시비수준간 차리가 없었으나 경운재배에서는 컸으며, 10일까지는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pH가 높았으나 그 이후는 비슷하였다. 2. EC는 무경운에 비해 경운재배에서 높았으며, 경운의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EC도 높았다. 시기별로 보면 10일에 최고수준에 도달하였다가 그 후 감소경향이나, 20일에는 초기와는 달리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EC가 감소하였고, 그 감소폭은 경운재배에서 컸다. 3. 용존산소는 무경운에 비해 경운에서 높았으며, 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경운방법별로는 무경운에서는 시용후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무처리에 비해 매우 낮았으나, 경운재배에서는 초기에 매우 높고 10일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그 후 다시 증가하였다. 4. NH4 -N는 경운의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20일에는 시비량간 차이는 없었다. 경운방법간에는 무경운에서는 10일까지 높고 그 후 감소를 보였으나 경운에서는 초기(5일)에 매우 높았다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15일에 다시 감소하였으나 20일에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NO3 -N는 무경운에서는 처리일수 및 시비수준간의 차이가 매우 컸으며,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였고, 그 후 20일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경운구에서는 처리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경향을 보였으나, 시비수준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5. PO4 3- 은 경운재배에 비해 무경운재배에서 높았으며, 두처리 모두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무경운재배에 비하여 경운재배에서는 시일의 경과에 따라서도 차이가 크지 않았고 함량도 낮았다. 6. 양이온함량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
        99.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주요 자생지인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생육을 촉진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피복의 재료별로 멀칭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멀칭에 의한 토양 수분함량과 지온은 무멀칭가 짚피복에 비하여 투명 P.E 멀칭과 검정 P.E 멀칭이 높은 경향이었다. 황칠나무의 재배시 Pot 육묘한 2~3년생의 묘목을 이식재배 할 경우, 투명 P.E 벌칭재배는 묘목의 활착율을 높이고, 월동기간 지표의 보온으로 지온이 상승하여 추기 생장이 촉진되어 알맞은 멀칭재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Pot 육묘한 묘목의 투명 P.E 멀칭재배시 잡초의 발생이 증가됨으로 멀칭이 반드시 재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력의 부족으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검정 P.E 멀칭재배는 잡초의 발생이 억제되어 투명 P.E 멀칭재배보다 잡초의 발생량이 감소되므로 권장할 만한 멀칭재로로 생각된다.
        100.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채종재배(採種載培)에 적합(適合)한 파종시기(播種時期)와 피복(被覆)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生育), 추태율(抽苔率), 개화율(開花率), 화경당(花莖當) 소화수(小花數) 및 임실율(稔實率)은 9월(月)10일(日)~ 25일(日) 파종(播種), 투명(透明) 비닐피복(被覆) 하(下)에서 가장 양호(良好) 하였다. 2. 주당(株當) 채종량(採種量) 및 10a당(當) 채종량(採種量) 역시(亦是)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증수(增收)여서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는 양파모구(母球)를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파종(播種) 하는 것이 적합(適合)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