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1

        10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마을의 입구에 있는 연꽃방죽은 친수환경적인 경관창출과 레저․휴식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요소이다. 또한 농촌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전남 강진군내 3개소의 연꽃방죽의 특성과 기능 및 의미를 문헌조사와주민 인터뷰 그리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대상지 세곳의 연꽃방죽은 모두 마을 초입에 조성되어 비보 ․ 풍수적 기능을 하며 형국이나 전설과 관련하여 白蓮地, 鼈蓮池, 杏蓮池의 명칭이 부여되었다.방죽의 수체계는 뒤산의 개울 또는 공동 샘물과 우수를 수원으로 하여 지하수로를 통해 연꽃방죽에 집수되어 여과,침전, 미소동물 및 수생식물에 의한 생물학적 정화과정을 거친 다음 농수로를 통해 최종적으로 농경지 및 하천으로유출되는 구조를 가졌다.마을 식수원인 공동샘과 약 100m 떨어진 곳에 조성되었고 수심 1.2~1.5m인 소택지로서 샘과 관련한 상징적 ․ 생태적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세 곳의 연꽃 방죽은 모두 배롱나무, 소나무, 동백나무, 오죽 등이 식재된 중도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현재 원형을유지하고 있는 곳은 백련지 뿐이고 별연지나 행연지는 치수 및 물량위주의 농어촌지원사업의 여파로 형태의 변형 및크기가 축소되었다.농촌의 연꽃방죽은 경관창출 및 레저휴양 기능 공간이자 어메니티(amenity) 자원으로서 매우 소중한 자원이며 보전복원대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꽃방죽은 과거 우리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이어져온 우리의 농촌문화경관요소이며 공동체적 산물로 재조명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4,000원
        10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농촌 소하천의 적정 환경유지용수 산정을 위한 기초조사로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 리에 위치한 봉현저수지를 수원으로 하는 봉현천과 하이저수지를 수원으로 하는 석지천을 대상으로 시기 적 우기이면서 농번기인 2010년 5월에서 10월까지 총 6회에 걸쳐 18개 지점을 선정하여 하천조사 및 유 량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선행 강수량이 많을 경우 하천의 전 구간에 유량이 증가하였고, 선행 강수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는 계측이 불가능할 정도로 하천이 메말라 있었다. 각 하천의 상류부의 경우 에는 항시 일정량의 유량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는 댐 침윤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량 프로파 일을 작성한 결과 봉현천 하류부 2,000 m 지점과 3,500 m 지점, 석지천 하류부 1,200 m 지점에서 주변 참다래 과수원의 관개용수 양수, 참다래 보관 및 선별공장에서의 취수 및 관측지점 상류부의 연속적인 보 의 영향으로 유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봉현천 하류부 4,200 m 지점에서는 유량이 증가하 였는데 이는 배수로를 통한 유출수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향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현장 모 니터링을 통하여 농어촌환경용수 공급을 위한 적정 유지유량을 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된다.
        4,500원
        10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촌지역 발전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된 정부의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에 있는 농촌지역개발사업 중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분석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경남 2개 권역과 전남 2개 권역을 사례연구대상권역으로 선정하였다. 사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사업추진에 있어서 각 지역유형별로 명확한 구분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지역특성별(농촌지역, 중산간지역)로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및 추진과정에서의 만족도 등은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농촌지역 2개 권역 주민들이 중산간지역 2개 권역 주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많이 표출하였다. 향후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서로 돕고 협력하는 마을 공동체 의식의 복원, 바람직한 리더 육성, 실효성 있는 마을 규약 마련, 개방적·포용적 자세로의 전환과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 및 운영방법의 현실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mass index (BMI), the body fat, and the serum lipids of post-menopausal women in rural areas. The subjects were 510 women aged 50 and over.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a trend of decreasing BMI as age increased, but body fat increased.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ing of the lean body mass than an increasing of the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increasing age.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a main cause of rural women being classified as obese is a decrease in lean body mass, rather than an increase in of body fat. Of all subjects, 36.3% (18.5≤BMI 〈 23) of all subjects were classified as having normal BMI, whereas only 21.4% were classified as having normal body fat. Out of 190 subjects who were body fat 30% and over, 38 subjects were classified as obese (BMI≥25) and 113 subjects were classified as overweight (23≤BMI 〈 25). The percentile of those with a BMI of 25kg/m2 was 70, and they had 30.82% body fat. HDL cholestero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thropometric factor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waist hip ratio, body fat), and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Especially,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hip circumferen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body fat and lean body mass by age group, it seems difficult to assess obesity via BMI only. The elderly especially should have a higher significance placed on body fat or abdominal fat than only BMI.
        4,000원
        10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소재한 대리, 시목리, 가덕리 등 전형적인 농촌마을을 대상지로 하여 수행하였다. 대상지를 중심으로 가치 있는 생태 ․ 문화적 자원이 존재하고, 다양한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대상지가 보유한 입지의중요성 및 잠재력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계획은 이러한 다양한 기회요인을 토대로 황새와 함께 만드는 농촌생태마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그에 부합되는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내용으로는 황새복원센터의 배후지역에 대한 황새의서식환경조성을 위한 시목천 생태하천정비사업과 친환경농업 기반시설인 관정 및 농수로 정비, 친환경비료 생산시설,농산물 건조 및 저장시설의 설치와 방문객의 농촌체험 유도를 위한 체험센터 및 소규모가공시설 등이 있다. 본 계획을통해 대상지내 친환경이미지 제고, 지역경제활성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된다.
        4,000원
        107.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과거 농촌지역은 산업화시대를 거치면서 건물이 들어서 고 도로의 신설 및 확장으로 인해 전통적인 비보숲들이 많 이 사라졌다. 이는 농촌마을의 정체성 상실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박재철 외, 2004).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농촌에 있는 마을숲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마을의 전통을 잇 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농촌어메니티 자원으로서의 소중 한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마을숲이란 마을의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이 루며 인위적으로 보호 또는 유지되어온 숲을 말한다(김학범 외, 1994). 따라서 지역주민들의 문화가 자연스럽게 녹아있 고, 마을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쉼터의 역할도 하는 등 농촌어메니티 자원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6). 본 연구는 농촌지역 마을숲 연구의 시작 단계로 농촌마을 숲 기초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이를 바탕으로 농촌마을숲 보전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지 대상지는 제주도 지역을 제외한 5개 권역에 위치하고 있 는 농촌마을숲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권역 농촌 마을숲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지역적 형평성을 고려하여 경기권역 10곳, 강원권역10곳, 충청권역20곳, 경상권역30곳, 전라권 역30곳으로 나누어 총 100곳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일반적인 마을숲 범위에서 농촌지역과 연관 이 있거나 어메니티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숲으 로 한정하였다. 선정방법은 기후대(난대, 온대, 온대중부), 지리적 특성 (해안형, 내륙형), 농촌마을 어메티니티로서의 가치를 고려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권역에 계시는 각지역 생명의숲(서울 +강릉+대전충남+포항+광주) 국장님들의 추천을 받아 42 곳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마을숲 관련 출판물, 논문, 보고서를 참고하여 위치가 명확한 마을숲 58곳을 추가하여 최종 100곳을 마을숲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조사의 시기는 7월 말부터~9월초까지 약 2달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는 2인이 1조가가 되어 현장 및 면담조사 를 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에 관련 인터넷자료 및 참고문헌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 내용은 사진촬영, 위치적 특징 기술, 주요수종 조사, 편의시설 현황, 관리 및 훼손상태를 현장에서 조사하 였다. 그리고 면담조사의 경우 문화적 측면(문화재 및 공동 행사 유무), 마을숲 현황(숲구조변화), 농촌어메니티 질적 향상(이용정도, 만족도, 관리정도)과 관련된 질문을 서면으 로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을과 숲에 대해 잘 알고 계시는 마을관리자분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내용을 정 리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농촌마을숲 유형 분석 1) 위치별 유형분석 위치별 유형은 기존 연구(김학범 외, 1994)를 참고하여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을숲이 위치하고 있는 곳은 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동구숲이 총 42곳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풍수적 기능의 수구막이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적으로 마을 에서 허한 공간을 보완하기 위해 많이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하천주변이 32곳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풍수적 인 이유와 더불어 수해 예방을 위해 많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언덕이나 산에 조성된 동산숲의 경우 주로 평지에 위치해 있는 농촌마을숲 특성상 많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 농촌마을숲 기능별 유형 마을숲의 기능적 역할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사) 생명의숲국민운동, 2005)을 수정하여 크게 10가지로 구분 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제례, 종교, 마을정체성, 휴양, 숲체 험 등이 포함되어 있는 ‘문화’적 기능의 경우 35곳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방풍, 수해예방 등의 기능이 더해진 ‘환경+문화’적인 기능을 하는 곳도 35 곳으로 '문화'”적 기능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음의 결과에서처럼 ‘문화’적 기능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은 농촌마을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전통적인 문화의 기능 을 숲이 일정부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밖에 ‘풍수’적 기능과 관련된 숲이 25곳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3) 면적별 유형 마을숲 면적을 살펴보면 0~5000m2이하가 34곳, 5000초 과~10000m2이하가 36곳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큰 면적으로 나타나는 숲은 해안가나 경상 및 전라 권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해안림의 경우 해풍을 막기 위한 방풍림으로 대규모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상 및 전라권역의 경우 과거 개발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넓은 평야에 숲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비교적 넓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현장조사 및 면담내용 분석 1) 주요수종 현황 분석 전체 마을숲 조사결과 총출현 수종은 28종이 나타났다. 느티나무가 나타난 곳이 전체 마을숲 중 43곳으로 많이 나 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소나무가 43곳에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경관적으로 우수하고, 수명이 길며, 환경적응력이 뛰어난 수목을 예전부터 선호했 기 때문이다. 지역마다 일부 수종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푸조나무, 동백나무, 개서어나무의 경우 경상권역과 전라권역에서만 볼 수 있었는데, 기후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 다. 따라서 지역적인 차이를 감안하여 관리의 방향도 별도 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2) 시설물 현황 및 관리 실태 분석 마을숲 내부에 있는 정자나 벤치 같은 “휴식시설”과 수도 시설 같은 “기반시설”이 설치된 경우가 천체 약 90% 정도 나타나 쉼터나 휴양, 행사의 공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운동시설의 경우 40곳 정도 설치되어 있는데, 이중 이용 이 잘 이루어지지는 않는 곳이 있었고 또한 전통적인 마을 숲과는 운동기구가 어울리지 않는 곳이 있어 조성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쓰레기 투기의 경우 11곳에서 살펴볼 수 있었는데, 마을 과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용자들의 의식도 같이 변해 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노면훼손의 경우 전체 피해 중 답압피해형이 27곳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산책로를 시공하 거나 주요부분에 출입금지 휀스를 만들어 숲 바닥을 보호해 야할 것이다. 3. 면담조사 분석 천연기념물, 보호수, 보물 등의 문화재가 마을숲에 있는 경우가 총 45곳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마을의 공동행사가 숲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44곳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숲의 활용 정도가 높거나 문화재가 있는 곳은 숲활동을 제한하여 보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구조가 변화된 곳은 전체 62곳에서 나타났다. 주 로 도로를 만들거나 벌채, 주변 개발에 의해 변화된 곳이 대부분이었는데 숲의 원형 보호가 시급한 실정이다. 농촌 어메니티 질적 향상과 관련된 이용정도, 만족도, 관 리정도의 경우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이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농촌 어메니티 자원으로서의 활용 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결 론 대상지를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풍수, 문화, 환경적인 특 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는 숲이 마을 사람들의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비 보숲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생태계의 다양성을 높여주는 역할 을 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장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수목수종의 경우 28종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문화재가 있는 숲이나 마을공동행사가 이루어지는 곳도 약 50%로 높게 나타나 농촌어메니티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이용, 관리, 만족도의 경우 보통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나 앞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촌 마을숲의 경우 마을의 특성을 고려한 숲 정비가 필요한 경 우가 많았다. 그리고 주변건물, 전신주 등으로 인해 경관을 해치는 경우가 조사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마을숲은 한번 훼 손되면 복원이 어려운 만큼 세심한 계획을 바탕으로 지속적 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농촌 마을숲의 지속적인 관리와 농촌 어메니티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마을숲 연구와는 별도 로 우리나라 농촌 실정에 맞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인용문헌 김학범, 장동수(1994) 마을숲-한국전통부락의 당숲과 수구막이, 열 화당, 16쪽 박재철, 김병섭, 윤성호, 박선미(2004) 마을숲 복원에 관한 연구 -전 북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능길 마을을 사례로-, 10(3):27~32 (사)생명의숲국민운동(2005) 전통마을숲 복원및관리 매뉴얼, 3쪽 사)생명의숲국민운동(2006) 전통 마을숲의 보전관리 방향, 82쪽 생명의숲(www.forest.or.kr)
        3,000원
        108.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농촌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남의 농촌지역에 위치한 C 초등학교 4학년을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나누어 매주 1회(3시간)씩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또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성취동기가 증진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원예 활동 프로그램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성취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10.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 활동이 생태계의 훼손과 생물다양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35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자연생태계의 교란정도를 알 수 있는 귀화식물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대상지에 대한 토지이용 현황도를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경관생태학적특성을 정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의 경관지수와 귀화식물 분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경관지수는 공간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은 Urbanization Index와 Naturalization Inde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귀화율과 패치밀도, 귀화율과 가장자리밀도, 귀화율과 면적가중평균형태지수 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귀화율과 핵심면적백분율, 귀화율과 평균핵심지역 등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800원
        11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경관은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을 대표한다. 문명화된 세계에서 진정한 자연경관은 찾아보기 힘들며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도 적은 지역에만 존재한다. 가장 오래된 대표적인 경관은 사람들이 경제, 생산의 가치 뿐 아니라 미적 자원으로서토지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최근까지도, 전세계적으로 토지의 농업생산성은 다른 어떤 것(미와 휴양, 회복의 가치 등) 보다도 주요한 관심사였으나이제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는 상황에서 농촌경관이 지닌 가치들은 상실될 위기에 처해졌다. 동시에,우리가 공공영역을 관리하고 개발하는 방법은 점점 더 명확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어떠한목적의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데 있어 경제적, 생태적 생산성과 지속가능성 등의 생태적 효과의 평가에 크게 의지한다.이러한 평가는 기후변화와 자원의 추출 등의 영향에 대한 효과를 고려하는데는 적합하나,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데가장 큰 방해가 되는 문화적, 심리적인 경관의 장소애착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기술적 경관평가와 관리에는 두 가지관점이 있다.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는 경관평가 기법을 자연경관 가치의 체계적인 평가로부터발전시켜 왔으며 이것은 인간의 개입이 조화롭고 만족스러운 세계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유럽에서의경관은 문화적이고 사람이 체험하는 것으로, 평가에 있어 측정 가능한 가치보다는 문화적 산물과 장소애착의 역할을중요시 여겨 기술적 계획과의 연계가 부족한 단점이 있다. 분석의 필요요소가 어느때보다도 광범위 해졌으며 정치적으로는커뮤니티부터 국가적 차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민감한 이해집단을 포함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 두 가지 관점은 모두현대 계획의 의사결정 환경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농촌과 자연경관의 평가에 대한 주요 쟁점들을북아메리카와 유럽의 두 가지 관점에서 다루고 한국에서의 현대 농촌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적합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특히 미국의 주요 국가기관과 Scenic America 등 민간단체, 그리고 European Landscape Convention 의 경관 보호의 목적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4,200원
        115.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residential indoor and outdoor exposure concentrations distribu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benzene, toluene, xylene) and nitrogen dioxide (NO2) in industrial area (case) and agricultural area (control) during 5 days. Concentrations of VOCs and NO2 were measured with passive samplers in residential indoor and outdoor. Most of benzene, toluene and NO2 mean concentrations in case area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area. Considering the indoor and outdoor ratios (I/O) were higher than 1, the residence might be have the sources of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smoking and using of gas range. Residential indoor concentrations of benzene, toluene, and NO2 with indoor smokers were higher than those and without indoor smoker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personal exposures to air pollutants might be affected by indoor sources as well as outdoor pollutants emitted from industrial complex, and indoor air quality and outdoor air quality should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to reduce the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ants.
        4,200원
        117.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던 전통테마마을 사업의 추진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 문가를 대상으로 AHP법을 이용하여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지표의 중요도는 주민만족도 (150), 주민참여도 (145), 경제적효과 (123), 민박가구수 (101), 리더양성정도 (96), 사업이해도 (90) 순으로 나타났 다. 6개 마을에 적용한 결과, 해바리마을, 다랭이마을, 남사예담촌, 물레방아떡마을, 산첩렵마을 순으로 평가량이 산정되었다. 농촌마을 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인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회적 측 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4,300원
        11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대한 발전수준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설정하였으며, 실제 데 이터를 이용해 세 가지 유형의 시ㆍ군 지역 (일반시, 도농통합시, 군)별로 설정된 지표의 수준을 비교, 분석하 였다. 또한 각 지표의 분포가 어떤 통계분포에 적합한지를 시ㆍ군 유형별로 추정하였다. 지표의 체계는, 지역 주민들이 쾌적한 일상생활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각종 생활환경시설을 나타내는 생활환경지표와, 지역이 경제 적으로 얼마나 활성화되어 있는가와 지역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인적 자원의 규모와 구조가 어떠한가를 보여 주는 지역활력지표의 2가지로 분류한다. 생활환경지표는 주택, 도로, 상ㆍ하수도 등 생활환경을 대표하는 4개 의 지표로 구성되며, 지역활력지표는 경제, 재정, 인구 등의 부문을 대표하는 5개의 지표로 구성된다. 주택부문 의 수준은 군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더 떨어진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도로부문의 지표는 일반시가 다른 유형 의 시ㆍ군 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ㆍ하수도 개발 수준은 일반시가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도농통합시, 군 지역의 순이다. 고용수준은 군 지역이 가장 높고, 소득의 대리변수로 채택한 1인당지방세액 수 준은 도농통합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재정의 지표에 있어서는 군 지역이 월등히 높았고, 인구증가율은 일반시와 도농통합시, 군 지역이 정체 상태로 모두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어 유형별로도 별 차이가 없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총인구수에 대한 노동가능인구수의 비율에 있어서는 일반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300원
        11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충남 예산군 오가면 오촌리(1,2리)를 대상으로 하는 옹기체험 농촌체험마을 계획에 관한 것이다. 한민족의 정서와 품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우리의 고유한 민족문화 유산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옹기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1970년대이후에는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새로운 대체 용기가 개발․보급되는 한편, 급격히 주거 및 식생활 문화가 변화되면서점차 쇠락의 일로에 있는 형편이다. 대상지의 경우 현재 농촌의 낙후된 각종 시설과 노령화로 인해 마을의 인구가 점점감소하고 있어 마을주거환경개선 및 관광자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광형태의 변화로 체험형 관광프로그램이늘고 있는 추세로 옹기를 주제로 한 체험 농촌마을을 계획하였다. 오촌리의 차별성 있는 농촌관광자원인 전통옹기를 이용하여테마형 농촌마을을 조성하고, 옹기를 이용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민 소득증대에 기여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마을 주거환경 및 경관정비를 통하여 삶의 질이 높은 농촌마을로 계획을 하였다. 주요 계획내용으로는 에너지 자립형 농촌마을조성을 위하여 태양광을 도입하였으며, 축산분뇨 재처리시스템, 옹기체험센터, 도예 동호인 전원마을 등을 조성하여 특색 있는 테마마을로 계획하였다. 또한 마을 역사자원을 이용한 역사잇기 계획과 오촌리 유래찾기를 통하여 오촌리 마을의 전통성계승 및 홍보계획도 하였다. 이와 같은 오촌리가 옹기를 이용한 농촌체험마을 계획을 통해 주민들의 농외소득의 증대와정주환경개선, 관광농촌마을로서의 역할을 할 수 것이라 기대된다.
        4,000원
        12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acute drug intoxication trends in the elderly visited Emergency Medical Center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records of poisoning patients visited Five different Hospitals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07.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135 cases of 624 cases. When considering only the elderly and making comparisons between the urban areas and the rural areas the following data was produced. In regard to patients with acute drug intoxication, the main substance of choice was pesticides. Cases of acute drug intoxication are definitely higher for those categorized as the rural elderly (75.0%) when compared with those categorized as the urban elderly (44.1%). The male to female ratio, those living together as a family, past suicide attempts, mental state and sobriety condition when they came, monthly distribution etc. between the two groups did not demonstrate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regard to reasons given for acute drug intoxication, suicide was the highest at 60.7% of the cases. When comparing accidental reasons for poisoning, the urban elderly, at 34.2% of their cases, were higher than in the rural elderly, at 23.7%. After first aid was administered, the admission rate was higher for the rural elderly (47.4%) than for the urban elderly (33.9%). This shows that the rural elderly have a more severe acute drug intoxication poisoning problem than the urban elderly do.
        4,000원